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131A -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131A
KR20110106131A KR1020100025376A KR20100025376A KR20110106131A KR 20110106131 A KR20110106131 A KR 20110106131A KR 1020100025376 A KR1020100025376 A KR 1020100025376A KR 20100025376 A KR20100025376 A KR 20100025376A KR 20110106131 A KR20110106131 A KR 2011010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upport
timing belt
c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952B1 (ko
Inventor
정종범
서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바코
(주)대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바코, (주)대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바코
Priority to KR102010002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9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베어가 소정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에 위치된 케이블베어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지지하여 케이블베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는 수평으로 왕복운동 되는 작동체에 부착되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케이블베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케이블베어 중 상부에 위치되는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Apparatus for preventing cableveyor's drooping and Cableveyo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베어가 소정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에 위치된 케이블베어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지지하여 케이블베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베어(cableveyor)는 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각종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에 설치되어 움직이는 작동체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유체를 이송시키는 호스 등을 손상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베어는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면서 이동되더라도 케이블케어의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 손상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케이블케어의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 부식되거나 화학제품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베어는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의 전체길이에 대해서 체인과 같은 작동을 하도록 다수개의 링크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베어는 일단이 작동체의 이동지점 중 대략 중심위치에 배치되고, 타단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면서 작동체에 연결된다. 그래서 작동체의 이동시 케이블베어의 타측영역은 단부가 작동체에 연결된 채로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케이블베어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케이블베어의 타측영역이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케이블베어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케이블베어의 타측영역이 아래로 처지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래서, 케이블베어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케이블베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베어의 이동지점에 케이블베어의 타측영역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설치하여 하였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체(10)와, 작동체(10)에 부착되는 케이블베어(20) 및 케이블베어(2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트(30)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베어(20)는 작동체(10)의 이동에 따라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케이블베어(20) 중 작동체(10)에 부착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케이블베어(21)라고 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측 케이블베어(22)라고 한다면, 상기 서포트(30)는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서포트(30)는 케이블베어(20)의 이동지점 하부에 고정되는 수단으로서, 케이블베어(20)가 소정각도로 휘어져서 작동체(10)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서포트(30)는 작동체(10) 이동범위의 전구간에 설치할 수 없고, 서포트(30)를 설치할 수 있는 영역(Y)과, 서포트(30)를 설치할 수 없는 영역(X)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대략 서포트(30)를 설치할 수 없는 영역(X)은 작동체(10) 이동범위 전구간의 절반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서포트(30)는 케이블베어(20)의 길이가 긴 경우에 작동체(10)가 출발된 다음부터 서포트(30)에 접하기 전까지 케이블베어(20)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도 1b 참고)
그래서 작동체(10)의 이동 거리가 긴 경우 케이블베어(20)의 처짐 현상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고, 작동체(10)의 이동 거리가 길어질수록 케이블베어(20)의 처짐 현상은 더욱 심하게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케이블베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서포트를 작동체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시킴에 따라 케이블베어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작동체의 거의 모든 이동영역에서 케이블베어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는 왕복운동 되는 작동체에 부착되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케이블베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의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작동체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작동체를 연결하는 작동체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서포트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서포트유닛를 연결하는 서포트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와 서포트 폴리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폴리의 외경은 상기 작동체 폴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폴리의 외경과 상기 작동체 폴리의 외경은 1:2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은 각각 작동체 타이밍 벨트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상부영역 또는 하부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동일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작동체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체 기어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작동체를 연결하는 작동체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서포트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서포트 기어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서포트유닛를 연결하는 서포트 연결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체 기어와 상기 서포트 기어는 서로 치합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체 기어의 피치수는 상기 서포트 기어의 피치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체 기어의 피치수와 상기 서포트 기어의 피치수는 1:2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은 각각 작동체 타이밍 벨트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상부영역 또는 하부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반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유닛은 작동체의 이동경로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케이블베어 중 상부에 위치되는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레일에서 활주되는 활주체와; 상기 활주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시스템은 왕복운동 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부착되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케이블베어와;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케이블베어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서 형성되는 절곡부의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왕복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유닛의 왕복운동량은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유닛의 왕복운동량은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량의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면서 상기 서포트유닛을 왕복운동시키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베어의 이동에 대응하여 함께 이동하는 서포트를 마련함에 따라 케이블베어의 길이에 상관없이 케이블베어의 모든 이동영역에서 케이블베어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베어의 손상, 소음발생, 이물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왕복운동 되는 작동체에 연동하여 서포트를 이동시킴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서포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베어의 길이에 상관없이 케이블베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거리 이송 설비에 케이블베어를 사용할 수 있어 설비 제작 금액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폴리, 서포트 폴리 및 서포트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타이밍 벨트, 서포트 타이밍 벨트,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서포트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기어, 서포트 기어, 작동체 폴리 및 서포트 폴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타이밍 벨트, 서포트 타이밍 벨트,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폴리, 서포트 폴리 및 서포트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타이밍 벨트, 서포트 타이밍 벨트,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설비는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체(100)와, 작동체(100)에 부착되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케이블베어(200)를 포함한다.
작동체(100)는 특정 기계에 한정되지 않고, 지면 또는 설비의 이동면에서 자체 구비되는 구동수단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으로 직선운동 되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기계 또는 설비가 되더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로봇, 반도체 설비, 크린 룸 설비, 컨베이어 이송 설비 등과 같은 각종 공작기계 또는 각종 산업기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작동체(100)에 부착되는 케이블베어(200)는 움직이는 작동체(100)에 접속된 케이블 또는 호스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일측 접속부(201)가 작동체(100)의 이동범위 중 대략 중심위치에 배치되고, 타단 접속부(203)는 작동체(100)에 연결되는 케이블베어(20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케이블베어의 일측 접속부(201)와 타측 접속부(203) 사이 중 일지점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케이블베어(200) 중 작동체(100)에 부착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케이블베어(210)라고 정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측 케이블베어(220)라고 정의하며, 소정각도로 구부러지는 부분을 절곡부(230)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작동체(100)의 전진방향, 즉 도 2의 +X 방향을 전방이라고 정의하고, 작동체(100)의 후진방향, 즉 도 2의 -X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베어(200)의 하부에는 상기 하측 케이블베어(220)를 안내하는 소정 형상의 가이드(24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는 작동체(100)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300)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30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400)과;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40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500)을 포함한다.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300)은 상기 작동체(100)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수단으로서, 한 쌍의 작동체 폴리(310)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310)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의 일지점과 상기 작동체(100)를 연결하는 작동체 연결블럭(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400)은 한 쌍의 서포트 폴리(410)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410)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의 일지점과 상기 서포트유닛(500)를 연결하는 서포트 연결블럭(430)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300)과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40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310)와 서포트 폴리(410)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 구동축(311)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작동체 폴리(310)와 서포트 폴리(41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330) 및 서포트 연결블럭(430)은 각각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의 상부영역 또는 하부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동일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330)이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 중 상부영역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도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 중 상부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330)이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도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작동체 폴리(310) 및 서포트 폴리(410)의 회전시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330)과 서포트 연결블럭(430)이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310)는 상기 작동체(100)가 왕복운동 되는 이동범위 전구간의 양측 영역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4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작동체 폴리(310)의 어느 하나와 Y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동일 구동축(311)에 설치되고, 서포트 폴리(410)의 다른 하나는 상기 작동체 폴리(310)의 다른 하나와 X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310) 사이 간격보다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410) 사이 간격이 좁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100)가 공정 출발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이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330)이 연결되는 위치보다 소정 간격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정 간격은 상측 케이블베어(210)가 서포트유닛(500)에 지지되지 않아도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서포트유닛(500)과 작동체(100)가 이격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작동체 폴리(310) 및 서포트 폴리(4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를 원하는 위치에서 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폴리(410)의 외경을 상기 작동체 폴리(3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작동체 폴리(310) 및 서포트 폴리(410)의 회전운동시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의 이동거리가 작동체 연결블럭(330)의 이동거리 보다 짧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폴리(410)의 외경과 상기 작동체 폴리(310)의 외경의 비율을 1:2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체 폴리(310) 및 서포트 폴리(410)의 회전운동시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의 이동거리가 작동체 연결블럭의 이동거리의 절반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작동체(100)가 전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서포트유닛(500)은 상기 작동체(100) 이동거리의 1/2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베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30)와 서포트유닛(500) 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서포트유닛(500)과 케이블베어(200)의 절곡부(230)가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서포트유닛(500)이 상측 케이블베어(210)를 지지하게 되어 상측 케이블베어(21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서포트유닛(500)은 작동체(100)의 이동경로와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510)과, 상기 레일(510)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케이블베어(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510)은 상기 서포트부(520)가 원활하게 왕복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작동체(100)의 이동경로와 Y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부(520)는 상기 레일(510)에서 활주되는 활주체(521)와, 상기 활주체(521)에 설치되어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5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523)은 별도의 지지바(524)에 의해 상기 활주체(521)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은 상기 서포트부(520)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주체(521)에 연결되면서 상기 활주체(521)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와 일체로 운동 되도록 한다.
상기 레일(510) 및 활주체(521)의 구현 방식은 상기 지지수단(523)을 작동체(10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LM가이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430)과 상기 활주체(521)의 연결구조는 상기 활주체(521)와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523)은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케이블베어(200)와의 접촉시 케이블베어(200)와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지지수단(523)은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에 접촉되어 직접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523)은 상기 케이블베어(200)의 총 길이에 대응하여 개수 및 상호 간의 간격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다수개의 지지수단(523)이 구비되는 경우 지지수단(523) 상호 간의 간격은 상기 케이블베어(200)가 지지수단(523) 사이에서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개의 지지수단(523) 중 최선단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지지수단(523) 사이의 거리는 케이블베어(200)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시작 전에는 작동체(100)가 출발위치, 즉 작동체(100)의 이동경로 중 최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블베어(200)는 대부분이 하측 케이블베어(22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작동체(100)에 부착된 부분 및 그 인근영역만 상측 케이블베어(21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그리고, 서포트유닛(500)은 최후미 지지수단(523a)이 상기 작동체(100)와 이격된 상태로 작동체(100)의 이동 경로 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서포트유닛(500)의 최후미 지지수단(523a)과 작동체(100)에 부착된 케이블베어(200)의 절곡부(230)는 X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A)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작동체 연결블럭(330)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되고, 서포트 연결블럭(430)도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된다.
그리고, 공정이 시작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10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작동체 연결블럭(330)에 의해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작동체 폴리(3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체 폴리(310)와 동일 구동축(311)으로 연결된 서포트 폴리(41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서포트 폴리(410)의 회전에 의해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서 서포트 연결블럭(430)에 의해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와 일체로 서포트유닛(500)도 작동체(10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체 폴리(310) 및 서포트 폴리(410)의 외경 차이에 의해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작동체(100)의 이동 거리와 서포트유닛(500)의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서포트 폴리(410)의 외경과 작동체 폴리(310)의 외경 비율이 1:2이기 때문에 작동체 타이밍 벨트(320)의 회전 속도가 서포트 타이밍 벨트(420)의 회전 속도보다 2배 빠르다. 이에 따라 작동체(100)가 이동되는 거리의 절반만큼만 서포트유닛(500)이 이동된다.
한편, 작동체(100)가 전진하는 동안 케이블베어(200)는 작동체(100)를 따라 이동되는데 이때 케이블베어(200)의 절곡부(230)는 케이블베어(200)의 형상 및 자중에 의해서 작동체(100)에서 점점 멀어지는 지점에서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작동체(100)의 이동거리의 절반 정도씩 작동체(100)에서 점점 멀어지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래서, 작동체(100)가 전진하면서 케이블베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30)와 서포트유닛(500)의 최후미 지지수단(523a) 사이의 간격(A)이 도 4a에 도시된 최초의 소정 간격(A)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정이 완료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100)가 도착위치, 즉 작동체(100)의 이동경로 중 최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블베어(200)는 대부분이 상측 케이블베어(21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되어 서포트유닛(500)에 의해 지지되고, 케이블베어(200)의 단부 및 그 인근영역만 하측 케이블베어(22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도 도 4b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케이블베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30)와 서포트유닛(500)의 최후미 지지수단(523a) 사이의 간격(A)은 최초의 소정 간격(A)을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서포트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기어, 서포트 기어, 작동체 폴리 및 서포트 폴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 타이밍 벨트, 서포트 타이밍 벨트,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비하면서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과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을 변경한 것이다. 이에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한편 이하 동일 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도 작동체(100)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600)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60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700)과;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70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800)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600)은 한 쌍의 작동체 폴리(610)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610)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610)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구동축(611)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체 기어(640)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의 일지점과 상기 작동체(100)를 연결하는 작동체 연결블럭(6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700)은 한 쌍의 서포트 폴리(710)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710)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710)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구동축(711)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서포트 기어(740)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의 일지점과 상기 서포트유닛(800)를 연결하는 서포트 연결블럭(730)을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600)과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700)은 수직방향, 즉 Z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 기어(640)와 상기 서포트 기어(740)는 서로 치합되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체 기어(640)와 상기 서포트 기어(74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작동체 폴리(610)와 서포트 폴리(710)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630) 및 서포트 연결블럭(730)은 각각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의 상부영역 또는 하부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반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630)이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 중 상부영역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730)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630)이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730)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 중 상부영역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작동체 폴리(610)와 서포트 폴리(71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630)과 서포트 연결블럭(730)이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610)는 상기 작동체(100)가 왕복운동 되는 이동범위 전구간의 양측 영역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710)는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61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그 상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작동체 폴리(610) 및 서포트 폴리(7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를 원하는 위치에서 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 폴리(610)의 외경과 서포트 폴리(710)의 외경은 같게 형성하면서, 상기 작동체 기어(640)의 피치수는 상기 서포트 기어(740)의 피치수보다 적게 형성하여 작동체 기어(640) 및 서포트 기어(7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체 폴리(610) 및 서포트 폴리(710)의 회전운동시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730)의 이동거리가 작동체 연결블럭(630)의 이동거리 보다 짧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체 기어(640)의 피치수와 상기 서포트 기어(740)의 피치수의 비율을 1:2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체 기어(640) 및 서포트 기어(740)의 회전운동시 상기 작동체 폴리(610) 및 서포트 폴리(710)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730)의 이동거리가 작동체 연결블럭(630)의 이동거리의 절반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작동체(100)가 전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서포트유닛(800)은 상기 작동체(100) 이동거리의 1/2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베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30)와 서포트유닛(800) 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서포트유닛(800)과 케이블베어(200)의 절곡부(230)가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서포트유닛(800)이 상측 케이블베어(210)를 지지하게 되어 상측 케이블베어(21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서포트유닛(800)은 작동체(100)의 이동경로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810)과, 상기 레일(810)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케이블베어(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8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810)은 상기 서포트부(820)가 원활하게 왕복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작동체(100)의 이동경로와 Y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부(820)는 상기 레일(810)에서 활주되는 활주체(821)와, 상기 활주체(821)에 설치되어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8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823)은 별도의 지지바(824)에 의해 상기 활주체(821)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730)은 상기 서포트부(820)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주체(821)에 연결되면서 상기 활주체(821)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와 일체로 운동 되도록 한다.
상기 레일(810) 및 활주체(821)의 구현 방식은 상기 지지수단(823)을 작동체(10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LM가이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연결블럭(730)과 상기 활주체(821)의 연결구조는 상기 활주체(821)와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823)은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케이블베어(20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베어(200)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지지수단(823)은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측 케이블베어(210)의 하부에 접촉되어 직접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823)은 상기 케이블베어(200)의 총 길이에 대응하여 개수 및 상호 간의 간격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다수개의 지지수단(823)이 구비되는 경우 지지수단(823) 상호 간의 간격은 상기 케이블베어(200)가 지지수단(823) 사이에서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개의 지지수단(823) 중 최선단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지지수단(823) 사이의 거리는 케이블베어(200)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시작 전에는 작동체(100)가 출발위치, 즉 작동체(100)의 이동경로 중 최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블베어(200)는 대부분이 하측 케이블베어(22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작동체(100)에 부착된 부분 및 그 인근영역만 상측 케이블베어(21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그리고, 서포트유닛(800)은 최후미 지지수단(823a)이 상기 작동체(100)와 이격된 상태로 작동체(100)의 이동 경로 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서포트유닛(800)의 최후미 지지수단(823a)과 작동체(100)에 부착된 케이블베어(200)의 절곡부는 소정 간격(A)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작동체 연결블럭(630)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 중 하부영역에 연결되고, 서포트 연결블럭(730)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 중 상부영역에 연결된다.
그리고, 공정이 시작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10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작동체 연결블럭(630)에 의해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작동체 폴리(6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체 폴리(610)와 동일 구동축(611)으로 연결된 작동체 기어(64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작동체 기어(64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서포트 기어(7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서포트 기어(740)와 동일 구동축(711)으로 연결된 서포트 폴리(7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서 서포트 연결블럭(730)에 의해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와 일체로 서포트유닛(800)도 작동체(10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체 기어(640) 및 서포트 기어(740)의 피치수 차이에 의해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작동체(100)의 이동 거리와 서포트유닛(800)의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서포트 기어(740)의 피치수와 작동체 기어(640)의 피치수의 비율이 1:2이기 때문에 작동체 타이밍 벨트(620)의 회전 속도가 서포트 타이밍 벨트(720)의 회전 속도보다 2배 빠르다. 이에 따라 작동체(100)가 이동되는 거리의 절반만큼만 서포트유닛(800)이 이동된다.
한편, 작동체(100)가 전진하는 동안 케이블베어(200)는 작동체(100)를 따라 이동되는데 이때 케이블베어(200)가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230)는 케이블베어(200)의 형상 및 자중에 의해서 작동체(100)에서 점점 멀어지는 지점에서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작동체(100)의 이동거리의 절반 정도씩 작동체(100)에서 점점 멀어지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래서, 작동체(100)가 전진하면서 케이블베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30)와 서포트유닛(800)의 최후미 지지수단(823a) 사이의 간격(A)이 도 7a에 도시된 최초의 소정 간격(A)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정이 완료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100)가 도착위치, 즉 작동체(100)의 이동경로 중 최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블베어(200)는 대부분이 상측 케이블베어(21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되어 서포트유닛(800)에 의해 지지되고, 케이블베어(200)의 단부 및 그 인근영역만 하측 케이블베어(220)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도 도 7b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케이블베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30)와 서포트유닛(800)의 최후미 지지수단(823a) 사이의 간격은 최초의 소정 간격(A)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작동체 200: 케이블베어
300,600: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 310,610: 작동체 폴리
320,620: 작동체 타이밍 벨트 330,630: 작동체 연결블럭
640: 작동체 기어
400,700: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 410,710: 서포트 폴리
420,720: 서포트 타이밍 벨트 430,730: 서포트 연결블럭
740: 서포트 기어
500,800: 서포트유닛 510,810: 레일
520,820: 서포트부 521,821: 활주체
523,823: 지지수단 524,824: 지지바

Claims (18)

  1. 왕복운동 되는 작동체에 부착되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케이블베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보다 작은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량의 1/2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작동체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작동체를 연결하는 작동체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서포트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서포트유닛를 연결하는 서포트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와 서포트 폴리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케이블 제어 처짐 방지 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폴리의 외경은 상기 작동체 폴리의 외경보다 작은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폴리의 외경과 상기 작동체 폴리의 외경은 1:2의 비율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7.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은 각각 작동체 타이밍 벨트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상부영역 또는 하부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동일하게 연결되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작동체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작동체 폴리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체 기어와,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작동체를 연결하는 작동체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은 한 쌍의 서포트 폴리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에 권취되어 회전운동 되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폴리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구동축으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서포트 기어와, 상기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일지점과 상기 서포트유닛를 연결하는 서포트 연결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체 기어와 상기 서포트 기어는 서로 치합되어 연동되는 케이블 제어 처짐 방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기어의 피치수는 상기 서포트 기어의 피치수보다 적은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기어의 피치수와 상기 서포트 기어의 피치수는 1:2의 비율인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11.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 연결블럭 및 서포트 연결블럭은 각각 작동체 타이밍 벨트 및 서포트 타이밍 벨트의 상부영역 또는 하부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반대로 연결되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작동체의 이동경로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케이블베어 중 상부에 위치되는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레일에서 활주되는 활주체와;
    상기 활주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14. 왕복운동 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부착되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되는 케이블베어와;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케이블베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베어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케이블베어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서 형성되는 절곡부의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왕복운동 되는 케이블베어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의 왕복운동량은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량보다 작은 케이블베어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의 왕복운동량은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량의 1/2인 케이블베어 시스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는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과;
    상기 작동체 타이밍 벨트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 되면서 상기 서포트유닛을 왕복운동시키는 서포트 타이밍 벨트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베어 시스템.
KR1020100025376A 2010-03-22 2010-03-22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KR10114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76A KR101142952B1 (ko) 2010-03-22 2010-03-22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76A KR101142952B1 (ko) 2010-03-22 2010-03-22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31A true KR20110106131A (ko) 2011-09-28
KR101142952B1 KR101142952B1 (ko) 2012-05-11

Family

ID=4542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76A KR101142952B1 (ko) 2010-03-22 2010-03-22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9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09B1 (ko) * 2012-04-20 2012-06-25 김두진 로보체인 시스템
KR20170004660A (ko) * 2015-07-03 2017-01-11 안두혁 벨트 처짐 방지 장치
KR20210084890A (ko) * 2019-12-30 2021-07-08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벨트 구동 자동문의 케이블 베어 구조
KR102337505B1 (ko) * 2021-04-14 2021-12-08 이정수 무빙 케이블
WO2023139733A1 (ja) * 2022-01-20 2023-07-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作業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135B1 (ko) * 2018-07-09 2019-12-10 신무현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KR102033384B1 (ko) 2018-10-22 2019-10-18 주식회사 루아시스템즈 케이블 곡률 제한 체인장치
KR102033390B1 (ko) 2018-10-23 2019-10-18 주식회사 루아시스템즈 케이블 베어
KR20200045396A (ko) 2019-06-25 2020-05-04 주식회사 루아시스템즈 케이블 곡률 제한 체인장치
KR20200045953A (ko) 2019-08-26 2020-05-06 주식회사 루아시스템즈 케이블 베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806A (ja) 1996-10-30 1998-05-19 Murata Mach Ltd 移載装置
JP2003279493A (ja) 2002-03-22 2003-10-02 V Technology Co Ltd 被検査体の搬送検査装置
KR20070073024A (ko) * 2006-01-03 2007-07-10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09B1 (ko) * 2012-04-20 2012-06-25 김두진 로보체인 시스템
KR20170004660A (ko) * 2015-07-03 2017-01-11 안두혁 벨트 처짐 방지 장치
KR20210084890A (ko) * 2019-12-30 2021-07-08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벨트 구동 자동문의 케이블 베어 구조
KR102337505B1 (ko) * 2021-04-14 2021-12-08 이정수 무빙 케이블
WO2023139733A1 (ja) * 2022-01-20 2023-07-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952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952B1 (ko)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CN101234701B (zh) 物品输送装置和物品位置误差检测方法
KR101196300B1 (ko) 사조 권취기
KR20060049255A (ko) 트랜스퍼 로봇
KR102539039B1 (ko) 산업용 로봇
JP2005254547A (ja) 成形品取出装置
JP2009012166A (ja) リニアガイド
TWI703786B (zh) 長形體及纜線等支持裝置
JP4341540B2 (ja) 三軸駆動装置
KR101338858B1 (ko)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핸드를 갖는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803669B (zh) 伸縮裝置
KR101682465B1 (ko) 기판이송로봇
KR100785606B1 (ko) 프레스 판넬 자동 이송장치
KR100524398B1 (ko) 갠트리로봇 이송장치
JP2018157713A (ja) ケーブル支持部材及びケーブル支持装置
JP2014198369A (ja) 搬送装置
JP2011106618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可動式ガイドローラ
JP630485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338857B1 (ko) 4개의 기판 지지부 갖는 기판 이송 장치
CN213355928U (zh) 多工位式输送结构
JP2016124089A (ja) ケーブル保護部材の支持装置
JP2006001658A (ja) 移載装置
CN112309932B (zh) 产业用机器人
KR101216634B1 (ko) 판재 이송 장치
JP7223289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