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51B1 -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3651B1 KR101193651B1 KR1020110027757A KR20110027757A KR101193651B1 KR 101193651 B1 KR101193651 B1 KR 101193651B1 KR 1020110027757 A KR1020110027757 A KR 1020110027757A KR 20110027757 A KR20110027757 A KR 20110027757A KR 101193651 B1 KR101193651 B1 KR 101193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outlet
- plug
- plug pin
- protrud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면에 갖는 콘센트 본체와, 적어도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쪽부터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한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돌출형상부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의 플러그 핀(plug pin)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갖는 콘센트 본체와, 이 콘센트 본체의 앞면에 부착되고,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닫힘 위치와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센트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가옥의 벽면에 노출되어 설치되거나, 분전반 등의 내부에 조립된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는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실행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에 조립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34216호 공보
그런데, 플러그 핀 삽입구를 거쳐서 외부와 콘센트 내부가 연통하기 때문에,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콘센트의 플러그 핀 삽입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센트 내부에 벌레나 먼지 등의 이물이 들어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콘센트의 표면에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도어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콘센트에 도어를 마련한 구성에서는 분전반이나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와 같은 기기에 조립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어가 조립 기기의 구성 부재와 간섭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조립 기기에 대한 콘센트의 위치 결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해서 실행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러그 핀 삽입구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기기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면에 갖는 콘센트 본체와, 적어도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쪽부터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돌출형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뒤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오목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마련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일단이 상기 돌출형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의 타단이 상기 도어의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상기 도어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열림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한 것이며, 상기 도어가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타단측의 단부는 상기 돌출형상부보다도 타단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돌출형상부의 주위를 덮는 것에 의해 콘센트 본체의 앞면을 평활하게 하는 커버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를 구비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에 대해 케이블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동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핀 삽입구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고, 기기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a) 및 (b)는 동 콘센트를 구비하는 충전 스탠드의 사시도, (c)는 콘센트 주변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a)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콘센트의 사시도, (b)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콘센트의 사시도, (c)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선단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a)는 플러그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 (b)는 플러그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 및 플러그에 있어서, (a) 및 (b)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 콘센트의 돌기부와 플러그의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내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a) 및 (b)는 도어의 선단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콘센트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a)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콘센트의 사시도, (b)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콘센트의 사시도, (c)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선단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a)는 플러그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 (b)는 플러그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 및 플러그에 있어서, (a) 및 (b)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 콘센트의 돌기부와 플러그의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내는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a) 및 (b)는 도어의 선단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콘센트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센트를 충전 스탠드에 마련되는 콘센트로서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스탠드(1)는 전기 자동차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이다. 충전 스탠드(1)는, 예를 들면, 옥외의 주차장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충전 스탠드(1)는 세로로 긴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된 스탠드 본체(2)와, 스탠드 본체(2)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 마련된 가로 개폐식의 도어(3)를 포함한다. 도어(3)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의 (a)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도 1의 (b)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회전한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본체(2)의 도어(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오목부(4)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4)를 구성하는 안쪽측의 벽체(5)의 대략 중앙부에는 콘센트(10)가 부착되어 있다. 즉, 콘센트(10)는 충전 스탠드(1)에 조립되어 있다.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체(5)에는 콘센트(10)를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5A)와, 개구부(5A)의 주위에 4개의 부착 구멍(5B)이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10)는 각 부착 구멍(5B)을 통과하여 나사(6)에 의해서 벽체(5)에 부착된다.
이후에서는 도어(3)가 마련되는 측을 「앞쪽」으로 하고, 콘센트(10)가 마련되는 측, 즉, 충전 스탠드(1)의 안쪽 측을 「뒤쪽」으로 하여 충전 스탠드(1)의 세워 설치하는 방향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 Z」로 하고, 충전 스탠드(1)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 Y」로 하고, 상하 방향 Z 및 좌우 방향 Y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 즉, 충전 스탠드 (1)의 전후방향을 「전후 방향 X」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콘센트(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10)는 플러그(50)의 플러그 핀(52)(도 4 참조)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25)가 앞면에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20)와, 콘센트 본체(20)에 부착되고,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개폐 가능하게 회전하는 도어 개폐 기구(30)를 포함한다.
콘센트 본체(20)에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된 직방체형상의 케이스(2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21)내에는 플러그 핀(52)이 접속되어 플러그 핀(52)에 전력이 공급되는 플러그 받이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21)의 앞면(22)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앞면(22)보다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21)의 앞면(22)의 각 코너에는 나사(6)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구멍(26)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돌출형상부(23)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위쪽이 만곡형상으로 되고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형상부(23)의 돌출량, 즉 케이스(21)의 앞면(22)과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의 전후 방향 X의 거리는 벽체(5)(도 1 참조)의 전후 방향 X의 두께인 판두께보다 약간 크다.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의 하단부에는 돌출형상부(23)보다도 앞쪽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부(27)에는 도어 개폐 기구(30)가 부착된다.
돌출형상부(23)의 중앙부에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24)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의 내경은 플러그(50)의 플러그 바디(51)(도 4 참조)의 선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다. 엄밀하게는 오목부(24)의 내경은 플러그 바디(51)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오목부(24)의 저면(24A)에는 플러그 핀 삽입구(25)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핀 삽입구(25)는 좌우 방향 Y에 배열된 전원용 삽입구(25A)와, 2개의 전원용 삽입구(25A)의 사이에 전원용 삽입구(25A)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접지용 삽입구(25B)를 포함한다.
지지부(27)에는 좌우 방향 Y를 향해 지지부(27)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27A)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27A)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보다도 앞쪽으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어 개폐 기구(30)는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개폐하는 도어(31)와, 관통 구멍(27A)에 삽입되는 샤프트(32)와, 샤프트(32)와 도어(31)의 사이에 계합되는 나사선 스프링(helical spring)(이하, "스프링 부재(33)")을 포함한다.
도어(31)는 닫힌 위치에 있어서, 돌출형상부(23)와 마찬가지로 위쪽이 만곡형상으로 되고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31)의 좌우 방향 Y의 폭은 돌출형상부(23)의 아래쪽의 부위, 즉 돌출형상부(23)의 직사각형상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과 대략 동등하다.
도어(31)가 열린 위치에 있어서, 도어(31)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41)는 전후 방향 X를 향해 연장되고, 뒤쪽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이 앞쪽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31)의 전단부에는, 즉, 도어(31)의 오목부(41)보다도 앞쪽에는 만곡 오목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만곡 오목부(42)는 동 오목부(42)의 앞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31)의 후단부에는 샤프트(32)(도 2 참조)를 삽입 통과하는 한 쌍의 샤프트 삽입 통과부(43)가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오목부(41)를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개폐 기구(30)가 콘센트 본체(2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샤프트 삽입 통과부(43)는 지지부(27)를 좌우 방향 Y의 양측 사이에 둔다.
오목부(41)의 앞쪽의 저면(41A)에는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에 맞닿는 2개의 접촉 돌기부(44)가 좌우 방향 Y에 근접해서 배열되어 있다. 접촉 돌기부(44)는 좌우 방향 Y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저면(41A)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된 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접촉 돌기부(44)에는 뒤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44A)와, 경사부(44A)의 정상부와 저면(41A)을 연결하고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고정부(44B)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31)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외부에 노출하는 열림 위치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앞쪽부터 덮는 닫힘 위치의 사이를 회전한다. 즉, 도어(31)는 샤프트(3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서는 도어(31)의 회전 방향을 "개폐 방향 W"로 하고, 도어(31)를 여는 방향을 "열림 방향"으로 하고, 도어(31)를 닫는 방향을 "닫힘 방향"으로 한다.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32)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31)가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의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31)의 전체가 동 앞면(23A)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가 닫힘 위치일 때, 도어(31)는 오목부(24)를 앞쪽부터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도어(31)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 중의 오목부(24)의 둘레가장자리의 부위와 맞닿는다. 또한, 스프링 부재(33)(도 2 참조)는 도어(31)를 닫힘 방향을 향해 힘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31)가 닫힘 위치일 때, 스프링 부재(33)의 부세력에 의해, 도어(31)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을 뒤쪽을 향해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도어(31)가 닫힘 위치일 때, 샤프트 삽입 통과부(43)는 돌출형상부(23)의 하단부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돌출형상부(23)의 지지부(27)에 부착되는 도어(31)의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한 도어(31)의 타단인 선단부(45)는 돌출형상부(23) 보다도 타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도어(31)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도어(31)의 상단부는 돌출형상부(23)의 상단부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플러그(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는 전후 방향 X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는 플러그 바디(51)와, 플러그 바디(51)로부터 뒤쪽을 향해 돌출된 플러그 핀(52)과, 플러그 바디(51)의 전단부에 접속되는 케이블(53)을 포함한다. 플러그 핀(52)은 좌우 방향 Y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전원용 플러그 핀(52A)과, 2개의 전원용 플러그 핀(52A)의 좌우 방향 Y의 사이이고 또한 플러그 핀(5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접지 핀(52B)을 포함한다. 전원용 플러그 핀(52A)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지 핀(52B)은 원형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51)의 후단부의 위쪽에는 전원용 플러그 핀(52A)과 접지 핀(52B)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표시부(54)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51)의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평면형상의 파지부(55)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51)의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의 아래쪽에는 아래쪽을 향해 구면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표시부(54)는 전후 방향 X를 따라 연장하는 장방형상의 돌기이다. 그리고, 위치 표시부(54)가 플러그(50)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원용 플러그 핀(52A)이 좌우 방향 Y에 배열되고, 그 아래쪽에 접지 핀(52B)이 배치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6)는 앞쪽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7)와, 경사부(57)의 하단부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장하는 정상부(58)와, 정상부(58)의 전단부로부터 앞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으로 경사지는 맞닿음부(59)를 포함한다. 경사부(57)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뒤쪽 오목부(57A)가 마련되어 있다. 맞닿음부(59)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해 움푹 들어간 앞쪽 오목부(59A)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57A, 59A)는 정상부(58)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뒤쪽 오목부(57A)는 뒤쪽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Y의 폭이 커지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뒤쪽 측면(57B)과, 뒤쪽 측면(57B)의 전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Y에 뒤쪽 측면(57B)을 연결하고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연결면(57C)을 포함한다.
앞쪽 오목부(59A)는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앞쪽 측면(59B)과, 앞쪽 측면(59B)의 후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Y에 앞쪽 측면(59B)을 연결하고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맞닿음면(59C)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에서는 콘센트(10)의 내부 구조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도어(31)만을 단면 구조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러그(50)의 케이블(53)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가 닫힘 위치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도어(31)를 열림 위치로 되도록 변위시킨다(이하, "열림 조작"). 이 도어(31)의 상태에 있어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의 위치 표시부(54)가 위쪽으로 되도록 플러그(50)의 방향을 조정한 후, 플러그(50)의 돌기부(56)가 도어(31)의 오목부(41)에 수용하도록 플러그(50)를 도어(31)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핀(52)은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3 참조)에 대해 전후 방향 X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 핀(52B)의 선단부는 접지용 삽입구(25B)(도 3 참조)에 삽입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전원용 플러그 핀(52A)은 전원용 삽입구(25A)(도 3 참조)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를 뒤쪽을 향해 삽입하면, 플러그 핀(52)은 플러그 핀 삽입구(25)에 삽입된다.
또한, 돌기부(56)의 좌우 방향 Y의 폭과 오목부(41)의 접촉 돌기부(44)보다도 앞쪽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은 대략 동등하다. 엄밀하게는 오목부(41)의 상기 부위의 폭은 돌기부(56)의 폭보다도 약간 크다. 이에 따라, 돌기부(56)가 오목부(41)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50)가 도어(31)에 대해 좌우 방향 Y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 돌기부(56)가 오목부(41)의 좌우 방향 Y의 측면에 접촉한다. 그 결과, 플러그(50)의 도어(31)에 대한 좌우 방향 Y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를 뒤쪽으로 이동시켜, 돌기부(56)와 도어(31)의 접촉 돌기부(44)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도어(3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열림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전원용 플러그 핀(52A)의 선단부는 전원용 삽입구(25A)(도 3 참조)에 삽입된다.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6)가 접촉 돌기부(44)의 정상부를 따라 연장되고, 도어(31)는 스프링 부재(33)(도 2 참조)의 부세력에 의해 닫힘 방향을 향해 회전하고 돌기부(56)가 오목부(41)의 저면(41A)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한다. 이 때,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2 참조)에 삽입된 상태로 되고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24)의 안둘레면과 플러그 바디(51)의 바깥둘레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여기서, "약간의 간극"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간극이다. 이에 따라, 도 5의 (c)로부터 도 5의 (d)의 상태로 되도록 플러그(50)를 삽입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목부(24)내에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10)에 플러그(50)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접촉 돌기부(44)는 앞쪽 오목부(59A)내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돌기부(44)의 고정부(44B)는 맞닿음면(59C)에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맞닿고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돌기부(44)는 한 쌍의 앞쪽 측면(59B)의 좌우 방향 Y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앞쪽 측면(59B)과 근접하고 있다. 엄밀하게는 앞쪽 측면(59B)의 좌우 방향 Y의 폭 T1은 2개의 접촉 돌기부(44)의 좌우 방향 Y의 폭 T2와 대략 동등하다. 상세하게는 앞쪽 측면(59B)의 폭 T1은 접촉 돌기부(44)의 폭 T2보다도 약간 크다. 이에 따라, 도어(31)는 플러그(50)를 고정시킨다. 상세하게는 접촉 돌기부(44)와 돌기부(56)가 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도 2 참조)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를 빼내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에서는 콘센트(10)의 내부 구조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도어(31)만을 단면 구조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러그(50)의 케이블(53)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31)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56)와 접촉 돌기부(44)의 계합이 풀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50)를 앞쪽으로 뽑는 것에 의해,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가 뽑힌 상태로 된다. 이 때, 사용자가 도어(31)로부터 손가락을 놓으면 스프링 부재(33)의 부세력에 의해 도어(31)는 닫힘 위치로 되도록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도어(31)가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덮는 것에 의해, 벌레 등의 이물이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거쳐서 콘센트(10)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110)에 돌출형상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콘센트(100)의 벽체(5)에 대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콘센트(100)를 벽체(5)의 원하는 부착 위치에 대해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부착한 경우, 도어(120)가 벽체(5)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어(120)가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완전히 덮을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 핀 삽입구를 거쳐서 콘센트 본체(110) 내부에 이물이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콘센트(100)를 벽체(5)의 원하는 부착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부착한 경우, 콘센트(100)에 있어서 도어(120)를 회전하는 중심으로 되는 지지부(130)가 벽체(5)와 접촉해 버린다. 그 결과, 도어(12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를 향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상부(23)가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충전 스탠드(1)의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콘센트(10)를 벽체(5)의 원하는 부착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31)가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완전히 덮을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가 벽체(5)에 대해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지지부(27) 및 샤프트 삽입 통과부(43)를 벽체(5)의 개구부(5A)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7) 및 샤프트 삽입 통과부(43)가 벽체(5)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어(31)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를 향해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콘센트(10)를 벽체(5)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형상부(23)의 내부에 오목부(24)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접속할 때에 사용자의 손이 오목부(24)내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31)가 오목부(24)를 덮는 것에 의해, 오목부(24)내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의 접촉 돌기부(44)의 고정부(44B)가 플러그(50)의 돌기부(56)의 맞닿음면(59C)과 맞닿기 때문에, 플러그 핀(52)이 플러그 핀 삽입구(25)에 삽입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플러그(50)의 케이블(53)에 걸리는 등에 의해 플러그(50)가 콘센트(10)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힘이 부주의하게 가해졌다고 해도,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가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의 타단인 선단부(45)가 돌출형상부(23)보다도 위쪽(타단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림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선단부(45)에 걸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열림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의 선단부(45)에 만곡 오목부(42)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만곡 오목부(42)에 걸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열림 조작을 한층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상부(23)가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즉, 개구부(5A)를 통해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벽체(5)에 돌출형상부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전용의 개구부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5)의 형상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돌출형상부(23)의 위쪽이 만곡형상으로 되고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형상부(23)의 형상이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 Z에 있어서 콘센트(10)의 방향을 용이하게 육안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콘센트(10)를 벽체(5)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도어(31)가 돌출형상부(23)의 하단부보다도 위쪽에 배치되고, 도어(31)의 좌우 방향 Y의 폭과 돌출형상부(23)의 직사각형상의 부위의 좌우 방향 Y의 폭이 대략 동등하다. 이에 따라, 도어(31)의 선단부(45)가 돌출형상부(23)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된 구성이어도, 벽체(5)의 개구부(5A)에 대해 콘센트(1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5A)내에 도어(31)를 삽입 통과할 수 있다. 그 후, 개구부(5A)에 맞추도록 돌출형상부(23)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형상부(23)가 개구부(5A)를 삽입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벽체(5)에 콘센트(10)를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를 닫힘 방향을 향해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33)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50)를 뽑아낸 후에, 도어(31)가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어(31)의 닫음을 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에 오목부(4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콘센트(10)에 플러그(50)를 삽입할 때에 플러그(50)의 돌기부(56)가 오목부(4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 삽입구(25)에 대한 플러그(50)의 좌우 방향 Y의 위치 결정을 실행할 수 있다.
[11]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10)에 플러그(50)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56)의 앞쪽 오목부(59A)에 도어(31)의 접촉 돌기부(44)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50)의 좌우 방향 Y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12]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31)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도어(31)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을 압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31)와 동 앞면(23A)의 사이의 간극이 작아진다. 따라서, 도어(31)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도어(31)와 동 앞면(23A)의 사이의 간극을 거쳐서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3]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50)에 위치 표시부(54)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의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플러그 핀(52)을 보는 것에 의해, 플러그 핀(52)의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콘센트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는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예끼리를 서로 조합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10)를 충전 스탠드(1)의 벽체(5)에 조립하는 형태이었지만, 콘센트(10)의 사용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옥의 벽면에 고정되는 노출 콘센트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에 커버(60)가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된다. 커버(60)에는 돌출형상부(23)와 끼워 맞춰지는 개구 구멍(61)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60)는 개구 구멍(61)을 통해 도어(31) 및 돌출형상부(23)를 삽입 통과해서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60)의 앞면이 평활하게 되어 있다. 즉, 콘센트(10)의 앞면이 평활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60)의 앞면이 평활한 것은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60)의 앞면이 균일하게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으면 좋고, 전후 방향 X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콘센트(10)를 노출 콘센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콘센트(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의 콘센트 본체(20) 및 도어 개폐 기구(30)를 공통 부품으로서, 기기 조립으로서의 콘센트와 노출 콘센트를 겸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 조립으로서의 콘센트와 노출 콘센트를 각별의 전용 부품으로서 콘센트 본체(20) 및 도어 개폐 기구(30)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전용 부품을 위한 금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과 커버(60)의 앞면은 면 일치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10)를 노출 콘센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콘센트(10)의 미관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60)의 콘센트(10)에의 부착 형태는 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커버(60)에 계합 발톱을 마련하고 콘센트 본체(20)에 계합 오목부를 마련한 후에, 계합 발톱과 계합 오목부를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커버(60)를 콘센트 본체(2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로부터 오목부(41) 및 접촉 돌기부(44)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31)의 표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도어(31)에서 오목부(41)만, 또는 접촉 돌기부(44)만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1)에서 오목부(24)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러그 핀 삽입구(25)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에 형성된다. 또한, 도어(31)는 플러그 핀 삽입구(25)를 덮을 정도로 상기 실시형태의 도어(31)보다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의 선단부(45)는 상하 방향 Z를 따라 연장하는 형상이었지만, 선단부(45)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선단부(45)에는 앞쪽을 향해 연장하는 선단 돌기부(46)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선단 돌기부(46)는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해 경사지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어(31)에 대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한층 걸기 쉬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림 조작을 한층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의 선단부(45)가 돌출형상부(23)보다 위쪽으로 돌출했지만, 선단부(45)는 돌출형상부(23)와 상하 방향 Z에 있어서 동 위치 또는 아래쪽으로 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돌출형상부(23)는 위쪽이 만곡형상이고 아래쪽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었지만, 돌출형상부(23)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돌출형상부(23)는 직사각형상 또는 원형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돌출형상부(23)는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이 가능한 형상이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부(23)를 벽체(5)의 개구부(5A)에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벽체(5)에 대한 콘센트(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했지만, 돌출형상부(23)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벽체(5)의 개구부(5A)와는 다른 곳에 돌출형상부가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의 위치에 돌출형상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부(23)의 하단부에 지지부(27)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도어(31)는 지지부(27)에 부착된 샤프트(32)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구성이었지만, 도어(31)가 회전하는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돌출형상부(23)의 상단부에 지지부(27)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도어(31)가 지지부(27)에 부착된 샤프트(32)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도 있다. 즉, 도어(31)의 일단이 상단부로 되고, 도어(31)의 타단이 하단부로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31)는 돌출형상부(23)의 앞면(23A)에 마련되었지만, 도어(31)는 돌출형상부(23)의 좌우 방향 Y의 양 측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의 앞면이 충전 스탠드(1)의 벽체(5)에 고정되었지만, 콘센트 본체(20)의 벽체(5)에 대한 부착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콘센트 본체(20)의 뒷면 또는 측면을 벽체(5)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커버(60)를 콘센트 본체(20)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10)를 충전 스탠드(1)에 조립했지만, 콘센트(10)의 적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옥 등의 건물의 옥외측의 벽면에 콘센트(1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면에 부착된 제어반에 콘센트(10)를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 및 도어를 갖는 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 본체에 플러그 핀 삽입구가 앞면에 형성되고, 도어가 부착된 돌출형상부가 마련되는 구성이면, 충전 스탠드(1)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센트(10)의 앞면측을 패널 등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을 실행하는 기기이면, 상기 실시형태의 효과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 스탠드(1)로서 구체화했지만, 충전 장치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동 배터리에 충전하는 장치이면,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콘센트 20: 콘센트 본체
23: 돌출형상부 23A: 앞면
24: 오목부 25: 플러그 핀 삽입구
31: 도어 32: 샤프트(회전의 중심축)
44: 접촉 돌기부(고정부) 45: 선단부(도어의 타단측의 단부)
50: 플러그 52: 플러그 핀
56: 돌기부 60: 커버
23: 돌출형상부 23A: 앞면
24: 오목부 25: 플러그 핀 삽입구
31: 도어 32: 샤프트(회전의 중심축)
44: 접촉 돌기부(고정부) 45: 선단부(도어의 타단측의 단부)
50: 플러그 52: 플러그 핀
56: 돌기부 60: 커버
Claims (6)
-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면에 갖는 콘센트 본체와,
적어도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앞쪽부터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되,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형상부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돌출형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도어에는,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에 마련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는 뒤쪽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오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일단이 상기 돌출형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의 타단이 상기 도어의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상기 도어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열림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돌출형상부의 앞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타단측의 단부는 상기 돌출형상부보다도 타단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는 상기 돌출형상부의 주위를 덮는 것에 의해 콘센트 본체의 앞면을 평활하게 하는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콘센트가 조립되는 충전 장치로서,
해당 충전 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에 대해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85558 | 2010-04-01 | ||
JP2010085558 | 2010-04-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0716A KR20110110716A (ko) | 2011-10-07 |
KR101193651B1 true KR101193651B1 (ko) | 2012-10-22 |
Family
ID=4498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7757A KR101193651B1 (ko) | 2010-04-01 | 2011-03-28 |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1228257A (ko) |
KR (1) | KR101193651B1 (ko) |
CN (1) | CN102255181B (ko) |
TW (1) | TWI43653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09981A (ja) * | 2011-11-22 | 2013-06-06 | Panasonic Corp | 給電制御装置 |
US20220219630A1 (en) * | 2021-01-12 | 2022-07-1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roof rail integrated power outlet system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7581U (ja) | 1983-12-23 | 1985-07-22 | 松下電工株式会社 | 防雨型配線器具 |
JP2003036936A (ja) * | 2001-07-19 | 2003-02-07 | Kitagawa Ind Co Ltd | コネクタ抜け防止具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15476A (en) * | 1975-01-16 | 1975-10-28 | Autac Inc | Electrical plug support bracket |
US4061407A (en) * | 1976-03-18 | 1977-12-06 | Samuel Moore And Company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4154495A (en) * | 1977-10-26 | 1979-05-15 | Samuel Moore And Company | Securement clip for electrical receptacles having hinged cover plates |
JPS5675485U (ko) * | 1979-11-15 | 1981-06-19 | ||
JPS58115782A (ja) * | 1981-12-29 | 1983-07-09 | 松下電工株式会社 | 化粧枠付接続器 |
US4846697A (en) * | 1987-11-02 | 1989-07-11 | Rodgers E Walter | Cable for interconnecting lighting systems of towing vehicle and trailer |
JP2533738Y2 (ja) * | 1991-04-30 | 1997-04-23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ンセント |
DE9205811U1 (de) * | 1992-04-30 | 1992-08-13 | Erich Jaeger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für den elektrischen Anschluß von Anhängerfahrzeugen |
FR2766950B1 (fr) * | 1997-07-30 | 1999-09-10 | Herve Borgoltz | Dispositif de livraison d'energie electrique |
JP2000252010A (ja) * | 1999-02-26 | 2000-09-14 | Asahi Optical Co Ltd | コネクタ装置の抜け止め構造 |
US6554626B2 (en) * | 2001-04-17 | 2003-04-29 | Philatron International |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
CN2582208Y (zh) * | 2002-12-10 | 2003-10-22 | 上海华伦仪表电子有限公司 | 一种带安全盖罩的电源插座 |
JP2004214064A (ja) * | 2003-01-06 | 2004-07-29 | Yoshinobu Ito |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
CN2655406Y (zh) * | 2003-08-19 | 2004-11-10 | 罗伟成 | 凹槽式插座 |
CN2896620Y (zh) * | 2006-04-02 | 2007-05-02 | 任文华 | 一种组合式开关插座面板 |
GB0611332D0 (en) * | 2006-06-08 | 2006-07-19 | Elektromotive Ltd | Charging station |
US7804274B2 (en) * | 2008-07-21 | 2010-09-28 | Coulomb Technologies, Inc. | Vehicle charging station having a dual position locking door |
-
2010
- 2010-11-19 JP JP2010259262A patent/JP2011228257A/ja active Pending
-
2011
- 2011-03-23 TW TW100109899A patent/TWI436531B/zh active
- 2011-03-28 KR KR1020110027757A patent/KR1011936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3-30 CN CN201110083674.9A patent/CN10225518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7581U (ja) | 1983-12-23 | 1985-07-22 | 松下電工株式会社 | 防雨型配線器具 |
JP2003036936A (ja) * | 2001-07-19 | 2003-02-07 | Kitagawa Ind Co Ltd | コネクタ抜け防止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205974A (en) | 2012-02-01 |
CN102255181B (zh) | 2014-03-05 |
CN102255181A (zh) | 2011-11-23 |
JP2011228257A (ja) | 2011-11-10 |
TWI436531B (zh) | 2014-05-01 |
KR20110110716A (ko) | 2011-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70631B2 (ja) | 遊技機 | |
KR101227731B1 (ko) |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 |
JP2010115509A5 (ko) | ||
KR101193651B1 (ko) |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 |
JP4877414B2 (ja) | コンセント、接続装置 | |
US20180109034A1 (en) | Lever-type connector | |
KR101347464B1 (ko) | 플러그 및 콘센트 | |
KR20170084236A (ko) |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 |
TWI414110B (zh) | 插頭與插座以及包含該插頭與插座的連接裝置 | |
JP5241851B2 (ja) | 自動車の構造体に固定される1つ以上の要素のための支持体 | |
JP2013105697A (ja) | 収納型接続装置 | |
JP6202057B2 (ja) | ケーブルガイドの取付構造 | |
JP6292787B2 (ja) |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装着方法 | |
KR101285871B1 (ko) |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 |
CN108695650B (zh) | 连接器单元 | |
JP5757013B2 (ja) | 車両のインレットボックスアッセンブリ | |
WO2022210755A1 (ja) | レバー式コネクタ | |
JP2017150205A (ja) | 車両のハンドル装置 | |
KR20120136189A (ko) |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 |
JP2003302535A (ja) | 可動式アウトレット | |
JP2003187905A (ja) | コネクタの嵌合構造 | |
JPH069824Y2 (ja) | 射出成形機等の操作盤収納装置 | |
JP2024118253A (ja) | 車両充電のコンセント構造 | |
JP2000260243A (ja) | 電気接続箱におけるグロメット装着構造 | |
JP3388187B2 (ja) | 電気接続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