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404A - 주차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404A
KR20110106404A KR1020117017123A KR20117017123A KR20110106404A KR 20110106404 A KR20110106404 A KR 20110106404A KR 1020117017123 A KR1020117017123 A KR 1020117017123A KR 20117017123 A KR20117017123 A KR 20117017123A KR 20110106404 A KR20110106404 A KR 2011010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power supply
parking spa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073B1 (ko
Inventor
모리오 오츠카
Original Assignee
아이에이치아이 운판키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이치아이 운판키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에이치아이 운판키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종래의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와, 차량을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기와, 복수의 차량에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해당 차량에 각각에 전력을 중계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계 회로와,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차량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는 급전 회로를 구비하고,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에 급전하는데 적합한 주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장치{Vehicle park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에 급전하는 구조에 특징이 있는 주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기계식 주차 장치가 이용된다.
기계식 주차 장치에는, 수직 순환식 주차 장치, 엘리베이터식 주차 장치, 지하식 주차 장치, 그 외가 있다.
입출고 스테이션이 이동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다.
차량은 입출고 스테이션에서 입출고를 한다.
근래, 화석 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차량 외에,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차량이 사용된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차량의 하나이다.
전기 자동차는 2차 전지에 축적한 전기를 사용하여 주행한다.
따라서 주차중에 2차 전지를 충전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있었다.
그러나 주차하는 차량의 모두가 전기 자동차는 아니며, 전기 자동차의 일부가 주차시에 급전을 희망한다.
또, 급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주차 시간보다 짧은 경우도 있다.
또한, 급전에 사용하는 급전 회로는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충분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 실개평6-0355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차량에 급전하는데 적합한 주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를, 복수의 상기 차량을 1대씩 각각 위치시킬 수 있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와,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기와, 복수의 차량에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해당 차량에 각각 전력을 중계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계 회로와,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차량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는 급전 회로를 구비하여,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가, 복수의 상기 차량을 1대씩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동 기기는,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 회로는, 복수의 차량에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해당 차량에 각각에 급전할 수 있다. 급전회로는,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차량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다.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복수의 주차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한 실시형태 중 어느 것, 또는 그들 중 2개 이상이 조합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주차 장치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하여 주차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追記)식으로 기록하며,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해, 제어 기기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하여 주차 장치를 제어한다.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한다.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공간인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기는, 차량을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과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해, 입출고 스테이션은,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기는, 차량을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과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한다.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입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상기 제어 기기가,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식별 코드와 예고된 상기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해,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식별 코드와 예고된 상기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종료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출고 시각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복수의 상기 중계 회로의 일부를 각각에 고정하는 복수의 중계회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기는, 상기 중계회로 고정구와 차량을 일체로서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중계회로 고정구는, 복수의 상기 중계 회로의 일부를 각각에 고정한다. 상기 이동 기기는, 상기 중계회로 고정구와 차량을 일체로서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를, 복수의 차량을 각각에 탑재 가능한 복수의 팔레트와, 복수의 팔레트를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인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와, 상기 팔레트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기와, 복수의 상기 팔레트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팔레트에 탑재된 차량의 각각에 전력을 중계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계 회로와,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상기 팔레트에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는 급전 회로와, 복수의 상기 팔레트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하여 주차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정지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팔레트는, 복수의 차량을 각각에 탑재 가능하다.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는, 복수의 팔레트를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 이동 기기는, 상기 팔레트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 회로는, 복수의 상기 팔레트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팔레트에 탑재된 차량의 각각에 급전할 수 있다. 급전 회로는,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상기 팔레트에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복수의 상기 팔레트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하여 주차 장치를 제어한다.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한다.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여 추출한다.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정지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복수의 주차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한 실시형태의 어느 것, 또는 그들 중 2개 이상이 조합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차량을 상기 팔레트에 탑재하여 입고 또는 상기 팔레트로부터 내려서 출고하는 공간인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기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과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상기 팔레트에 부여된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정지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 입출고 스테이션은, 차량을 상기 팔레트에 탑재하여 입고 또는 상기 팔레트로부터 내려서 출고하는 공간이다. 상기 이동 기기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과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한다.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상기 팔레트에 부여된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정지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식별 코드와 예고된 상기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식별 코드와 예고된 상기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종료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 결과,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는, 그 구성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가진다.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상기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고,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서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켜,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서 입고한 차량의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며,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상기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상기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여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고,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계 회로의 일부를 고정하는 상기 중계회로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기기가 상기 중계회로 고정구와 차량을 일체로서 이동시키는 형태로 하였으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고,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 상기 입출고 스테이션에서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켜, 입고 스테이션에서 입고한 차량의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며,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상기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상기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여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고,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에 급전하는 데 적합한 주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복수의 방식의 주차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한 쌍의 상하 이동공간을 좌우에 배치되는 형태로 보아, 왼쪽을 좌측, 오른쪽을 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복수의 방식의 주차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주차 장치는, 차량(5)을 주차시키는 장치이다.
도 7은, 엘리베이터 방식, 엘리베이터·슬라이드 방식, 평면 왕복 방식, 운반 격납 방식 등의, 각종의 방식의 주차 장치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팔레트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방식의 주차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이다.
설명의 편의상,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주차한 차량의 좌우 방향을 주차 장치의 좌우 방향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팔레트(10)는, 차량(5)을 각각에 탑재 가능한 부재이다.
예를 들면, 팔레트는, 위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의 윤곽을 가진 구조부재이다.
팔레트는, 차량(5)의 직사각형의 긴 변에 평행한 차바퀴를 안내하는 오목한 형상의 홈(構)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입출고 스테이션(20)은,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공간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입출고 스테이션(20)은, 차량(5)을 자주(自走)하여 팔레트(10)에 탑재시켜 차량(5)을 입고시키고, 차량(5)을 자주(自走)하여 팔레트(10)로부터 내려서 출고시켜도 좋다.
후술하는 주차 스페이스(30)는, 입출고 스테이션(20)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입출고 스테이션(20)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직접적으로 후술하는 주차 스페이스(30)에 입고시키고,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출고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주차 장치가 엘리베이터 방식인 경우에, 입출고 스테이션(20)은, 이동 기기(40)의 승강 장치의 승강하는 승강 공간(H)의 하부에 위치하는 공간이다.
주차 스페이스(30)는, 차량(5)을 1대씩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주차 스페이스(30)는, 복수의 팔레트를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어도 좋다.
주차 스페이스(30)는, 이동 기기(40)의 리프터(41)의 승강하는 승강 공간(H)의 좌우의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공간이다.
예를 들면, 주차 스페이스(30)에는, 팔레트(1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구비한다.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적어도 1개의 주차 스페이스(30)가, 후술하는 급전 주차 스페이스(31)가 된다.
이동 기기(40)는, 차량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팔레트(10)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20)을 구비하는 경우, 이동 기기(40)는, 차량(5)을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팔레트(10)를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동 기기(40)는, 승강 공간을 승강하는 리프터(41)와 리프터(41)에 탑재되고 리프터(41)와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이송 기기(도시하지 않음)이다.
중계 회로(50)는, 차량에 각각에 대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차량에 각각 전력을 중계할 수 있는 전기회로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중계 회로(50)는, 팔레트(10)에 각각 설치되어 팔레트(10)에 탑재된 차량의 각각에 급전할 수 있는 회로이다.
예를 들면, 중계 회로(50)는, 중계 단자(51)와, 중계 케이블(52)과, 중계 플러그(53)로 구성된다.
중계 단자(51)는, 후술하는 급전 단자(61)와, 쌍을 이루는 전기 부품이며, 팔레트(10)에 지지된다.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가 감합(嵌合)하면 서로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합한다.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가 이간(離間)하면, 서로의 단자가 떨어져, 전기적으로 절단된다.
도 3은,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의 조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의 한쪽은,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의 다른 쪽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안내부는, 급전 단자(61)에 설치되어 중계 단자(51)를 안내하는 나팔형의 형상이다.
이간되어 있는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가 접근하면, 안내부가 중계 단자(51)를 안내하고,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가 감합하여, 서로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가 감합할 때,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의 어느 쪽인가에 설치된 탄성 구조가,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의 서로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예를 들면, 탄성 구조는, 급전 단자(61)의 저부(底部)에 설치된 나선형 스프링(helical spring)이다.
팔레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차 스페이스(30)에 탑재되는 경우, 1개의 중계 단자(51)가 팔레트의 좌우의 한쪽에 지지된다.
도 2는, 1개의 중계 단자(51)가 팔레트(10)의 오른쪽에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팔레트(10)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주차 스페이스(30)에 위치시켰을 때에, 중계 단자(51)와 급전 단자(61)가 감합한다.
또는, 2개의 중계 단자(51)가 팔레트의 좌우에 각각에 지지된다.
중계 케이블(52)은 중계 단자(51)와 중계 플러그(53)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선 케이블이다.
중계 플러그(53)는 급전을 받아들이기 위해 차량(5)에 설치된 중계 소켓(6)에 감합하는 전기 부품이다.
급전 회로(60)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적어도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전력을 공급하고,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위치된 차량(5)에 대응하는 형태로 설치된 중계 회로(50)를 통하여 차량(5)에 급전할 수 있는 전기 회로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급전 회로(60)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적어도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전력을 공급하고,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위치된 팔레트(10)에 설치된 중계 회로(50)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는 전기 회로이다.
급전 회로(60)는, 급전 단자(61)와, 급전 케이블(62)과, 급전 박스(63)로 구성된다.
하나의 급전 단자(61)는, 하나의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를 구성하는 구조에 지지된다.
복수의 급전 주차 스페이스(31)가 설치되어도 좋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방식으로는, 팔레트(10)의 총 수는,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를 포함하는 주차 스페이스(30)의 총 수보다 적어도 하나 적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임의의 팔레트를 임의의 타이밍에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위치시킬 수 있다.
급전 케이블(62)은, 급전 단자(61)와 급전 박스(63)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기 케이블이다.
급전 박스(63)는, 차량(5)에 급전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급전 박스(63)는, 제어 기기(7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기기(70)는, 주차 장치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제어 기기(70)는, 제어 패널(71)과 제어 박스(72)로 구성된다.
오퍼레이터는 제어 패널(71)을 조작한다.
제어 박스(72)는, 후술하는 제어 회로를 내장한다.
제어 기기(70)는, 복수의 차량(5)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해도 좋다.
제어 기기(70)는, 복수의 팔레트(10)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해도 좋다.
팔레트(10)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팔레트에 탑재된 차량의 식별 코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주차 티켓에 기록된 관리 코드를 차량의 식별 코드라고 해도 좋다. 이 경우에, 관리 코드와 팔레트의 식별 코드를 대응시켜 기록한다.
주차 장치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60)가 중계 회로(50)를 통하여 차량(5)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또, 주차 장치는,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을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60)가 중계 회로(50)를 통하여 차량(5)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급전을 종료하면, 차량(5)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부터 다른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한다.
또는, 급전을 종료하면, 차량(5)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부터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 이동한다.
제어 기기(70)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追記)식으로 기록하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며,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또,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경우는, 제어 기기가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며,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팔레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제어 기기가,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팔레트를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며, 급전을 정지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또,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경우는, 제어 기기는,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에 부여된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팔레트를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며, 급전을 정지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회로는, CPU, 기억장치, 인터페이스, 그 외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는, 조작 패널(71), 이동 기기(40), 급전 회로(60), 그 외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에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은, 제어 기기에, 입고 접수기능, 주차기능, 출고 접수기능, 급전예약 접수기능, 식별코드 기록기능, 식별코드 추출기능, 차량 이동기능, 급전기능, 식별코드 삭제기능, 그 외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이하에서는, 팔레트(10)를 이용하고,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입고 접수기능)
차량을 주차시키고 싶은 취지의 의사 표시를 수신하여, 차량(5)을 입출고 스테이션(20)에 받아들인다.
빈 팔레트(10)가 입출고 스테이션(20)에 없는 경우에는, 이동 기기(40)에 의해 빈 팔레트(10)를 임의의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입출고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입고 게이트를 열고, 차량을 자주시켜, 팔레트(10) 위에 탑재한다.
(주차기능)
이동 기기(40)를 이용하여, 차량(5)을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부터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시킨다.
팔레트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동 기기(40)를 이용하여, 차량(5)을 탑재한 팔레트(10)를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부터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시킨다.
(출고 접수기능)
차량을 출고시키고 싶은 취지의 의사 표시를 수신한다.
이동 기기(40)를 이용하여, 출고 요구가 있었던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를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 이동시킨다.
출고 게이트를 열고, 차량을 자주시켜, 팔레트(10)로부터 내린다.
(급전예약 접수기능)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한다.
입출고 스테이션에 입고한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여도 좋다.
또, 이미 주차시킨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여도 좋다.
(식별코드 기록기능)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한다.
예를 들면,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주차 티켓에 기록된 관리 코드를 차량의 식별 코드로서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한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에,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해도 좋다. 이 경우,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가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에 미리 부여된 팔레트 번호를 식별 코드로서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에 미리 부여된 팔레트 번호를 차량의 식별 코드로서 대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해도 좋다.
(식별코드 추출기능)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기록된 순번이 빨리 기록된 순서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차량 이동기능)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한다.
또,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팔레트를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한다.
팔레트(10)가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면, 팔레트(10)에 고정된 중계 단자(51)와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고정된 급전 단자(6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동 기기(40)을 이용하여, 급전이 종료된 차량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부터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시킨다.
더욱이, 이동 기기(40)를 이용하여, 급전이 종료된 차량(5)이 탑재된 팔레트를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부터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시킨다.
팔레트(10)가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부터 이동하면, 팔레트(10)에 고정된 중계 단자(51)와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고정된 급전 단자(61)가 이간하여 전기적으로 절단된다.
(급전기능)
급전 회로(60)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한다.
(식별코드 삭제기능)
급전을 정지한 팔레트(10)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입고 접수기능과 주차기능과 출고 접수기능을,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급전예약 접수기능과 식별코드 기록기능과 식별코드 추출기능과 차량 이동기능과 급전기능과 식별코드 삭제기능을,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상기의 기능을 실시함으로써, 급전 요구가 있었던 복수의 차량을 순서 좋게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주차시켜 급전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와 같은 점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슬라이드 방식, 평면 왕복 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이다.
주차 장치는, 차량(5)을 주차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팔레트를 이용하는 평면 왕복 방식의 주차 장치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특별히 한정하지한정하지, 주차한 차량의 좌우 방향을 주차 장치의 좌우 방향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팔레트(10)와,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주차 스페이스(30)는, 차량(5)을 1대씩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주차 스페이스(30)는, 복수의 팔레트를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어도 좋다.
주차 스페이스(30)는, 후술하는 이동 기기(40)의 수평 주행기기(42)가 주행하는 주행로의 좌우의 공간에 주행로를 따라 배열된 공간이다.
예를 들면, 주차 스페이스(30)에는, 팔레트(10)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구q비한다.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적어도 1개의 주차 스페이스(30)는, 후술하는 급전 주차 스페이스(31)가 된다.
이동 기기(40)는, 차량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팔레트(10)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20)을 구비하는 경우, 이동 기기(40)는, 차량(5)을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팔레트(10)를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동 기기(40)는, 승강 공간을 승강하는 리프터(도시하지 않음)와, 수평 주행기기(42)와, 수평 주행기기와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이송 기기(transfer unit)(도시하지 않음)이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와 같은 점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는, 종래의 운반 격납식의 주차 장치에 본원의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이다.
주차 장치는, 차량(5)을 주차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팔레트를 이용하는 운반 격납 방식의 주차 장치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주차한 차량의 좌우 방향을 주차 장치의 좌우 방향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팔레트(10)와,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주차 스페이스(30)는, 차량(5)을 1대씩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주차 스페이스(30)는, 복수의 팔레트를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어도 좋다.
주차 스페이스(30)는, 후술하는 이동 기기의 수평 이송레일(43)과 수직 이송레일(44)을 따라 수평면상에 구형(矩形)으로 배치된 공간이다.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적어도 1개의 주차 스페이스(30)는, 후술하는 급전 주차 스페이스(31)가 된다.
도 6은, 급전 주차 스페이스(31)가 리프터의 승강하는 승강 공간(H)의 옆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있는 팔레트(10)를 제외하고, 복수의 팔레트(10)는 수평 이송과 수직 이송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수평면상을 순환한다. 리프터(45)에 의해, 승강 공간(H)의 위쪽에 위치하는 입출고 스페이스(도시하지 않음)와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차량을 이동시킨다.
또한, 수평 이송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차량을 이동시킨다.
이동 기기(40)는, 차량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팔레트(10)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20)을 구비하는 경우, 이동 기기(40)는, 차량(5)을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팔레트(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팔레트(10)를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동 기기(40)는, 1쌍(pair)의 수평 이송레일(43)과, 수평 이송기기(도시하지 않음)와, 1쌍의 수직 이송레일(44)과, 수직 이송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승강 공간(H)을 승강하는 리프터(45)로 구성된다.
수평 이송기기는, 복수의 팔레트(10)를 1쌍의 수평 이송레일(43)을 따라 수평으로 이송하는 기기이다.
수직 이송기기는, 1쌍의 팔레트를 1쌍의 수직 이송레일(44)을 따라 수직으로 이송하는 기기이다.
리프터(45)는, 수평 이송된 팔레트(10)를 탑재하여 승강 공간(H)을 승강하고, 차량을 입출고 스테이션(20)과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이동시키는 기기이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와 같은 점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차량(5)을 주차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팔레트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방식의 주차 장치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주차한 차량의 좌우 방향을 주차 장치의 좌우 방향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팔레트(10)와,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로 구성되어도 좋다.
제어 기기를 제외하고,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것과 같다.
제어 기기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追記)식으로 기록하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식별 코드와 예고된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식별 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또, 팔레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제어 기기는,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식별 코드와 예고된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식별 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팔레트를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제어 회로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은, 제어 기기에, 입고 접수기능, 주차 기능, 출고 접수기능, 급전예약 접수기능, 식별코드 기록기능, 출고시각 접수기능, 식별코드 기록기능, 식별코드 추출기능, 차량 이동기능, 급전기능, 식별코드 삭제기능, 그 외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입고 접수기능, 주차 기능, 출고 접수기능, 차량 이동기능, 급전예약 접수기능, 급전 개시기능, 급전 종료기능, 식별코드 삭제기능, 그 외의 기능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것과 같다.
(출고시각 접수기능)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시각이 예고되면, 식별 코드와 예고된 출고 시각을 대응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다.
(식별코드 추출기능)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또한,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통상은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기록된 순번이 빨리 기록된 순서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복수의 식별 코드 중에서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이 있으면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급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급전 필요시간으로서 미리 정하고, 출고시각보다 급전 필요시간만큼 사전의 급전 개시시각을 산출하여, 급전 개시시각이 현재 시각에 접근하면, 출고시각이 기록된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상기의 기능을 발휘하면, 통상은 급전 요구가 있었던 복수의 차량을 순서대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31)에 주차시켜 급전시킬 수 있고, 출고시각이 가까운 차량이 있는 경우에 출고시각이 가까운 차량을 우선하여 급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와 같은 점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차량(5)을 주차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방식의 주차 장치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주차한 차량의 좌우 방향을 주차 장치의 좌우 방향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로 구성된다.
주차 장치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와, 복수의 중계회로 고정구(80)로 구성되어도 좋다.
주차 장치는,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이동 기기(4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와, 복수의 중계회로 고정구(80)로 구성되어도 좋다.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복수의 중계 회로(50)와, 급전 회로(60)와, 제어 기기(70)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차 장치의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중계회로 고정구(80)는, 중계 회로의 일부를 각각에 고정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면, 중계 회로(50)의 중계 단자(51)와 중계 케이블의 일단이, 중계회로 고정구(80)에 고정된다.
중계회로 고정구(80)는 차량(5)에 탈착 가능해도 좋다.
예를 들면, 중계회로 고정구(80)는 차량(5)의 차바퀴에 탈착 가능하다.
중계회로 고정구(80)는 차량(5)에 대하여 위치결정 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중계회로 고정구(80)는, 차량(5)의 차바퀴의 고정핀(linchpin)을 겸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9는, 중계회로 고정구(80)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동 기기(40)는,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로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입출고 스테이션(20)을 구비하는 경우, 이동 기기(40)는,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입출고 스테이션(20)과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엘리베이터 방식의 경우는, 이동 기기(40)는, 승강 공간을 승강하는 리프터(41)와, 리프터(41)에 탑재되어 리프터(41)와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에 팔레트(10)를 이동할 수 있는 이송기기(도시하지 않음)이다.
예를 들면, 이동 기기(40)는, 벌집형의 구조(comb-shaped structure)에 의해,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지지할 수 있고, 입출고 스테이션(20)또는 주차 스페이스(30)와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를 이동시킨다. 주차 스페이스(30)는, 벌집형의 구조에 의해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지지하여, 차량(5)을 주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기기(40)는, 벨트 컨베이어형의 구조에 의해,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지지할 수 있고, 입출고 스테이션(20) 또는 주차 스페이스(30)와 주차 스페이스(30)의 사이를 이동시킨다. 주차 스페이스(30)는, 벨트 컨베이어형의 구조에 의해,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지지하여, 차량(5)을 주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는 주차 장치에 있어서도, 급전 요구를 수신한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의 주차 장치를 이용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복수의 차량(5)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에 두고,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여, 급전 회로(60)가 중계 회로(50)를 통하여 차량(5)에 급전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므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5)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여 급전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복수의 차량(5)을 순차적으로 급전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복수의 차량(5)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에 위치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고, 급전 회로(60)가 중계 회로(50)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복수의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 차량(5)을 입고 또는 출고시키고, 입고 스테이션(20)으로 입고한 차량(5)의 급전 예약을 수신하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복수의 차량(5)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30)에 위치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며,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며, 급전 종료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5)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을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여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고,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중계 회로의 일부를 고정하는 중계회로 고정구(80)를 이용하여, 이동 기기(40)가 중계회로 고정구(80)와 차량(5)을 일체로서 이동시키는 형태로 하였으므로,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는 형식의 주차 장치에서도,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중계회로 고정구(80)를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차량과 중계회로 고정구(80)를 일체로서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5)을 탑재한 팔레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고,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이 종료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를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입출고 스테이션(20)으로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키고, 입고 스테이션(20)으로 입고한 차량의 급전 예약을 수신하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제한 팔레트(10)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복수의 차량을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시켜,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급전 주차 스페이스(31)로 이동하고,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이 종료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를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30)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출고 시각이 예고되면 대기 테이블에 기록한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여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고, 급전 회로가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이 종료한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10)를 주차 스페이스(30)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므로, 차량(5)을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중에, 급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차량을 순차적으로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여 급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방식의 주차 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주차 장치에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급전 주차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복수의 급전 주차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주차요구하는 차량 중 여러(a few) 대의 차량이 급전 요구를 하여도 좋다.
또한, 급전 요구를 하는 차량 중 여러 대의 차량이 출고시각을 예고하여도 좋다.
또한, 입출고 스테이션이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의 외에 설치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가 입출고 스테이션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H. 승강 공간 5. 차량
6. 중계 소켓 10. 팔레트
20. 입출고 스테이션 30. 주차 스페이스
40. 이동 기기 41. 리프터
42. 수평 주행기기 43. 수평 이송레일
44. 수직 이송레일 45. 리프터
50. 중계 회로 51. 중계 단자
52. 중계 케이블 53. 중계 플러그
60. 급전 회로 61. 급전 단자
62. 급전 케이블 63. 급전 박스
70. 제어 기기 71. 조작 패널
72. 제어 박스 80. 중계회로 고정구

Claims (6)

  1.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을 1대씩 각각 위치시킬 수 있는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와,
    차량을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기와,
    복수의 차량에 각각에 대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해당 차량에 각각 전력을 중계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계 회로와,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차량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는 급전 회로를 포함하며,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하여 상기 주차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대기 테이블에 추기(追記) 식으로 기록하며,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의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식별 코드와 예고된 상기 출고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출고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을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중계 회로의 일부를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중계회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기가 상기 중계회로 고정구와 차량을 일체로 하여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
  5.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을 각각 탑재 가능한 복수의 팔레트와,
    복수의 팔레트를 각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인 복수의 주차 스페이스와,
    상기 팔레트를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와 다른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기와,
    복수의 상기 팔레트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팔레트에 탑재된 차량의 각각에 전력을 중계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계 회로와,
    복수의 상기 주차 스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차 스페이스인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에 위치된 상기 팔레트에 설치된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할 수 있는 급전 회로와,
    복수의 상기 팔레트의 각각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처리하여 상기 주차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차량마다 차량에의 급전을 희망하는 취지의 의사 표시인 급전 예약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을 탑재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테이블에 추기식으로 기록하며,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정지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급전 예약을 수신한 차량의 출고시각이 예고되면 상기 식별 코드와 예고된 상기 출고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대기 테이블에 기록된 복수의 상기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출고 시각이 가까운 것을 우선하는 형태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상기 급전 주차 스페이스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중계 회로를 통하여 차량에 급전을 개시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급전을 종료하고, 급전을 종료한 상기 팔레트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대기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장치.
KR1020117017123A 2008-12-26 2009-12-24 주차 장치 KR101266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3838A JP4703716B2 (ja) 2008-12-26 2008-12-26 駐車装置
JPJP-P-2008-333838 2008-12-26
PCT/JP2009/071404 WO2010074128A1 (ja) 2008-12-26 2009-12-24 駐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404A true KR20110106404A (ko) 2011-09-28
KR101266073B1 KR101266073B1 (ko) 2013-05-21

Family

ID=4228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123A KR101266073B1 (ko) 2008-12-26 2009-12-24 주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72046A4 (ko)
JP (1) JP4703716B2 (ko)
KR (1) KR101266073B1 (ko)
CN (1) CN102264988B (ko)
SG (1) SG172791A1 (ko)
WO (1) WO2010074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7504A1 (de) * 2009-12-04 2011-06-09 WAP Wöhr Automatikpark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arkanlage und Parkanlage
JP5639410B2 (ja) * 2010-08-17 2014-12-10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装置
JP5667902B2 (ja) * 2011-02-09 2015-02-12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装置
FR2981972A1 (fr) 2011-10-26 2013-05-03 Adm Concept Installation de parcage de vehicules automobiles
JP6019929B2 (ja) * 2012-08-24 2016-11-02 株式会社Ihi 移動式駐車設備
JP6150488B2 (ja) * 2012-10-10 2017-06-21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装置
JP6095946B2 (ja) * 2012-11-01 2017-03-15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CN106345182B (zh) 2013-04-15 2019-01-22 北越株式会社 空气过滤器用滤材、其制造方法及具备其的空气过滤器
JP6359262B2 (ja) * 2013-11-07 2018-07-18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装置
FR3019204B1 (fr) * 2014-03-28 2017-11-17 Soletanche Freyssinet Parking souterrain pour vehicules electriques
CN107599881B (zh) * 2014-11-10 2020-12-04 青岛特来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场电动汽车充电系统
CN104831966B (zh) * 2015-05-13 2017-05-10 江苏谦益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悬吊式立体停车库及其工作方法
CN108859802A (zh) * 2018-04-25 2018-11-23 许继电源有限公司 一种基于高空桥架安装方式的电动汽车充电系统
CN108819783A (zh) * 2018-08-01 2018-11-16 安徽朗停停车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充电功能的垂直升降类立体车库
ES2885190T3 (es) * 2018-09-26 2021-12-13 Siemens Ag Dispositivo de estacionamiento para vehículos eléctricos
JP7353760B2 (ja) * 2019-01-18 2023-10-02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充電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DE102019103933A1 (de) * 2019-02-15 2020-08-20 Hans Nussbaum Automatisiertes Parksystem für Fahrzeuge
JP2020139298A (ja) * 2019-02-27 2020-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搬送システム
CN110171317B (zh) * 2019-06-14 2021-08-10 西安特锐德领充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动充电方法及自动充电系统
JP2022155684A (ja) * 2021-03-31 2022-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535A (ja) 1992-07-15 1994-02-10 Meitec Corp 屋内移動ロボット
JP2908940B2 (ja) * 1992-08-03 1999-06-23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充電装置を具えた機械式駐車装置
CN2245645Y (zh) * 1995-06-07 1997-01-22 成都川江实业开发公司 一种立体结构的汽车停车库
JPH0916898A (ja) * 1995-06-30 1997-01-17 Toyota Motor Corp 駐車場の予約管理装置及び予約管理方法
JPH10153007A (ja) * 1996-11-21 1998-06-09 Shinmeiwa Eng Kk 機械式駐車設備の遠隔制御装置
TW448260B (en) * 1997-11-06 2001-08-01 Lg Ind Systems Co Ltd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JPH11311037A (ja) * 1998-04-28 1999-11-09 Honda Motor Co Ltd 車両共用システム
US6107942A (en) * 1999-02-03 2000-08-22 Premier Management Partners, Inc. Parking guidance and management system
US6662077B2 (en) * 1999-07-30 2003-12-09 Gerhard Haag Architecture for presen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an automated parking and storage facility
JP2001359203A (ja) * 2000-06-12 2001-12-26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立体駐車場の電気自動車充電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3269000A (ja) * 2002-03-13 2003-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場および駐車場制御方法
JP2003314074A (ja) * 2002-04-25 2003-11-06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設備
CN2568766Y (zh) * 2002-04-30 2003-08-27 冷定刚 直升式机械立体停车库
CN1293276C (zh) * 2004-07-19 2007-01-03 深圳职业技术学院 全自动立体车库
CN1730869A (zh) * 2005-09-02 2006-02-08 李泉洞 一种垂直升降式立体停车库
JP2008199752A (ja) 2007-02-09 2008-08-28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充電装置
JP5156583B2 (ja) * 2008-11-05 2013-03-06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4128A1 (ja) 2010-07-01
EP2372046A4 (en) 2017-03-08
CN102264988A (zh) 2011-11-30
KR101266073B1 (ko) 2013-05-21
JP2010156116A (ja) 2010-07-15
CN102264988B (zh) 2013-11-20
JP4703716B2 (ja) 2011-06-15
SG172791A1 (en) 2011-08-29
EP2372046A1 (en)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073B1 (ko) 주차 장치
JP5412016B2 (ja) 駐車装置
KR102062548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JP7464544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5754722B2 (ja) 機械式駐車装置
WO2010131615A1 (ja) 駐車装置
KR101521033B1 (ko)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KR102180875B1 (ko) 기계식 주차장용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JP2009050076A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CN114803331A (zh) 自动输送设备
JP735376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充電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5203288B2 (ja) 駐車装置
JP2010281103A (ja) 駐車装置
JP2016216999A (ja) 多階式駐車装置
JP2017190600A (ja) 駐車装置
JP2016160738A (ja) 機械式駐車場
KR100814097B1 (ko) 비접촉 급전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에이징 시스템
CN220209038U (zh) 上料装置及电芯入壳设备
KR20130000618U (ko) 무접촉 전원공급 장치가 적용된 알티비의 서랍식 픽업장치
CN114604547B (zh) 自动仓库系统
JP2021085277A (ja) 機械式駐車場
KR20240054963A (ko) 차량 충전 장치 및 기계식 주차 장치
JP2022035540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ITMO20120279A1 (it) Stazione di sostituzione e ricarica batterie per automezzi ad alimentazione elettrica
JP2012188886A (ja) 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