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763U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763U
KR20110006763U KR2020090016992U KR20090016992U KR20110006763U KR 20110006763 U KR20110006763 U KR 20110006763U KR 2020090016992 U KR2020090016992 U KR 2020090016992U KR 20090016992 U KR20090016992 U KR 20090016992U KR 20110006763 U KR20110006763 U KR 201100067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elastic piece
lower plate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763U/ko
Publication of KR20110006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터미널(50)은 동일한 종류의 제1결합부(51)와 제2결합부(51')가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의 내부에는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S)은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T)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판(52), 양 측판(59), 및 하판(5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상판(52)에는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접촉비드(53)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3)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접촉돌기(54)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에는 상기 하판(56)의 선단에서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편(5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50)에 형성된 탄성편(57)이 탭터미널(T)과 선접촉을 이루며 밀착되고, 탭터미널(T)은 터미널(50)의 접촉비드(53)에 형성된 접촉돌기(54)와 점접촉을 이루며 밀착되므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탄성편, 비드, 점접촉, 삽입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형태의 터미널이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동일한 종류의 터미널부가 결합되어 동일한 종류의 터미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이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터미널에는 동일한 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외부터미널과 각각 결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도전성 금속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1)에는 동일한 종류의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10')가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는 사각통 형상으로, 터미널(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내부에는 삽입공간(S)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간(S)은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돌출되 게 접촉비드(1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12)는 상기 터미널(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터미널(1)과 상기 탭터미널과의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저면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은 스토퍼편(16)을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에서 수직으로 성형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관통공(14)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스토퍼편(16)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편(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편(20)의 탄성변형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저면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를 향해 탄성편(20)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0)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편(20)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저면에서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1)에는 상기 터미널(1)과 탭터미널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접촉비드(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탭터미널이 상기 터미널(1)의 삽입공간(S)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비드(12)와 면접촉을 이루며 삽입되므로,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력은 증가하게 되어 탭터미널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 터미널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판, 하판, 및 양 측판에 의해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선단에서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접촉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인접한 상기 접촉비드의 모서리에는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더 돌출되게 접촉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대터미널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마주보게 형성되고, 동일한 종류의 다른 상대터미널이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상기 상대터미널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하판의 선단에서 상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하판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탄성편의 선단에는 상기 상판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레그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에는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을 향해 돌출되게 지지편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에 형성된 탄성편이 탭터미널과 선접촉을 이루며 밀착되고, 상기 탭터미널은 터미널의 접촉비드에 형성된 접촉돌기와 점접촉을 이루며 밀착되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터미널(50)은 도전성 금속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50)에는 동일한 종류의 제1결합부(51)와 제2결합부(51')가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는 전후가 개구된 사각통 형상이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는 상판(52)과, 하판(56) 그리고, 상기 상판(52) 및 하판(52,56)과 각각 연결되는 측판(59)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의 내부에는 삽입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S)은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T)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판(52), 양 측판(59), 및 하판(5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상판(52)에는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접촉비드(53)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3)는 상기 터미널(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3)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비드(53)는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터미널(50)을 평면도로 보았을 때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53)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접촉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54)는 상기 접촉비드(53)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54)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54)는 상기 탭터미널(T)과 밀착되어 다수개의 점접촉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51)의 하판(56)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를 향해 탄성편(57)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57)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편(5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56)의 선단에서 상기 상판(53)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하판(56)을 향해 절곡된다. 상기 탄성편(57)은 상기 탭터미널(T)과 밀착되어 상기 터미널(50)과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편(57)에는 지지레그(5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57')는 상기 탄성편(57)의 선단에서 연장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레그(57')는 상기 탄성편(57)의 선단에서 상기 상판(53)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 상기 지지레그(57')는 상기 탄성편(57)이 탄성변형될 때 상기 하판(56)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판(56)에는 지지편(5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58)은 상기 탄성편(57)과 마주보는 상기 하판(56)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하판(56)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삽입공간(S)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58)은 상기 탄성편(57)이 과도하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판(59)의 일측에는 보강비드(59')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드(59')는 상기 측판(59)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반대면에는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비드(59')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5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59)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누름부(60)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60)는 상기 터미널(50)의 하판((56)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터미널(50)에 탭터미널(T)의 삽입 시 상기 하판(56)을 눌러 상기 하판(56)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60)에는 상기 하판(56)을 향해 누름부비드(6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비드(62)는 상기 누름부(60)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하판(56)이 상기 누름부(60)에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설명 한다.
터미널은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삽입됨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터미널의 제1 및 제2결합부(51,51')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T)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탭터미널(T)을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51,51')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탭터미널(T)을 계속 삽입공간(S)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상기 탄성편(57)과 상판(52)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촉비드(53) 접촉돌기(54)와 탄성편(57)의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접촉돌기(54)와 탄성편(57)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탭터미널(T)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탭터미널(T)이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57)은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편(57)은 상기 탭터미널(T)에 의해 밀려 상기 하판(56)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탭터미널(T)이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로 계속해서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57)은 상기 탭터미널(T)과 선접촉 하면서 상기 탭터미널(T)에 의해 밀리게 되고, 상기 탭터미널(T)은 상기 접촉돌기(54)와 점접촉 하면서 삽입되므로, 상기 탭터미널(T)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탭터미널(T)에 의해 상기 탄성편(57)이 밀려 탄성변형하게 되면 상기 지지레그(57')는 상기 하판(56)에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편(57)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57)의 탄성변형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탭 터미널(T)을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로 계 속 삽입시키면, 상기 탄성편(57)의 저면은 상기 지지편(58)에 닿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57)의 저면을 상기 지지편(58)가 지지하므로, 상기 탄성편(57)이 과도하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서 터미널(50)에는 동일한 종류의 제1결합부(51)와 제2결합부(51')가 마주보게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미널(50)에는 하나의 결합부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터미널 51: 제1결합부
51': 제2결합부 S: 삽입공간
52: 상판 53: 접촉비드
54: 접촉돌기 56: 하판
57: 탄성편 58: 지지편
59: 측판 T: 탭터미널

Claims (5)

  1. 상판, 하판, 및 양 측판에 의해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선단에서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접촉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인접한 상기 접촉비드의 모서리에는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더 돌출되게 접촉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대터미널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마주보게 형성되고, 동일한 종류의 다른 상대터미널이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상기 상대터미널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결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하판의 선단에서 상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하판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탄성편의 선단에는 상기 상판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레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을 향해 돌출되게 지지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090016992U 2009-12-29 2009-12-29 터미널 KR201100067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92U KR20110006763U (ko) 2009-12-29 2009-12-29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92U KR20110006763U (ko) 2009-12-29 2009-12-29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63U true KR20110006763U (ko) 2011-07-06

Family

ID=4556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992U KR20110006763U (ko) 2009-12-29 2009-12-29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7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13A (ko) *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13A (ko) *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815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4207952B2 (ja) コネクタ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KR10084411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1605911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20120122350A1 (en) Board-to-board-type connector
JP719892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36810B1 (ko) 커넥터
KR20130124353A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JP2001351714A (ja) 雌端子金具
JP2015220005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US20140169871A1 (en) Connector
KR101809340B1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US9022817B2 (en) Connector terminal including limiter extending along first and second spring terminals
KR20043065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5626118B2 (ja) コネクタ
KR20110006763U (ko) 터미널
US11398701B2 (en) Wafer connector and fitting connector
EP3246999A1 (en) Female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s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06100233A (ja) 端子金具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