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235A -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235A
KR20110108235A KR1020100120403A KR20100120403A KR20110108235A KR 20110108235 A KR20110108235 A KR 20110108235A KR 1020100120403 A KR1020100120403 A KR 1020100120403A KR 20100120403 A KR20100120403 A KR 20100120403A KR 20110108235 A KR20110108235 A KR 2011010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coolant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800B1 (ko
Inventor
슈지 이시자키
다카히로 고바야시
데츠야 도쿠다
노부히토 모모세
아츠시 구도
아츠시 에비사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냉각수의 온도가 낮아도 안정하여 운전 가능한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고온재생기(5), 저온재생기(6), 증발기(1), 응축기(7) 및 흡수기(2)를 구비하고,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를 저온재생기(6)를 경유하는 냉매관(31)에서 접속하며, 냉매관(31)에 유로저항을 부여하는 유로저항수단(41)과, 이 유로저항수단(41)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42)을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관(42)에 개폐밸브(43)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100)에 있어서, 흡수기(2) 및 응축기(7)에 차례차례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관(15)을 설치하고, 냉각수관(15)의 흡수기 입구 측에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각수 온도센서(62)를 설치하며,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에 따라서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수단(5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ABSORPTION TYPE REFRIGERATING MACHINE}
본 발명은 고온재생기로부터 응축기로 냉매를 보내는 냉매관에 댐퍼(damper)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이들을 배관접속하여 흡수액 및 냉매의 순환경로를 각각 형성한 흡수식 냉동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흡수식 냉동기에서는, 고온재생기와 응축기는 저온재생기의 흡수액 고임부에 배관된 전열관 및 냉매드레인 열회수기를 경유하는 냉매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고온재생기에서 가열되어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증기는 냉매관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응축하여 냉매액이 되고, 이 냉매액은 고온재생기와 응축기와의 차압에 의해서 냉매관 내를 이동한다. 냉매관을 유통하는 냉매의 유속을 저하시키고, 고온재생기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 내의 흡수액이나 흡수기로부터의 희(稀)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키기 위해, 냉매관에는 냉매드레인 열회수기의 하류 측에 유로저항을 부여하는 유량제어밸브나 오리피스 등의 유로저항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87315호 공보
그런데, 흡수식 냉동기는 이 흡수식 냉동기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냉각수 입구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성능(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이 향상한다. 그렇지만, 냉각수 입구온도가 임의 온도를 하회하면, 고온재생기의 압력저하에 수반하여 고온재생기와 응축기와의 차압이 작아지므로, 상기 종래의 흡수식 냉동기와 같이 유로저항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냉매의 유동성이 저하한다. 냉매액의 유동성이 저하하면, 냉매관의 저온재생기 부근에 냉매액이 모이거나, 혹은, 냉매액이 냉매관에서 저온재생기를 왕래하는 상태가 발생하며, 이것에 의해 저온재생기에서의 흡수액의 가열재생이 불안정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열부하에 공급하는 브라인(brine)의 출구 측의 온도가 상하로 변동을 반복하는 헌팅(hunting)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냉각수의 온도가 낮아도 안정운전이 가능한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증발기, 응축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고온재생기와 응축기를 저온재생기를 경유하는 냉매관에서 접속하고, 이 냉매관에 유로저항을 부여하는 유로저항수단과, 이 유로저항수단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을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 및 상기 응축기에 차례차례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관을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관의 흡수기 입구 측에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각수 온도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전개(全開)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가 계측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도 높은 제2 온도에 이르른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전폐(全閉)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고온재생기의 입열량(入熱量)을 제어하는 입열량 제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와, 상기 입열량 제어밸브의 개도(開度)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저온재생기의 하류 측의 상기 냉매관에는 당해 냉매관을 유통하는 냉매와, 상기 흡수기로부터 연장하는 희흡수액관을 유통하는 희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냉매드레인 열회수기가 설치되고, 상기 고온재생기에 당해 고온재생기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냉매관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 출구 측에 냉매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매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와, 상기 압력센서의 검출결과와, 상기 냉매온도센서의 계측결과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기 및 응축기에 차례차례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관을 설치하고, 냉각수관의 흡수기 입구 측에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각수 온도센서를 설치하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에 따라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냉각수 온도가 낮은 경우에, 바이패스관을 유통하는 냉매량을 증가시키도록 개폐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냉매관의 냉매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개폐밸브의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흡수식 냉동기(100)는 냉매에 물을, 흡수액에 브롬화 리튬(LiBr) 수용액을 사용한 이중효용형(二重效用型)의 흡수식 냉동기이다. 흡수식 냉동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1)와, 이 증발기(1)에 병설된 흡수기(2)와, 이들 증발기(1) 및 흡수기(2)를 수납한 증발기 흡수기 몸통(3)과, 가스버너(4)를 구비한 고온재생기(5)와, 저온재생기(6)와, 이 저온재생기(6)에 병설된 응축기(7)와, 이들 저온재생기(6) 및 응축기(7)를 수납한 저온재생기 응축기 몸통(8)과, 저온 열교환기(12)와, 고온 열교환기(13)와,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와, 희흡수액 펌프(P1)와, 농(農)흡수액 펌프(P2)와, 냉매펌프(P3)를 구비하고, 이들 각 기기가 흡수액관(21 ~ 25) 및 냉매관(31 ~ 35) 등을 통하여 배관접속되어 있다.
또, 부호 14는 증발기(1) 내에서 냉매와 열교환한 브라인을, 도시하지 않은 열부하(예를 들면, 공기조화장치)에 순환공급하기 위한 냉/온수관이며, 이 냉/온수관(14)의 일부에 형성된 전열관(14A)이 증발기(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냉/온수관(14)의 전열관(14A) 하류 측에는 당해 냉/온수관(14) 내를 유통하는 브라인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61)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5는 흡수기(2) 및 응축기(7)에 차례차례 냉각수를 유통시키기 위한 냉각수관이고, 이 냉각수관(15)의 일부에 형성된 각 전열관(15A, 15B)이 각각 흡수기(2) 및 응축기(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부호 50은 흡수식 냉동기(1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온도센서(61)는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서, 계측결과를 제어장치(50)에 출력한다.
흡수기(2)는 증발기(1)에서 증발한 냉매증기를 흡수액에 흡수시키고, 증발기 흡수기 몸통(3) 내의 압력을 고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흡수기(2)의 하부에는 냉매증기를 흡수하여 희석된 희흡수액이 고이는 희흡수액 고임부(2A)가 형성되며, 이 희흡수액 고임부(2A)에는 인버터(51)에 의해 주파수 가변으로 제어되는 희흡수액 펌프(P1)가 설치된 희흡수액관(2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희흡수액관(21)은 희흡수액 펌프(P1)의 하류 측에서 제1 희흡수액관(21A)과 제2 희흡수액관(21B)으로 분기되고, 제1 희흡수액관(21A)은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를 경유하며, 제2 희흡수액관(21B)은 저온 열교환기(12)를 경유한 후에 다시 합류한다. 그리고, 희흡수액관(21)의 타단은 제3 희흡수액관(21C)과 제4 희흡수액관(21D)으로 분기되며, 제3 희흡수액관(21C)은 고온 열교환기(13)를 경유한 후, 고온재생기(5) 내에 형성된 열교환부(5A)의 위쪽에 위치하는 기층부(5B)로 개구하고, 제4 희흡수액관(21D)은 저온재생기(6) 내의 상부에 형성된 기층부(6A)로 개구하고 있다.
고온재생기(5)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도시가스 등의 연료로 점화하는 점화기(4A)와, 연료량을 제어하여 열원량을 가변으로 하는 연료제어밸브(입열량 제어밸브)(4B)를 구비하는 가스버터(4)가 수용되어 있다. 가스버너(4)는 제어장치(50)가 출력한 연소신호를 수신하면, 가스를 연소시키고,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는 제어장치(50)에 의해 온도센서(61)가 계측한 온도에 따라 제어되고 있다. 고온재생기(5)에는 가스버너(4)의 위쪽에 당해 가스버너(4)의 화염을 열원으로 하여 흡수액을 가열재생하는 열교환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열교환부(5A)에는 가스버너(4)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유통하는 배기경로(17)가 접속되고, 열교환부(5A)의 측방에는 이 열교환부(5A)에서 가열재생된 후에 당해 열교환부(5A)로부터 유출한 농흡수액이 고이는 농흡수액 고임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농흡수액 고임부(5C)에는 농흡수액 고임부(5C)(고온재생기(5) 내)에 고인 흡수액의 액면레벨을 검지하는 액면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농흡수액 고임부(5C)의 하단에는 농흡수액관(22)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농흡수액관(22)의 타단은 고온 열교환기(13)를 통하여 저온재생기(6)로부터 연장하는 중간 흡수액관(24)과 합류한다. 고온 열교환기(13)는 농흡수액 고임부(5C)로부터 유출한 고온의 흡수액의 고열로 제3 희흡수액관(21C)을 흐르는 흡수액을 가열하는 것으로, 고온재생기(5)에서의 가스버너(4)의 연료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 농흡수액관(22)의 고온 열교환기(13) 상류 측과 흡수기(2)는 개폐밸브(V1)가 개재하는 흡수액관(2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저온재생기(6)는 고온재생기(5)로 분리된 냉매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기층부(6A)의 아래쪽에 형성된 흡수액 고임부(6B)에 고인 흡수액을 가열재생하는 것으로, 흡수액 고임부(6B)에는 고온재생기(5)의 상단부로부터 응축기(7)의 저부(底部)로의 연장하는 냉매관(31)의 일부에 형성되는 전열관(31A)이 배치되어 있다. 이 냉매관(31)에 냉매증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전열관(31A)을 통하여 냉매증기의 온열이 흡수액 고임부(6B)에 고인 흡수액에 전달되어, 이 흡수액이 농축된다.
저온재생기(6)의 흡수액 고임부(6B)에는 중간 흡수액관(24)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중간 흡수액관(24)의 타단은 상기 농흡수액관(22)과 합류하여 농흡수액관(25)이 된다. 이 농흡수액관(25)은 농흡수액 펌프(P2) 및 저온 열교환기(12)를 통하여 흡수기(2)의 기층부(2B) 상부에 설치되는 농액산포기(2C)에 접속되어 있다. 저온 열교환기(12)는 고온재생기(5)의 농흡수액 고임부(5C)로부터 유출한 농흡수액 및 저온재생기(6)의 흡수액 고임부(6B)로부터 유출한 중간 흡수액의 온열로 제2 희흡수액관(21B)을 흐르는 희흡수액을 가열하는 것이다. 또, 농흡수액 펌프(P2)의 상류 측에는 이 농흡수액 펌프(P2) 및 저온 열교환기(12)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25A, 25B)이 설치되어 있고, 농흡수액 펌프(P2)의 운전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고온재생기(5)의 농흡수액 고임부(5C)로부터 유출한 농흡수액 및 저온재생기(6)의 흡수액 고임부(6B)로부터 유출한 중간 흡수액은 바이패스관(25A, 25B)을 통과하여 저온 열교환기(12)를 경유하지 않고 흡수기(2) 내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재생기(5)의 기층부(5B)와 응축기(7)의 저부에 형성된 냉매액 고임부(7A)는 저온재생기(6)의 흡수액 고임부(6B)에 배관된 전열관(31A) 및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를 경유하는 냉매관(3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냉매관(31)에는 냉매드레인 열흡수기(16)의 하류에 유로저항을 부여하는 댐퍼(유로저항수단)(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댐퍼(41)에 의해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여, 냉매관(31)의 냉매증기와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충분히 행해짐과 아울러, 냉매관(31)의 냉매증기와 제1 희흡수액관(21A) 내의 희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충분히 행해진다.
냉매관(31)의 전열관(31A) 상류 측과 흡수기(2)의 기층부(2B)는 개폐밸브(V2)가 개재하는 냉매관(3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응축기(7)의 냉매액 고임부(7A)와 증발기(1)의 기층부(1A)는 U씰부(33A)가 개재하는 냉매관(3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증발기(1)의 아래쪽에는 액화한 냉매가 고이는 냉매액 고임부(1B)가 형성되고, 이 냉매액 고임부(1B)와 증발기(1)의 기층부(1A) 상부에 배치되는 산포기(1C)는 냉매펌프(P3)가 개재하는 냉매관(3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냉매관(34)의 냉매펌프(P3) 하류 측과 흡수기(2)의 흡수액 고임부(2A)는 개폐밸브(V3)가 개재하는 냉매관(3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냉각수관(15)의 전열관(15B) 출구 측과의 냉/온수관(14)의 배열관(14A)의 출구 측은 개폐밸브(V4)가 개재하는 연통관(3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흡수식 냉동기(100)는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 냉/온수관(14)으로부터 냉수를 취출하는 냉방운전이 실행된다. 냉방운전시에는 냉/온수관(14)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열부하로 순환공급되는 브라인(예를 들면 냉수)의 증발기(1) 출구 측 온도(온도센서(61)에서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의 설정온도, 예를 들면 7℃가 되도록 흡수식 냉동기(100)에 투입되는 열량이 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50)는 모든 펌프(P1 ~ P3)를 기동하고, 또한, 가스버너(4)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며, 온도센서(61)가 계측하는 브라인의 온도가 소정의 7℃가 되도록 가스버너(4)의 화력을 제어한다. 또한, 냉방운전시에는, 개폐밸브(V1 ~ V4)는 닫힌다.
흡수기(2)로부터 희흡수액관(21)을 통하여 희흡수액 펌프(P1)에 의해 고온재생기(5)로 반송된 희흡수액은 이 고온재생기(5)에서 가스버너(4)에 의한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이 희흡수액 중의 냉매가 증발분리한다. 고온재생기(5)에서 냉매를 증발분리하여 농도가 상승한 농흡수액은 농흡수액관(22)을 통하여 농흡수액관(25)의 농흡수액 펌프(P2)에 의해 고온 열교환기(13)를 경유하여 농흡수액관(25)으로 흐른다.
흡수기(2)로부터 희흡수액관(21)을 통하여, 희흡수액 펌프(P1)에 의해 저온재생기(6)로 반송된 희흡수액은 고온재생기(5)로부터 냉매관(31)을 통하여 공급되어 전열관(31A)으로 유입하는 고온의 냉매증기에 의해 가열되고, 이 희흡수액 중의 냉매가 증발분리한다. 저온재생기(6)에서 냉매를 증발분리하여 농도가 상승한 중간 흡수액은 중간 흡수액관(24)을 흘러, 농흡수액관(22)을 흐르는 농흡수액과 농흡수액관(25)에서 합류한다. 합류한 농흡수액은 저온 열교환기(12)를 경유하여 흡수기(2)로 보내져, 농액 산포기(2C)의 위쪽으로부터 산포된다.
한편, 저온재생기(6)에서 분리생성한 냉매는 응축기(7)로 들어가 응축하여 냉매액 고임부(7A)에 고인다. 그리고, 냉매액 고임부(7A)에 냉매액이 많이 고이면, 이 냉매액은 냉매액 고임부(7A)로부터 유출하고, 냉매관(33)을 경유하여 증발기(1)로 들어가, 냉매펌프(P3)의 운전에 의해 냉매관(34)을 통하여 들어올려져 산포기(1C)로부터 냉/온수관(14)의 전열관(14A) 위로 산포된다.
전열관(14A) 위로 산포된 냉매액은 전열관(14A)의 내부를 지나는 브라인으로부터 기화열을 빼앗아 증발하므로, 전열관(14A)의 내부를 지나는 브라인은 냉각되고, 이렇게 하여 온도를 내린 브라인이 냉/온수관(14)으로부터 열부하로 공급되어 냉방 등의 냉각운전이 행해진다.
그리고, 증발기(1)에서 증발한 냉매는 흡수기(2)로 들어가, 고온재생기(5) 및 저온재생기(6)로부터 공급되어 위쪽으로부터 산포되는 농흡수액에 흡수되어, 흡수기(2)의 희흡수액 고임부(2A)에 고이고, 희흡수액 펌프(P1)에 의해서 고온재생기(5)로 반송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또한, 흡수액이 냉매를 흡수할 때에 발생하는 열은 흡수기(2) 내에 배치되는 냉각수관(15)의 전열관(15A)에 의해 냉각된다.
그런데, 흡수식 냉동기(100)에서는 당해 흡수식 냉동기(10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냉각수 입구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성능(COP)이 향상한다. 통상, 냉각수 입구온도는 약 32℃로 설정되어 있고, 이 냉각수 입구온도가 임의 농도(예를 들면, 17℃)를 하회하면, 고온재생기(5)의 압력저하에 수반하여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진다. 냉매관(31)에는 댐퍼(4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와의 차압이 작아지면, 냉매의 유동성이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냉매관(31)의 저온재생기(6) 부근에 냉매액이 고이거나, 혹은, 냉매액이 냉매관(31)에서 저온재생기(6)를 왕래하는 상태(이하, 간단히 '체류상태'라고 말한다.)가 발생하며, 나아가서는, 열부하로 공급하는 브라인의 출구온도가 상하로 변동을 반복하는 헌팅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관(31)에 설치된 댐퍼(41)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42)과, 이 바이패스관(42)에 설치된 개폐밸브(43)와, 냉각수관(15)의 흡수기(2) 입구 측에 설치되고, 냉각수 입구온도를 계측하는 냉각수 온도센서(62)와,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에 따라서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밸브제어수단)(5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의 체류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에 기인하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을 냉각수 입구온도에 대응시키고 있다.
개폐밸브(43)는 전개 및 전폐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밸브이며,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서 작동한다. 냉각수 온도센서(62)는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서 계측결과를 제어장치(50)에 출력한다.
제어장치(5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 이하가 되면, 개폐밸브(43)를 전개로 한다. 여기서, 제1 온도(T1)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져, 흡수식 냉동기(100)의 운전이 불안정하게 되기 시작하기 직전의 냉각수 입구온도로서,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취득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5℃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이고,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져도 냉매액이 댐퍼(41)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므로, 냉매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5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2 온도(T2) 이상이 되면, 개폐밸브(43)를 전폐로 한다. 여기서, 제2 온도(T2)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커져, 흡수식 냉동기(100)의 운전이 안정될 때의 냉각수 입구온도로서,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취득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온도(T1)보다 5℃ 높은 20℃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2 온도(T2)(20℃) 이상이 되어,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커지면, 냉매액이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지 않으므로, 댐퍼(41)에 의해서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고, 고온재생기(5)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 및 제1 희흡수액관(21A) 내의 희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41)를 가지는 흡수식 냉동기(100)에 댐퍼(41)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42)을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관(42)에 개폐밸브(43)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 흡수식 냉동기(100)를 저온의 냉각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 고온재생기(5)나 응축기(7)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비교적 고가의 압력검출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한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온도센서(62)는 냉각수관(15)의 흡수기(2) 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냉각수관(15)의 흡수기(2) 출구 측이나, 응축기(7) 출구 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도시하지 않은 냉각수 펌프의 인버터 제어, 흡수기(2)나 응축기(7)에서의 열교환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온도를 계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개폐밸브(43)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기(2) 및 응축기(7)에 차례차례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관(15)을 설치하고, 냉각수관(15)의 흡수기 입구 측에 냉각수의 농도를 계측하는 냉각수 온도센서(62)를 설치하며,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에 따라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냉각수 입구온도가 낮은 경우에,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는 냉매량이 증가하도록 개폐밸브(43)를 제어함으로써, 냉매관(31)의 냉매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장치(50)는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 이하인 경우에, 개폐밸브(43)를 전개로 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1 온도(T1) 이하로 되었을 경우에, 냉매관(31)의 냉매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장치(50)는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보다도 높은 제2 온도(T2)에 이른 경우에, 개폐밸브(43)를 전폐로 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2 온도(T2)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냉매액이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지 않으므로, 댐퍼(41)에 의해서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고, 고온재생기(5)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 및 제1 희흡수액관(21A) 내의 희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50)는 개폐밸브(43)를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에 따라 제어하고 있었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밸브(43)를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와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에 따라 제어하고 있다.
냉매의 체류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에 더하여, 고온재생기(5)에서 발생하는 냉매증기의 양에 기인하고 있고,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는 고온재생기(5)에서 발생하는 냉매증기의 최대발생량에 대한 그 개도시에서의 냉매증기의 발생량의 비율과 대략 비례의 관계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을 냉각수 입구온도에 대응시킴과 아울러, 냉매증기의 발생량을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에 대응시키고 있다.
제어장치(50)는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 이상인 경우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가 되면, 바이패스관(42)의 개폐밸브(43)를 전개로 한다. 소정 개도는 고온재생기(5)에서의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고,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은 경우에는 흡수식 냉동기(100)의 운전이 불안정하게 되기 시작하기 직전의 개도로서,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취득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최대일 때 50%가 되는, 50%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이상이고, 고온재생기(5)에서의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상태에서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가 되어,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져도 냉매액이 댐퍼(41)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므로, 냉매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50)는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이상인 경우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2 온도(T2)(20℃) 이상이 되면, 개폐밸브(43)를 전폐로 한다. 이것에 의해,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이상이고, 고온재생기(5)에서의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상태에서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2 온도(T2)(20℃) 이상이 되어,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커지면, 냉매액이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지 않으므로, 댐퍼(41)에 의해서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여, 고온재생기(5)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 및 제1 희흡수액관(21A) 내의 희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또, 제어장치(50)는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라도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미만이 되면, 개폐밸브(43)를 전폐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인 조건 및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이상인 조건의 양쪽을 만족한 경우에만 개폐밸브(43)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이고,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도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미만이 되어, 고온재생기(5)에서의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적게 되면, 냉매액이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지 않으므로, 댐퍼(41)에 의해서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여, 고온재생기(5)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에 더하여, 고온재생기(5)에서 발생하는 냉매증기의 발생량에 따라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도 고온재생기(5)에서 발생하는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적어, 냉매의 체류가 생기기 어려운 경우에는 개폐밸브(4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온재생기(5)의 입열량을 제어하는 연료제어밸브(4B)를 구비하고, 제어장치(50)는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와,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에 따라서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냉각수 입구온도가 낮은 경우, 또한,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큰 경우에,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는 냉매량을 증가하도록 개폐밸브(43)를 제어함으로써, 냉매관(31)의 냉매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온재생기(5)에서 발생하는 냉매증기의 발생량이 적고, 냉매의 체류가 생기기 어려운 경우에, 개폐밸브(4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식 냉동기(200)는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53)와, 냉매관(31)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 출구 측의 냉매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매온도센서(63)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기한 흡수식 냉동기(100)와 구성을 달리한다. 그 외의 구성은 흡수식 냉동기(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50)는 개폐밸브(43)를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에 따라 제어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와, 압력센서(53)의 검출결과와, 냉매온도센서(63)의 계측결과에 따라서 개폐밸브(43)를 제어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의 체류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에 기인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을 냉각수 입구온도와, 고온재생기(5)의 압력에 대응시키고 있다. 또, 냉매가 체류할 때, 즉, 냉매관(31)을 유통하는 냉매의 유속이 늦어질 때에는 저온재생기(6) 및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에서의 열교환량이 많아져,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 출구 측의 냉매온도(냉매출구온도)가 낮아지므로, 이 냉매출구온도에 의해서도 냉매의 체류를 검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의 유속을 냉매관(31)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 출구 측에서의 냉매의 온도에 대응시키고 있다.
압력센서(53)는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서,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제어장치(50)에 출력한다. 또, 냉매온도센서(63)는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서, 계측결과를 제어장치(50)에 출력한다.
제어장치(50)는 압력센서(53)가 검출한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이고, 냉매온도센서(63)가 계측한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가 되면, 바이패스관(42)의 개폐밸브(43)를 전개로 한다. 상기 소정 압력은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이 낮고,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져, 흡수식 냉동기(100)의 운전이 불안정하게 되기 시작하기 직전의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으로서,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취득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대압력기준으로 2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통상,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은 절대압력기준으로 약 80㎪ 정도이다. 또, 상기 소정 온도는 냉매관(31)을 유통하는 냉매의 유속이 늦어, 저온재생기(6) 및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에서 열교환을 통상 이상으로 행하여 냉매의 온도가 낮게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냉매출구온도로서,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취득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3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통상, 냉매출구온도는 약 40℃ 정도이다.
이것에 의해,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20㎪) 미만이고, 냉매관(31)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 출구 측의 온도가 소정 온도(30℃) 이하인 상태에서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가 되어,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져도 냉매액이 댐퍼(41)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므로, 냉매관(31)에서 저온재생기(6)에 냉매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50)는 압력센서(53)가 검출한 압력이 소정 압력(20㎪) 미만이고, 냉매온도센서(63)가 계측한 온도가 소정 온도(30℃) 이하인 경우에, 연료제어밸브(4B)의 개도가 소정 개도(50%) 이상의 경우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2 온도(T2)(20℃) 이상이 되면, 개폐밸브(43)를 전폐로 한다. 이것에 의해,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20㎪) 미만이고, 냉매출구온도가 소정 온도(30℃) 이하인 상태에서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2 온도(T2)(20℃) 이상이 되어,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커지면, 냉매액이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지 않으므로, 댐퍼(41)에 의해서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여, 고온재생기(5)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 및 제1 희흡수액관(21A) 내의 희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또, 제어장치(50)는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라도 압력센서(53)가 검출한 압력이 소정 압력(20㎪) 이상이 되거나, 혹은, 냉매온도센서(63)가 계측한 온도가 소정 온도(30℃)보다 높아지면, 개폐밸브(43)를 전폐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 온도센서(62)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인 조건, 압력센서(53)가 검출한 압력이 소정 압력(20㎪) 미만인 조건 및 냉매온도센서(63)가 계측한 온도가 소정 온도(30℃) 미만인 조건의 모두를 만족한 경우에만 개폐밸브(43)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입구온도가 제1 온도(T1)(15℃) 이하이고,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도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20㎪) 이상이 되거나, 혹은, 냉매출구온도가 소정 온도(30℃)보다 높아지면, 냉매액이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지 않으므로, 댐퍼(41)에 의해서 냉매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속이 저하하여, 고온재생기(5)로부터의 냉매증기의 온열로 저온재생기(6) 내의 흡수액 및 제1 희흡수액관(21A) 내의 희흡수액을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을 냉온수 입구온도 및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의 양쪽에 대응시키고 있기 때문에,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 및 냉매출구온도에 따라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고온재생기(5)와 응축기(7)와의 차압이 작아도, 냉매관(31)을 유통하는 냉매의 유속이 빨라져 냉매의 체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개폐밸브(4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7)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비교적 고가인 압력검출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한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저온재생기(6)의 하류 측의 냉매관(31)에는 냉매관(31)을 유통하는 냉매와, 흡수기(2)로부터 연장하는 제1 희 흡수액과의 사이에 열교환을 행하는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가 설치되고, 고온재생기(5)에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53)를 설치하며, 냉매관(31)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 출구 측에 냉매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매온도센서(63)를 설치하고, 제어장치(50)는 냉각수 온도센서(62)의 계측결과와, 압력센서(53)의 검출결과와, 냉매온도센서(63)의 계측결과에 따라서 개폐밸브(4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냉각수의 온도가 낮은 경우, 또한, 고온재생기(5) 내의 압력이 낮은 경우, 또한, 냉매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16) 출구 측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바이패스관(42)을 유통하는 냉매량을 증가하도록 개폐밸브(43)를 제어함으로써, 냉매관(31)의 냉매가 흐르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를 안정하여 운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온의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냉매관(31)을 유통하는 냉매의 유속이 빨라 냉매의 체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 개폐밸브(4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한 종류로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온재생기(5)에서 흡수액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서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가열을 행하는 가스버너(4)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등유나 A중유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구비하는 구성이나, 증기나 배기가스 등의 온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저항수단을 댐퍼(41)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유로저항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량제어밸브나 오리피스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식 냉동기(100)는 흡수기(2)로부터 연장하는 희흡수액관(21)이 고온재생기(5) 및 저온재생기(6)로 2개로 분기하는 이른바 패러렐 플로우 사이클(parallel flow cycle)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온재생기로부터 유출한 흡수액을 저온재생기로 공급하는 이른바 시리즈 플로우 사이클이나, 저온재생기로부터 유출한 흡수액을 고온재생기로 공급하는 이른바 리버스 플로우 사이클로 형성된 흡수식 냉동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식 냉동기는 이중효용형이지만, 일중효용형을 비롯해, 일중이중효용형 및 삼중효용형의 흡수식 냉온수기 및 흡수식 히트펌프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증발기 2 흡수기
48 연료제어밸브(입열량 제어밸브) 5 고온재생기
6 저온재생기 7 응축기
15 냉각수관 16 냉매드레인 열회수기
21A 제1 희흡수액관(희흡수액관) 31 냉매관
41 댐퍼(유로저항수단) 42 바이패스관
43 개폐밸브 50 제어장치(밸브제어수단)
53 압력센서 62 냉각수 온도센서
63 냉매온도센서 100 흡수식 냉동기

Claims (5)

  1.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증발기, 응축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고온재생기와 응축기를 저온재생기를 경유하는 냉매관에서 접속하며, 이 냉매관에 유로저항을 부여하는 유로저항수단과, 이 유로저항수단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을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 및 상기 응축기에 차례차례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관을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관의 흡수기 입구 측에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각수 온도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가 계측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전개(全開)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가 계측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도 높은 제2 온도에 이르른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전폐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재생기의 입열량(入熱量)을 제어하는 입열량 제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와, 상기 입열량 제어밸브의 개도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온재생기의 하류 측의 상기 냉매관에는 당해 냉매관을 유통하는 냉매와, 상기 흡수기로부터 연장하는 희흡수액관을 유통하는 희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냉매드레인 열회수기가 설치되고,
    상기 고온재생기에 당해 고온재생기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냉매관의 냉매드레인 열회수기 출구 측에 냉매의 온도를 계측하는 냉매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의 계측결과와, 상기 압력센서의 검출결과와, 상기 냉매온도센서의 계측결과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KR1020100120403A 2010-03-26 2010-11-30 흡수식 냉동기 KR101167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2574 2010-03-26
JP2010072574A JP5575519B2 (ja) 2010-03-26 2010-03-26 吸収式冷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35A true KR20110108235A (ko) 2011-10-05
KR101167800B1 KR101167800B1 (ko) 2012-07-25

Family

ID=4466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403A KR101167800B1 (ko) 2010-03-26 2010-11-30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75519B2 (ko)
KR (1) KR101167800B1 (ko)
CN (1) CN1022003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4081A (zh) * 2012-10-27 2013-02-06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二段式烟气热水单双效复合型溴化锂吸收式制冷机组
JP6765056B2 (ja) * 2016-11-10 2020-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KR102292398B1 (ko) * 2020-01-15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380B2 (ja) * 1978-03-31 1985-06-12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凍機の制御装置
JPS5986876A (ja) * 1982-11-09 1984-05-19 三洋電機株式会社 二重効用吸収冷凍機の制御装置
JP2873538B2 (ja) * 1994-04-11 1999-03-24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効用吸収式冷温水機
JPH10170090A (ja) 1996-12-11 1998-06-26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装置
CN1211710A (zh) * 1997-09-12 1999-03-24 华中理工大学 一种吸收式制冷循环
JPH11230631A (ja) 1998-02-18 1999-08-27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US6192694B1 (en) * 1998-01-29 2001-02-27 Sanyo Electric Co., Ltd. Absorption type refrigerating machine
JP3851204B2 (ja) * 2002-03-28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JP4166037B2 (ja) * 2002-05-24 2008-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温水機
JP2005300126A (ja) * 2004-03-15 2005-10-27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JP2005282968A (ja) *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JP4390267B2 (ja) * 2004-08-30 2009-12-24 東京瓦斯株式会社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6250427A (ja) * 2005-03-10 2006-09-21 Yazaki Corp 吸収式冷凍機
JP2009085509A (ja) * 2007-09-28 2009-04-23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における低温熱交換器での高濃度吸収液結晶化防止方法
CN101619907B (zh) * 2009-07-24 2011-04-13 大连三洋制冷有限公司 一种高效率蒸汽双效溴化锂吸收式制冷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02923A (ja) 2011-10-13
KR101167800B1 (ko) 2012-07-25
CN102200357A (zh) 2011-09-28
CN102200357B (zh) 2013-07-17
JP5575519B2 (ja)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762B2 (en) Absorption-refrigerator
JP2023030204A (ja) 吸収式冷凍機および吸収式冷凍機の制御方法
KR101167800B1 (ko) 흡수식 냉동기
JP4287705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6486159B2 (ja) 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07388615B (zh) 吸收式制冷机
MXPA04010086A (es) Aparato y metodo para el control de flujo de soluciones diluidas en ciclos de absorcion de agua-amoniaco.
JP2012202589A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KR101171596B1 (ko) 흡수식 냉동기
JP5449862B2 (ja) 吸収式冷凍装置
KR101255955B1 (ko) 배기 가스열 회수기 및 흡수식 냉동기
JP4281967B2 (ja) 吸収冷温水機
JP2011094910A (ja) 吸収式冷凍機
JP7365612B2 (ja) 吸収式冷凍機、吸収式冷凍機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5967407B2 (ja) 吸収式冷温水機
KR100493598B1 (ko) 흡수식 냉동기
JP2010276244A (ja) 吸収式冷温水機
JP2003287314A (ja) 吸収式冷凍機
JP2010266170A (ja) 吸収式冷凍機
JP5456368B2 (ja) 吸収式冷凍機
JP6765056B2 (ja) 吸収式冷凍機
JP4330522B2 (ja) 吸収式冷凍機の運転制御方法
JP2011033261A (ja) 吸収式冷凍機
JP2004286244A (ja) 吸収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1094911A (ja) 吸収式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