KR20110110734A -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734A
KR20110110734A KR1020110030089A KR20110030089A KR20110110734A KR 20110110734 A KR20110110734 A KR 20110110734A KR 1020110030089 A KR1020110030089 A KR 1020110030089A KR 20110030089 A KR20110030089 A KR 20110030089A KR 20110110734 A KR20110110734 A KR 2011011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plug pin
support plate
pin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731B1 (ko
Inventor
료타 도미야마
노보루 하시모토
마키 곤도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갖는 콘센트 본체를 포함 한다.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와, 상기 돌출형상부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고정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에 마련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RECEPTACLE AND CHARGING DEVICE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플러그의 플러그 핀(plug pin)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갖는 콘센트 본체를 구비하는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센트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가옥의 벽면에 노출되어 부착하거나, 분전반 등의 반의 내부에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는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에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실행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에 조립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34216호
그러나, 상기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한 경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기구가 콘센트에 없기 때문에, 플러그의 케이블을 밟는 등의 플러그에 부주의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같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센트의 표면에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마련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콘센트에 도어를 마련한 구성에서는 분전반이나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와 같은 기기에 조립되는 경우에 있어서, 고정부가 조립 기기의 구성 부재와 간섭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조립 기기에 관한 콘센트의 위치 결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러그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기기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갖는 콘센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와, 상기 돌출형상부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에 마련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플러그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플러그를 향해 돌출된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형상부와의 접속 위치를 지점으로 해서 탄성 변형되는 것이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를 타고 넘은 후, 상기 돌기부에 상기 접촉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부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돌출형상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을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돌출형상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와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맞닿은 상태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타단측의 단부는 상기 돌출형상부보다도 타단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콘센트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전체가 앞쪽으로 돌출된 돌출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에는 적어도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쪽부터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외부 도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뒤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돌출형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콘센트 본체의 앞면을 평활하게 하는 커버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를 구비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를 구비하는 외부기기에 대해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동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기기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에 대해, (a) 및 (b)는 동 콘센트를 구비하는 충전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의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의 콘센트에 대해, (a)는 플러그 핀 삽입구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a)의 A-A를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a)의 B-B를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대해, (a)는 플러그를 위쪽에서 본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플러그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의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의 콘센트 및 플러그에 대해, (a) 및 (b)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콘센트의 돌기부와 플러그의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1실시형태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내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콘센트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제 2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대해, (a)는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지지판이 닫힘 위치 상태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지지판이 닫힘 위치 상태인 지지판의 선단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의 (a)∼(d)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제 2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1의 (a)∼(c)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제 2 실시형태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내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a)는 도어가 열림 위치일 때의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도어가 닫힘 위치일 때의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동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동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동 콘센트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a) 및 (b)는 도어의 선단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a)는 도어가 열림 위치일 때의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도어가 닫힘 위치일 때의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a)는 지지판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 및 (c)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9는 비교예의 콘센트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센트를 충전 스탠드에 마련되는 콘센트로서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스탠드(1)는 전기 자동차에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 장치이다. 충전 스탠드(1)는 예를 들면 옥외의 주차장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충전 스탠드(1)는 세로로 긴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된 스탠드 본체(2)와, 스탠드 본체(2)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 마련된 가로 개폐식의 도어(3)를 포함한다. 도어(3)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도 1(a)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도 1(b)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변위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본체(2)의 도어(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오목부(4)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4)를 구성하는 안쪽측의 벽체(5)의 대략 중앙부에는 콘센트(10)가 부착되어 있다. 즉, 콘센트(10)는 충전 스탠드(1)에 조립되어 있다.
이후에서는 도어(3)가 마련되는 측을 「앞쪽」으로 하고, 콘센트(10)가 마련되는 측, 즉, 충전 스탠드(1)의 안쪽 측을 「뒤쪽」으로 하여 충전 스탠드(1)의 세워 설치하는 방향인 긴쪽 방향을 「상하 방향 Z」로 하고, 충전 스탠드(1)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 Y」로 하며, 상하 방향 Z 및 좌우 방향 Y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 즉, 충전스탠드(1)의 전후방향을 「전후 방향 X」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콘센트(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체(5)에는 콘센트(10)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A)와, 개구부(5A)의 주위에 4개의 부착 구멍(5B)이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10)는 각 부착 구멍(5B)을 거쳐서 나사(6)에 의해 벽체(5)에 부착된다.
콘센트(10)는 플러그(50)의 플러그 핀(52)(도 4 참조)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25)가 앞면에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20)를 포함한다.
콘센트 본체(20)에는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된 직방체형상의 케이스(2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21)내에는 플러그 핀(52)이 접속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에 전력이 공급되는 플러그 받이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21)의 앞면(22)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앞면(22)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21)의 앞면(22)의 4코너에는 나사(6)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구멍(26)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의 하단부에는 앞면(23A)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고정부인 지지판(30)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형상부(23)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위쪽이 만곡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형상부(23)의 돌출량, 즉 케이스(21)의 앞면(22)과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의 전후 방향 X의 거리는 벽체(5)의 전후 방향 X의 두께인 판두께보다도 약간 크다.
돌출형상부(23)에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24)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의 내경은 플러그(50)의 플러그 바디(51)(도 4 참조)의 선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4)의 내경은 플러그 바디(51)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오목부(24)의 저면(24A)에는 플러그 핀 삽입구(25)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핀 삽입구(25)는 좌우 방향 Y에 배열된 전원용 삽입구(25A)와, 2개의 전원용 삽입구(25A)의 사이이고 또한 전원용 삽입구(25A)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접지용 삽입구(25B)를 포함한다.
지지판(30)은 위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 X가 긴쪽으로 되는 장방형의 평판이다. 지지판(30)의 앞쪽에는 접촉부인 2개의 접촉 돌기부(31)가 좌우 방향 Y에 근접해서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접촉 돌기부(31)는 좌우 방향 Y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지지판(30)의 상면(32)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된 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 돌기부(31)에는 뒤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33)와, 경사부(33)의 정상부와 상면(32)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부(34)가 마련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도 3(b) 참조) 내부에는 전원용 삽입구(25A)를 개폐하기 위한 전원용 내부 도어(41)와, 접지용 삽입구(25B)를 개폐하기 위한 접지용 내부 도어(42)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용 내부 도어(41)는 각 전원용 삽입구(25A)에 대응해서 2개 마련되어 있다.
도 3(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본체(20) 내부에는 좌측의 전원용 내부 도어(41)를 수용하는 제 1 오목부(27)와, 우측의 전원용 내부 도어(41)를 수용하는 제 2 오목부(28)와, 접지용 내부 도어(42)를 수용하는 제 3 오목부(29)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오목부(27)에는 전원용 삽입구(25A)를 향함에 따라 좌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7A)와, 경사부(27A)의 후단부에서 우측을 향해 연장하는 바닥부(27B)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오목부(28)에는 전원용 삽입구(25A)를 향함에 따라 우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8A)와, 경사부(28A)의 후단부로부터 좌측을 향해 연장하는 바닥부(28B)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오목부(29)에는 접지용 삽입구(25B)를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9A)와, 경사부(29A)의 후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하는 바닥부(29B)가 마련되어 있다.
각 경사부(27A∼29A)에는 판스프링(43∼45)이 압축된 상태에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판스프링(43∼45)은 각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가 닫힘 위치로 되도록, 각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에 각각 힘을 가하고 있다. 또, 바닥부(27B, 28B)에는 전원용 내부 도어(41)의 후단부가 각각 맞닿고 있다. 바닥부(29B)에는 접지용 내부 도어(42)의 후단부가 맞닿고 있다.
전원용 내부 도어(41)에는 전후 방향 X를 향해 연장하는 베이스부(41A)와, 베이스부(41A)의 전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원용 삽입구(25A)를 향해 연장하는 개폐부(41B)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41B)에는 플러그(50)의 플러그 핀(52)(도 4 참조)이 맞닿는 접촉부(41C)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41C)는 인접하는 전원용 삽입구(25A)를 향함에 따라 뒤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 도어(42)에는 전후 방향 X를 향해 연장하는 베이스부(42A)와, 베이스부(42A)의 전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하는 개폐부(42B)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42B)에는 플러그 핀(52)이 맞닿는 접촉부(42C)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42C)는 위쪽을 향함에 따라 뒤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핀(52)의 삽입 이탈에 수반하는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에 삽입되는 경우, 각 접촉부(41C, 42C)에 플러그 핀(52)이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 핀(52)을 뒤쪽을 향해 삽입할 때, 바닥부(27B∼29B)에 각각 설치된 걸림부(미도시)에 의해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도어(42)의 뒤쪽 끝단 각각이 각 경사부(27A~29A)와 각 걸림부 사이에 고정되어, 판스프링의 힘에 의해 좌측 및 우측(접지용내부도어(42)의 경우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는 각각 바닥부(27B∼29B)를 중심으로 하여, 판스프링(43∼45)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도면 중의 2점 쇄선과 같이 회전운동한다. 즉,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는 각각 열림 위치로 변위한다. 이에 수반하여 플러그 핀(52)이 개폐부(41B, 42B)보다도 뒤쪽에 삽입 통과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플러그 핀(52)을 플러그 핀 삽입구(25)로부터 빼내는 경우, 도면 중의 플러그 핀(52)의 후단부가 개폐부(41B, 42B)보다도 앞쪽을 향함에 따라, 판스프링(43∼45)의 부세력에 의해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가 각각 닫힘 위치를 향해 변위한다. 그리고, 플러그 핀(52)의 후단부가 개폐부(41B, 42B)의 전단면보다도 앞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는 도면중의 실선의 닫힘 위치로 각각 변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플러그(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는 전후 방향 X로 연장 되는 원통형상의 사용자가 파지하는<쥐는> 플러그 바디(51)와, 플러그 바디(51)로부터 뒤쪽을 향해 돌출된 플러그 핀(52)과, 플러그 바디(51)의 전단부에 접속되는 케이블(53)을 포함한다. 플러그 핀(52)은 좌우 방향 Y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전원용 플러그 핀(52A)과, 2개의 전원용 플러그 핀(52A)의 좌우 방향 Y의 사이이고 또한 플러그 핀(5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접지 핀(52B)을 포함한다. 전원용 플러그 핀(52A)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지 핀(52B)은 원형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51)의 후단부의 위쪽에는 전원용 플러그 핀(52A)과 접지 핀(52B)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54)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51)의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평면형상의 파지부(55)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51)의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의 아래쪽에는 아래쪽을 향해 구면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표시부(54)는 전후 방향 X를 따라 연장하는 장방형상의 돌기이다. 그리고, 위치 표시부(54)가 플러그(50)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원용 플러그 핀(52A)이 좌우 방향 Y에 배열되는 동시에, 그 아래쪽에 접지 핀(52B)이 배치된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6)는 앞쪽을 향함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7)와, 경사부(57)의 하단부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장하는 정상부(58)와, 정상부(58)의 전단부로부터 앞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으로 경사지는 접촉부(59)를 포함한다. 경사부(57)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뒤쪽 오목부(57A)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59)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앞쪽 오목부(59A)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57A, 59A)는 정상부(58)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뒤쪽 오목부(57A)는 뒤쪽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Y의 폭이 커지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뒤쪽 측면(57B)과, 뒤쪽 측면(57B)의 전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Y에 뒤쪽 측면(57B)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연결면(57C)을 포함한다.
앞쪽 오목부(59A)는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앞쪽 측면(59B)과, 앞쪽 측면(59B)의 후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Y에 앞쪽 측면(59B)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맞닿음면(59C)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 표시부(54)가 위쪽으로 되도록 플러그(50)의 방향을 조정한 후, 콘센트(10)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의 돌기부(56)와 지지판(30)의 접촉 돌기부(31)를 맞닿았을 때, 지지판(30)은 콘센트 본체(20)와 지지판(30)의 접속 위치 CP를 지점으로 하여, 지지판(30)의 전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변위하도록 휜다. 즉, 지지판(30)은 접속 위치 CP를 지점으로 해서 아래쪽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50)를 또한 삽입하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6)가 접촉 돌기부(31)의 정상부를 타고 넘은 후, 지지판(30)은 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위쪽을 향해 변위된다. 이 때,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2 참조)에 삽입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 완료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24)의 안둘레면과 플러그 바디(51)의 바깥둘레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여기서, 「약간의 간극」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간극이다. 이에 따라, 도 5(b)로부터 도 5(c)의 상태로 되도록 플러그(50)를 삽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목부(24)내에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10)에 플러그(50)가 접속된 상태, 즉 도 5(c)의 상태에 있어서, 접촉 돌기부(31)는 앞쪽 오목부(59A)내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돌기부(31)의 접촉부(34)는 맞닿음면(59C)에 맞닿고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돌기부(31)는 한 쌍의 앞쪽 측면(59B)의 좌우 방향 Y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각 앞쪽 측면(59B)과 근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쪽 측면(59B)의 좌우 방향 Y의 폭 T1은 2개의 접촉 돌기부(31)의 좌우 방향 Y의 폭 T2와 대략 동등하다. 상세하게는 앞쪽 측면(59B)의 폭 T1은 접촉 돌기부(31)의 폭 T2보다도 약간 크다. 이에 따라, 지지판(30)은 플러그(50)를 고정시킨다. 상세하게는 접촉 돌기부(31)와 돌기부(56)가 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2 참조)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를 빼내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판(30)의 전단부를 아래쪽으로 압압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56)와 접촉 돌기부(31)의 걸어맞춤이 대략 어긋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러그(50)를 앞쪽으로 뽑는 것에 의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가 뽑힌 상태로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지지판(30)으로부터 손가락을 놓으면 복원력에 의해 지지판(30)은 위쪽을 향해 변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의 돌기부(56)와 지지판(30)의 접촉 돌기부(31)가 맞닿는다. 이에 따라, 플러그(50)의 케이블(53)을 거는 등에 의해 플러그(50)가 콘센트(10)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에 힘이 부주의하게 가해졌다고 해도,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가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로서, 플러그 핀을 플러그 받이 부재에 접속한 후에 소정 각도 회전시켜 플러그 핀에 마련된 투과구멍에 플러그 받이 부재에 마련된 돌기를 넣는 것에 의해,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구조가 고려된다.
상기 구조는 일반적으로 플러그의 삽입 이탈하는 회수가 적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러그를 삽입 이탈하는 회수가 100회 정도를 보증하는 것이 많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핀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받이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플러그 핀의 투과구멍에 플러그 받이의 돌기가 들어간다. 이 플러그 받이의 탄성변형을 반복하면, 플러그 받이 부재의 스프링성이 저하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의 투과구멍에 플러그 받이 부재의 돌기가 들어가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 결과, 플러그의 삽입 이탈을 반복하는 동안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기능을 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를 삽입 이탈하는 회수가 많은 용도에는 부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에 접촉 돌기부(31)가 마련되는 동시에, 접촉 돌기부(31)에 플러그(50)의 돌기부(56)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플러그 핀과 플러그 받이 부재의 빠짐 방지 구조에 비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증 회수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20)에서 돌출형상부(23)가 생략된 구성에서는 벽체(5)와 지지판(30)이 간섭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이 곤란하다. 그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상부(23)를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5)와 지지판(30)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10)를 벽체(5)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56)가 접촉 돌기부(31)에 맞닿았을 때에, 지지판(30)은 접속 위치 CP를 중심으로 해서 아래쪽을 향해 휜다. 이에 따라, 접촉 돌기부(31)가 돌기부(56)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변위된다. 따라서, 돌기부(56)가 접촉 돌기부(31)를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50)의 콘센트(10)에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지지판(30)을 아래쪽을 향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이 접속 위치 CP를 지점으로 해서 아래쪽으로 휜다. 이에 따라, 지지판(30)의 접촉 돌기부(31)가 플러그(50)의 돌기부(5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플러그(50)를 콘센트(10)로부터 뽑아 낼 때에 접촉 돌기부(31)와 돌기부(56)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30)에 접촉 돌기부(31)가 돌기부(5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의 기구를 마련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지지판(30)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가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각각 덮는다. 따라서, 벌레 등의 이물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거쳐서 콘센트(10)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상부(23)의 내부에 오목부(24)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할 때에 사용자의 손이 오목부(24)내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상부(23)가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즉, 개구부(5A)는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것과,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의 양쪽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벽체(5)에 돌출형상부(23)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전용의 개구 구멍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5)의 형상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돌출형상부(23)의 위쪽이 만곡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형상부(23)의 형상이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 Z에 있어서 콘센트(10)의 방향을 용이하게 육안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콘센트(10)를 벽체(5)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10)에 플러그(50)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의 돌기부(56)의 앞쪽 오목부(59A)에 지지판(30)의 접촉 돌기부(31)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50)의 좌우 방향 Y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50)에 위치 표시부(54)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의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플러그 핀(52)을 보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의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센트를 충전 스탠드에 마련되는 콘센트로서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지지판(30)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콘센트(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의 하단부에는 앞면(23A)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부(21A)에는 지지판 개폐 기구(60)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판 개폐 기구(60)는 지지부(21A)를 좌우 방향 Y를 향해 관통하는 관통 구멍(21B)에 삽입되는 샤프트(61)와, 샤프트(61)와 지지판(30)의 사이에 걸어 맞춰지는 나사선 스프링<helical spring>(이하, 「스프링 부재(62)」)을 포함한다.
고정부인 지지판(30)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71)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71)는 전후 방향 X를 향해 연장하는 동시에, 뒤쪽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이 앞쪽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부(71)의 앞쪽의 저면(71A)에는 접촉부인 접촉 돌기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판(30)의 전단부에는 만곡 오목부(72)가 마련되어 있다. 만곡 오목부(72)는 동 오목부(72)의 앞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움푹 패이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30)의 후단부에는 샤프트(61)를 삽입 통과하는 한 쌍의 샤프트 삽입 통과부(73)가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오목부(71)를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어 있다.
지지판(30)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의 돌기부(56)에 접촉 돌기부(31)를 걸어 맞추기 위한 제 2 위치와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의 표면이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맞닿는 제 1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이다. 즉, 지지판(30)은 샤프트(61)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는 지지판(30)의 회전운동 방향을 「개폐 방향 W」로 하고, 지지판(30)이 열리는 방향을 「열림 방향」으로 하며, 지지판(30)이 닫히는 방향을 「닫힘 방향」으로 한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돌출형상부(23)의 지지부(21A)에 부착되는 지지판(30)의 일단을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지지판(30)의 타단인 선단부(74)는 돌출형상부(23)보다도 타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에 있어서 지지판(30)의 상단부는 돌출형상부(23)의 상단부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0에서는 콘센트(10)의 내부 구조를 생략해서 나타내는 동시에, 도어(31)만을 단면 구조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러그(50)의 케이블(53)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지지판(30)을 열림 위치로 되도록 변위시킨다(이하, 「열림 조작」이라함). 이 지지판(30)의 상태에 있어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의 돌기부(56)가 지지판(30)의 오목부(71)에 수용하도록 플러그(50)를 지지판(30)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핀(52)은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3 참조)에 대해 전후 방향 X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 핀(52B)의 선단부는 접지용 삽입구(25B)(도 3 참조)에 삽입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전원용 플러그 핀(52A)은 전원용 삽입구(25A)(도 3 참조)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를 뒤쪽을 향해 삽입하면, 플러그 핀(52)은 플러그 핀 삽입구(25)에 삽입된다.
또한, 돌기부(56)의 좌우 방향 Y의 폭과 오목부(71)의 접촉 돌기부(31)보다도 앞쪽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은 대략 동등하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71)의 상기 부위의 폭은 돌기부(56)의 폭보다도 약간 크다. 이에 따라, 돌기부(56)가 오목부(71)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가 지지판(30)에 대해 좌우 방향 Y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 돌기부(56)가 오목부(71)의 좌우 방향 Y의 측면에 접촉한다. 그 결과, 플러그(50)의 지지판(30)에 대한 좌우 방향 Y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를 뒤쪽으로 이동시켜, 돌기부(56)와 지지판(30)의 접촉 돌기부(31)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은 도 10(b)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열림 방향으로 더욱 회전운동된다.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6)가 접촉 돌기부(31)의 정상부를 타고 넘은 후, 지지판(30)은 스프링 부재(62)(도 8 참조)의 부세력에 의해 닫힘 방향을 향해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플러그 바디(51)에 접촉 돌기부(31)가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운동이 정지한다. 이 때,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2 참조)에 삽입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 완료로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를 뽑아내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1에서는 콘센트(10)의 내부 구조를 생략해서 나타내는 동시에, 도어(31)만을 단면 구조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러그(50)의 케이블(53)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판(30)을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56)와 접촉 돌기부(31)의 걸어맞춤이 어긋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50)를 앞쪽으로 뽑는 것에 의해,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가 뽑힌 상태로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지지판(30)으로부터 손가락을 놓으면 스프링 부재(62)(도 8 참조)의 부세력에 의해 지지판(30)은 닫힘 위치로 되도록 회전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8]에 부가하여,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삽입하고 있지 않은 경우, 지지판(30)을 접어 포갤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30)에 부주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지지판(30)의 선단부(74)가 돌출형상부(23)보다도 위쪽(원심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림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선단부(74)에 걸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열림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11]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의 선단부(74)에 만곡 오목부(72)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만곡 오목부(72)에 걸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열림 조작을 한층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12]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에 오목부(7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콘센트(10)에 플러그(50)를 삽입할 때에 플러그(50)의 돌기부(56)가 오목부(7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 삽입구(25)에 대한 플러그 핀(52)의 좌우 방향 Y의 위치 결정을 실행할 수 있다.
[13]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61)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지지판(30)의 회전운동의 중심이 돌출형상부(23)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30)의 표면이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맞닿기 위한 전용의 형상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30)의 형상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14]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110)에 돌출형상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콘센트(100)의 벽체(5)에 대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콘센트(100)를 벽체(5)의 원하는 부착 위치에 대해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부착한 경우, 지지판(120)이 벽체(5)에 접촉해 버린다. 그 결과, 콘센트(100)가 벽체(5)에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콘센트(100)의 미관이 저하해 버린다.
또한, 콘센트(100)를 벽체(5)의 원하는 부착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부착한 경우, 콘센트(100)에 있어서 지지판(120)을 회전운동하는 중심으로 되는 부착부(130)가 벽체(5)와 접촉해 버린다. 그 결과, 지지판(120)이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 회전운동할 수 없게 된다.
그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상부(23)에 의해, 충전 스탠드(1)의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콘센트(10)를 벽체(5)의 원하는 부착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콘센트(10)를 벽체(5)에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콘센트(10)의 미관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가 벽체(5)에 대해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지지부(21A) 및 샤프트 삽입 통과부(73)를 벽체(5)의 개구부(5A)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1A) 및 샤프트 삽입 통과부(73)가 벽체(5)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이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 회전운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콘센트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예끼리를 서로 조합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에 의해, 전원용 삽입구(25A) 및 접지용 삽입구(25B)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했지만, 전원용 삽입구(25A) 및 접지용 삽입구(25B)를 각각 개폐하는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개폐 기구(80)를 콘센트 본체(2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어 개폐 기구(80)는 플러그 핀 삽입구(25) 및 오목부(24)를 개폐하는 직사각형상의 외부 도어(81)와, 외부 도어(81)의 회전운동의 중심축으로 되는 샤프트(82)와, 외부 도어(81)에 힘을 가하는 나사선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외부 도어(81)는 도 12(a)에 나타내는 플러그 핀 삽입구(25) 및 오목부(24)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와, 도 12(b)에 나타내는 플러그 핀 삽입구(25) 및 오목부(24)를 덮는 닫힘 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 가능하다. 또, 나사선 스프링은 외부 도어(81)를 닫힘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10)를 충전 스탠드(1)의 벽체(5)에 조립하는 형태였지만, 콘센트(10)의 사용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옥의 벽면에 고정되는 노출 콘센트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에 커버(90)가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된다. 커버(90)에는 돌출형상부(23)와 끼워 맞추는 개구부(9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90)가 콘센트 본체(2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90)의 앞면이 평활하게 되어 있다. 즉, 콘센트(10)의 앞면이 평활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90)의 앞면이 평활한 것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90)의 앞면이 균일하게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으면 좋고, 전후 방향 X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커버(90)는 제 2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10)를 노출 콘센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콘센트(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의 콘센트 본체(20) 및 지지판(30)을 공통 부품으로서, 기기 조립으로서의 콘센트와 노출 콘센트를 겸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 조립으로서의 콘센트와 노출 콘센트를 각별의 전용 부품으로서 콘센트 본체(20) 및 지지판(30)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전용 부품을 위한 금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90)의 앞면은 면 일치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10)를 노출 콘센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콘센트(10)의 미관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버(90)의 콘센트(10)에의 부착 형태는 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커버(90)에 걸어맞춤 발톱을 마련하는 동시에 콘센트 본체(20)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마련한 후에,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오목부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커버(90)를 콘센트 본체(2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1)에서 오목부(24)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러그 핀 삽입구(25)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에 형성된다. 또한, 이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61)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해서 지지판(30)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했지만, 지지판(30)의 변위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은 전후 방향 X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변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30)은 콘센트 본체(20)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 위치와, 콘센트 본체(20)보다도 앞쪽에 지지판(30)의 전체가 돌출된 돌출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드한다. 이 경우,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지판(30)을 수납 위치로 하고,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하려고 할 때에 지지판(30)을 돌출 위치로 한다. 또, 지지판(30)을 슬라이드시키는 기구로서는 기지의 것을 이용한다. 또 상기 기구로서, 예를 들면, 수납 위치에 있어서, 지지판(30)이 콘센트 본체(20)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해제하는 버튼을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지지판(30)이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도 15에서는 수납 위치로서 지지판(30)의 전체가 콘센트 본체(20) 내부에 수납되었지만, 지지판(30)의 일부가 수납되는 위치를 수납 위치로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판(30)에서 오목부(71)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판(30)의 표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의 선단부(74)는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형상이었지만, 선단부(74)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에 있어서, 선단부(74)에는 앞쪽을 향해 연장하는 선단 돌출부(75)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선단 돌출부(75)는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해 경사지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에 대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한층 걸기 쉬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림 조작을 한층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의 선단부(74)가 돌출형상부(23)보다 위쪽으로 돌출했지만, 선단부(74)는 돌출형상부(23)와 상하 방향 Z에 있어서 동 위치 또는 아래쪽으로 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이 오목부(24)의 일부를 덮는 구성이었지만,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으로서, 오목부(24)의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지지판(30)은 외부 도어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일 때에 지지판(30)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에 있어서의 오목부(24)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지지판(30)에 의해 오목부(24)가 덮이기 때문에, 지지판(30)이 닫힘 위치일 때에 오목부(24)내 및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거쳐서 콘센트 본체(20) 내부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20) 내부의 전원용 내부 도어(41) 및 접지용 내부 도어(42)와 판스프링(43∼45)을 생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부(23)의 하단부에 지지부(21A)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은 지지부(21A)에 부착된 샤프트(61)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하는 구성이었지만, 지지판(30)이 회전운동하는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돌출형상부(23)의 상단부에 지지부(21A)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지지판(30)이 지지부(21A)에 부착된 샤프트(61)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할 수도 있다. 즉, 지지판(30)의 일단이 상단부로 되고, 지지판(30)의 타단이 하단부로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에 마련되었지만, 지지판(30)은 돌출형상부(23)의 좌우 방향 Y의 양 측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0)이 아래쪽으로 휘는 것에 의해, 또는 지지판(30)이 닫힘 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에 의해 접촉 돌기부(31)가 돌기부(56)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이었지만, 접촉 돌기부(31)가 돌기부(56)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돌기부(31)가 지지판(30)에 대해 상하 방향 Z로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30)의 앞쪽의 부위에는 아래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7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76)에는 접촉 돌기부(31)가 마련된 가동 부재(35)와 가동 부재(35)를 위쪽을 향해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36)이 수용되어 있다. 가동 부재(35)의 위쪽에는 가동 부재(35)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프레임형상의 커버 부재(37)가 나사(38)에 의해서 지지판(3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코일 스프링(36)은 압축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35)가 커버 부재(37)에 맞닿은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50)의 돌기부(56)가 지지판(30)의 접촉 돌기부(31)에 맞닿을 때, 코일스프링(36)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가동 부재(35)는 아래쪽을 향해 이동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를 뒤쪽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돌기부(56)가 접촉 돌기부(31)를 타고 넘는다. 그 후,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 부재(35)는 위쪽을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플러그(50)의 앞쪽 오목부(59A)(도 4 참조)에 접촉 돌기부(31)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50)는 지지판(30)에 고정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용 내부 도어 및 접지용 내부 도어가 플러그(50)의 플러그 핀(52)이 맞닿는 것에 수반하여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개폐하는 구성이면,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돌출형상부(23)는 위쪽이 만곡 형상인 동시에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었지만, 돌출형상부(23)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돌출형상부(23)는 직사각형상(도 12 참조)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돌출형상부(23)는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10)에 대한 벽체(5)의 위치 결정이 가능한 형상이면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부(23)가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10)에 대한 벽체(5)의 위치 결정을 실행했지만, 돌출형상부(23)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벽체(5)의 개구부(5A)와는 다른 곳에 돌출형상부가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의 위치에 돌출형상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이 충전 스탠드(1)의 벽체(5)에 고정되었지만, 콘센트 본체(20)의 벽체(5)에 대한 부착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콘센트 본체(20)의 뒷면 또는 측면을 벽체(5)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커버(90)를 콘센트 본체(20)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10)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10)를 충전 스탠드(1)에 조립했지만, 콘센트(10)의 적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옥 등의 건물의 옥외측의 벽면에 콘센트(1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면에 부착된 제어반에 콘센트(10)를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 및 고정부(지지판)를 갖는 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 본체에 플러그 핀 삽입구가 앞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부가 마련된 돌출형상부가 마련되는 구성이면, 충전 스탠드(1)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센트(10)의 앞면측을 패널 등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을 실행하는 기기이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에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 스탠드(1)로서 구체화했지만, 충전 장치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를 구비하는 외부기기에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동 배터리에 충전하는 장치이면,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콘센트 20: 콘센트 본체
23: 돌출형상부 3A: 앞면
24: 오목부 25: 플러그 핀 삽입구,
30: 지지판(고정부) 31: 접촉 돌기부(접촉부)
32: 상면(플러그와 대향하는 고정부의 면) 41: 전원용 내부 도어(내부 도어)
42: 접지용 내부 도어(내부 도어) 50: 플러그
52: 플러그 핀 56: 돌기부
74: 선단부(도어의 타단측의 단부) 81: 외부 도어
90: 커버 CP: 접속 위치(지지판과 콘센트 본체의 접속 위치)

Claims (10)

  1.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갖는 콘센트 본체를 구비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와, 상기 돌출형상부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에 마련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플러그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플러그를 향해 돌출된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형상부와의 접속 위치를 지점으로 해서 탄성변형되는 것이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접촉부를 타고 넘은 후, 상기 돌기부에 상기 접촉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부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돌출형상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을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돌출형상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와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맞닿은 상태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타단측의 단부는 상기 돌출형상부보다도 타단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콘센트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전체가 앞쪽으로 돌출된 돌출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에는 적어도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쪽부터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외부 도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뒤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돌출형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콘센트 본체의 앞면을 평활하게 하는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0.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콘센트를 갖는 충전 장치로서,
    해당 충전 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외부기기에 대해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KR1020110030089A 2010-04-01 2011-04-01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KR101227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5559 2010-04-01
JP2010085559A JP5891385B2 (ja) 2010-04-01 2010-04-01 コンセ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充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734A true KR20110110734A (ko) 2011-10-07
KR101227731B1 KR101227731B1 (ko) 2013-01-29

Family

ID=4494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089A KR101227731B1 (ko) 2010-04-01 2011-04-01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91385B2 (ko)
KR (1) KR101227731B1 (ko)
CN (1) CN102255196B (ko)
TW (1) TWI437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48625A (zh) * 2012-05-22 2013-12-01 shi-an Gao 電源座固定板結構
JP2016032365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器具ホルダ、充電器、および、充電器具ホルダの製造方法
JP6589618B2 (ja) * 2015-12-15 2019-10-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CN110635321B (zh) * 2018-06-21 2021-05-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充电枪支撑结构及充电口结构
CN109050286A (zh) * 2018-07-13 2018-12-21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407A (en) * 1976-03-18 1977-12-06 Samuel Moore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S601500Y2 (ja) * 1979-03-15 1985-01-16 松下電工株式会社 扉付コンセント
JPS5675485U (ko) * 1979-11-15 1981-06-19
JPH0424275U (ko) * 1990-06-20 1992-02-27
DE9205811U1 (de) * 1992-04-30 1992-08-13 Erich Jaeger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für den elektrischen Anschluß von Anhängerfahrzeugen
KR19980015396U (ko) * 1996-09-09 1998-06-25 김주용 플러그 고정구조
FR2766950B1 (fr) * 1997-07-30 1999-09-10 Herve Borgoltz Dispositif de livraison d'energie electrique
JP2001110510A (ja) * 1999-10-13 2001-04-20 Toshiya Kito 収納式トラッキング防止装置
US6520792B2 (en) * 2000-12-04 2003-02-18 Delta Electronics, Inc. Adjustable securing device
JP3954313B2 (ja) * 2001-01-23 2007-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破損防止構造
JP4482249B2 (ja) * 2001-07-19 2010-06-16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抜け防止具
JP2004214064A (ja) * 2003-01-06 2004-07-29 Yoshinobu Ito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CN2655406Y (zh) * 2003-08-19 2004-11-10 罗伟成 凹槽式插座
KR100760693B1 (ko) * 2005-12-23 2007-09-21 주식회사 모빌일렉트론 충전회로 일체형 매립형 콘센트
CN2896620Y (zh) * 2006-04-02 2007-05-02 任文华 一种组合式开关插座面板
GB0611332D0 (en) * 2006-06-08 2006-07-19 Elektromotive Ltd Charging station
CN201122701Y (zh) * 2007-06-29 2008-09-24 侯凤军 银触点式可自动弹出分断的插头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16423A (ja) 2011-10-27
JP5891385B2 (ja) 2016-03-23
KR101227731B1 (ko) 2013-01-29
CN102255196A (zh) 2011-11-23
TWI437775B (zh) 2014-05-11
CN102255196B (zh) 2013-11-06
TW201212410A (en)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731B1 (ko)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JP3964217B2 (ja) 光モジュール
JP388769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066619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装置
JP5738493B2 (ja) 差込みコネクタ
JP2011198516A (ja) コネクタ
JP2004220970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CN110161635B (zh) 光收发器
JP4877419B2 (ja) プラグ
RU2562958C2 (ru) Передняя панель для розетки
US20180109034A1 (en) Lever-type connector
US2011025674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ust-proof device with self-driven arrangement
JP5583395B2 (ja) コンセントブロック
KR101193651B1 (ko)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JP4138766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
JP5460280B2 (ja) コンセント
WO2021145172A1 (ja) コネクタ
JP5853168B2 (ja) コードコネクタ並びにプラグおよびコードコネクタ
JP2009252602A (ja) 充電台
JP6292787B2 (ja)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装着方法
JP2008277035A (ja) コネクタ装置
KR20090006785U (ko) 레버형 커넥터
JP2018106802A (ja) 操作レバーを設けたコネクタ部材、及び、その組立方法
JP2858977B2 (ja) 電気機器
KR102039747B1 (ko)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