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773A -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773A
KR20110109773A KR1020100068653A KR20100068653A KR20110109773A KR 20110109773 A KR20110109773 A KR 20110109773A KR 1020100068653 A KR1020100068653 A KR 1020100068653A KR 20100068653 A KR20100068653 A KR 20100068653A KR 20110109773 A KR20110109773 A KR 2011010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polyoxymethylene
average partic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490B1 (ko
Inventor
중-파오 창
치-은 린
Original Assignee
민 아이크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아이크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민 아이크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10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75Antist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및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로 제조된 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Durable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본 출원은 2010년 3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1/318,784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및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램프(ramp)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습 및 고온 조건하에서, 또는 저습 및 저온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 (micro-wear-resistant property)을 갖는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램프뿐만 아니라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양호한 마찰 마모 성능뿐만 아니라 균형 잡힌 기계적 특성, 놀라운 내약품성 및 미끄럼 특성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수지이다. 최근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램프용 재료로서 그러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US 2008/0037175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램프를 개시한다. 상기 램프는 20 ㎍/g 이하의 아웃가스(outgas) 수준을 갖는다. US 7088555는 2.6 GPa 이상의 표면경도를 갖는 램프를 개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에는,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갖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에 대한 설명이 아직 되어 있지 않으며, 더욱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램프로부터 마모편(wear debris)을 감소시키려는 시도에 대한 제안이 발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내미세마모의 특성, 높은 기계적 안정성 및 높은 성형성을 갖는다. 내미세마모의 기능은 로딩/언로딩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고, 또한 서스펜션 암의 리프트부(lift feature)가 램프 표면을 문지를 때 생기는 파편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갖는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8 inch/sec의 속도 및 낮은 주위 습도와 낮은 주위 온도에서, 2.5g의 하중, 600,000회의 왕복운동의 조건하에서, 10㎛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내거나, 또는 1㎛ 최대 마모 깊이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낸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8 inch/sec의 속도 및 높은 주위 습도와 높은 주위 온도에서, 2.5g의 하중, 600,000회의 왕복운동의 조건하에서, 10㎛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내거나, 또는 1㎛ 최대 마모 깊이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낸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램프는 8 inch/sec의 속도 및 낮은 주위 습도와 낮은 주위 온도에서, 2.5g의 하중, 600,000회의 왕복운동의 조건하에서, 10㎛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내거나, 또는 1㎛ 최대 마모 깊이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램프는 8 inch/sec의 속도 및 높은 주위 습도와 높은 주위 온도에서, 2.5g의 하중, 600,000회의 왕복운동의 조건하에서, 10㎛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내거나, 또는 1㎛ 최대 마모 깊이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습의 조건은 50% 내지 60% 범위의 상대습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저습의 조건은 13% 내지 17% 범위의 상대습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온의 조건은 22℃ 내지 60℃ 범위의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온의 조건은 3℃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코모노머로서 1,3-디옥솔란 3.3 중량%를 포함하는 90.5 중량% 내지 92.5 중량%의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무기필러;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윤활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조핵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안정화제; 및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대전방지제.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는 인장강도 62MPa (ISO 527) 및 용융 흐름 속도 27 g/10min (ISO 1133)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윤활제는 개질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개질 폴리올레핀은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100 nm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나노급 징크 옥사이드 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조핵제는 몬탄산의 소듐염, 장쇄, 선형 카르복실산(long chain, linear carboxylic acid) 및 장쇄, 선형 카르복실산의 소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핵제는 Clariant의 Licomont Cav 10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안정화제는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사양 EBS-SP)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평균입자크기 30㎛를 갖는 분자량 2백만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1.5㎛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을 0.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1㎛의 부피평균입경을 갖는 칼슘 카보네이트를 0.5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20n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나노급 실리카 디옥사이드를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1㎛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0.5 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사양 EBS-SP)와 같은 안정화제를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용융 흐름 속도 28g/10min을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2mm×3mm 크기의 펠릿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중공 칼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하기 바람직한 구현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해질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로드/언로드 램프 구조물뿐만 아니라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로드/언로드 램프 구조물은 자기 헤드가 회전디스크와 거리를 두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스펜션 암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정보 기록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읽고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헤드를 지지한다. 최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는, 기록 디스크가 동작 불능 모드일 때 자기 헤드가 기록 디스크로부터 이격된 채로 지지되는 자기 헤드 리트랙션 장소로서의 램프가 제공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갖는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8 inch/sec의 속도 및 낮은 주위 습도와 낮은 주위 온도에서, 2.5g의 하중, 600,000회의 왕복운동의 조건하에서, 10㎛2 마모 면적 미만 또는 1㎛ 최대 마모 깊이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저습의 조건은 13% 내지 17% 범위의 상대습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저온의 조건은 3℃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하기 위한 램프를 형성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 다른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또한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8 inch/sec의 속도 및 높은 주위 습도와 높은 주위 온도에서, 2.5g의 하중, 600,000회의 왕복운동의 조건하에서, 10㎛2 마모 면적 미만 또는 1㎛ 최대 마모 깊이의 미세마모 손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습의 조건은 50% 내지 60% 범위의 상대습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고온의 조건은 22℃ 내지 60℃ 범위의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하기 위한 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무기필러, 윤활제, 조핵제, 안정화제,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몇가지 성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코모노머로서 1,3-디옥솔란의 3.3 중량%를 포함하는 90.5중량% 내지 92.5중량%의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는 인장강도 62MPa (ISO 527) 및 용융 흐름 속도 27g/10min (ISO 113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윤활제는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과 같은 개질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용융 흐름 속도 28 g/10min을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평균입자크기 30㎛를 갖는 분자량 2백만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에서의 분자량이란 중량 평균분자량을 의미한다.
다양하고 상이한 무기필러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무기필러는 100 nm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나노급 징크 옥사이드 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1.5㎛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0.5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의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 1㎛의 부피평균입경을 갖는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의 칼슘 카보네이트, 20n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의 나노급 실리카 디옥사이드, 1㎛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의 티타늄 디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상이한 중량%의 다른 적당한 무기필러(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조핵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핵제는 몬탄산의 소듐염, 장쇄, 선형 카르복실산 및 장쇄, 선형 카르복실산의 소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핵제는 Clariant의 Licomont Cav 102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및 산 제거제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정화제는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사양 EBS-SP)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대전방지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램프를 형성하기 위해 가공되는 외에,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또한 펠릿을 형성하기 위해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펠릿은 2mm×3mm 크기의 중공 칼럼일 수 있다. 상기 펠릿은 운반 또는 저장에 사용되기에 유리하다. 상기 펠릿은 필요한 경우 램프를 형성하기 위해 후가공될 수 있다.
몇가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내미세마모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배합하고(formulate) 형성하는 단계들을 실증하기 위해 여기에 제공된다.
실시예 1
재료들 (A)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90.5 중량%); (B) 윤활제인 LDPE (용융 흐름 속도 28g/10min (ISO 1133)) (5.0 중량%); 무기필러인 (C-1) 나노급 칼슘 카보네이트(1.0 중량%) 및 (C-3) 나노급 실리콘 디옥사이드 (1.0 중량%); (D) 조핵제인 Clariant의 Licomont Cav 102 (2.0 중량%) 및 (E) 안정화제인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0.5 중량%)를 고속 버티컬 믹서에서 2분 동안 잘 혼합하였다. 혼합후 상기 혼합된 재료들 (5 KG)을 원료 탱크에 위치시켰다.
상기 혼합된 재료들을 피더에 의해 2축 압출기(Φ=44 mm)로 주입하였다. 상기 주입을 35kg/hr로 설정하였다. 압출기 배럴을 160-220℃로 조절하였다. 진공을 10-30cmHg로 조절하였다. 상기 용융된 조성물을 냉각하고 3mm*2mm의 펠릿 형태로 절단한 후, 열풍 건조기에 의해 130℃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펠릿들을 사출하여 각각이 0.17g, 11.6 x 6.2 x 5.2 mm인 램프들을 형성하였다. 상기 램프들을 초음파 세척기 (1% 계면활성제인 VALTRON® DP97031에서 제1 단계, 탈이온수에서 제2 내지 제5 단계, 각 단계 8분)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젖은 램프들을 사이클론형 오븐에서 85℃에서 8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조 오븐에서 85℃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열거하였다.
실시예 2
(A)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91.0 중량%); (B-1) 윤활제인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 (7.0 중량%); (C) 무기필러인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 (0.5 중량%); (D) 조핵제인 Clariant의 Licomont Cav 102 (1.0 중량%); 및 (E) 안정화제인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0.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열거하였다.
실시예 3
(A)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91.0 중량%); (B-2) 윤활제인 UHMWPE (평균입자크기가 30 ㎛이고 분자량이 2백만(ASTM D4020)임) (7.0 중량% ); (C) 무기필러인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 (0.5 중량%); (D) 조핵제인 Clariant의 Licomont Cav 102 (1.0 중량%) 및 (E) 안정화제인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0.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열거하였다.
실시예 4
(A)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92.5 중량%); (B-1) 윤활제인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 (5.0중량%) ; (C-4) 무기필러인 티타늄 디옥사이드 분말 (1.0 중량%); (D) 조핵제인 Clariant의 Licomont Cav 102 (1.0 중량%) 및 (E) 안정화제인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0.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열거하였다.
실시예 5
(A)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91.5 중량%); (B-1) 윤활제인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 (5.0 중량%); (C-2) 무기필러인 나노급 징크 옥사이드 (1.0 중량%); (D) 조핵제인 Clariant의 Licomont Cav 102 (1.0 중량%) 및 (E) 안정화제인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1.0 중량%)를, 추가적인 (F) 대전방지제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0 중량%와 함께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3에 열거하였다.
비교예 1
원료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펠릿들 (Polyplastics-Duracon M9044)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펠릿들을 사출하여 각각이 0.41g, 13.5 x 8.8 x 8.6 mm인 램프들을 형성하였다. 상기 램프들을 초음파 세척기 (1% 계면활성제인 VALTRON® DP97031에서 제1 단계, 탈이온수에서 제2 내지 제5 단계, 각 단계 8분)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젖은 램프들을 사이클론형 오븐에서 85℃에서 8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조 오븐에서 85℃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4에 열거하였다.
비교예 2
원료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펠릿들 (DuPont-Derlin 500P)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펠릿들을 사출하여 각각이 0.17g, 11.6 x 6.2 x 5.2 mm인 램프들을 형성하였다. 상기 램프들을 초음파 세척기 (1% 계면활성제인 VALTRON® DP97031에서 제1 단계, 탈이온수에서 제2 내지 제5 단계, 각 단계 8분)에서 세척하였다. 상기 젖은 램프들을 사이클론형 오븐에서 85℃에서 8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조 오븐에서 85℃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램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5에 열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성분 A.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90.5 91 91 92.5 91.5
B. 윤활제
(2)*
LDPE 5 - - - -
B-1 개질된 PE
(폴리올레핀)
- 7 - 5 5
B-2 UHMWPE - - 7 - -
C. 무기
필러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
- 0.5 0.5 - -
C-1 CaCO3 1 - - - -
C-2 나노 ZnO - - - - 1
C-3 나노 SiO2 1 - - - -
C-4 TiO2 분말 - - - 1 -
D. 조핵제 Licomont Cav
102
2 1 1 1 1
E. 안정화제 (1)* 0.5 0.5 0.5 0.5 0.5
F. 대전
방지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 - - - 1
결과 물성 용융 흐름 속도
(ISO 1133)
27 24 25 26.2 24.7
인장 강도
(ISO 527-1,2)
60 59 52 59 58.2
인장 신율
(ISO 527-1,2)
23 25 18 24 26.4
굴곡 강도
(ISO 178)
88 82 75 82 80
샤르피 충격강도
(ISO 179/1eA)
6 8 6 8 9.1
주: (1)* CIBA의 IRGANOX 1010, IRGANOX 259와 IRGANOX 1098, 멜라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PALMOWAX (사양 EBS-SP)의 혼합물.
(2)* 성분 (B)는 LDPE, 개질된 PE, 또는 UHMWPE일 수 있는 윤활제임. 성분 (C)는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 CaCO3, 나노 ZnO, 나노 SiO2, 또는 TiO2 분말일 수 있는 무기필러임.
600,000회의 왕복운동 후 하기 조건하에서 하기 테스트 결과를 실시하였다:
(1) 2.5g의 하중;
(2) 8 inch/sec의 속도;
(3) 주위 저습 또는 고습하; 및
(4) 주위 저온, 실온 또는 고온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조건 (A) (A) (A) (A)
5℃±2℃
15%±3% RH
5℃±2℃
15%±3% RH
5℃±2℃
15%±3% RH
5℃±2℃
15%±3% RH
최대 마모 깊이 0.3890 0.3301 0.2474 0.2292
0.4466 0.3279 0.3446 0.2844
0.9180 0.4028 0.1547 0.5014
0.3702 0.3473 0.0785 0.2244
마모 면적 4.4868 9.2383 1.7316 1.4760
3.9027 7.1192 8.2014 1.5837
5.7947 5.2397 1.1880 6.4781
6.3641 7.4159 0.8134 9.6901
주: 1.(A) 저습/저온; (B) 고습/고온; (C) 실온. 2. Wyko (MHT-Ⅲ)기기(상이한 브랜드의 기기는 상이한 테스트 결과를 가질 수 있음)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측정하였음. 3. 서스펜션 부품을 갖는 CETR Micro-Tribometer UMT (로드/언로드 모델)에 의해 상기 부품들을 테스트하였음.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의 기초 평가를 실증한다. 실시예 2-4는 실시예 1에 따라 추가로 개질되고 개선되었다. 실시예 5 는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실증한다. 실시예 5는 (A) 저습/저온 조건, (B) 고습/고온 조건 및 (C) 실온 모두에서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5는 또한 (A) 저습/저온 조건, (B) 고습/고온 조건 및 (C) 실온에서 최소 마모편 (wear debris)을 발생시켜 우수한 내미세마모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조건 (A) (A) (C) (B)
5℃±2℃
15%±3% RH
10℃±2℃
15%±3% RH
25℃±3℃
55%±5% RH
55℃±5℃
55%±5% RH
최대 마모 깊이 0.0888 0.1740 0.0573 0.0735
0.0915 0.2216 0.2277 0.1274
0.1752 0.2181 0.0820 0.2216
0.2100 0.1137 0.1091 0.2291
마모 면적 1.5791 3.9492 0.4437 0.8667
1.4484 3.4538 1.8543 1.7613
2.0638 2.5785 1.6032 1.8775
3.2159 2.2625 0.4718 2.0090
주: 1.(A) 저습/저온; (B) 고습/고온; (C) 실온. 2. Wyko (MHT-Ⅲ)기기(상이한 브랜드의 기기는 상이한 테스트 결과를 가질 수 있음)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측정하였음. 3. 서스펜션 부품을 갖는 CETR Micro-Tribometer UMT (로드/언로드 모델)에 의해 상기 부품들을 테스트하였음.
비교예 1
조건 (A) (C) (B)
5℃±2℃
15%±3% RH
25℃±3℃
55%±5% RH
55℃±5℃
55%±5% RH
최대 마모 깊이 1.8854 0.3795 0.2768
2.2465 0.3597 0.4282
1.8726 0.2569 0.4215
1.8947 0.4435 0.6491
마모 면적 181.2939 13.1565 4.7282
172.5484 9.1015 17.1287
161.4402 7.2146 7.8671
180.5232 8.5611 19.7332
비교예 2
조건 (A) (A) (C) (B)
5℃±2℃
15%±3% RH
10℃±2℃
15%±3% RH
25℃±3℃
55%±5% RH
55℃±5℃
55%±5% RH
최대 마모 깊이 2.5730 2.5730 0.7733 0.3698
2.0564 1.6634 1.0455 0.5261
1.8703 2.1453 1.5200 0.6344
2.1701 1.4446 1.1794 0.8624
마모 면적 99.8968 99.8968 15.3849 9.0576
76.3102 98.7693 24.8515 12.0457
60.1881 85.8774 42.3004 12.4023
85.8774 86.7332 29.6912 14.6838
주: 1.(A) 저습/저온; (B) 고습/고온; (C) 실온. 2. Wyko (MHT-Ⅲ)기기(상이한 브랜드의 기기는 상이한 테스트 결과를 가질 수 있음)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측정하였음. 3. 서스펜션 부품을 갖는 CETR Micro-Tribometer UMT (로드/언로드 모델)에 의해 상기 부품들을 테스트하였음.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가르침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장치 및 방법의 수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볼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경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8)

  1. 8 inch/second의 속도 및 13% 내지 17% RH의 주위 습도와 3℃ 내지 10℃의 주위 온도에서 600,000회의 왕복운동 후 2.5g의 하중 조건하에서 1㎛ 최대 마모 깊이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및 10㎛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코모노머로서 1,3-디옥솔란의 3.3 중량%를 포함하는 90.5중량% 내지 92.5중량%의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무기필러;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윤활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조핵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안정화제; 및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개질 폴리올레핀인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폴리올레핀은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100nm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나노급 징크 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핵제는 몬탄산의 소듐염 및 장쇄, 선형 카르복실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산화방지제 및 산 제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30㎛의 평균입자크기와 함께 2백만의 분자량을 갖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1.5㎛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을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1㎛의 부피평균입경을 갖는 칼슘 카보네이트를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20n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나노급 실리카 디옥사이드를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1㎛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용융 흐름 속도 28 g/10min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5 중량%)을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4. 8 inch/sec의 속도 및 13% 내지 17% RH의 주위 습도와 3℃ 내지 10℃의 주위 온도에서 600,000회의 왕복운동 후 2.5g의 하중 조건하에서 1㎛ 최대 마모 깊이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및 10㎛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램프로서, 상기 램프는,
    코모노머로서 1,3-디옥솔란의 3.3 중량%를 포함하는 90.5중량% 내지 92.5중량%의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무기필러;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윤활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조핵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안정화제; 및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램프.
  15. 8 inch/sec의 속도 및 50% 내지 60% RH의 주위 습도와 22℃ 내지 60℃의 주위 온도에서 600,000회의 왕복운동 후 2.5g의 하중 조건하에서 0.5㎛ 최대 마모 깊이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및 5㎛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내미세마모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로서, 상기 내미세마모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은,
    코모노머로서 1,3-디옥솔란의 3.3 중량%를 포함하는 90.5중량% 내지 92.5중량%의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무기필러;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윤활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조핵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안정화제; 및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내미세마모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개질 폴리올레핀인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폴리올레핀은 무수말레산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100nm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나노급 징크 옥사이드 입자인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핵제는 몬탄산의 소듐염 및 장쇄, 선형 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산화방지제 및 산 제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2. 제15항에 있어서, 30㎛의 평균입자크기와 함께 2백만의 분자량을 갖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3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3. 제15항에 있어서, 1.5㎛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포타슘 티타네이트 분말을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4. 제15항에 있어서, 1㎛의 부피평균입경을 갖는 칼슘 카보네이트를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5. 제15항에 있어서, 20n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나노급 실리카 디옥사이드를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6. 제15항에 있어서, 1㎛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7. 제15항에 있어서, 용융 흐름 속도 28 g/10min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28. 8 inch/sec의 속도 및 50% 내지 60% RH의 주위 습도와 22℃ 내지 60℃의 주위 온도에서 600,000회의 왕복운동 후 2.5g의 하중 조건하에서 0.5㎛ 최대 마모 깊이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및 5㎛2 마모 면적 미만의 미세마모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램프로서, 상기 램프는,
    코모노머로서 1,3-디옥솔란의 3.3 중량%를 포함하는 90.5중량% 내지 92.5중량%의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
    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무기필러;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윤활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조핵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안정화제; 및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램프.












KR1020100068653A 2010-03-29 2010-07-15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KR101154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878410P 2010-03-29 2010-03-29
US61/318,784 201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73A true KR20110109773A (ko) 2011-10-06
KR101154490B1 KR101154490B1 (ko) 2012-06-14

Family

ID=4427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653A KR101154490B1 (ko) 2010-03-29 2010-07-15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37727A1 (ko)
EP (1) EP2371901B1 (ko)
JP (1) JP5315566B2 (ko)
KR (1) KR101154490B1 (ko)
CN (1) CN102206396B (ko)
TW (1) TWI4283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3557B2 (en) 2016-09-22 2018-08-21 Min Aik Technology Co., Ltd. Low wear debris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and a ramp made of such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suitable for various HDD desig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4376A (ja) * 2012-04-23 2013-10-31 Asahi Kasei Chemicals Corp 着色された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N102807729A (zh) * 2012-07-27 2012-12-05 苏州市兴吴工程塑胶有限公司 一种阻燃改性聚甲醛的配方
CN104640927B (zh) * 2012-09-19 2017-09-01 第一精工株式会社 用于形成坡道的树脂组合物和用于磁盘装置的坡道
JP6086840B2 (ja) * 2013-08-08 2017-03-01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6189139B2 (ja) * 2013-08-23 2017-08-30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成形体
WO2015102405A1 (ko) * 2013-12-31 2015-07-09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19735B1 (ko) * 2013-12-31 2020-06-08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7075228A (zh) * 2014-10-16 2017-08-18 旭化成株式会社 聚缩醛树脂成型体
MY194520A (en) * 2014-12-22 2022-11-30 Mitsubishi Gas Chemical Co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JP6615642B2 (ja) * 2016-03-01 2019-12-04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6985852B2 (ja) * 2017-08-25 2021-12-22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成形体、摺動部材、及びハードディスク用ランプ
CN108384180A (zh) * 2018-03-10 2018-08-10 上海剑桥塑料有限公司 一种抗静电聚甲醛树脂
DE112019000117B4 (de) * 2018-06-19 2021-01-28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Zahnriemenscheibe
JP6616920B1 (ja) * 2018-06-19 2019-12-0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歯付プーリ
JP7177690B2 (ja) * 2018-12-26 2022-11-24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7283952B2 (ja) * 2019-04-05 2023-05-30 旭化成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用ランプ部品
JP7283953B2 (ja) * 2019-04-05 2023-05-30 旭化成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用ランプ部品
KR20200142622A (ko) * 2019-06-12 2020-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0785B (en) * 1977-07-04 1982-01-27 Maruzen Oil Co Ltd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
JPS555934A (en) * 1978-06-26 1980-01-17 Polyplastics Co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US4647609A (en) * 1985-10-25 1987-03-03 Celanese Corporation Low wear polyacetal with antistatic properties
JPH01126359A (ja) * 1987-11-11 1989-05-18 Mitsuboshi Belting Ltd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DE69219500T2 (de) * 1991-02-18 1997-10-23 Mitsubishi Gas Chemical Co Polyacetalharzmischung und erhaltenes Formteil
JPH07268179A (ja) 1991-09-12 1995-10-17 Du Pont Kk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H05314454A (ja) * 1992-05-08 1993-11-26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CA2116241A1 (en) * 1992-06-30 1994-01-06 Noriyuki Sugiyama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JPH06107901A (ja) * 1992-09-28 1994-04-19 Polyplastics Co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
DE4233308A1 (de) * 1992-10-03 1994-04-07 Hoechst Ag Polyacetal-Formmassen mit hoher Schlagzähigkei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TW349109B (en) 1995-02-28 1999-01-01 Hoechst Celanese Corp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US5641824A (en) * 1995-02-28 1997-06-2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DE19681563T1 (de) * 1995-09-07 1998-10-01 Asahi Chemical Ind Polyoxymethylen-Harzzusammensetzung
CN1111185C (zh) * 1996-11-13 2003-06-11 旭化成株式会社 树脂组合物
US6214277B1 (en) * 1998-01-19 2001-04-10 Starlite Co., Ltd.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composite molded parts
DE10029533A1 (de) * 2000-06-15 2001-12-20 Ticona Gmbh Gleitmittelhaltige Polyoxymethylenformmasse, ihre Verwendung und da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JP3828357B2 (ja) * 2000-12-27 2006-10-04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再生装置用ランプ及びこれを用いた磁気記録再生装置
US6903902B1 (en) * 2001-09-19 2005-06-07 Maxtor Corporation Load/unload ramps and their compositions
DE10297511B4 (de) * 2001-12-12 2006-12-2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Verwendung eines Polyacetal-Harzes zur Herstellung einer Rampe für Festplatten
KR100552023B1 (ko) 2001-12-25 2006-02-14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제 램프
JP5008256B2 (ja) * 2004-04-23 2012-08-22 東レ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2321335B (zh) * 2004-05-31 2014-04-02 旭化成化学株式会社 聚甲醛硬盘驱动器用斜坡
DE102005035334A1 (de) * 2005-07-28 2007-02-01 Ticona Gmbh Emissionsarme, tribologisch modifizierte Polyoxymethylen-Formmassen und daraus hergestellte Formteile
JP4913380B2 (ja) * 2005-09-20 2012-04-1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ハードディスクランプ
JP2009256461A (ja) * 2008-04-16 2009-11-05 Toray Ind Inc メッキ用樹脂組成物およびメッキ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3557B2 (en) 2016-09-22 2018-08-21 Min Aik Technology Co., Ltd. Low wear debris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and a ramp made of such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suitable for various HDD desig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6396A (zh) 2011-10-05
JP2011208114A (ja) 2011-10-20
EP2371901B1 (en) 2013-09-04
JP5315566B2 (ja) 2013-10-16
TW201132697A (en) 2011-10-01
TWI428386B (zh) 2014-03-01
KR101154490B1 (ko) 2012-06-14
EP2371901A1 (en) 2011-10-05
CN102206396B (zh) 2013-07-10
US20110237727A1 (en)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490B1 (ko) 내구성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US7625969B2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JP3308522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WO2015059598A1 (en) Intrinsic low friction polyoxymethylene
US8759431B2 (en) Durable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EP3202847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sliding member
US10053557B2 (en) Low wear debris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and a ramp made of such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suitable for various HDD designs
JP4813403B2 (ja) ハードディスク用ランプ
CN111164150A (zh) 防尘滑动性部件用树脂组合物、防尘滑动性部件及其制造方法、玻璃升降器用载板、显现防尘滑动性的方法
JP5972112B2 (ja) 搬送装置用摺動部材
JP2020128468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008260821A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6157945B2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成形体、板状成形体、及びシート
JP5435629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2107150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7382169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084822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212534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2463837B1 (ko)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60083646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5209500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