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236A -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236A
KR20170084236A KR1020177016087A KR20177016087A KR20170084236A KR 20170084236 A KR20170084236 A KR 20170084236A KR 1020177016087 A KR1020177016087 A KR 1020177016087A KR 20177016087 A KR20177016087 A KR 20177016087A KR 20170084236 A KR20170084236 A KR 2017008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astening means
linear actuator
mounting bra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요르겐센
Original Assignee
리낙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낙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리낙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8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16H35/18Turning devices for rotatable members, e.g.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31Actuator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84Perpendicular arrangement of drive motor to screw ax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 Linear Motor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액추에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박스를 포함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박스는 컨트롤과 혹은 간선 기반의 전원을 담고 있는 컨트롤 박스 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팩(29, 29a)을 지닌 배터리 박스(9)와 같은 것이다.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또한 박스(9, 29, 29a)에 관한 체결 수단(8a, 22, 22a)을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체결 수단(8a, 22, 22a)은 직사각형 윤곽과 정사각형의 단면을 지닌 가늘고 긴 아이템에 의해 구성된다. 박스(9, 29, 29a)는 체결 수단(8a, 22, 22a)을 수용하기 위한 홈(17, 17a, 17b)을 가진다. 체결 수단(8a, 22, 22a)과 홈(17, 17a, 17b)은 서로 상호 작용하는 풀릴 수 있는 잠금 연결부로 구성된다. 체결 수단(8a, 22, 22a)은 박스가 놓일 곳에서 체결될 수 있는 독립적인 아이템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체결 수단(8a, 22, 22a)은 또한 체결 수단을 박스(29, 29a)에 체결함으로써, 2개 이상의 박스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체결 수단(8a, 22, 22a)은 박스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또한 체결함으로써 또는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위에서 미끄러지는 관 모양 장착 브래킷(8)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체결 수단에 의해 더 유리하게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5)에 박스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LINEAR ACTUATOR SYSTEM}
본 발명은 하우징이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 트랜스미션이 있는 전기 모터, 스핀들 유닛, 스핀들 유닛과 연결된 활성화 요소를 포함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전기 모터는 트랜스미션을 통해 스핀들 유닛을 구동함으로써, 활성화 요소가 전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앞뒤로 움직이고, 또한 이러한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컨트롤러와 혹은 간선 기반의 전원을 담고 있는 컨트롤 박스 또는 배터리 팩을 지닌 배터리 박스(9)와 같은 박스를 포함하며, 이러한 박스는 아이템(item)에 고정될 수 있다.
선형 액추에이터는 T-모션(Motion)에 대한 US8047867B2로부터 알려져 있고, 그러한 경우 컨트롤 박스는 모터가 있는 하우징과, 그것의 앞쪽 끝 부분에서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서 있는 외부 튜브 사이의 각도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는 선형 액추에이터에 고정되고, 이 경우 그것의 뒤쪽 끝 부분과 측면 모두 외부 튜브 쪽을 향해 있다. 컨트롤 박스의 뒤쪽 끝 부분을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의 뒤쪽 끝 부분으로부터 외부 튜브 쪽으로 옮겨질 때, 컨트롤 박스가 하우징에 걸리도록, 하우징이 향하고 있는 하우징의 측면에는, 도브테일(dovetail) 연결이 제공된다. 하우징의 측면은 관 모양의 장착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이러한 장착 브래킷은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컨트롤 박스의 측면과, 이를 향하고 있는 장착 브래킷의 측면은 또한, 장착 브래킷이 위에서 미끄러질 때 컨트롤 박스가 외부 튜브에 고정되도록 도브테일 연결을 구비한다. 공간에 제한될 때에는, 하우징의 뒤쪽 끝 부분으로부터 외부 튜브 쪽으로 컨트롤 박스를 옆쪽으로 미끄러지게 할 충분한 공간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도브테일 연결은 또한 주형 도구(mould tool)들의 문제를 수반한다. 컨트롤 박스는 헐거운 슬라이딩 커버를 가지고, 그것의 장착될 때의 위치는 슬라이딩 커버 상의 정지부 칼라(collar)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정지부 칼라는 관 모양 장착 브래킷의 앞쪽 끝 부분과 상호 작용하고 그것의 한쪽 측면에서 컨트롤 박스 상의 후크로 잠금이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커버의 한쪽 측면에서 슬롯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 박스 또는 다른 박스가 선형 액추에이터와는 독립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서 서술된 것처럼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달성되고, 이 경우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박스에 관한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수단은 직사각형 윤곽과 정사각형 단면을 지닌 가늘고 긴 아이템을 구성되고, 박스의 외측(outside)에는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이 제공되며, 체결 수단과 홈은 서로 상호 작용하는 풀릴 수 있는 잠금 연결부로 구성되고, 체결 수단은 그것이 아이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체결 수단은 박스가 놓일 곳에 체결될 수 있는 별개의 아이템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또한 그것을 박스에 체결함으로써, 2개 이상의 박스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체결 수단은 박스의 일체형 부품(part)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또한 그것이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위에서 움직이는 관 모양 장착 브래킷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설계된다는 점에서, 체결함으로써 또는 더 유리하게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에 박스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호 작용하는 체결 수단의 특별한 일 실시예에서는, 중간쯤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리브의 측면(side) 각각에 들어간 부분(indentation)이 존재하고, 박스의 홈의 측면에는 돌출부들이 존재하되, 홈의 앞쪽 끝 부분에 한 쌍이 있고, 홈을 따라 중간쯤에 한 쌍이 위치하며, 홈 상의 돌출부의 모양은 체결 수단의 리브에서의 들어간 부분에 대응한다. 박스를 체결할 때, 돌출부 중 한 쌍이 체결 수단의 리브 상에서 들어간 부분 내로 도달하도록, 체결 수단 상의 리브 위에서 홈이 미끄러진다. 그런 다음 박스가 옮겨짐으로써, 체결 수단 상의 리브가 홈에서 돌출부 뒤에서 잡히고 박스를 체결 수단 상에 유지시킨다. 또 다른 발전예에서는, 박스 상의 홈의 바닥부와, 체결 수단 상의 리브에 상호 작용하는 스냅 잠금 연결부가 존재하고, 이로 인해 컨트롤 박스가 홈에서 옮겨지고 따라서 또한 의도되지 않게 분리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 상에 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관 모양 브래킷은 바람직하게는 장착 브래킷의 관 모양 부분 전체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가지고, 체결 수단 상의 리브는 슬릿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한다.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은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 상에 장착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장착 브래킷의 관 모양 부분이 약간 확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작 공차를 보상하고, 장착 브래킷의 고정 동안에 일부 작은 불안정성을 보상하기 때문이다. 박스가 그 후 장착 브래킷에 체결될 때에는, 장착 브래킷의 관 모양 부분이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둘레에서 조여지고, 이로 인해 양호한 고정을 보장하도록 슬릿이 수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박스가 체결 수단에 관해 상이한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홈이 박스에 제공된다. 이는 선형 액추에이터 상에서 컨트롤 박스를 체결할 때 특히 중요한데, 이는 컨트롤 박스가 선형 액추에이터에 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박스는 일 측면 상의 하나의 홈과 밑면 상의 2개의 홈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선형 액추에이터 또는 똑바로 서있거나 그 외에는 현재 상태에 배치하는 것을 적합하게 하는 레벨로 컨트롤 박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착 가능성들은 이들 옵션(option)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분명하다. 물론, 박스는 홈들을 상이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이 별개의 요소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는, 체결 수단이 장착되는 관련된 베이스에 적합하게 된 수단이 달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수단은 접착제 또는 Velcro
Figure pct00001
를 가지고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수단은 적어도 각 끝 부분에서 나사, 볼트, 못(nail)에 관한 구멍이나 대부분의 경우에 안정된 체결을 제공하게 되는 비슷한 체결 수단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 수단에 의해 컨트롤 패널 또는 핸드(hand) 컨트롤을 장착하기 위해 뒤쪽 측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이 설계되는 컨트롤 패널 또는 핸드 컨트롤을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포함한다. 백 레스트(back rest)와 레그 레스트(leg rest)가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침대(bed)들과 같은 조정 가능한 침대들에 관련해서는, 컨트롤 패널 또는 무선 핸드 컨트롤이 침대 상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헐거운 컨트롤 패널과 핸드 컨트롤은 종종 그것을 놓을 장소와 그것들이 또한 분실되는 몇몇 시간에 관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러한 추가 실시예에 의해 해결되고, 또한 도달 가능하게 컨트롤 패널과 핸드 컨트롤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선형 액추에이터의 종단면도.
도 2는 수평으로 놓인 박스가 장착된 선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모서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인 박스가 장착된 선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위에 삽입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과 선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위에서 본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밑에서 본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선형 액추에이터, 모서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인 박스, 및 수평으로 놓인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장착 브래킷을 위에서 본 박스용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옆에서 본 도 8에서의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바닥이 튜브 모양 케이블링 덕트 상에 있은 채로 장착할 준비가 된, 모서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인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튜브 모양 케이블링 덕트 상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된 박스.
도 12는 옆 부분이 튜브 모양 케이블링 덕트 상에 있은 채로 장착할 준비가 된, 모서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인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튜브 모양 케이블링 덕트 상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된 박스.
도 14는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할 준비가 된, 수평으로 놓인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된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바닥이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할 준비가 된 하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상부에 장착할 준비가 된 제2 박스의, 수평으로 놓인 또 다른 타입의 2개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하부 박스가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서로의 상부에 장착된 2개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고, 레벨 베이스 상에 장착할 준비가 된 것으로 도시된 제2 타입의 박스의 상부에 장착할 준비가 된, 도 2 내지 15에 도시된 제1 타입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하부 박스가 레벨 베이스 상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는, 서로의 상부에 장착된 2개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열린 커버를 지닌 것으로 도시된, 제1 타입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열린 커버를 지닌 것으로 도시되고 옆 부분이 케이블링 덕트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블들의 라우팅이 박스 내에 도시되어 있는, 제1 타입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열린 커버를 지닌 것으로 도시된, 제1 타입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닫힌 커버를 지닌 것으로 도시되고, 커버의 일측이 잘린 제1 타입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박스 상에 놓일 준비가 된 헐거워진 커버를 지닌 것으로 도시된 제1 타입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 내지 4, 및 도 7에서의 선형 액추에이터와, 그러한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위에 삽입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앞에서 본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뒤에서 본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선형 액추에이터, 모서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인 박스, 및 수평으로 놓인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선형 액추에이터와, 그러한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위에 삽입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앞에서 본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뒤에서 본 장착 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잠긴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 위에 삽입된 장착 브래킷이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를 옆에서 본 도면.
도 33은 도 32와 동일하지만, 장착 브래킷이 그것의 최종 잠긴 위치에 있는 도면.
도 34는 선형 액추에이터, 모서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인 컨트롤 박스, 및 수평으로 놓인 컨트롤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컨트롤 박스가 수평으로 놓이게 장착된 선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컨트롤 박스의 모서리가 위로 향하게 하여 놓이게 장착된 선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장착 브래킷을 위에서 본, 박스용 장착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도 37에서의 장착 브래킷을 옆에서 본 도면.
도 39는 바닥이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할 준비가 된 하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상부에 장착할 준비가 된 제2 박스의, 수평으로 놓인 또 다른 타입의 2개의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평평한 베이스 상에 고정된 장착 브래킷과,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될 준비가 된 컨트롤 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1은 평평한 베이스 상에 장착된 컨트롤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도 40에서의 장착 브래킷을 바로 옆에서 본 도면.
도 43은 도 42에서의 장착 브래킷을 바로 위에서 본 도면.
도 44는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장착 브래킷으로 장착하기 위해 설계된 핸드 컨트롤을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열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는 뚜껑을 가지는, 한쪽에서 본 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6은 도 45에서의 박스를 다른 쪽에서 본 도면.
도 47은 뚜껑이 닫힌 상태에 있는, 도 46에서처럼 본 박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에 윤곽이 그려져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의 주요 성분들은 하우징(1), 가역적 전기 모터(2), 트랜스미션(transmission), 스핀들 너트(3b)가 위에 놓이는 스핀들(3a)이 있는 스핀들 유닛(spindle unit)(3), 뒤쪽 끝 부분(rear end)이 스핀들 너트에 고착되는, 튜브 섹션의 형태를 지닌 활성화 요소(4), 뒤쪽 끝 부분이 하우징(1)에 고착되는 외부 튜브(5)로 구성되고, 외부 튜브(5)는 스핀들 유닛(3)과 활성화 요소(4)를 둘러싼다. 외부 튜브(5)는 활성화 요소(4)와 스핀들 너트(3b)를 위한 가이드(guide)로서 작용한다. 또한, 활성화 요소(4)의 앞쪽 끝 부분에는 프론트 마운팅(front mounting)(6)을, 하우징의 뒤쪽 끝 부분에는 리얼 마운팅(rear mounting)(7)을 포함하고, 프론트 마운팅(6)과 리얼 마운팅(7)은 선형 액추에이터가 붙박이로 넣어질 구조물에 선형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 모터(2)가 활성화될 때, 스핀들(3a)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핀들 너트(3b)와 연결된 활성화 요소(4)는, 가역적 전기 모터(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스핀들(3a) 상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거나 스핀들(3a) 상에서 안쪽으로 쑥 들어가게 된다.
도 2는 장착 브래킷(8)에 의해, 선형 액추에이터(1)의 하우징과 외부 튜브(5) 사이의 각도를 가지고 박스(9), 즉 다수의 선형 액추에이터와 간선 기반의(mains-based) 전원에 관한 컨트롤러를 담고 있는 컨트롤 박스가 장착되는 선형 액추에이터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박스(9)는 이 경우 그것이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5)와 하우징(1)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장착된다. 하지만, 박스(9)는 또한 그것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한 상태로 서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 브래킷(8)은 관 모양 부분(10)을 포함하고, 이 경우 그 내부 직경(11)은 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데, 이러한 원 모양의 단면은 관 모양 부분(10)을 지닌 장착 브래킷(8)이 역시 원 모양이 단면을 가지는 외부 튜브(5)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맞추어진다. 장착 브래킷(8)의 관 모양 부분(10)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12)을 가지고, 이는 외부 튜브(5) 위에서 장착 브래킷(8)이 더 쉽게 미끄러지게 하는데, 이는 장착 브래킷(8)의 관 모양 부분(10)이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12)으로 인해 약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12)으로 인해, 관 모양 부분(10)에서의 안쪽 직경(11)은 관 모양 부분(10)을 지닌 장착 브래킷(8)이 외부 튜브(5) 둘레에서 꼭 맞게 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장착 브래킷(8)의 뒤쪽 끝 부분에서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암(13)이 존재한다. 뒤쪽에서는, 즉 선형 액추에이터 쪽으로 향하는 쪽에서는, 암(13)의 세로 방향으로 달리는 홈(14)이 존재한다. 장착 브래킷(8)이 선형 액추에이터의 하우징(1)의 앞쪽 끝 부분에 맞닿아 완전히 미끄러질 때에는, 홈(14)을 지닌 장착 브래킷(8)이 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 상의 홈에 대응하는 모양을 지닌 돌출하는 리브(15) 위에서 미끄러진다. 이는 그것이 외부 튜브(5) 둘레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 브래킷(8)을 고착시킨다. 홈(14)과, 하우징(1) 상의 돌출하는 리브(15)는 또한 스냅 로크들을 가지고 설계되는데, 이러한 스냅 로크들은 장착 브래킷(8)이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5) 밖으로 의도적이지 않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축 방향으로 장착 브래킷(8)을 보유한다. 관 모양 부분(10)에서의 세로 슬릿(slit)(12)은, 장착 브래킷(8)이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5) 위에서 미끄러질 때, 암이 관 모양 부분(10)의 확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장착 브래킷(8) 상의 암(13)에서 어느 정도까지만 이어져 있다. 암(13)은 장착 브래킷(8) 상의 관 모양 부분(10)에서 슬릿에 걸쳐 위치하는 점이 주목된다. 브래킷(8a)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12)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브래킷(8a)은 슬릿(12)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리브(15)를 포함한다. 중간쯤에서 리브(15)의 각 측에 들어간 부분(16)이 제공된다.
도 7은 수평 위치에서 장착 브래킷(8)과 박스(9)를 구비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형 액추에이터 상에 장착될 준비가 된 직립해서 서 있는 박스(9)를 구비한 선형 액추에이터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수평 위치에서 도시된 박스(9) 측에는 박스의 뒤쪽에서 계속되는 세로 홈(17)이 존재한다. 홈(17)의 모양은 장착 브래킷(8) 상의 리브(15)에 대응한다. 홈(17)의 측면에는 돌출부(18)가 존재하고, 이러한 돌출부(18)는 홈의 앞쪽 끝 부분에 있는 한 쌍(18a)과 홈을 따라서 중간에 위치는 한 쌍(18b)으로 이루어져 있다. 홈(17)에 위치한 돌출부(18b)의 모양은 장착 브래킷(8) 상의 리브(15)에서 들어간 부분(16)의 모양에 대응한다. 박스(9)는 돌출부(18b)가 장착 브래킷(8)에서 리브(15) 상의 들어간 부분(16) 내로 도달하도록, 장착 브래킷(8) 상의 리브(15) 위에서 그것이 홈(17)을 가지고 놓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런 다음, 홈(17)에서의 돌출부(18a, 18b)가 리브(15), 더 구체적으로는 들어간 부분(16)과, 리브의 앞쪽 끝 부분(15b)과 관련되는 영역(15a)을 꼭 잡고,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5) 상의 장착 브래킷(8) 상에 박스를 고착시키도록,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하우징(1)에 맞닿아 뒤쪽으로 박스(9)가 밀어진다.
박스(9)는 장착 브래킷(8) 상의 리브(15)에서와 박스(9) 상의 홈(17)의 바닥에서 서로 작용하는 스냅 로크 연결부(19)가 존재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고정된다. 장착 브래킷(8)의 리브(15) 상에서의 기울어짐(tilting)에 맞서 박스(9)를 고정하기 위해서, 암(13) 외부 끝 부분에는 캠 모양의 돌출부(20)가 제공되고, 이러한 돌출부(20)는 박스(9)의 뒤쪽에서 모양이 일치하는 오목부(21) 내에 맞게 맞물려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컨트롤 박스는 상당히 무거울 수 있는데, 이는 특히 자주 발생하는 경우인 전원이 변압기에 기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럴 경우 리브(15)와 연관된 홈(17) 사이의 이음부에 전달되는 토크는 비교적 크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박스(9)를 암(13)에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도 7에서는 또한 박스(9)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한 채로 서 있게 선형 액추에이터의 장착 브래킷(8) 상의 바닥면으로 박스가 장착될 수 있도록, 박스 측에서 홈(17)에 대응하는 2개의 홈(17a, 17b)을 박스의 바닥면 상에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박스(9)가 홈(17a)을 가지고 장착될 때, 박스는 선형 액추에이터의 하우징(1) 위로 돌출하지 않는데, 즉 이는 평평한 표면, 빔 등과 같은 아이템(item)에 맞닿아 꼭 맞게 장착될 수 있다. 박스가 제2 홈(17b)을 가지고 장착된다면, 박스는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5) 위와 아래에서 거의 같게 돌출한다.
도 8 및 도 9는 선형 액추에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박스(9)에 관한 장착 브래킷(2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장착 브래킷(22)은, 선형 액추에이터에 관한 장착 브래킷(8) 상의 리브(15)에 대응하는 리브(23)로서 설계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리브(23)는 또한, 홈을 가진 채로 장착 브래킷(22) 위에 놓일 수 있도록, 박스 상의 홈들(17, 17a, 17b)에서 돌출부(18b)에 대응하는 한 쌍의 들어간 부분(24)을 도중에서 가진다. 장착 브래킷(22)은 한 쌍의 나사 또는 볼트로 장착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나사 구멍(25)을 가진다. 장착 브래킷에는 한쪽 끝 부분에서 박스에 있는 스냅 로크 부품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풀릴 수 있는(releasable) 스냅 로크 부품이 또한 제공된다. 박스(9)는 박스(9) 상의 스냅 로크 부품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탄력성이 있는 스냅 로크 부품(26)을 누름으로써 장착 브래킷(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박스는 돌출부(18b)가 장착 브래킷에 있는 들어간 부분(24) 반대 측에 위치하여, 박스가 장착 브래킷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옮겨진다.
도 10 내지 15는 박스(9)의 3가지 상이한 장착의 예를 보여준다. 도 10 및 도 11은 박스(9)가 관 모양 케이블 트레이(tray)(27) 상에서 장착 브래킷(22)으로 어떻게 장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장착 브래킷(22)은 한 쌍의 나사로 케이블 트레이(27) 상으로 처음에 조여지고, 그 후 박스는 즉시 장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바닥이 케이블 트레이(27)에 장착된 것이 보여지고, 이에 반해 도 12 및 도 13은 측면이 케이블 트레이(27)에 장착된 것이 보여지고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박스(9)가 평평한 표면(28) 상에 바닥이 있는 채로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보여준다. 박스(9)는 또한 자연스럽게 그 면이 플레이트 조각(piece) 상에 있는채로 장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많은 병원과 돌봄 기관의 침대에는, 매트리스에 관한 지지 표면이 조정 가능한 백 레스트(back rest) 섹션과 레그 레스트(leg rest) 섹션 사이에 고정된 가운데 섹션을 가진다. 그러므로 박스(9)는 고정된 가운데 섹션의 밑면에 장착될 수 있다.
처음에 언급된 것처럼, 도 2 내지 7과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박스(9)는 다수의 선형 액추에이터와 간선 기반의 전원에 관한 전기 제어를 담고 있는 컨트롤 박스이다. 하지만, 다양한 다른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관련된 다른 종류의 박스가 또한 존재할 수 있거나, 전기 컨트롤러와 간선 기반의 전원이 수 개의 박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6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팩을 담고 있는 박스(29)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박스(29)의 밑면에는 박스(9) 상의 홈에 대응하는 홈(17)과 컨트롤 박스가 제공되고, 따라서 이 경우는 평평한 표면(28) 상에 확실하게 나사 조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장착 브래킷(22)을 가지고 장착될 수 있다. 박스(29)의 상면은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장착 브래킷에 대응하는 장착 브래킷(22a)을 가진다. 장착 브래킷(22)을 박스(29, 29a)의 상면의 일체형(integral) 부품으로서 설계하는 대신, 박스(29, 29a)의 상면에 고정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착 브래킷일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7에 나타나고 도시된 것처럼, 박스(29, 29a)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 및 도 19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박스(9)(컨트롤 박스)가 어떻게 박스(29)(배터리 팩)와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심지어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간선(mains)에 연결되지 않을 때에도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 경우에 적절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병원 여기저기에서 움직이는 병원용 침대들의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박스(9)에는 열릴 수 있는 커버(cover)(30)가 제공된다. 여기서는 플러그(plug)(29)들이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와이어(wire)가 없는, 커버 밑의 공간에 다수의 소켓(socket)(31)이 존재한다. 양 측면(side)과 공간의 끝 부분에서는, 와이어용 리드-스루(lead-through)(33)가 존재하고, 이러한 리드 스루는 어느 한쪽이나 나머지 한쪽으로 이어질 수 있거나 끝 부분을 통해 외부로 이어질 수 있다. 커버(30)가 닫힐 때에는, 그것의 가장자리가 리드 스루(33)들에서 적소에 와이어들을 붙잡고 있는다. 커버는 그것의 앞쪽 끝 부분의 각각의 면 상에 하나씩, 2개의 스프링 레그(leg)(34)에 의해 그것의 닫힌 위치에서 고정된다. 스프링 레그(34)의 외부 끝 부분에는 박스의 끝 부분에서 그러한 목적을 위해 의도된 슬롯(35)과 맞물리는 텅(tongue)(34a)이 존재한다. 커버는 스크류드라이버의 끝 부분과 같은 도구를 슬롯(35)에 삽입하고, 슬롯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스프링 레그들의 텅을 누름으로써 열릴 수 있다. 소켓이 제공된 간선 케이블(37)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의 하나의 모서리에 플러그(36)가 존재하는 점이 주목된다.
도 21은 케이블 트레이(tray)(27) 상에 면이 장착된 박스(9)를 보여주고, 케이블 덕트(duct) 내로 이어지는 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박스(9)의 다른 면에 있는 리스-스루(33)는 케이블 덕트(27a)의 끝 부분에 연결된다. 박스의 끝 부분에 있는 리드-스루는 또 다른 케이블링 덕트(27b)의 끝 부분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22에서의 컨트롤 박스에는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전기 플러그들이 빠진 상태로 있고, 따라서 커버(30) 밑의 공간의 뒤쪽 끝 부분에서의 플랫폼상의 소켓들도 그러하다. 도 22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컨트롤 박스는 열린 커버(3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커버는 상부 측(38), 앞쪽 끝 부분(39), 및 2개의 측면(40, 41)을 포함한다. 2개의 측면(40, 41)은 상부 측에서 시작하여 경사진 코스(40c, 41c)를 지나 측면(40, 41)의 밑면까지 이어지는 둥근 끝 부분(40b, 41b)을 가지고, 2개의 플랩(flap)(40a, 41a)에서 뒤쪽까지 연장한다. 2개의 둥근 끝 부분(40b, 41b)의 가운데에는 힌지 핀(42)이 존재한다. 2개의 플랩(40a, 41a)은 커버의 측면이 일반적으로 박스의 측면과 높이가 같도록 박스의 측면에 있는 오목부(43)에 위치한다. 오목부(43)은 커버의 한 측면이 잘린 상태로 도 23에서 볼 수 있다. 오목부(43)는 박스의 상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가장자리(43a)를 가지고, 둥근 부분(43b)에서는 커버 상의 플랩(40, 41)에서의 경사진 코스(40c, 41c)에 대응하는 경사진 코스(43c) 내로 연장한다. 커버에 관한 힌지 핀(42)용의 트랙(44)이 오목부(43)에 존재한다. 트랙(44)은 오목부의 앞쪽 끝 부분으로부터 수평 코스(44a)를 가지고, 박스의 바닥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코스(44b) 내로 연장한다. 이러한 설계를 가지고, 커버(33)는 수평으로 움직일 때 박스(9)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는 박스(9) 위의 빈틈이 제한된다면 중요할 수 있다. 커버(33)는 힌지 핀(42)들이 트랙(44)의 수평 코스(44a)로 들어갈 때까지 박스 위에서 움직인다. 커버가 박스 위에서 더 눌러질 때, 힌지 핀(42)은 트랙(44)의 경사진 코스(44b) 내로 도달하고, 그로 인해 커버의 뒤쪽 끝 부분을 박스 쪽으로 잡아당긴다. 박스(9)의 상측은 커버의 상측(38)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레지(ledge)(45)를 가진다. 커버가 아래쪽으로 당겨지면, 박스의 상측과 그것의 커버가 평평한 표면으로서 나타나도록 커버의 뒤쪽 끝 부분이 레지(45) 내로 아래로 잡아 당겨진다. 커버가 그것의 완전히 올려진 위치까지 열릴 때, 상측(38)의 뒤쪽 가장자리가 박스의 상측에 맞닿아 부딪히게 되고, 따라서 정지부(stop)로서 작용한다. 그런 다음 커버는 피벗 축으로서 뒤쪽 가장자리 주위를 회전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힌지 핀(42)이 트랙(44)의 상측에 맞닿아 위로 눌러지게 된다. 그러므로 커버는 그것의 열린 위치에서 잠김이 이루어진다. 커버의 밑면에는 가로 리브(46)가 존재하고, 이러한 가로 리브는 플랫폼상의 플러그(32)에 걸쳐 연장하고, 커버가 닫힐 때 그것들을 적소에 유지시킨다. 마찬가지로, 커버로부터의 의도적이지 않은 잡아당김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32a)용 커버(30)의 밑면에 리테이너(retainer)(47)가 존재한다.
도 25와 도 28에는 도 2 내지 4 및 도 7에서와 동일한 선형 액추에이터(1)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는 선형 액추에이터(1) 상의 외부 튜브(5) 위에 삽입을 위한 장착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가 있다. 도 2 내지 7에서와 같이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장착 브래킷(108)은 그것이 리브(15)의 측면 각각에서 또 다른 들어간 부분(16a)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2 내지 7에 도시된 장착 브래킷(8)과는 구별된다. 이에 맞게, 컨트롤 박스(9)에서의 세로 홈(117)은 장착 브래킷(8)에서의 또 다른 들어간 부분(16a)과 짝이 되는 또 다른 돌출부의 쌍(18c)을 가진다. 홈(117)의 뒤쪽 끝 부분에서의 돌출부(18a)는 리브(15)의 앞쪽 끝 부분(15b)이 밑에 도달하는 속이 빈 부분이 존재하도록, 홈에 다리를 놓는 점이 주목된다. 컨트롤 박스(9)는 도 2 내지 7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장착된다. 추가적인 들어간 부분/돌출부는 컨트롤 박스(9)의 좀 더 믿을 수 있고 안정적인 부착을 가져온다. 도 29와 도 32 내지 34에서는 도 2 내지 4와 도 7 그리고 도 25와 도 28과는 다른 선형 액추에이터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선형 액추에이터는 외부 튜브(205)의 설계 및 하우징(201)의 설계가 도 2 내지 4와 도 7 그리고 도 25와 도 28에서의 선형 액추에이터와 다른 점이다. 외부 튜브(205)는 반원(205a)과 끝이 잘린 원뿔(205b)로 이루어진 단면을 가지고, 하우징(201)은 2개의 세로 리브(201a, 201b)로 설계된다. 도 2 내지 4와 도 7 그리고 도 25와 도 28에서와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외부 튜브(205) 위에서의 삽입을 위한 장착 브래킷(208)은 선형 액추에이터의 상이한 설계에 맞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장착 브래킷(208)에서의 개구는 반원으로서 설계되고, 끝이 잘린 원뿔은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205)의 단면과 일치되어 있다. 하우징에 장착 브래킷(208)을 고정하기 위해, 2개의 세로 리브(201b) 중 하나가 이용된다. 도 30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암(213)은 돌출하는 후크(hook)(213a)로 설계된 그것의 뒤쪽 끝 부분에 있다.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205) 위에서 장착 브래킷(208)을 가이드할 때에는, 후크(213a)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01) 상에서 세로 리브(201b) 둘레에서 물리게 되고, 그로 인해 그것의 위치에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컨트롤 박스(9)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액추에이터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도 37 및 도 38에는 박스를 위한 스틱(stick)과 같은 장착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그러한 실시예의 개선점은 도 25 내지 28과 관련하여 논의된 것처럼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5) 위에서의 삽입을 위한 장착 브래킷의 개선점과 비슷하다. 장착 브래킷(322)은 도 28 ˆŸ 도 34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9)에서 세로 홈(17)들의 설계와 맞도록 배치된 각 측면에서 또 다른 들어간 부분(24a)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장착 브래킷과는 구별된다. 또 다른 들어간 부분(24a)/돌출부(18c)는 도 10 내지 15에 예시된 것처럼 컨트롤 박스(9)의 더 안정한 부착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16에 대응하는, 도 3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터리 박스의 더 안정한 부착을 가져온다. 하지만, 배터리 박스들의 장착 브래킷은 도 37과 도 38에 도시된 것처럼 설계되고, 그 홈(17)은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컨트롤 박스의 홈(17)처럼 또 다른 들어간 부분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와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장착 브래킷들의 타입에 의해 컨트롤 박스(9)를 장착할 목적으로, 그것의 개선된 실시예가 도 40 내지 43에 도시된다. 이러한 개선예는 장착 브래킷의 한쪽 끝 부분에 선형 액추에이터 상의 외부 튜브(5) 위에서의 삽입을 위해 장착 브래킷(8) 상의 암과 같은 직립한 암(413a)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직립 암(413)은 그것의 바깥쪽 끝 부분에 컨트롤 박스(9)의 뒤쪽 끝 부분에서 모양이 일치하는 오목부(21a, 21b)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캠 모양의 돌출부(420)가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개선점은 특히 컨트롤 박스(9)가 기울어짐에 맞서 더 안정적인 것처럼, 컨트롤 박스(9)의 더 안정한 부착을 가져온다.
앞에서, 도 37과 도 38에 도시된 장착 브래킷이 어떻게 컨트롤 박스와 배터리 박스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지가 설명되었지만, 장착 브래킷은 예컨대 무선 핸드 컨트롤과 같은 컨트롤처럼 다른 종류의 박스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백 레스트와 레그 레스트가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침대와 같은 조정 가능한 침대와 관련하여, 무선 핸드 컨트롤은 종종 문제가 있는데 즉 도달 범위 내에서 어디에 놓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도 44에는 도 37 내지 3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착 브래킷(322)에 의해 핸드 컨트롤(500)을 장착하기 위한 홈(117)이 뒤쪽 측면 어디에서 설계되는지에 대한 무선 핸드 컨트롤(5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착 브래킷(322)은 예컨대 침대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의 닿는 위치에서 침대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두말할 필요 없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장착 브래킷(22)은 또한 도 7에서의 컨트롤 박스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홈(17)으로 설계되는 핸드 컨트롤(500)용으로 적합하다.
도 45 내지 47에서는, 배터리 박스(29)와 같은 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박스는 그것이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9)의 커버(33)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개구 커버(63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6 내지 19 그리고 도 39에 도시된 박스들과는 구별된다. 커버(633)는 박스의 바닥에서 개구(629a)에 위치한다. 동일한 부품에 관해서는 도 22 내지 27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체결 수단이라는 용어는 또한 장착 브래킷, 브래킷, 설치(mountings)와 같은 용어와, 비슷한 용어를 포함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Claims (12)

  1.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하우징(1)이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 트랜스미션(2a)이 있는 전기 모터(2), 스핀들 유닛(3), 스핀들 유닛(3)과 연결된 활성화 요소(4)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요소(4)가 전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앞뒤로 움직이도록, 상기 트랜스미션(2a)을 통해 상기 전기 모터(2)가 상기 스핀들 유닛(3)을 구동하고,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컨트롤러를 담고 있는 컨트롤 박스와, 혹은 간선(mains) 기반의 전원 또는 배터리 팩을 지닌 배터리 박스(9, 29, 29a)와 같은 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박스(9, 29, 29a)는 아이템(item)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박스(9, 29, 29a)에 관한 체결 수단(8a, 22, 22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은 직사각형 윤곽과 정사각형 단면을 지닌 가늘고 긴 아이템으로서 구성되고, 외측 상의 박스(9, 29, 29a)에는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17, 17a, 17b)이 제공되고,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과 상기 홈(17, 17a, 17b)은 서로 상호 작용하는 풀릴 수 있는 잠금 연결부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은 아이템(8, 27, 28)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은 독립적인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은 박스(9, 29, 29a)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은 선형 액추에이터 상에 박스(9, 29, 29a), 바람직하게는 컨트롤 박스를 장착하기 위해 의도된 관 모양의 장착 브래킷(8)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설계되고, 관 모양 부분을 지닌 상기 장착 브래킷(8)은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의 외부 튜브(5)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의 측면 각각에는 리브(15)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5)의 중간쯤에 들어간 부분(16)이 형성되며, 박스(9, 29, 29a) 상의 홈(17)의 측면에는 돌출부(18)들이 존재하되, 홈의 앞쪽 끝 부분에 한 쌍(18a)이 있고, 홈을 따라 중간쯤에 한 쌍(18b)이 존재하며, 상기 홈(17) 상의 돌출부(18b)는 그 모양이 체결 수단(8a, 22, 22a)의 리브(15)에서의 들어간 부분(16)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9, 29, 29a) 상의 상기 홈(17)의 바닥과,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 상의 리브(15)에 상호 작용하는 스냅-로킹(snap locking) 연결부(19)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7.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관 모양의 장착 브래킷(8)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브래킷(8)의 관 모양 부분 전체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가지고, 상기 체결 수단 상의 리브(15)는 슬릿(12)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9, 29, 29a)가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에 관해 상이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홈(17, 17a, 17b)을 가지게 상기 박스(9, 29, 29a)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의 일 측면 상에 하나의 홈(17)과, 상기 컨트롤 박스의 밑면 상에 2개의 홈(17a, 17b)을 가지게 상기 컨트롤 박스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10. 제2 항에 있어서,
    적어도 각각의 끝 부분에서, 독립적인 요소로서 설계된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에는 나사, 볼트, 못에 관한 구멍, 또는 비슷한 체결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8a, 22, 22a)에 의해 컨트롤 패널 또는 핸드 컨트롤(500)을 장착하기 위한 홈(117)이 뒤쪽 측면 상에 설계되는 컨트롤 패널 또는 핸드 컨트롤(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한쪽 끝 부분에서의 체결 수단은 직립 암(arm)(413a)을 가지고, 박스(9)의 뒤쪽 끝 부분에서 모양이 일치하는 홈(21a, 21b)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캠(cam) 모양의 돌출부(420)가 외부 끝 부분에서 상기 직립 암(413a)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KR1020177016087A 2014-11-12 2015-11-12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KR20170084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400660 2014-11-12
DKPA201400660 2014-11-12
PCT/DK2015/000045 WO2016074678A1 (en) 2014-11-12 2015-11-12 Linear actu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236A true KR20170084236A (ko) 2017-07-19

Family

ID=5873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087A KR20170084236A (ko) 2014-11-12 2015-11-12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70313B2 (ko)
EP (1) EP3218996B1 (ko)
JP (1) JP6651518B2 (ko)
KR (1) KR20170084236A (ko)
CN (2) CN105752876B (ko)
AU (1) AU2015345610B2 (ko)
DE (1) DE202015009790U1 (ko)
WO (1) WO2016074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0182A1 (en) * 2016-09-19 2018-03-22 Linak A/S Linear actuator system
US11888380B2 (en) 2017-06-28 2024-01-30 Linak A/S Linear actuator
USD860278S1 (en) * 2017-06-28 2019-09-17 Linak A/S Linear actuator and control box combination
DE112018002621T5 (de) * 2018-05-15 2020-03-05 Limoss (Dongguan) Co., Ltd. Lineare Antriebsvorrichtung
DE202019107037U1 (de) * 2019-12-17 2021-03-19 Dewertokin Gmbh Linearantrieb mit Steuerungsgehäuse
EP3851622B1 (de) * 2020-01-17 2022-03-23 FLAP Competence Center kft Antriebs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wegbaren teils eines möbels sowie eine beschlaganordnung und ein möbel mit einer solchen antriebsvorrichtung
CN113162312B (zh) * 2021-03-23 2023-07-25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便携式线性致动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8344A (en) * 1953-11-06 1957-01-22 Thompson Prod Inc Pneumatic powered linear actuator
DE3527677A1 (de) * 1985-08-01 1987-02-12 Siemens Ag Fuehrungseinrichtung fuer elektrische geraete
DE3624347C1 (de) 1986-07-16 1987-11-12 Krone Ag Gehaeuse,insbesondere Verteilergehaeuse fuer die Fernmeldetechnik
IT210468Z2 (it) * 1987-01-21 1988-12-30 Iveco Fiat Attuatore lineare elettromeccanico per il ribaltamento della cabina di guida di un veicolo industriale
US5358135A (en) 1992-12-28 1994-10-25 Square D Company Access door hinge attachment
JP4026260B2 (ja) 1998-12-29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蓋開閉装置
JP3674460B2 (ja) * 2000-05-24 2005-07-20 株式会社ノーリツ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7471020B2 (en) * 2002-08-20 2008-12-30 Linak A/S Linear actuator
DE20310087U1 (de) * 2002-09-27 2004-03-18 Moeller Gmbh Gerätekombination
DE102007000488A1 (de) * 2007-09-12 2009-03-19 Hilti Aktiengesellschaft Handwerkzeugmaschine mit Luftfederschlagswerk, Linearmotor und Steuerverfahren
TWM341783U (en) * 2008-03-19 2008-10-01 Motion Technology Co Ltd T Assembling structure for electric actuator and control box
EP2503918B1 (en) * 2009-11-28 2016-08-24 Linak A/S Linear actuator
ES2532216T3 (es) * 2010-12-21 2015-03-25 Linak A/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lineal
CN202565016U (zh) * 2012-04-10 2012-11-28 第一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线性致动设备专用的电力供给装置及其电池模块
TWM510990U (zh) * 2015-08-14 2015-10-21 Timotion Technology Co Ltd 線性致動器
US20180266530A1 (en) * 2017-03-15 2018-09-20 Don Alfano Electro-mechanical linear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8996A1 (en) 2017-09-20
US10270313B2 (en) 2019-04-23
CN105752876A (zh) 2016-07-13
JP6651518B2 (ja) 2020-02-19
US20170324301A1 (en) 2017-11-09
DE202015009790U1 (de) 2020-02-24
CN107112853A (zh) 2017-08-29
CN107112853B (zh) 2020-06-05
AU2015345610B2 (en) 2019-07-11
CN105752876B (zh) 2017-12-22
AU2015345610A1 (en) 2017-05-25
WO2016074678A1 (en) 2016-05-19
JP2018504080A (ja) 2018-02-08
EP3218996B1 (en)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4236A (ko)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KR102442004B1 (ko)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KR20170084235A (ko)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JP4754943B2 (ja) テーブル
CN102801034B (zh) 地面电源插座盖组件
JP2002305835A (ja) 配線用ダクト
JP5180401B1 (ja) 埋め込み式の電源コンセント
JP2004194917A (ja) 間仕切り体付き家具
JP7361307B2 (ja) 盤用ボックス及び分電盤
JP7007974B2 (ja) 電気接続箱
JP3105530U (ja) 配線器具固定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器具設置構造
JP4313283B2 (ja) 配線ダ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