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302Y1 - 케이블 보호용 체인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302Y1
KR200280302Y1 KR2020020006344U KR20020006344U KR200280302Y1 KR 200280302 Y1 KR200280302 Y1 KR 200280302Y1 KR 2020020006344 U KR2020020006344 U KR 2020020006344U KR 20020006344 U KR20020006344 U KR 20020006344U KR 200280302 Y1 KR200280302 Y1 KR 200280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ver member
main body
side plat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석
Original Assignee
고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은석 filed Critical 고은석
Priority to KR2020020006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30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산업용 기계나 컴퓨터 관련기기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의 외측에서 이들을 안내 지지할 수 있게 감싸도록 설치되어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가 부착된 기계와 물체를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하면서 케이블이나 호스를 보호하여 주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보호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하부 연결리브(11)의 양측단에 상측 직각방향으로, 상단부의 내측면에 "T"형으로 돌설한 체결봉(13)과 상면으로부터 측면외측으로 직각으로 관통하는 걸림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에는 각각의 결합공(14) 및 결합돌기(15)가 형성된 측판(12)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체결봉(13)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측은 길이방향 개방되고 개방된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개된 결합홈(21)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홈(14)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된 커버부재(2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공(14) 및 결합돌기(15)를 이용하여 본체(10)를 연속적으로 복수개 결합시 본체(10)의 꺽임이 커버부재(20)방향으로 유동이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기에 설치시 커버부재가 작업하기에 용이토록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케이블의 설치 및 보수시 걸림홈에서 분리 회동된 커버부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용 체인{Cable protective chain}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용 기계나 컴퓨터 관련기기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의 외측에서 이들을 안내 지지할 수 있게 감싸도록 설치되어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가 부착된 기계와 물체를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하면서 케이블이나 호스를 보호하여 주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보호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기계나 컴퓨터 관련기기(이하 "기기"라 통칭함)에는 그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선이나 에어관 또는 유압관과 같은 여러 종류의 케이블 등이 배선되어 진다.
이러한 배선들은 기기의 작동시 같이 유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기기와 접촉이 있게 되며 걸림현상으로 인해 기기의 고장 및 오작동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지지, 안내하도록 보호구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보호구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케이블 등을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형태인 다수의 지지구를 체인형태로 연결한 것으로 케이블체인(cableveyor)이 다수 제공된 바 있다.
도 3은 종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사용상태 저면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은 상면의 연결리브(110) 양측단 아래에 직각방향으로, 하단부에 체결봉(130)과 걸림홈(140)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에는 각각의 결합공(150) 및 결합돌기(160)가 형성된 측판(120)으로 구성되는본체(100)와, 상기 체결봉(130)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홈(210)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홈(14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된 커버부재(200)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은 상기 측판(120)에 형성된 각 결합공(150) 및 결합돌기(160)를 사용하여 필요 길이만큼 다수개를 체결 연결하여 사용되며, 각 기기에 설치한 후 본체(100)의 내측 공간부로 케이블을 인입시킨 다음 커버부재(200)를 회동시켜 고정하면 설치 공정이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은 결합공(150)과 결합돌기(160)에 의해 연속되게 체결된 체인의 꺽임이 연결리브(110)방향으로만 유동이 있게 되어 설치시 커버부재(200)가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의 교체나 보수시 커버부재(200)의 일측을 걸림홈(140)에서 이탈시켜 체결봉(130)을 축으로 하여 회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도 4와 같이 회동된 커버부재(200)가 자중에 의해 상기 체결봉(130)에서 쉽게 이탈되어 아래로 빠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분실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커버부재(200)가 작업자 측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아 작업 위치가 불편하여 이로 인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설치시 커버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며 그 꺽임방향이 연결리브의 반대방향으로만 유동이 되게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결합시 본체의 꺽임이 커버부재방향으로 유동이 있게 하여 체인의 설치시 커버부재가 외측으로 회동되게 하여 케이블의 보수시 커버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 커버부재가 작업자에게 노출되게 함으로써 케이블 보수의 편리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보호용 체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사용상태 저면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본체 11. 연결리브
12. 측판 13. 체결봉
14. 걸림홈 15. 결합공
16. 결합돌기 17. 멈춤돌기
18. 유동공간부 19. 원형 자리면
20. 커버부재 21. 결합홈
22. 걸림돌기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케이블의 보수작업이 용이토록 한 케이블 보호용 체인은, 하부 연결리브의 양측단에 상측 직각방향으로, 상단부의 내측면에 "T"형으로 돌설한 체결봉과 상면에서 측면외측으로 관통하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에는 각각의 결합공 및 결합돌기가 형성된 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체결봉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측은 길이방향 개방되고 개방된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개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일정 두께를 가진 측판(12)에는 좌우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내외로 각각 형성하되, 결합공(15)이 형성된 쪽은 측판(12)의 내면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형성하며 결합돌기(16)가 형성된 쪽은 측판(12)의 외면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형성하여 본체(10)의 복수개 결합시 측판(12)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하되, 상기 원형자리면(19)의 외측, 즉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각각 바깥방향의 측판에는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중심위로 유동공간부(18)를 형성하고 유동공간부(18)의 반대편 측판(12)의 내측면에는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중심에 멈춤돌기(17) 각각 형성하여, 복수개 결합시 본체(10)의 꺽임이 커버부재(20)방향으로 소정각도 유동이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블 보호용 체인을 기기에 설치시 커버부재가 작업하기에 용이토록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케이블의 설치 및 보수시 걸림홈에서 분리 회동된 커버부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없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사시도이다.
도면부호 10은 크게 연결리브(11)와 측판(12)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부에 케이블을 인입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본체이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바닥면을 이루는 연결리브(1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리브(11)의 폭방향 양측단에는 각기 상측 직각방향으로 두 개의 측판(12)이 대칭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측판(12) 상단부의 내측면에는 "T"형으로 돌설한 체결봉(13)이 형성되고, 또하나의 측판(12)에는 상면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였다가 측면외측으로 관통되는 걸림홈(14)이 각각 형성된다. 또 측판(12)의 좌우에는 각각의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10)를 복수개 결합시 상호 압입결합시킴으로서 필요 길이만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판(12)은 일정 두께를 가지고 좌우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내외로 각각 형성하되, 결합공(15)이 형성된 쪽은 측판(12)의 내면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형성하며 결합돌기(16)가 형성된 쪽은 측판(12)의 외면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형성하여 본체(10)의 복수개 결합시 측판(12)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하며 결합돌기(16)를 축으로 하여 상호 회동이 용이토록 결합한다.
이때 측판(12)의 원형자리면의 외측, 즉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각각 바깥쪽의 측판에는 유동공간부(18)를 형성하고 유동공간부(18)의 반대편 측판(12)의 내측면에는 멈춤돌기(17)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여 본체(10)의 회동시 소정각도만큼만 꺽일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20은 상기 체결봉(13)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측은 길이방향 개방되고 개방된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개된 결합홈(21)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홈(14)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된 커버부재(20)를 나타낸다.
커버부재(20)는 본체(10)의 내부공간부에 인입된 케이블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토록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케이블을 인입한 후 회동시켜 상기 걸림홈에 끼워 결합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로써 안정되게 본체(10)내에 인입된 케이블을 작동되는 기기로부터 지지 및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은 복수개 결합시 꺽임이 커버부재(20) 방향으로 유동이 있게 되어 기기에 장착시 커버부재(20)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버부재(20)의 분리 회동시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작업하기가 용이하며 또 커버부재(20)를 회동시켰을 때 커버부재(20)의 회동방향이 상측 및 수평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커버부재(20)가 쉽게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케이블 보호용 체인은 기기에 설치시 커버부재가 작업하기에 용이토록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케이블의 설치 및 보수시 걸림홈에서 분리 회동된 커버부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부 연결리브(11)의 양측단에 상측 직각방향으로, 상단부의 내측면에 "T"형으로 돌설한 체결봉(13)과 상면으로부터 측면외측으로 직각으로 관통하는 걸림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에는 각각의 결합공(14) 및 결합돌기(15)가 형성된 측판(12)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체결봉(13)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측은 길이방향 개방되고 개방된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개된 결합홈(21)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홈(14)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된 커버부재(2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공(14) 및 결합돌기(15)를 이용하여 본체(10)를 연속적으로 복수개 결합시 본체(10)의 꺽임이 커버부재(20)방향으로 유동이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용 체인.
  2. 제 1항에 있어서, 측판(12)은 일정 두께를 가지고 좌우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내외로 각각 형성하되, 결합공(15)이 형성된 쪽은 측판(12)의 내면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형성하며 결합돌기(16)가 형성된 쪽은 측판(12)의 외면에 단차진 원형 자리면(19)을 형성하여 본체(10)의 복수개 결합시 측판(12)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하되, 상기 원형자리면(19)의 외측, 즉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각각 바깥방향의 측판에는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중심위로 유동공간부(18)를 형성하고 유동공간부(18)의 반대편 측판(12)의 내측면에는 결합공(15) 및 결합돌기(16)의 중심에 멈춤돌기(17) 각각 형성하여, 복수개 결합시 본체(10)의 꺽임이 커버부재(20)방향으로 소정각도 유동이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용 체인.
KR2020020006344U 2002-03-05 2002-03-05 케이블 보호용 체인 KR200280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44U KR200280302Y1 (ko) 2002-03-05 2002-03-05 케이블 보호용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44U KR200280302Y1 (ko) 2002-03-05 2002-03-05 케이블 보호용 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302Y1 true KR200280302Y1 (ko) 2002-07-02

Family

ID=7311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344U KR200280302Y1 (ko) 2002-03-05 2002-03-05 케이블 보호용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3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413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059670B1 (ko) 2006-09-04 2011-08-2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458201B1 (ko) * 2013-04-26 2014-11-13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케리어용 커버 결합구조
KR102108898B1 (ko) * 2018-12-14 2020-05-11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케이블 체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670B1 (ko) 2006-09-04 2011-08-2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20110010413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98079B1 (ko) * 2009-07-24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58201B1 (ko) * 2013-04-26 2014-11-13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케리어용 커버 결합구조
KR102108898B1 (ko) * 2018-12-14 2020-05-11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케이블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304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9464689B2 (en) Energy chain, particularly for clean room applications
KR20200000990U (ko)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JP2006292171A (ja) 導管結合体
JP2008275059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0280302Y1 (ko) 케이블 보호용 체인
KR101996784B1 (ko) 작업용 다관절 로봇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KR102127264B1 (ko)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US20170191588A1 (en) Integrated Safety Clamp
KR102115248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159109B1 (ko) 로보체인 시스템
KR102464741B1 (ko) 산업 로봇 아암에 대한 부착을 위한 공급 파이프 및/또는 공급 라인을 위한 부착 장치
CN101743427A (zh) 用于在软管管道与连接配件之间的特别是压配合连接的安全装置
KR20220113750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0727361B1 (ko)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 베어 시스템
JP2012210089A (ja) 落下防止具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081010B1 (ko) 전선보호 케이블 베어
JP2019171530A (ja) ロボットへの線条体追加敷設方法およびロボット
US3483608A (en) Pipe and pipe section assembly and disassembly tool
JP2018050653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KR101324034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145760B1 (ko) 비계 구조물용 보호 캡
KR19980011572U (ko) 중장비용 유압호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