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213A -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213A
KR20170000213A KR1020150089158A KR20150089158A KR20170000213A KR 20170000213 A KR20170000213 A KR 20170000213A KR 1020150089158 A KR1020150089158 A KR 1020150089158A KR 20150089158 A KR20150089158 A KR 20150089158A KR 20170000213 A KR20170000213 A KR 2017000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ide
opening
contact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139B1 (ko
Inventor
박광현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08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01R31/085Short circuiting bus-strip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 내부에 버스바가 결합되도록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버스바가 커버부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커버부에 결합되므로, 버스바를 커버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하우징의 내부 구조가 간단해지고, 이로 인하여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with busbar}
본 발명은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 내부에 버스바가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도록 하고, 전체 부품 수를 감소시켜서 물류를 간소화 하도록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기, 전자부품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조인트 커넥터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피메일(Female) 커넥터와 메일(Male) 커넥터를 구비하되, 메일 커넥터가 피메일 커넥터에 삽입되어 메일 커넥터에 구비된 복수 개의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조인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조인트 커넥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피메일 커넥터(1)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에 삽입되는 메일 커넥터(5)를 포함한다. 피메일 커넥터(1)의 내부에는 통전 재질의 버스바(미도시)가 삽입되고, 메일 커넥터(5)에는 복수 개의 터미널(6)이 구비되어, 메일 커넥터(5)가 피메일 커넥터(1)에 삽입되면, 메일 커넥터(5)에 구비된 복수 개의 터미널(6)이 피메일 커넥터(1)에 구비된 상기 버스바와 접촉되어, 복수 개의 터미널(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조인트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5)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6)은 피메일 커넥터(1)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터미널(6)과 상기 버스바 간의 접촉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메일 커넥터(1)에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전체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게 되며, 이는 제품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65918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 내부에 버스바가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도록 하고, 전체 부품 수를 감소시켜서 물류를 간소화 하도록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도록 구획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는 복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제 1 상부개구부와 제 2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하부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제 1 하부개구부와 제 2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상부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1 터미널; 상기 제 1 하부개구부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하부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2 터미널; 복수 개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를 일체로 커버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서 상기 구획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통전 기능을 갖는 돌출부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통전 재질의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상측은 상기 상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측은 상기 하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공간부로 삽입된 상기 제 1 터미널과 상기 하부공간부로 삽입된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1 개방부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버스바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돌출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그 상측은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그 하측은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터미널과 대향되는 제 1 면부; 상기 제 2 터미널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 1 면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면부; 상기 삽입홈의 저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단부에 위치되는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통전 기능을 갖는 접촉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각각의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 1 접촉면부와, 상기 제 1 접촉면부에서 상기 접촉돌기의 상측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제 1 절곡부를 갖는 제 1 접점부; 및 각각의 상기 제 2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 2 접촉면부와, 상기 제 2 접촉면부에서 상기 접촉돌기의 하측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절곡부를 갖는 제 2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접촉면부와 상기 제 2 접촉면부에는 상기 커버판 방향으로 각각 제 1 결합돌부와 제 2 결합돌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제 1 제 1 결합돌부와 상기 제 2 결합돌부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부와 제 2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공간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 및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 1 개방부를 따라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1 하부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공간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2 하부개구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 및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 2 개방부를 따라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된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에는 상기 구획부 방향으로 제 1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구획부 방향으로 제 2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는 제 1 이동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는 제 2 이동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각각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부가 각각 걸림 결합되도록 제 1 걸림안내부와 제 2 걸림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를 따라 각각 제 1 탄성안내부와 제 2 탄성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안내부는 상기 제 1 걸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안내부는 상기 제 2 걸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공간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면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면부와,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상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안내홈과,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하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안내홈과, 상기 상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 안내홈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1 연통개방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안내홈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 연통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안내홈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제 1 지지부를 따라 상기 제 2 상부개구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안내홈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제 2 지지부를 따라 상기 제 2 하부개구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제 1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록킹돌기와, 상기 제 2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록킹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록킹돌기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밀착되고, 상기 제 2 록킹돌기는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유동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유동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유동방지리브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 2 유동방지리브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에 일체로 삽입될 때, 상기 이탈방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부를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대향되는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 2 상부개구부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기 커버판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에 일체로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는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버스바가 커버부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커버부에 결합되므로, 버스바를 커버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하우징의 내부 구조가 간단해지고, 이로 인하여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한 경량화가 가능하여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의 제 1 결합돌부와 제 2 결합돌부가 하우징의 제 1 삽입부와 제 2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므로, 버스바의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는 커버판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하여 버스바가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 및 버스바 간의 접촉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하우징의 제 1 걸림안내부와 제 2 걸림안내부에 의하여 걸림 위치된 이후, 커버부의 제 1 록킹돌기와 제 2 록킹돌기가 제 1 걸림안내부와 제 2 걸림안내부를 갖는 제 1 탄성안내부와 제 2 탄성안내부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은 이중 구조로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에는 제 1 이동방지부와 제 2 이동방지부가 제 1 단자부와 제 2 단자부를 받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단자부와 제 2 단자부가 상부 또는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하여, 제 1 단자부와 제 2 단자부가 돌출부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될 때,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에 제 1 안내돌기와 제 2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구획부에 제 1 안내돌기와 제 2 안내돌기를 안내하도록 제 1 슬라이딩부와 제 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므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뒤집혀진 상태로 하우징의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삽입되지 않게 되어,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의 오삽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되면,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에 형성되는 제 1 유동방지리브와 제 2 유동방지리브가 하우징의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로 안내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제 1 단자부와 제 2 단자부가 임의로 상하 이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인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제 1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제 2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에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에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와 버스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와 버스바가 결합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삽입된 하우징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에 결합되는 버스바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가 하우징에 걸림 위치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50)는 하우징(100), 제 1 터미널(300), 제 2 터미널(350), 커버부(200) 및 버스바(2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이 삽입되고, 하우징(100) 내부 타측에 커버부(200)가 삽입된다.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은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호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은 각각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커버부(200)에는 버스바(250)가 결합되는데, 버스바(250)는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이 상호 통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에는 각각 외부의 제 1 케이블(340)과 제 2 케이블(390)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이들의 세부 구조 및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제 1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제 2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 1 터미널(300)은 통전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지지부(310)와, 제 1 지지부(3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320)와, 제 1 라운드부(320)의 선단부에서 제 1 지지부(310)와 대향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 2 단자부(380: 도 4의 (b) 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부(330)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3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 1 라운드부(320)가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부에 제 1 케이블(340)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 1 지지부(310)의 하면에는 그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을 따라 제 1 걸림부(312), 제 1 이동방지부(313), 제 1 안내돌기(316) 및 제 1 날개부(318)가 구비될 수 있고, 제 1 지지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1 유동방지리브(3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걸림부(312)는 후술하는 제 1 걸림안내부(118: 도 5 도시)가 삽입되도록 제 1 지지부(310)에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이동방지부(313)는 제 1 단자부(330)에서 제 1 지지부(3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단자부(330)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이동방지부(313)는 제 1 지지부(310)에서 제 1 단자부(3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단자부(330)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유동방지리브(314)는 후술하는 하우징(100)의 제 1 가이드부(156: 도 9 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제 1 지지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제 1 단자부(3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안내돌기(316)는 제 1 지지부(310)의 길이방향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1 안내돌기(316)는 제 1 유동방지리브(314) 및 후술하는 제 1 날개부(318)보다 높도록 돌출 형성된다. 제 1 날개부(318)는 제 1 케이블(340)을 가이드하도록 제 1 걸림부(312)의 제 1 케이블(340)이 결합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 1 걸림부(312), 제 1 이동방지부(313), 제 1 유동방지리브(314), 제 1 안내돌기(316) 및 제 1 날개부(318)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 2 터미널(350)은 제 1 터미널(300)을 180°회전시킨 것으로, 그 형상 및 기능이 제 1 터미널(300)과 동일하므로, 제 2 터미널(350)은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터미널(350)은 통전 재질로 형성되며, 제 2 지지부(360)와, 제 2 지지부(36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상부로 절곡되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370)와, 제 2 라운드부(370)의 선단부에서 제 2 지지부(360)와 대향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 2 단자부(380)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360)는 일단부에 제 2 라운드부(37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 2 케이블(390)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부(360)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을 따라 제 2 걸림부(362), 제 2 이동방지부(363), 제 2 유동방지리브(364), 제 2 안내돌기(366) 및 제 2 날개부(368)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터미널(350)의 제 2 걸림부(362), 제 2 이동방지부(363), 제 2 유동방지리브(364), 제 2 안내돌기(366) 및 제 2 날개부(368)는 각각 제 1 터미널(300)의 제 1 걸림부(312), 제 1 이동방지부(313), 제 1 유동방지리브(314), 제 1 안내돌기(316) 및 제 1 날개부(318)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2 걸림부(362), 제 2 이동방지부(363), 제 2 유동방지리브(364), 제 2 안내돌기(366) 및 제 2 날개부(368)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되, 그 내부가 상부공간부(150)와 하부공간부(160)로 구획되도록 구획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공간부(150)와 하부공간부(160)는 각각 복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부공간부(150)의 상측에 상면부(110)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하부공간부(160)의 하측에 하면부(120)가 구비되며, 상면부(110)와 하면부(120) 사이의 양측에 측벽부(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공간부(15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는 개방되어 각각 제 1 상부개구부(152)와 제 2 상부개구부(154)가 형성되고, 하부공간부(16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는 개방되어 각각 제 1 하부개구부(162)와 제 2 하부개구부(1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상부개구부(152)를 통하여 제 1 터미널(300)이 상부공간부(150)로 삽입되고, 제 2 상부개구부(154)를 통하여 제 2 터미널(350)이 하부공간부(160)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2 상부개구부(154) 및 제 2 하부개구부(164)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부(13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커버부(200)의 돌출부(220: 도 10 도시)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홈(132)이 형성되되, 삽입홈(132)의 상측은 각각의 상부공간부(150)와 연통되도록 제 1 개방부(134)가 구비되고, 삽입홈(132)의 하측은 각각의 하부공간부(160)와 연통되도록 제 2 개방부(1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공간부(150)의 제 1 개방부(134)와 마주보는 양측에는 오목하게 제 1 가이드부(156)가 형성되고, 하부공간부(160)의 제 2 개방부(136)와 마주보는 양측에는 오목하게 제 2 가이드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부(110)에는 제 1 안내홈(112), 제 1 연통개방부(114), 제 1 탄성안내부(116) 및 제 1 결합안내홈(119: 도 3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하면부(120)에는 상기 상면부(110)의 제 1 안내홈(112), 제 1 연통개방부(114), 제 1 탄성안내부(116) 및 제 1 결합안내홈(119)과 대칭되도록 제 2 안내홈(122), 제 2 연통개방부(124), 제 2 탄성안내부(126) 및 제 2 결합안내홈(129: 도 3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내홈(112)은 하면부(120)와 대향되는 상면부(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상부개구부(154)와 마주보는 상면부(110)의 내면 일측에서 그 타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안내홈(122)은 상면부(110)와 대향되는 하면부(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하부개구부(164)와 마주보는 하면부(120)의 내면 일측에서 그 타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1 연통개방부(114)는 제 1 안내홈(112)의 하측에 각각의 상부공간부(150)와 연통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제 2 연통개방부(124)는 제 2 안내홈(122)의 상측에 각각의 하부공간부(160)와 연통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연통개방부(114)와 제 1 개방부(134)는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제 2 연통개방부(124)와 제 2 개방부(136)는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안내부(116)는 제 1 안내홈(112)의 저면, 상세하게는 제 2 상부개구부(154)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연통개방부(114)의 일측에서 제 2 상부개구부(15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2 탄성안내부(126)는 제 2 안내홈(122)의 저면, 상세하게는 제 2 하부개구부(164)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연통개방부(124)의 일측에서 제 2 하부개구부(16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탄성안내부(116)에는 제 1 터미널(300)의 제 1 걸림부(312)에 삽입되도록 제 1 걸림안내부(118)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탄성안내부(126)에는 제 2 터미널(350)의 제 2 걸림부(362)에 삽입되도록 제 2 걸림안내부(128)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 1 탄성안내부(116)와 제 2 탄성안내부(126)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 1 결합안내홈(119)은 제 2 상부개구부(154)와 마주보는 상면부(11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안내홈(129: 도 3 도시)은 제 2 하부개구부(164)와 마주보는 하면부(12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면 한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결합안내홈(119)과 제 2 결합안내홈(129)은 상호 다른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에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은 하우징(100)의 제 1 상부개구부(152)와 제 1 하부개구부(162)를 통하여 상부공간부(150)와 하부공간부(160)로 삽입된다. 이때, 제 1 터미널(300)은 제 1 단자부(330)가 구획부(130)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상부공간부(150)로 삽입되고, 제 2 터미널(350)은 제 2 단자부(380)가 구획부(130)의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하부공간부(160)로 삽입된다. 그런데, 제 1 터미널(300)의 제 1 지지부(310)에는 구획부(130)의 상측 방향으로 제 1 안내돌기(316)가 돌출 형성되므로, 구획부(130)의 상측에는 제 1 터미널(300)의 제 1 안내돌기(316)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1 슬라이딩부(137)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터미널(350)의 제 2 지지부(360)에는 구획부(130)의 하측 방향으로 제 2 안내돌기(366)가 돌출 형성되므로, 구획부(130)의 하측에는 제 2 터미널(350)의 제 2 안내돌기(366)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2 슬라이딩부(138)가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2 터미널(300, 350)에 제 1, 2 안내돌기(316, 366)가 형성되고, 구획부(130)에 제 1, 2 안내돌기(316, 366)를 안내하도록 제 1, 2 슬라이딩부(137, 138)가 형성되므로, 제 1, 2 터미널(300, 350)이 뒤집혀진 상태로 상, 하부공간부(150, 160)로 삽입되지 않게 되어, 제 1, 2 터미널(300, 350)의 오삽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에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은 하우징(100)의 상, 하부공간부(150, 160)로 삽입되어, 제 1 터미널(300)의 제 1 지지부(310)는 제 2 상부개구부(154)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제 1 탄성안내부(116)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 2 터미널(350)의 제 2 지지부(360)는 제 2 하부개구부(164)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제 2 탄성안내부(126)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제 1, 2 탄성안내부(116, 126)에 형성되는 제 1, 2 걸림안내부(118, 128)가 제 1, 2 지지부(310, 360)의 제 1, 2 걸림부(312, 362)에 삽입되어, 제 1, 2 지지부(310, 360)가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2 터미널(300, 350)이 하우징(100)의 상, 하부공간부(150, 160)로 삽입되면, 제 1, 2 터미널(300, 350)의 제 1, 2 라운드부(320, 370)는 각각 상호 마주보도록 삽입홈(132)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단자부(330)와 제 2 단자부(380)는 삽입홈(132)의 제 1, 2 개방부(134, 136)를 따라 제 2 상부개구부(154)와 제 2 하부개구부(16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 1 단자부(330)와 제 2 단자부(380)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 1 단자부(330)와 제 2 단자부(380)는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커버부(200: 도 10 도시)의 돌출부(220: 도 10 도시) 및 버스바(250: 도 10 도시)가 삽입홈(132)에 삽입되면, 제 1 단자부(330)와 제 2 단자부(380)가 버스바(250)에 접촉되어, 제 1 단자부(330)와 제 2 단자부(380)가 상호 통전된다. 이는 하기 도 12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이 하우징(100)의 상부공간부(150)와 하부공간부(160)에 삽입될 때, 제 1 터미널(300)과 제 2 터미널(350)의 제 1 지지부(310)와 제 2 지지부(360)에는 제 1 유동방지리브(314)와 제 2 유동방지리브(364)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공간부(150)와 하부공간부(160)의 양측에는 제 1 유동방지리브(314)와 제 2 유동방지리브(364)가 각각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가이드부(156)와 제 2 가이드부(166)가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부(156)는 삽입홈(132)의 제 1 개방부(134)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 2 가이드부(166)는 삽입홈(132)의 제 2 개방부(136)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300)의 제 1 지지부(310)가 상부공간부(150)의 제 1 상부개구부(152)에서 제 2 상부개구부(154)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 2 터미널(350)의 제 2 지지부(360)가 하부공간부(160)의 제 1 하부개구부(162)에서 제 2 하부개구부(164) 방향으로 삽입될 때, 삽입홈(132)의 제 1, 2 개방부(134, 136)를 따라 위치되는 제 1, 2 지지부(310, 360)의 제 1, 2 유동방지리브(314, 364)가 제 1, 2 가이드부(156, 166)로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제 1, 2 지지부(310, 360)는 제 1, 2 개방부(134, 136)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 1, 2 지지부(310, 360)와 연결된 제 1, 2 단자부(330, 380)의 상하 이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와 버스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와 버스바가 결합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하우징(100: 도 8 도시)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2 상부개구부(154), 제 2 하부개구부(164), 삽입홈(132) 및 제 1, 2 안내홈(112, 122)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커버판(210)과, 커버판(210)의 중앙에서 하우징(100)의 삽입홈(132)에 삽입되도록 삽입홈(13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하며, 커버판(210)의 상부와 하부에서 제 1, 2 안내홈(112, 122)에 삽입되도록 제 1, 2 안내홈(112, 12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2 록킹돌기(212, 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커버판(210)에서 삽입홈(13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300)과 대향되도록 그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면부(220a)와, 제 2 터미널(350)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 1 면부(220a)의 하부에 위치되는 그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면부(220b)와, 삽입홈(132)의 저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면부(220a)와 상기 제 2 면부(220b) 사이의 단부에 위치되는 연결면부(220c)와, 상기 연결면부(220c)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접촉돌기(220d)를 포함한다. 제 1 접촉돌기(220d)의 표면에는 도금층(미도시)이 도금 처리되어, 접촉돌기(220d)는 통전 기능을 갖게 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220d) 또는 돌출부(220) 전체가 통전 재질로 형성되어 접촉돌기(220d)가 통전 기능을 갖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판(210)의 양측에는 돌출부(22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방향을 따라 이탈방지부(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판(210)의 양측에는 제 1 록킹돌기(212)와 이탈방지부(222) 사이 또는 제 2 록킹돌기(214)와 이탈방지부(222) 사이로 결합안내돌기(2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록킹돌기(212)와 제 2 록킹돌기(214)에는 하우징(100)의 제 1 결합안내홈(119)과 제 2 결합안내홈(129)에 가이드되도록 제 1 결합안내부(230: 도 3 도시)와 제 2 결합안내부(232: 도 3 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250)는 돌출부(220)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300) 및 제 2 터미널(350)과 각각 일대일 접촉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접점부(260) 및 제 2 접점부(270)를 포함한다. 제 1 접점부(260)는 각각의 제 1 터미널(300)과 접촉되도록 돌출부(220)의 제 1 면부(220a)에 배치되는 제 1 접촉면부(262)와, 제 1 접촉면부(262)의 일측에서 접촉돌기(220d)의 상측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제 1 절곡부(264)와, 제 1 접촉면부(262)의 타측에서 커버판(2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결합돌부(266)와, 제 1 접촉면부(262)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지지돌부(268)를 포함한다. 제 2 접점부(270)는 제 1 접점부(260)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제 2 터미널(350)과 접촉되도록 돌출부(220)의 제 2 면부(220b)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면부(272)와, 제 2 접촉면부(272)의 일측에서 접촉돌기(220d)의 하측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절곡부(274)와, 제 1 접촉면부(262)의 타측에서 커버판(2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결합돌부(276)와, 제 2 접촉면부(272)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지지돌부(278)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 1, 2 접점부(260, 270)가 돌출부(220)에 배치될 때, 제 1 접점부(260)들의 상호 인접한 제 1 지지돌부(268)들은 상호 밀착되고, 제 2 접점부(270)들의 상호 인접한 제 2 지지돌부(278)들은 상호 밀착되어, 제 1, 2 접점부(260, 270)는 돌출부(220)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커버판(210)에는 상기 제 1 결합돌부(266)와 상기 제 2 결합돌부(276)가 삽입되도록 각각 제 1 삽입부(210a)와 제 2 삽입부(210b)가 관통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2 결합돌부(266, 276)가 제 1, 2 삽입부(210a, 210b)에 삽입 결합되므로, 제 1 접점부(260)와 제 2 접점부(270)는 커버판(210)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하여 버스바(250)가 돌출부(2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제 1, 2 터미널(300, 350)과 버스바(250)의 접촉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버스바(250)는 커버부(200)의 제 1, 2 삽입부(210a, 210b)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커버부(200)에 결합되므로, 버스바(250)를 커버부(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구조가 콤팩트해지고, 이로 인하여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한 경량화가 가능하여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삽입된 하우징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2 터미널(300, 350)이 하우징(100)의 상, 하부공간부(150, 160)로 삽입되면, 제 1, 2 터미널(300, 350)의 제 1, 2 단자부(330, 380)는 삽입홈(132)의 제 1, 2 개방부(134, 136)를 통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200)의 커버판(210)이 하우징(100)의 제 2 상부개구부(154)와 제 2 하부개구부(164)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면, 커버부(200)의 돌출부(220)는 하우징(100)의 삽입홈(132)에 삽입된다. 이때, 커버부(200)의 제 1 면부(220a) 및 제 2 면부(220b)는 각각 제 1 개방부(134) 및 제 2 개방부(136)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바, 버스바(250)의 제 1 접촉면부(262) 및 제 2 접촉면부(272)가 각각 커버부(200)의 제 1 면부(220a) 및 제 2 면부(220b)를 덮도록 위치되면, 버스바(250)의 제 1 접촉면부(262)는 제 1 개방부(134)를 통하여 제 1 터미널(300)의 제 1 단자부와 접촉되고, 제 2 접촉면부(272)는 제 2 개방부(136)를 통하여 제 2 터미널(350)의 제 2 단자부와 각각 접촉된다. 그리고 제 1 접촉면부(262)와 제 2 접촉면부(272)는 돌출부(220)의 접촉돌기(220d)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자부(330)와 제 2 단자부(38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2 터미널(300, 350)이 하우징(100)의 상, 하부공간부(150, 160)로 삽입되면, 하우징(100)의 제 1, 2 탄성안내부(116, 126)에 형성된 제 1, 2 걸림안내부(118, 128)는 제 1, 2 터미널(300, 350)의 제 1, 2 걸림부(312, 362)에 걸림 결합되어, 제 1, 2 터미널(300, 350)이 하우징(100) 내부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200)의 커버판(210)이 하우징(100)의 제 2 상부개구부(154)와 제 2 하부개구부(164)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면, 커버부(200)의 제 1 록킹돌기(212)는 하우징(100)의 제 1 안내홈(112)의 상측에 삽입되고, 커버부(200)의 제 2 록킹돌기(214)는 하우징(100)의 제 1 안내홈(112)의 하측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 1 안내홈(112)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탄성안내부(116)는 제 1 록킹돌기(212)에 밀착되고, 제 2 안내홈(122)의 상측에 형성된 제 2 탄성안내부(126)는 제 2 록킹돌기(214)에 밀착되어, 제 1, 2 탄성안내부(116, 126)는 상하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면 제 1, 2 탄성안내부(116, 126)의 이동이 제한되면, 제 1, 2 탄성안내부(116, 126)에 형성된 제 1, 2 걸림안내부(118, 128)는 제 1, 2 터미널(300, 350)의 제 1, 2 걸림부(312, 362)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제 1, 2 터미널(300, 350)이 제 1, 2 걸림안내부(118, 128)에 의하여 걸림 위치된 이후, 제 1, 2 록킹돌기(212, 214)가 제 1, 2 걸림안내부(118, 128)를 갖는 제 1, 2 탄성안내부(116, 126)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제 1, 2 터미널(300, 350)은 이중 구조로 하우징(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2 단자부(330, 380)의 일측은 제 1, 2 라운드부(320, 370)와 연결되고, 제 1, 2 단자부(330, 380)의 타측은 제 1, 2 라운드부(320, 370)의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제 1, 2 단자부(330, 380)가 커버부(200)의 돌출부(2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을 받게 되면, 제 1, 2 단자부(330, 380)의 타측이 상부 또는 하부로 임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2 단자부(330, 380)와 돌출부(220) 간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은 제 1, 2 이동방지부(313, 363)가 제 1, 2 단자부(330, 380)의 타측을 받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2 단자부(330, 380)의 타측이 상부 또는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하고, 제 1, 2 단자부(330, 380)와 돌출부(220)가 안정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에 결합되는 버스바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버스바(250)는 커버부(200)의 돌출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접점부(260)와 제 2 접점부(270)가 일렬로 구비된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커버부(200)의 돌출부(22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제 1 버스바(250-1)와 제 2 버스바(250-2)가 구비되되, 제 1 버스바(250-1)와 제 2 버스바(250-2)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제 1 접점부(260)와 제 2 접점부(270)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커버부(200)의 돌출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3 버스바(250-3), 제 4 버스바(250-4), 제 5 버스바(250-5) 및 제 6 버스바(250-6)가 구비되되, 제 3 버스바(250-3)와 제 4 버스바(250-4)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제 1 접점부(260)와 제 2 접점부(270)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 5 버스바(250-5)와 제 6 버스바(250-6)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제 1 접점부(260)와 제 2 접점부(270)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커버부(200)의 돌출부(220)에 구비되는 제 1 접점부(260) 및 제 2 접점부(270)의 개수 및 배치 상태는 설계 과정에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가 하우징에 걸림 위치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버부(200)의 커버판(210)이 하우징(100)의 제 2 상부개구부(154)와 제 2 하부개구부(164)에 일체로 삽입 결합될 때, 커버부(200)의 이탈방지부(222)와 대향되는 하우징(100)의 측벽부(140)에는 이탈방지부(222)를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142)가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안내부(142)의 제 2 상부개구부(154)와 대향되는 단부에는 슬라이딩안내부(142)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탈방지부(222)가 제 2 상부개구부(154)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퍼(14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2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때, 커버부(200)의 이탈방지부(222)는 스토퍼(144)를 강제로 통과한 후 슬라이딩안내부(142)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200)가 하우징(100)에서 임의로 탈거될 때, 커버부(200)의 이탈방지부(222)는 스토퍼(144)에 걸림 위치되므로, 커버부(200)가 하우징(100)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커버부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커버부(2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때, 하우징(100)의 측벽부(140)에는 커버부(200)의 결합안내돌기(216)가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커버부(200)는 결합안내돌기(216)가 결합부(146)에 걸림 위치되므로 하우징(10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50: 조인트 커넥터
100: 하우징 110: 상면부
112: 제 1 안내홈 114: 제 1 연통개방부
116: 제 1 탄성안내부 118: 제 1 걸림안내부
119: 제 1 결합안내홈 120: 하면부
122: 제 2 안내홈 124: 제 2 연통개방부
126: 제 2 탄성안내부 128: 제 2 걸림안내부
129: 제 2 결합안내홈 130: 구획부
132: 삽입홈 134: 제 1 개방부
136: 제 2 개방부 137: 제 1 슬라이딩부
138: 제 2 슬라이딩부 140: 측벽부
142: 슬라이딩안내부 144: 스토퍼
146: 결합부 150: 상부공간부
152: 제 1 상부개구부 154: 제 2 상부개구부
156: 제 1 가이드부 160: 하부공간부
162: 제 1 하부개구부 164: 제 2 하부개구부
166: 제 2 가이드부 200: 커버부
210: 커버판 210a: 제 1 삽입부
210b: 제 2 삽입부 212: 제 1 록킹돌기
214: 제 2 록킹돌기 216: 결합안내돌기
220: 돌출부 220a: 제 1 면부
220b: 제 2 면부 220c: 연결면부
220d: 접촉돌기 222: 이탈방지부
230: 제 1 결합안내부 232: 제 2 결합안내부
250: 버스바 260: 제 1 접점부
262: 제 1 접촉면부 264: 제 1 절곡부
266: 제 1 결합돌부 268: 제 1 지지돌부
270: 제 2 접점부 272: 제 2 접촉면부
274: 제 2 절곡부 276: 제 2 결합돌부
278: 제 2 지지돌부 300: 제 1 터미널
310: 제 1 지지부 312: 제 1 걸림부
313: 제 1 이동방지부 314: 제 1 유동방지리브
316: 제 1 안내돌기 318: 제 1 날개부
320: 제 1 라운드부 330: 제 1 단자부
350: 제 2 터미널 360: 제 2 지지부
362: 제 2 걸림부 363: 제 2 이동방지부
364: 제 2 유동방지리브 366: 제 2 안내돌기
368: 제 2 날개부 370: 제 2 라운드부
380: 제 2 단자부

Claims (13)

  1. 내부가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도록 구획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는 복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제 1 상부개구부와 제 2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하부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제 1 하부개구부와 제 2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상부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1 터미널;
    상기 제 1 하부개구부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하부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2 터미널;
    복수 개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를 일체로 커버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서 상기 구획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통전 기능을 갖는 돌출부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통전 재질의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상측은 상기 상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측은 상기 하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공간부로 삽입된 상기 제 1 터미널과 상기 하부공간부로 삽입된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1 개방부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버스바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돌출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그 상측은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그 하측은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터미널과 대향되는 제 1 면부;
    상기 제 2 터미널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 1 면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면부;
    상기 삽입홈의 저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단부에 위치되는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통전 기능을 갖는 접촉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각각의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 1 접촉면부와, 상기 제 1 접촉면부에서 상기 접촉돌기의 상측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제 1 절곡부를 갖는 제 1 접점부; 및
    각각의 상기 제 2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 2 접촉면부와, 상기 제 2 접촉면부에서 상기 접촉돌기의 하측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제 2 절곡부를 갖는 제 2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면부와 상기 제 2 접촉면부에는 상기 커버판 방향으로 각각 제 1 결합돌부와 제 2 결합돌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제 1 제 1 결합돌부와 상기 제 2 결합돌부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부와 제 2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공간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 및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 1 개방부를 따라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1 하부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공간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2 하부개구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 및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 2 개방부를 따라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된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에는 상기 구획부 방향으로 제 1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구획부 방향으로 제 2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는 제 1 이동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는 제 2 이동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각각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부가 각각 걸림 결합되도록 제 1 걸림안내부와 제 2 걸림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를 따라 각각 제 1 탄성안내부와 제 2 탄성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안내부는 상기 제 1 걸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안내부는 상기 제 2 걸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공간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면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면부와,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상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안내홈과,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하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안내홈과, 상기 상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 안내홈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1 연통개방부와, 상기 하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안내홈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 연통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안내홈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제 1 지지부를 따라 상기 제 2 상부개구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안내홈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제 2 지지부를 따라 상기 제 2 하부개구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제 1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 록킹돌기와, 상기 제 2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록킹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록킹돌기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밀착되고, 상기 제 2 록킹돌기는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유동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유동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유동방지리브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 2 유동방지리브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에 일체로 삽입될 때, 상기 이탈방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부를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대향되는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 2 상부개구부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기 커버판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2 하부개구부에 일체로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150089158A 2015-06-23 2015-06-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171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158A KR101719139B1 (ko) 2015-06-23 2015-06-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158A KR101719139B1 (ko) 2015-06-23 2015-06-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13A true KR20170000213A (ko) 2017-01-02
KR101719139B1 KR101719139B1 (ko) 2017-03-23

Family

ID=5781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158A KR101719139B1 (ko) 2015-06-23 2015-06-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35A (ko) * 2017-11-08 2019-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200051110A (ko) * 2018-11-02 2020-05-13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953A (ja) * 1992-07-29 1994-02-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679078U (ja) * 1993-04-17 1994-11-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心コネクタ
KR100659184B1 (ko) 2005-03-30 2006-12-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110006763U (ko) *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KR20140072911A (ko) * 2011-11-09 2014-06-1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인트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953A (ja) * 1992-07-29 1994-02-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679078U (ja) * 1993-04-17 1994-11-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心コネクタ
KR100659184B1 (ko) 2005-03-30 2006-12-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110006763U (ko) *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KR20140072911A (ko) * 2011-11-09 2014-06-1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인트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35A (ko) * 2017-11-08 2019-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200051110A (ko) * 2018-11-02 2020-05-13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139B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378B2 (ja) 相互接続型モジュラヘッダ及びそのヘッダ組立体
KR10090230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37546B1 (ko) 커넥터 터미널
TW201409850A (zh) 連接器
US9985365B2 (en) Connector having partition plate with an elastic hook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1109505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 distance between electrical terminals
KR20130059112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 소켓
KR101719139B1 (ko)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WO2014155469A1 (ja) コネクタ組立体
US697189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tter
KR101719138B1 (ko) 콤팩트한 통전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커넥터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44365A (ko) 커넥터
KR200437689Y1 (ko) 커넥터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US11056816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KR101553702B1 (ko) 차량용 블럭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101315018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0351671Y1 (ko) 가동 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성 회로 기판 커넥터
US10128605B2 (en) Connector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293254B2 (ja) コネクタ
CN218070437U (zh) 插头插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