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84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84B1
KR100659184B1 KR1020050026271A KR20050026271A KR100659184B1 KR 100659184 B1 KR100659184 B1 KR 100659184B1 KR 1020050026271 A KR1020050026271 A KR 1020050026271A KR 20050026271 A KR20050026271 A KR 20050026271A KR 100659184 B1 KR100659184 B1 KR 100659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emale
male
hou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271A (ko
Inventor
김석민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8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3Steering or guiding of machines or implements pushed or pulled by or mounted on agricultural vehicles such as tractors, e.g. by lateral shifting of the towing conn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커넥터에 형성된 개구부에 숫커넥터를 완전히 삽입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할 수 있고, 숫커넥터를 암커넥터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록킹수단을 이용해 암커넥터 및 숫커넥터에 단자를 각각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전방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홀이 형성된 암하우징과, 암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단자수용홀 내로 삽입되는 암단자와, 암하우징의 전방 개구부에 삽입 결합되는 숫하우징과, 숫하우징에 장착되어 숫하우징이 암하우징에 결합될 때 단자수용홀에 삽입되어 암단자와 접속되는 숫단자, 및 암하우징의 하방으로부터 암하우징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암단자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자 위치 확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하우징, 암단자, 숫하우징, 숫단자, 단자 위치 확정구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 선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 선단면도.
도 7과 도 8은 단자 위치 확정구를 이용해 단자를 록킹시키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조인트 커넥터 10 : 암하우징
11 : 개구부 20 : 암단자
30 : 숫하우징 40 : 숫단자
50 : 단자 위치 확정구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커넥터 및 숫커넥터의 단자를 하우징에 견고하고 올바르게 고정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피를 줄인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기기와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자 할 때 일측의 기기에서 다수의 케이블을 통해 타측의 기기로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 커넥터를 이용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차량에서 사용하는 조인트 커넥터는 전원공급 및 제어를 위한 다수의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케이블들의 집합체인 하네스로부터 인출한 신호선의 케이블을 다른 기기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므로 그 부피가 적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두 개의 커넥터(100)(200)와 별도의 조인트 탭단자(300)로 구성되며, 각 커넥터(100)(300)의 내측에 용도에 따라서 복수 개의 단자가 삽입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조인트 커넥터는, 하나의 숫커넥터(100)에 조인트 탭단자(300)의 일측을 결합하고, 다른 숫커넥터(200)를 조인트 탭단자(300)의 타측으로 결합하여 두 숫커넥터(100)(200)에 하네스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과 이를 다른 기기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의 단자(400)(500)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각 단자(400)(500)가 조인트 탭단자(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하네스로부터 신호선을 인출하기 위해 설치될 때 그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단자는 각 숫하우징에 형성된 단자수용홀에 단순히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케이블을 잡아당기거나 하는 행위등이 반복되면 각 단자가 단자수용홀 내에서 유동할 염려가 있고, 그로 인해 각 단자와 조인트 탭단자 사이의 접속이 해제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암커넥터에 형성된 개구부에 숫커넥터를 완전히 삽입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할 수 있고, 숫커넥터를 암커넥터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록킹수단을 이용해 암커넥터 및 숫커넥터에 단자를 각각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전방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홀이 형성된 암하우징과, 암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단자수용홀 내로 삽입되는 암단자와, 암하우징의 전방 개구부에 삽입 결합되는 숫하우징과, 숫하우징에 장착되어 숫하우징이 암하우징에 결합될 때 단자수용홀에 삽입되어 암단자와 접속되는 숫단자, 및 암하우징의 하방으로부터 암 하우징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암단자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자 위치 확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단자수용홀의 전단부에는 암단자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단자수용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의 천정에는 암단자의 상부에 형성된 제1록킹홀에 삽입되어 암단자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제1록킹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단자 위치 확정구는, 암단자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암단자의 후방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복수 개의 제2록킹돌부가 전단부 상면에 각각 이격 형성된 한 쌍의 확정판과, 암단자들이 통과될 수 있도록 확정판들을 평행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확정판들 사이를 통과하는 암단자들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하부 격벽과, 및 확정판들중 상부 확정판의 전단부 상면에 이격 형성되어 제2록킹돌부가 걸림턱에 걸릴 때 상부 확정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암단자들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상부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숫하우징의 양측에는 제3록킹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암하우징의 개구부 양측벽에는 제3록킹돌부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제2록킹홀이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숫단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일단부에는 복수 개의 단자핀이 배열 형성되고, 숫하우징의 숫단자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그 타단부에는 숫단자 삽입홈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제4록킹돌부가 삽입되는 제3록킹 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부에는 숫단자 삽입홈의 양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5록킹돌부가 삽입되는 록킹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 선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Ⅵ-Ⅵ 선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단자 위치 확정구를 이용해 단자를 록킹시키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전방의 개구부(11)로부터 후방으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홀(13)이 형성된 암하우징(10)과, 암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단자수용홀(13) 내로 삽입되는 암단자(20)와, 암하우징(10)의 전방 개구부(11)에 삽입 결합되는 숫하우징(30)과, 숫하우징(30)에 장착되어 숫하우징(30)이 암하우징(10)에 결합될 때 단자수용홀(13)에 삽입되어 암단자(20)와 접속되는 숫단자(40), 및 암단자(20)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자 위치 확정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암하우징(10)의 전방에는 숫하우징(30)이 삽입 결합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1)의 양측벽에는 후술할 숫하우징(30)의 양측에 형성된 록킹돌부(31)가 각각 삽입되는 록킹홀(1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암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방의 개구부(11)로부터 후방에 걸쳐 암단자(20) 및 숫단자(40)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수용홀(13)이 상하 2열로 배열 형성된다. 이 때 각 단자수용홀(13)들은 격벽(14)에 의해 분할된다.
또한, 단자수용홀(13)의 전단부에는 암단자(20)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 이탈방지턱(15)이 돌출 형성되고, 단자수용홀(13) 내에서 전방 이탈방지턱(15)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의 천정에는 후술할 암단자(20)의 상부에 형성된 록킹홀(21)에 삽입되어 암단자(20)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돌부(16)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암하우징(10)의 저면에는 단자 위치 확정구(50)가 하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삽입되는 확정구 삽입홈(17)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11)의 내측벽에는 숫하우징(30)의 상하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35)와 숫하우징(30)의 양측에 형성된 록킹돌부(31)가 각각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8)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8)들로 인해 숫하우징(30)은 암하우징(10)의 개구부(11)에 올바르게 삽입된다.
전술한 암단자(20)는 와이어(2)의 단부에 결합되어 암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암하우징(10) 내에 상하 2열로 형성된 단자수용홀(13)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단자수용홀(13) 내에 형성된 록킹돌부(16)가 삽입되는 록킹홀(21)이 형성된다.
전술한 숫하우징(30)은 암하우징(10)의 전방 개구부(11)에 삽입 결합되는 것 으로, 그 양측에는 암하우징(10)의 개구부(11) 양측벽에 형성된 록킹홀(12)에 각각 삽입되어 록킹되는 록킹돌부(31)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그 배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한 쌍의 숫단자(40)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숫단자 삽입홈(32)이 상하로 형성된다.
이 때, 숫단자 삽입홈(32)의 내측 바닥에는 후술할 숫단자(40)의 록킹홀(42)에 삽입되어 숫단자(40)를 1차 록킹시키는 복수 개의 록킹돌부(33)가 돌출 형성되며, 숫단자 삽입홈(32)의 내부 양측벽에는 후술할 숫단자(40)의 양측에 형성된 숫단자 삽입홈(32)에 삽입되어 숫단자(40)를 2차 록킹시키는 록킹돌부(34)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숫하우징(30)의 상하면에는 숫하우징(30)이 암하우징(10)의 전방 개구부(11)에 삽입될 때 개구부(11)의 가이드홈(18)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돌부(3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숫단자(40)는 숫하우징(30)의 숫단자 삽입홈(32)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숫하우징(30)이 암하우징(10)에 결합될 때 숫하우징(30)의 단자수용홀(13)에 삽입되어 암단자(20)와 접속되는 것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는 단자수용홀(13)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핀(41)이 배열 형성되고, 숫단자 삽입홈(32)에 삽입 고정되는 그 타단부에는 숫단자 삽입홈(32)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록킹돌부(33)가 삽입되는 록킹홀(42)이 형성되며, 그 양측부에는 숫단자 삽입홈(32)의 양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록킹돌부(34)가 삽입되는 록킹홈(43)이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단자 위치 확정구(50)는 암하우징(10)의 확정구 삽입홈(17)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확정구 삽입홈(17)에 일차 삽입된 상태에서 암단자(20)들을 통과시키고 암단자(20)들이 단자수용홀(13)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암단자(20)들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시킨다.
이러한 단자 위치 확정구(50)는, 암단자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려 암단자의 후방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복수 개의 록킹돌부(51)(52)가 전단부 상면에 각각 이격 형성된 한 쌍의 확정판(53)(54)과, 암단자(20)들이 통과될 수 있도록 확정판(53)(54)들을 평행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확정판(53)(54)들 사이를 통과하는 암단자(20)들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하부 격벽(55), 및 확정판(53)(54)들중 상부 확정판(54)의 전단부 상면에 이격 형성되어 록킹돌부(52)가 걸림턱(22)에 걸릴 때 상부 확정판(54)의 상면에 접촉되는 암단자(20)들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상부 격벽(5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자 위치 확정구(5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정구 삽입홈(17) 내에 1차 삽입된 상태에서 암단자(20)들이 단자수용홀(13)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삽입과정에 의해 확정구 삽입홈(17)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암단자(20)들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암단자(20)들이 단자수용홀(13) 내에 불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 위치 확정구(50)를 2차 삽입하게 되면, 확정판(53)(54)들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록킹돌부(51)(52)들이 걸림턱(22)에 걸리지 않고 암단자(20)들의 전단부 저면에 접면된 상태가 되므로 후방에서 와이어(2)를 잡아당기면 암단자(20)들이 후방으로 이탈된다.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조인트 커넥터에 따르면, 암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에 숫하우징을 완전히 삽입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할 수 있고, 숫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록킹돌부 및 암하우징의 개부부 양측에 형성된 록킹홀을 이용하여 숫하우징을 암하우징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단자수용홀 내에 형성된 록킹돌부 및 단자 위치 확정구에 형성된 록킹돌부를 이용하여 암단자들을 암하우징의 단자수용홀 내에 견고히 록킹시킬 수 있다.
특히, 단자 위치 확정구의 경우 암단자들이 암하우징의 단자수용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암하우징의 확정구 삽입홈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암단자가 단자수용홀 내로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 아니면 불완전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암단자들을 단자수용홀 내에 올바르게 삽입 고정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방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홀이 형성된 암하우징, 상기 암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단자수용홀 내로 삽입되는 암단자, 상기 암하우징의 전방 개구부에 삽입 결합되는 숫하우징, 상기 숫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숫하우징이 상기 암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단자수용홀에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와 접속되는 숫단자, 및 상기 암하우징의 하방으로부터 암하우징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자 위치 확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하우징의 양측에는 제3록킹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암하우징의 개구부 양측벽에는 상기 제3록킹돌부가 삽입되어 록킹되는 제2록킹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숫단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일단부에는 복수 개의 단자핀이 배열 형성되고, 상기 숫하우징의 숫단자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그 타단부에는 상기 숫단자 삽입홈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제4록킹돌부가 삽입되는 제3록킹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부에는 상기 숫단자 삽입홈의 양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제5록킹돌부가 삽입되는 록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5. 삭제
KR1020050026271A 2005-03-30 2005-03-30 조인트 커넥터 KR100659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271A KR100659184B1 (ko) 2005-03-30 2005-03-30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271A KR100659184B1 (ko) 2005-03-30 2005-03-30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271A KR20060104271A (ko) 2006-10-09
KR100659184B1 true KR100659184B1 (ko) 2006-12-20

Family

ID=3763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271A KR100659184B1 (ko) 2005-03-30 2005-03-30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03B1 (ko) 2009-04-10 2011-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조인트 커넥터
KR20170000212A (ko)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콤팩트한 통전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커넥터
KR20170000213A (ko)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420A (ko) * 2006-07-24 2008-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116893B1 (ko) * 2009-12-16 2012-03-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조인트 멀티 블럭 장치
KR102039747B1 (ko) * 2012-11-22 2019-11-0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749B1 (ko) * 2013-02-27 2019-11-0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25898B1 (ko) * 2021-03-12 2023-04-2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비방수 조인트 커넥터
KR102653944B1 (ko) * 2021-12-28 2024-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메일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30A (ko) * 1997-09-29 1999-04-15 양재신 스플라이싱 커넥터의 단자 이탈방지구조
JP2001176628A (ja) * 1999-12-20 2001-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端子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10083163A (ko) * 2000-02-22 2001-08-31 포만 제프리 엘 상호접속부를 위한 이중층의 저유전체 배리어의 제조방법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30A (ko) * 1997-09-29 1999-04-15 양재신 스플라이싱 커넥터의 단자 이탈방지구조
JP2001176628A (ja) * 1999-12-20 2001-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端子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10083163A (ko) * 2000-02-22 2001-08-31 포만 제프리 엘 상호접속부를 위한 이중층의 저유전체 배리어의 제조방법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바이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27130 *
200183163000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03B1 (ko) 2009-04-10 2011-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조인트 커넥터
KR20170000212A (ko)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콤팩트한 통전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커넥터
KR20170000213A (ko)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271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84B1 (ko) 조인트 커넥터
CN102646879B (zh) 连接器装置
US20100035476A1 (en) Panel-mount cable assembly with quick-lock
US20070099520A1 (en) Connecting terminal
US6942504B2 (en) Connector
EP2149936B1 (en) Connector
KR20110013383A (ko) 전기 커넥터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JP2852497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004949A (ja) 電気コネクタ用掛止装置
JPH11185868A (ja) 圧接コネクタ
EP3402004A1 (en) Terminal locking structure and connector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KR20090044365A (ko) 커넥터
KR0163977B1 (ko) 가요성 단자 래치수단 및 단자 위치 보증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IE451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6183313B1 (en) Double lock connector
US6152783A (en) Double locking member for a connector
JP2022185272A (ja) コネクタ
JP5907390B2 (ja) コネクタ
JP2002198118A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2576858Y2 (ja) コネクタ
JPH1140256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7476825B2 (ja) コネクタ
CN216563810U (zh) 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