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747B1 -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747B1
KR102039747B1 KR1020120132771A KR20120132771A KR102039747B1 KR 102039747 B1 KR102039747 B1 KR 102039747B1 KR 1020120132771 A KR1020120132771 A KR 1020120132771A KR 20120132771 A KR20120132771 A KR 20120132771A KR 102039747 B1 KR102039747 B1 KR 10203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tainer
joint connector
terminal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833A (ko
Inventor
임근택
정규택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7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과, 조인트 커넥터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부품 수와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가 개시된다.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탭 단자,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부,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에 형성된 리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리테이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JOINT CONNEC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접속을 위한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부품간 혹은 특정 부품 내에서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신호 또는 전기출력을 동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전자 기기에서 다수의 전기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어느 한 커넥터에는 전기선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가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 커넥터에도 전기 단자가 배열되어, 커넥터의 하우징끼리 결합되면서 각 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접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어느 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은 전기 단자에 연결된 전기선이 당겨질 때 전기 단자가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8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기 단자에 형성된 홈에 하우징에서 돌출된 리테이너 지지부인 랜스가 끼워짐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1776호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전기 단자와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가 결합되어 전기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 있다.
한편, 커넥터와 커넥터의 결합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인 끼워지는 커넥터의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구성하거나, 타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넥터의 내면 공간을 점차 작게 형성하여 강제 끼움 시 꽉 끼워져 빠지지 않게 하는 구성을 가지거나, 어느 한 커넥터에 홈을 형성하고, 타 커넥터에는 이 홈에 걸리는 탄성 있는 고리를 형성하여, 홈과 고리의 결합에 의하여 커넥터간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모두 커넥터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랜스(lance)를 이용한 전기 단자의 구속은 자동차와 같이 진동이 빈번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랜스의 탄성이 진동에 의한 피로로 인하여 점차 감소되고, 랜스가 전기 단자의 홈을 지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전기 단자가 커넥터에서 이탈됨으로써 전기 접속이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는 걸림부재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지만, 각 커넥터마다 적어도 하나씩 별도의 부재로 준비하여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서 하우징과 걸림부재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는, 커넥터가 비교적 소형 부재이며, 전자 기기가 복잡할수록 사용 빈도가 증가함을 고려할 때, 생산성을 매우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커넥터와 커넥터 간의 결합 시 각 커넥터마다 별도의 걸림부재가 필요하고,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각 걸림부재도 서로 다르게 준비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작업이 번거롭다.
한편, 커넥터와 커넥터 간의 결합에서, 마찰에 의한 접촉은 진동 환경에서는 결합이 느슨해질 위험이 존재하여 결합의 안정성이 보장되기 어렵다. 또한, 홈과 고리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하는 경우, 또는 클램프 등 별도의 결속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외형이 복잡한 형상을 가지게 되거나, 별도 결속부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에 부가되는 형상 또는 결속부재에 의하여 커넥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짐에 따라, 최소 공간에 집약 설치함으로써 제품을 작은 사이즈로 제조하는 최근 추세와도 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인트 커넥터에 삽입된 전기 단자의 이탈 방지와, 결합된 타 커넥터의 이탈 방지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전기 단자와 커넥터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탭 단자,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부,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에 형성된 리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리테이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는 상면과 하면 중에서 어느 한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힌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에서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고정시키는 위치 또는 상기 탭 단자를 고정시키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 및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테이너의 형성 시 상기 리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에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걸림부에 삽입 시 접촉되는 테이퍼가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걸림부에서 해제 시 접촉되는 테이퍼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탭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폐쇄하는 탭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홀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되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외부 신호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외부 신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신호 연결부 및 상기 단자와 상기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신호 연결부의 2중 고정이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2 중 고정 구조는 상기 신호 연결부의 랜스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리테이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연결부를 커버하는 신호 연결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연결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되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하우징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에 탭 단자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단자를 삽입하여 상기 탭 단자와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과 랜스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1차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리테이너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2차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인트 커넥터에 삽입된 전기 단자 및/또는 타 커넥터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셉터클 단자 또는 탭 단자가 하우징 내부에서 2중으로 고정될 수 있어서 단자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인트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인트 커넥터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1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인트 커넥터(10)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하는 조인트 커넥터(10)는 14핀(pin) 커넥터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pin)의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인트 커넥터(10)는 내부에 리셉터클 단자(18)와 탭 단자(17)가 구비된 하우징(11)과, 리테이너(121)가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16) 및 하우징(11)에 탭 단자(17)가 노출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탭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우징(11)에서 '상면'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부에 배치된 면을 말하고, '하면'은 상면에 대향되는 면을 말한다. 또한, 하우징(11)에서 리테이너(121) 또는 걸림부(14)가 형성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너비 방향'이라 한다.
하우징(11)은 내부에 리셉터클 단자(18)와 탭 단자(17)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는 리셉터클 단자(18)의 고정을 위한 리테이너(1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1)의 제1 단부(11a)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경사진 형태로 리테이너 지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12)의 단부에는 리테이너(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1)과 리테이너 지지부(12) 및 리테이너(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 리테이너 지지부(12), 리테이너(121)는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과 리테이너 지지부(12) 및 리테이너(121)를 일체로 사출 성형 시 리테이너(121)의 사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11)의 일측에는, 리테이너(121)와 일체로 형성되고, 리테이너(121)와 연결 형성된 돌출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3)는 리테이너(121)와 하우징(11)의 사출 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출 후 리테이너(121)가 하우징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43)와 분리될 수 있다. 돌출부(143)는 리테이너(121)의 사출 형성 시 리테이너(121)에 원활하게 수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리테이너 지지부(12)는 하우징(11)에 대해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리테이너 지지부(12)의 일 단부는 하우징(11)의 제1 단부(11a)에 결합되고, 결합된 부분을 회전축 및 지지점으로 작동하는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 지지부(12)의 타 단부에는 하우징(11)에 결합되는 리테이너(121)가 형성된다. 또한, 리테이너 지지부(12)는 그 자체의 형상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 리테이너 지지부(12)의 형상은 제1 단부(11a)에서 결합되는 리테이너 지지부(12)의 시작 부분은 두께가 얇고 리테이너(121) 쪽의 끝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런 형상을 통해, 힌지 역할을 하는 리테이너 지지부(12)가 보다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 지지부(12)의 반복된 힌지 회전 움직임에도 리테이너 지지부(12)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리테이너(121)는 하우징(1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지지부(12)는 리테이너(1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리테이너 지지부(12) 자체의 탄성이 리테이너(121)가 하우징(11)에서 결합 및 분리 시 탄성적으로 리테이너(1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리테이너 지지부(12)의 형상 및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테이너 지지부(12)의 형상과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리테이너(121)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1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걸림부(14)는 하우징(11)에서 리테이너(12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우징(1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개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걸림부(14) 일측에는 리테이너(121)가 삽입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121)는 일 단부가 훅 또는 걸림 가능한 단턱부(121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걸림부(14) 내부에는 상기 리테이너(121) 단부의 단턱부(121a) 형상에 대응되어 리테이너(121)의 단턱부(121a)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턱(141)의 형상 및 위치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턱(141)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걸림부(14) 내부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걸림턱(141)은 걸림부(14) 내부가 아닌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턱(141)에는, 리테이너(121)의 삽입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챔퍼부(chamfer part)(14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챔퍼부(142)가 걸림턱(141)에 형성되어, 리테이너의 삽입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가 걸림부(14)에 삽입 시 접촉하게 되는 챔퍼부(142)의 테이퍼가 해제 시 접촉하게 되는 테이퍼보다 크도록 한다. 이런 구조로 해제에 필요한 힘이 삽입에 필요한 힘보다 크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14)와 걸림턱(141) 및 챔퍼부(142)의 형상 및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1) 내부에는 탭 단자(17)가 삽입 구비된다. 그리고 리셉터클 단자(18)는 탭 단자(17)와 결합되도록 하우징(11)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예를 들어, 탭 단자(17)는 하우징(11)의 제2 단부(11a)에서 제1 단부(11b) 방향으로 삽입되고, 리셉터클 단자(18)는 하우징(11)의 제1 단부(11a) 쪽에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1개의 리셉터클 단자(18)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셉터클 단자(18)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조인트 커넥터(10)는 전기 부품간 또는 특정 부품 내에서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신호 또는 전기출력을 동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또한, 조인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단자(18)에 의해 신호를 조인트 커넥터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보내고, 탭 단자(17)는 특정 리셉터클 단자(18)들을 연결시켜 회로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18) 중 일부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되고, 나머지 리셉터클 단자(18)는 램프 등 전원이 요구되는 타 장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탭 단자(17)에 의해서 모든 리셉터클 단자(18)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8)는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고, 전도성 판재로 형성되어서 하우징(11)의 제1 단부(11a)쪽에 구비되며 일 단부가 타 전자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탭 단자(17)는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여기서, 탭 단자(17)는 하나의 하우징(11)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탭 단자(17)에는 리셉터클 단자(18)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리셉터클 단자(18)들은 결합된 탭 단자(17)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공통으로 가지게 되어, 하나의 커넥터에서 탭 단자(17)의 수만큼 공통의 신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탭 단자(17)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는 탭 단자(17)가 어느 리셉터클 단자(18)를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단자(18)가 삽입되어서 하우징(11) 내부에 2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18)를 하우징(11) 내부로 삽입하면 리셉터클 단자(18)의 랜스(181)가 하우징(11) 내부의 단턱(144)에 걸리게 되어 1차 고정된다. 그리고 리테이너(121)가 걸림부(14)에 삽입되면, 리테이너(121)가 리셉터클 단자(18)의 일측(182)에 결합되어서 리셉터클 단자(18)가 이탈될 수 있는 방향(즉, 본 실시 예에서는 리셉터클 단자(18)가 하우징(11)에 삽입되어 들어온 방향)에 대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여 2차로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121)가 리셉터클 단자(18)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테이너(121)는 탭 단자(17)를 고정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셉터클 단자(18)가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면 고정 및 제조가 완료되고, 하우징(11) 및 리테이너(121)에 의해 조립된 리셉터클 단자(18)의 분리가 방지됨으로써, 조인트 커넥터(10)의 부품수를 줄이고 조인트 커넥터(10) 제작 공정을 절감하여,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1)는 리셉터클 단자(18)가 하우징(11) 내부에 정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조립 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일 측에는, 탭 단자(17)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폐쇄하도록 탭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커버(15)는 하우징(11)의 제2 단부(11b)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탭 커버(15)는 하우징(11)의 제2 단부(11b)를 폐쇄하는 폐쇄면(151)과 하우징(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대략적으로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탭 커버(15)가 하우징(11)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커버(15)에서 하우징(11)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152)에는 소정의 결합홈(155)이 형성되고, 하우징(11)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홈(155)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커버 결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탭 커버(15)의 형상 및 하우징(11)과의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클립(16)은 하우징(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 구비되어서 하우징(11)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1)에는 클립(16)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클립 홀더부(1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클립(16)은 하우징(11)에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클립(16)은 소정의 판 형상을 갖는 홀더 결합부(161)가 형성되고, 클립 홀더부(13)는 홀더 결합부(161)가 삽입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ㄱ'자 형상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에는 클립 홀더부(13)에 삽입된 클립(16)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16)의 상부에는 파지를 위한 파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16)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립(16)의 형상과 크기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하우징이 상하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분리되는 하우징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20)는 하우징(21)이 분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조인트 커넥터(20)는 내부에 리셉터클 단자(28)와 탭 단자(27)가 삽입 구비되는 하우징(21)과, 리테이너(221)가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1)의 일 측에는 조인트 커넥터(20)를 설치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26)이 구비될 수 있다.
조인트 커넥터(20)는 하나의 하우징(21) 또는 2개의 하우징(21)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의 탭 단자(27)가 삽입 구비되도록 하우징(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1층의 탭 단자(27)가 삽입되는 하우징(21)을 서로 상하로 결합시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조인트 커넥터(2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우징(21)은 서로 완전히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하우징(21)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결합이 가능한 형상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하우징(21)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리셉터클 단자(28)의 고정을 위한 리테이너(2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21)의 일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경사진 형태로 리테이너 지지부(22)가 형성되고, 리테이너 지지부(22)의 단부에는 리테이너 지지부(22)와 일체로 리테이너(2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21), 리테이너 지지부(22) 및 리테이너(221)는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과 리테이너 지지부(22) 및 리테이너(221)를 일체로 사출 성형 시 리테이너(221)의 사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21)의 일측에는, 리테이너(221)와 일체로 형성되고, 리테이너(221)와 연결 형성된 돌출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43)는 사출 형성 시 리테이너(221)에 원활하게 수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리테이너 지지부(22)는 일 단부가 하우징(21)의 일 단부에 결합된 부분이 회전축 및 지지점이 되어 작동하는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 지지부(22)의 타 단부에는 하우징(21)에 결합되는 리테이너(2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 지지부(22)는 그 자체의 형상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제1 단부(21a)에서 시작하는 부분은 두께가 얇고 리테이너(221) 쪽의 끝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221)는 하우징(2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지지부(22) 자체의 탄성이 리테이너(221)가 하우징(21)에서 결합 및 분리 시 탄성적으로 리테이너(2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리테이너 지지부(22)의 형상 및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테이너 지지부(22)의 형상과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21)에는 리테이너(221)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2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걸림부(24)는 하우징(21)에서 리테이너(221)에 대응되는 위치, 하우징(2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걸림부(24) 일측에는 리테이너(221)가 삽입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2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221)는 일 단부가 훅 또는 걸림 가능한 단턱부(221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걸림턱(141)은 리테이너(221)의 단턱부(221a)가 걸림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단차 또는 단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턱(141)에는, 리테이너(221)의 삽입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챔퍼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24)와 걸림턱(241) 및 챔퍼부(242)의 형상 및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21) 내부에는 탭 단자(27)가 삽입 구비되고, 리셉터클 단자(28)는 탭 단자(27)와 결합되도록 하우징(21)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1개의 리셉터클 단자(28)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셉터클 단자(28)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탭 단자(27)는 하우징(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여기서, 탭 단자(27)는 하나의 하우징(21)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탭 단자(27)에는 리셉터클 단자(28)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리셉터클 단자(28)들은 결합된 탭 단자(27)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공통으로 가지게 되어, 하나의 커넥터에서 탭 단자(27)의 수만큼 공통의 신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탭 단자(27)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는 탭 단자(27)가 어느 리셉터클 단자(28)를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20)는 리셉터클 단자(28)가 삽입되어서 하우징(21) 내부에 2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28)를 하우징(21) 내부로 삽입하면 리셉터클 단자(28)의 랜스(281)가 하우징(21) 내부의 단턱에 걸리게 되어 1차 고정된다. 그리고 리테이너(221)가 걸림부(24)에 삽입되면, 리테이너(221)가 리셉터클 단자(28)의 일측(282)에 결합되어서 리셉터클 단자(28)가 이탈될 수 있는 방향에 대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막는 역할을 하여 2차로 고정된다.
리셉터클 단자(28)가 하우징(21) 내에 삽입되면 고정 및 제조가 완료되고, 하우징(21) 및 리테이너(221)에 의해 조립된 리셉터클 단자(28)의 분리가 방지됨으로써, 조인트 커넥터(20)의 부품 수를 줄이고 조인트 커넥터(20) 제작 공정을 절감하여,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221)는 리셉터클 단자(28)가 하우징(21) 내부에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조립 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26)은 하우징(2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 구비되어서 하우징(21)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우징(21)에는 클립(26)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클립 홀더부(23)가 형성되고, 클립(26)은 클립 홀더부(23)에 결합되는 소정 형상의 홀더 결합부(261)와 파지부(262)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26)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립(26)의 형상과 크기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21)에서 탭 단자(27)가 노출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탭 커버(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우징과 탭 커버가 별도로 형성되어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탭 커버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탭 커버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되, 탭 단자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탭 커버의 일측이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된 탭 커버가 하우징 측면에 소정의 힌지 축 또는 회전 축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탭 커버가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 중 한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탭 단자를 노출시키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는, 탭 커버는 하우징에서 탭 단자가 노출되는 면만을 폐쇄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 형태의 탭 커버는 일측 모서리가 하우징에 결합되고, 결합된 부분이 힌지 축이 되어서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탭 단자가 결합되는 면을 노출시키거나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 플레이트 형태의 탭 커버를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는, 탭 커버를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 결합이나 끼움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탭 커버의 형상 및 결합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조인트 커넥터
11: 하우징
11a, 11b: 단부
113: 스토퍼
115: 커버 결합부
12: 리테이너 지지부
121: 리테이너
121a: 단턱부
13: 클립 홀더부
14: 걸림부
141: 걸림턱
142: 챔퍼부
143: 돌출부
144: 단턱
15: 탭 커버
151: 폐쇄면
152: 측면
155: 결합홈
16: 클립
161: 홀더 결합부
162: 파지부
17: 탭 단자
18: 리셉터클 단자
181: 랜스

Claims (1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제1 단부 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의 제2 단부 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탭 단자;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부;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리테이너;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리테이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개구 형상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탭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단부 측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탭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구비되는 면과 동일 면 상에, 상기 하우징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홀더부가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어느 한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고정시키는 위치 또는 상기 탭 단자를 고정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지지부 및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테이너의 형성 시 상기 리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연결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챔퍼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걸림부에 삽입 시 접촉되는 테이퍼가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걸림부에서 해제 시 접촉되는 테이퍼보다 크게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되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탭 단자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18. 삭제
  19. 삭제
KR1020120132771A 2012-11-22 2012-11-22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771A KR102039747B1 (ko) 2012-11-22 2012-11-22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771A KR102039747B1 (ko) 2012-11-22 2012-11-22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33A KR20140065833A (ko) 2014-05-30
KR102039747B1 true KR102039747B1 (ko) 2019-11-01

Family

ID=5089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771A KR102039747B1 (ko) 2012-11-22 2012-11-22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7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33A (ja) * 2000-05-24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968Y2 (ja) * 1992-02-06 1996-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式コネクタ
JPH118004A (ja) * 1997-06-18 1999-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二重係止コネクタ
KR100659184B1 (ko) * 2005-03-30 2006-12-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0442526Y1 (ko) * 2007-02-28 2008-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33A (ja) * 2000-05-24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33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6519B1 (en) Plug connector housing with a fixing for an electric contact element and a cable
JP5301725B2 (ja) 雌コネクタ組立体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US7445475B2 (en) Lever type connector
EP2337157B1 (en) Connector
CN102544856B (zh) 连接部件
US20130280935A1 (en) Lever-Type Connector, Wire Cover
US20150207261A1 (en) Charge connector
US9312709B2 (en) Charging stand
JP2005535073A (ja) 接続保証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US9166328B2 (en) Connector, in particular an electrical connector
JP2009146768A (ja) 電線ホルダ
KR102039747B1 (ko)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81574Y1 (ko) 분리 방지용 커넥터
WO2019124027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830415B1 (ko) 커넥터
WO2015012065A1 (ja) コネクタ
KR101786594B1 (ko) 커넥터
KR101820143B1 (ko) 배선장치
JP6506904B2 (ja) コネクタ
JP5562157B2 (ja) 中継用コネクタ
KR200484263Y1 (ko) 전자기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1482793B1 (ko) 커넥터
KR101151896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