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109B1 - 로보체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보체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109B1
KR101159109B1 KR1020120041243A KR20120041243A KR101159109B1 KR 101159109 B1 KR101159109 B1 KR 101159109B1 KR 1020120041243 A KR1020120041243 A KR 1020120041243A KR 20120041243 A KR20120041243 A KR 20120041243A KR 101159109 B1 KR101159109 B1 KR 10115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astening
pin
link plate
robo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김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진 filed Critical 김두진
Priority to KR102012004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Abstract

본 발명은 로보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간의 결합 및, 상기 로보체인의 링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로보체인 시스템은, 2열로 배열된 다수의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의 전, 후단부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겹쳐진 부분에서 각 링크플레이트가 굴절되게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 결합하는 고정핀부가 구비되는 로보체인; 상기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내측인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와, 상기 맞대어진 부분인 각 가이드레일의 외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로보체인 시스템{robochain system}
본 발명은 케이블 및 공압 호스 등이 인입되어 사용되는 로보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간의 결합 및, 상기 로보체인의 링크플레이트와 링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보체인은 일정거리의 왕복 반복 운동이 요구되는 장치인 운반기계, 공작기계, 생산설비, 자동화 기계, 산업용 로봇, 크레인 등 각종 장치(이하, '기계장치'라고 함.)에 사용되는 케이블 및 유?공압호수, 전기배선(이하, '케이블'이라고 함) 등을 수용함은 물론 상기의 케이블을 진동 및 먼지, 외부 물체와의 접촉 등으로부터 보호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로보체인은 '케이블체인'이라고도 하며, 상기의 로보체인은 2열로 배열된 다수의 링크플레이트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됨과 함께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의 연결 부위가 굴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 내에 케이블이 위치한 로보체인이 설치된 기계장치를 운전하면, 상기 기계장치에서 왕복이동하는 장치부의 작동에 따라 로보체인이 펴지거나 굴절 즉, 2열로 배열된 각 링크플레이트의 연결 부위에서 각 링크플레이트가 일직선 되게 펴지거나 굴절되면서 상기 케이블을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2열로 다수의 링크플레이트가 연결 결합된 로보체인의 설치를 위해 이송시키고자 할 때 상기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내측인 각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내측 상부에 로보체인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보체인의 일측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로보체인의 각 링크플레이트와 접촉된 각 롤러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로보체인은 원활하게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각 가이드레일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보체인을 이송시키기 위한 거리가 멀 경우 상기 여러 개의 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단부 측을 용접 및 볼트 체결 방식 등으로 결합하는데, 상기 용접방식으로 연결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서로 맞닿거나 일정 부분이 겹쳐놓은 상태에서 용접작업함에 따라 상기 용접작업에 따른 불편함으로 인한 작업성 저하 및, 용접 불량으로 인한 용접부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볼트 체결 방식으로 연결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단부가 일정부분 겹쳐지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양단부 형상을 서로 달리 형성 즉, 가이드레일의 일단부에 다른 가이드레일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볼트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가이드레일이 겹쳐지는 부분에 의하여 상기 각 가이드레일 간의 간격(폭)이 일정하지 않음으로 상기 이송되는 로보체인의 유동이 발생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 인한 제작에 따른 작업성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인력이나 시간의 손실이 많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로보체인의 각 링크플레이트가 굴절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하는 구조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294호 '케이블체인의 링크플레이트 연결구'가 출원되어 있는바,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의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에서 링크플레이트의 고정홈부의 끼움홈으로 고정핀부의 끼움핀을 삽입한 후 상기 고정핀부를 회동시키면 상기 끼움홈에 연장된 회전연장홈의 조임턱이 상기 고정핀부에 형성된 돌부의 조임홈에 억지끼워짐에 따라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를 연결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를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여러 번의 작업 공정으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구성들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간이나 인력, 비용 등의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홈부에 고정핀부가 완전 체결되지 않거나 억지끼움되는 부분의 구성들이 마모되어 체결력의 저하될 경우 상기 고정홈부에서 고정핀부가 분리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294호(2002.10.0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맞대놓은 상태에서 상기 맞닿는 부분의 가이드레일 외측부를 감싸는 브라켓을 설치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브라켓을 볼트 체결함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상기 브라켓에 의해 각 가이드레일 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로보체인의 각 링크플레이트의 전, 후단부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고정핀부로 체결하여 링크플레이트 간의 체결력을 높임에 따라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는 겹쳐진 부분에서의 굴절가능하도록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수용 및 보호하도록, 2열로 배열된 다수의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의 전, 후단부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겹쳐진 부분에서 각 링크플레이트가 굴절되게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 결합하는 고정핀부가 구비되는 로보체인; 상기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내측인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과 다른 가이드레일을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일단과 다른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타단을 맞대놓은 상태에서 상기 맞대어진 부분인 각 가이드레일의 외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의 브라켓은, 지면에 접촉되어 브라켓을 지지고정하는 지지고정대와, 상기 지지고정대의 일단으로부터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외측부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상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각 가이드레일의 상단이 끼워져 삽입 결합되는 끼움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플레이트의 제1결합부와 다른 링크플레이트의 제2결합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제1결합부에 형성된 제1체결부의 제1체결공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의 각 링크플레이트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핀부가 결합되되, 상기 고정핀부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제1결합부와 다른 링크플레이트의 제2결합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의 제1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핀의 양단부가 각 링크플레이트의 외면에 각각 걸려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을 수용 및 보호하는 로보체인의 이송의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과 지지대, 롤러 및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브라켓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맞대놓은 상태에서 상기 맞닿는 부분의 가이드레일 외측부에 브라켓을 설치함은 물론 상기 가이드레일에 브라켓을 볼트 체결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의해 이송이 안내되는 로보체인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각 가이드레일 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송되는 로보체인은 2열로 배열된 다수의 링크플레이트와 지지고정대 및 삽입핀과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고정핀부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의 전, 후단부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일치되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체결공으로 삽입핀을 삽입함과 함께 상기 삽입핀 내로 고정핀을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고정핀부에 의해 각 링크플레이트가 겹쳐진 부분에서의 회동 및 굴절이 용이함은 물론 케이블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 간의 체결력이 높아지므로 인해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로보체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로보체인 시스템에서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로보체인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로보체인 시스템에서 가이드레일부에 로보체인이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로보체인의 링크플레이트와 링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 로보체인의 각 링크플레이트의 결합 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 로보체인의 각 링크플레이트를 정면과 후면에서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로보체인 시스템의 가이드레일부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로보체인 시스템의 가이드레일부를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보체인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운반기계나 공작기계 및 자동화 기계 등 왕복 반복 운동이 요구되는 각종 장치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및 유?공압호스, 전기배선(이하, '케이블'로 통칭함.) 등을 수용함은 물론 진동 및 먼지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보호 및 유지하도록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보체인 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케이블을 수용 및 보호하도록 절곡가능한 구조를 갖는 로보체인(10)과, 상기 로보체인(10)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2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로보체인(10)은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2열 형태로 배열되도록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11)는 상기 로보체인(10)을 필요한 길이만큼 형성 및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가 서로 절곡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2열 형태로 배열된 링크플레이트(11) 사이에는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고정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고정대(12)의 양단부는 한 쌍의 각 링크플레이트(11) 내면에 용접되거나 또는,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로보체인(1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11)를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11)의 전단부와 다른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11)의 후단부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겹쳐진 부분에서 각 링크플레이트(11)가 회동 및 굴절가능하도록 연결 결합하는 고정핀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는 도 4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전, 후단부에 제1,2결합부(110,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110)와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120) 또는, 링크플레이트(11)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120)와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110)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각 링크플레이트(11)는 연결 결합되어 진다.
상기 제1결합부(110)에는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1결합부(110)와 상기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결합부(12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후술할 고정핀부(13)의 삽입핀(130)이 삽입 체결되는 제1체결공(112)을 갖는 제1체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부(120)에는 상기 제1체결부(111)가 삽입되도록 제2체결공(122)을 갖는 제2체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부(111)의 제1체결공(112) 외측인 링크플레이트(11)의 외면에는 제1체결공(112)으로 삽입되는 후술할 고정핀부(13)의 삽입핀(130) 타측부가 위치하도록 제1체결공(1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체결공(112)과 제1삽입홈(113) 사이에는 후술할 삽입핀(130)의 타측부가 걸어지는 제1단턱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체결부(121)의 제2체결공(122) 외측인 링크플레이트(11)의 외면에는 후술할 고정핀(13)의 삽입핀(130) 일측부가 삽입 위치하도록 제2체결공(12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삽입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체결공(122)과 상기 제2삽입홈(123) 사이에는 후술할 삽입핀(130)의 일측부가 걸어지는 제2단턱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체결공(122)은 제1체결공(112)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삽입홈(123)은 제1삽입홈(113)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복수 개의 링크플레이트(11)를 회동 및 굴절가능한 형태로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하도록 하는 고정핀부(13)가 구비되어 있는데, 즉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1결합부(110)와 상기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결합부(120) 또는,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2결합부(120)와 상기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1결합부(11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부(121)의 제2체결공(122)으로 삽입되는 제1체결부(111)의 제1체결공(112)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를 회동 및 굴절 가능하도록 고정핀부(1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핀부(13)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1결합부(110)와 상기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결합부(12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110)의 제1체결부(111)에 형성된 제1체결공(112) 내로 삽입되는 삽입핀(130)과, 상기 삽입핀(130)에 형성된 삽입공(134)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핀(130)의 양단부가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외면에 각각 걸려져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핀(130)은 도 4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제1결합부(110)에 형성된 제1체결부(111)의 제1체결공(112)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삽입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131)의 중앙부에는 고정핀(140)이 삽입되는 삽입공(13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31)의 일측부에는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제2삽입홈(123)에 위치함은 물론 단턱부(124)에 접촉되는 헤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132)의 직경은 삽입부(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31)의 타측부에는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제1삽입홈(113)에 위치함은 물론 단턱부(114)에 접촉된 상태로 걸어지도록 상기 삽입부(1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핀(130)의 헤드부(132) 측에 위치하는 삽입공(134)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핀(140)의 타측부가 걸어지는 단턱(136a)을 갖는 걸림홈부(1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부(136)의 직경은 삽입공(13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핀(130)의 돌출부(133) 측에 위치하는 삽입공(134)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공(134) 내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140)의 일측부가 삽입공(134) 내로 밀려들어가지 않고 일정부분까지만 삽입되게 스토퍼 기능을 가짐은 물론 상기 고정핀(140)에 의해 삽입부(131)의 일측 외주면이 밀리면서 벌어지도록 단턱(137a)을 갖는 고정홈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31)의 외주면에는 삽입공(134)으로 삽입되는 고정핀(140)에 의해 상기 삽입핀(130)의 돌출부(133)가 상기 제1결합부(110)의 제1단턱부(114)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131)의 일측 외주면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135)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핀(140)은 도 4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핀(130)의 삽입부(131)에 형성된 삽입공(134)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몸체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41)의 일측부에는 상기 삽입공(134)에 형성된 고정홈부(137) 측의 단턱(137a)에 걸림과 함께 상기 삽입부(131)의 외주면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걸림돌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41)의 타측부에는 삽입공(134)에 형성된 걸림홈부(136) 측의 단턱(136a)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부(1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41)와 상기 걸림편부(143)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141)와 걸림편부(14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1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144)의 직경은 몸체부(14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몸체부(1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41)와 걸림편부(143)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핀(14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로보체인(1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20)는 도 1과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로보체인(10)의 폭보다 큰 크기의 폭을 가짐은 물론 상기 이송되는 로보체인(10)이 가이드레일부(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두 개의 레일이 평행하게 2열 형태로 배열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의 하단부는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부(20)에 안착되는 로보체인(10)과 가이드레일(21) 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의 상단부는 가이드레일부(2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 형성된 단부 측은 후술할 브라켓(24)의 끼움고정부(243)에 끼워지도록 가이드레일(21)의 하방 측으로 한번 더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1)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은 물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1)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의 내측인 각 지지대(22)의 양단부에는 로보체인(10)의 링크플레이트(11)에 외주면이 접촉됨은 물론 상기 로보체인(1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송하는 로보체인(10)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23)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를 필요한 길이만큼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21)을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의 일단과 다른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의 타단을 맞대놓은 상태에서 상기 맞대어진 부분인 각 가이드레일(21)의 외측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21)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브라켓(24)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4)은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지면에 접촉되어 브라켓(24)을 지지고정하도록 하는 지지고정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고정대(241)은 가이드레일부(20)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고정대(241)의 일단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21)의 외측부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고정대(241)와 직교되는 레일연결부(242)가 상기 지지고정부(241)로부터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연결부(242)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양단부가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체결공(21a)과 일치됨은 물론 상기 각 레일체결공(21a)과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도록 복수 개의 연결결합공(2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연결부(242)의 상단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21)의 상단부가 끼워져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고정부(243)이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고정부(243)는 가이드레일(21)의 상단부가 용이하게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1)의 두께와 동일한 치수 또는, 적은 치수의 내측홈을 갖는다.
상기 끼움고정부(243) 측인 브라켓(24)의 지지고정대(241)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상단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24)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 형성된 단부 측은 브라켓(24)의 하방 측으로 한번 더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번 더 절곡 형성된 단부 측은 가이드레일(21)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고정부(243)를 형성하도록 브라켓(24)의 상방 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로보체인(10)의 링크플레이트(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110)와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120)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 즉,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1체결부(111)를 상기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체결부(121)에 형성된 제2체결공(122)으로 삽입시켜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1결합부(110)와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결합부(120)가 겹쳐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체결부(121) 측으로부터 상기 링크플레이트(11)의 제1체결부(111)에 형성된 제1체결공(112) 내로 고정핀부(13)의 삽입핀(130)을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삽입되는 삽입핀(130)의 삽입부(131) 일측부에 형성된 헤드부(132)는 다른 링크플레이트(11)의 제2체결부(121)에 형성된 제2체결공(122)와 제2삽입홈(123) 사이에 형성된 제2단턱부(124)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삽입핀(130)의 삽입부(131) 타측부에 형성된 돌출부(133)는 링크플레이트(11)의 제1체결부(111)에 형성된 제1체결공(112)과 제1삽입홈(113) 사이에 형성된 제1단턱부(114)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핀(130)의 삽입부(131)에 형성된 삽입공(134)으로 상기 고정핀부(13)의 고정핀(140)을 삽입하면, 상기 고정핀(140)의 몸체부(141)는 삽입핀(130)의 삽입공(134)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34) 내로 삽입되는 고정핀(140)의 걸림돌부(142) 외경은 상기 삽입부(131)의 삽입공(134) 내경보다 큼은 물론 고정홈부(137)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삽입되는 걸림돌부(142)가 고정홈부(137)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부(142)는 삽입부(131)의 일측 외주면을 외측으로 밀면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개부(135)에 의해 삽입부(131)의 외주면은 외측으로 보다 쉽게 밀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131)의 고정홈부(137) 내주면과 상기 걸림돌부(142)의 외주면은 밀착된 상태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공(134)으로 삽입된 걸림돌부(142)는 상기 삽입공(134) 측에 형성된 고정홈부(137)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134)과 고정홈부(137)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137a)에 걸려 고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핀(140)의 걸림편부(143)는 삽입공(134)을 지나 상기 삽입핀(130)의 헤드부(132) 측에 삽입공(134)과 걸림홈부(136)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136a)에 걸려 고정된다.
즉, 상기 삽입핀(130)의 삽입공(134)은 상기 돌출부(133)에서 헤드부(132) 측으로 갈수록 내경을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헤드부(132) 측인 삽입공(134)의 내주면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핀(140)의 걸림편부(143)가 삽입공(134)으로 삽입되어 헤드부(132)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핀(140)을 헤드부(132) 측으로 밀어 상기 헤드부(132) 측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그러면, 상기 헤드부(132) 측으로 빠져나온 고정핀(140)의 걸림편부(143)는 상기 삽입핀(130)의 걸림홈부(136)에 위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공(134)과 걸림홈부(136)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136a)에 걸려 고정된다.
그럼에 따라, 상기 삽입핀(130)과 고정핀(140)으로 이루어진 고정핀부(13)에 의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11)와 다른 링크플레이트(11)가 서로 연결됨은 물론 회동 및 굴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 개의 링크플레이트(11)를 견고하게 상호 연결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복수 개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된 링크플레이트(11)를 2열 형태로 배열한 다음 상기 2열 형태로 배열된 링크플레이트(11) 사이에 지지고정대(12)를 위치시켜 상기 지지고정대(12)의 양단부를 각 링크플레이트(11)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는 고정핀부(13)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원하는 형태로 굴절가능한 구조를 갖는 로보체인(1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로보체인(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로보체인(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치 또는, 보관하기 위한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부(20)를 이용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부(2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21)을 서로 연결 결합한다.
즉,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21) 양단부가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 즉,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21)의 일단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다른 가이드레일(21)의 타단이 접촉되어 맞대어지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맞대어진 부분의 각 가이드레일(21)의 상단부를 브라켓(24)의 끼움고정부(243)에 끼워지도록 삽입함과 함께 상기 각 가이드레일(21)의 외측면에 상기 브라켓(24)의 레일연결부(242)가 밀착 접촉되게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각 가이드레일(2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레일체결공(21a)과 상기 브라켓(24)의 레일연결부(242)에 형성된 연결결합공(242a)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일치된 레일체결공(21a)과 연결결합공(242a)으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24)으로 각 가이드레일(21)의 맞대어진 부분을 견고하게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4)의 지지고정대(241)를 지면에 체결부재로 체결하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24)을 지면에 결합함과 함께 상기 각 가이드레일(21)의 저면을 지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24)에 의해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21)이 연결 결합된 가이드레일부(2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의 내측 상부에 로보체인(10)을 위치 즉, 상기 가이드레일부(20)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21) 내측에 상기 로보체인(10)의 각 링크플레이트(11)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11)의 저면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의 지지대(22) 양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23) 외주면에 얹혀지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로보체인(10)의 일측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로보체인(10)의 각 링크플레이트(11) 저면과 접촉된 각 롤러(23)가 지지대(2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므로 상기 회전하는 각 롤러(23)에 의해 상기의 로보체인(10)은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이송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보체인 시스템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로보체인 11: 링크플레이트
12: 지지고정대 13: 고정핀부
20: 가이드레일부 21: 가이드레일
21a: 레일체결공 22: 지지대
23: 롤러 24: 브라켓
110,120: 제1,2결합부 111,121: 제1,2체결부
112,122: 제1,2체결공 113,123: 제1,2삽입홈
114,124: 제1,2단턱부 130: 삽입핀
131: 삽입부 132: 헤드부
133: 돌출부 134: 삽입공
135: 절개부 136: 걸림홈부
137: 고정홈부 136a,137a: 단턱
140: 고정핀 141: 몸체부
142: 걸림돌부 143: 걸림편부
144: 연결대 241: 지지고정대
242: 레일연결부 242a: 연결결합공
243: 끼움고정부

Claims (7)

  1. 케이블을 수용 및 보호하도록, 2열로 배열된 다수의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의 전, 후단부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겹쳐진 부분에서 각 링크플레이트가 굴절되게 상기 각 링크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 결합하는 고정핀부가 구비되는 로보체인;
    상기 로보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내측인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과 다른 가이드레일을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일단과 다른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타단을 맞대놓은 상태에서 상기 맞대어진 부분인 각 가이드레일의 외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의 브라켓은, 지면에 접촉되어 브라켓을 지지고정하는 지지고정대와, 상기 지지고정대의 일단으로부터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레일의 외측부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레일연결부의 상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각 가이드레일의 상단이 끼워져 삽입 결합되는 끼움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부에 로보체인이 설치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로보체인 간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각 가이드레일의 상단부는 가이드레일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절곡된 단부 측은 가이드레일의 하방 측으로 한번 더 절곡 형성되고,
    브라켓의 상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절곡된 단부 측은 브라켓의 하방 측으로 한번 더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한 번 더 절곡된 단부 측은 가이드레일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고정부를 형성하도록 상방 측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브라켓은 착탈가능하도록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로보체인의 링크플레이트 전단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후단부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에는 제1체결공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1체결공과 제1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다른 링크플레이트의 제1체결부가 삽입되는 제2체결공을 갖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체결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삽입홈과, 상기 제2체결공과 제2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단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링크플레이트의 제1결합부와 다른 링크플레이트의 제2결합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제1결합부에 형성된 제1체결부의 제1체결공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의 각 링크플레이트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핀부가 결합되되,
    상기 고정핀부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제1결합부와 다른 링크플레이트의 제2결합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의 제1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핀의 양단부가 각 링크플레이트의 외면에 각각 걸려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핀부의 삽입핀은, 제1체결부의 제1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제2체결부의 제2삽입홈에 위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체결부의 제1삽입홈에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헤드부 측인 삽입공에 형성되어 고정핀의 타측부가 걸어지도록 단턱을 갖는 걸림홈부와, 상기 돌출부 측인 삽입공에 형성되어 고정핀의 일측부가 위치되도록 단턱을 갖는 고정홈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부의 고정핀은, 삽입핀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단턱에 걸림과 함께 상기 삽입부의 일측 외주면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걸림돌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어 걸림홈부의 단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부와, 상기 고정핀의 몸체부와 걸림편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걸림편부를 연결 결합하도록 몸체부보다 작은 직경의 연결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시스템.
KR1020120041243A 2012-04-20 2012-04-20 로보체인 시스템 KR10115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43A KR101159109B1 (ko) 2012-04-20 2012-04-20 로보체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43A KR101159109B1 (ko) 2012-04-20 2012-04-20 로보체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109B1 true KR101159109B1 (ko) 2012-06-25

Family

ID=4668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243A KR101159109B1 (ko) 2012-04-20 2012-04-20 로보체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1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72B1 (ko) * 2014-04-16 2015-01-14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CN104495266A (zh) * 2014-12-24 2015-04-08 济南二机床集团有限公司 顶板链地沟自动覆盖机构
KR101860825B1 (ko) 2016-08-04 2018-05-25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체인의 이동 가이드 조립체
KR101905376B1 (ko) 2016-12-05 2018-10-05 송완진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레일
CN114568823A (zh) * 2022-02-28 2022-06-03 深圳诺博医疗科技有限公司 推车外设装置支撑组件以及推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024A (ko) * 2006-01-03 2007-07-10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KR20070115598A (ko) * 2006-06-01 2007-12-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KR20110106131A (ko) * 2010-03-22 2011-09-28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024A (ko) * 2006-01-03 2007-07-10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KR20070115598A (ko) * 2006-06-01 2007-12-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KR20110106131A (ko) * 2010-03-22 2011-09-28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72B1 (ko) * 2014-04-16 2015-01-14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WO2015160032A1 (ko) * 2014-04-16 2015-10-22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CN104495266A (zh) * 2014-12-24 2015-04-08 济南二机床集团有限公司 顶板链地沟自动覆盖机构
KR101860825B1 (ko) 2016-08-04 2018-05-25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체인의 이동 가이드 조립체
KR101905376B1 (ko) 2016-12-05 2018-10-05 송완진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레일
CN114568823A (zh) * 2022-02-28 2022-06-03 深圳诺博医疗科技有限公司 推车外设装置支撑组件以及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109B1 (ko) 로보체인 시스템
US9197052B2 (en) Umbilical member guide device at front end part of wrist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EP1714751B1 (en) Deformable structure and cable support system
KR101196888B1 (ko)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JP5414704B2 (ja)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772922B1 (ko) 케이블 지지 가이드
CN103052589A (zh) 用于引导软管和/或线缆的装置
KR101703495B1 (ko)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JP6528794B2 (ja) ドライブチェーンのリンク組付装置及びリンク組付方法
JP2005147293A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KR20180029646A (ko) 다기능 체인유닛
KR20220113750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JP2012104258A (ja) 組立図板装置
KR101996784B1 (ko) 작업용 다관절 로봇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KR102464643B1 (ko) 다관절 지지부재
KR100724053B1 (ko) 비닐하우스용 호스운반구
CN105108770A (zh) 一种抓取装置
KR101830647B1 (ko) 케이블 트레이
JP5670385B2 (ja) 吊下げ搬送用具
JP2012115098A (ja) ケーブルクランプユニット
KR20200009404A (ko) 다관절 지지부재
KR200449262Y1 (ko) 자동이송장치용 레일의 연결구
KR200280302Y1 (ko) 케이블 보호용 체인
KR100460521B1 (ko)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의 결합구조
CN105108769B (zh) 一种抓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