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598A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 Google Patents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598A
KR20070115598A KR1020070036280A KR20070036280A KR20070115598A KR 20070115598 A KR20070115598 A KR 20070115598A KR 1020070036280 A KR1020070036280 A KR 1020070036280A KR 20070036280 A KR20070036280 A KR 20070036280A KR 20070115598 A KR20070115598 A KR 20070115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guide device
protection guide
sk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704B1 (ko
Inventor
쓰토무 이와미
후지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07011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스케이트 유닛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원활히 대응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킨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케이블류(C)를 케이블 고정단부(G1)와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굴곡 안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스케이트 유닛 (110)을 복수 배치하여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상방 보호안내부분(G4)과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전동 주행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에 있어서, 스케이트 유닛(110)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J)이 스케이트 유닛(110)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다.

Description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SKATING TRUCK FOR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의 사용형태도와 그 주요부 확대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와 그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와 그 주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의 평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개요도.
도 7은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의 사용형태도와 그 주요부 확대도.
도 8은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110, 210, 310 : 스케이트 유닛(Skate unit)
111, 211, 311 : 유닛 프레임(Unit frame)
112, 212 : 연결블록(Connecting block)
312 :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Connecting side plate)
113 : 연결용 옆걸기축(Connecting bridge shaft)
213 : 연결용 외팔보축(Connecting cantilever shaft)
213a : 머리부(Head portion)
213b : 원통부
213c : 나사부
313 : 연결 핀
114, 214, 314 : 롤러
115 : 와셔
315 : 분할 핀
116 : 나사
J : 유닛연결수단
400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410 : 스케이트 유닛
412 : 롤러
413 : 사이드 프레임
414 : 연결블록
415 : 고정볼트
G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Ga : 측면판
Gb : 연결로드(Connecting rod)
G1 : 케이블 고정단부(Cable fixing end portion)
G2 : 하방 보호안내부분
G3 :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
G4 : 상방 보호안내부분
G5 : 케이블 이동단부
C : 케이블류
X : 빈틈
본 발명은, 공작기계, 전자기기, 산업용 로봇, 운반기계 등에 사용되어, 이들 이동하는 기계, 혹은 기계의 이동부에 급전, 급액, 급기(給氣) 등을 실시하는 전선케이블, 광파이버 케이블, 유체공급호스 등의 가요성의(Flexible)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하, 단순히 '케이블류'라고 칭한다)을 안전하게 확실히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한 것은, 케이블류를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하여 케이블 고정단부와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서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Cable-folded portion)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굴곡 안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스케이트 유닛을 복수 배치하여 상기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상방 보호안내부분과 하방 보호안내부분과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전동 주행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Skating truck)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 토목기계, 반송장치 등의 이동체에 케이블류를 접속하면, 이동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케이블류에 무리한 비틀림이나 굴곡, 인장력이 생겨 케이블류를 손상시키거나 원활한 이동에 지장이 생기거나 하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블류를 수납하여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류(C)를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하여 케이블 고정단부(G1)와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서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보호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케이블류(C)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Ga)과, 이 측면판(Ga)의 굴곡 바깥둘레측 및 굴곡 안둘레측에 각각 옆걸기되는 연결로드(Gb)로 구성된 링크체(Link body)가, 케이블류(C)를 안에 삽입한 상태로, 케이블 길이방향에 굴곡 반지름을 일정 이상으로 규제하여 다수 연결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류(C)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는, 케이블 고정단부 (G1)와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 분(G3)을 통하여 케이블 길이방향에 구부려 젖혀져 긴 이동 스트로크로 이동하는 경우,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상방 보호안내부분 (G4)과, 그 아래쪽의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의 굴곡 안둘레면끼리가 접촉 미끄럼운동하여, 원활한 이동 스트로크가 저해되거나 상호의 접촉마모에 의해 파손되기 쉬워지는 사태가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 도 7에 나타내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이러한 직접 접촉을 회피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40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표 2005-515370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4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케이트 유닛(410)을 다수 연결하여 사용되고, 게다가 이 스케이트 유닛(410)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에 의해서 상하방향에서 끼워 지지되는 전후좌우의 합계 4개의 롤러(412)와, 이들 롤러(41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3,413)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3,413)을 소정의 폭으로 유지함과 함께, 전후의 스케이트 유닛(410)의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블록(414)과, 이 연결블록(414)에 나사홈으로 파인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는 4개의 고정볼트(415)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400)는, 전후에 위치하는 스케이트 유닛(410)이 서로 연결블록(414)으로 접속되고, 그 연결블록(414)에 나사홈으로 파인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는 고정볼트(415)에 의해서 완전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 유닛(410)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대응하지 못하여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에 구부림이 있으면, 도 8에 나타내는 스케이트 유닛(410)에 무리한 힘이 생겨 변형이나 파손을 일으켜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이트 유닛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원활히 대응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킨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제공하는 것에 있다.
우선,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케이블류를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하여 케이블 고정단부와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굴곡 안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스케이트 유닛을 복수 배치하여 상기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상방 보호안내부분과 하방 보호안내부분과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전동 주행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 유닛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 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을 축으로 지지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 설치한 연결용 옆걸기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에 고정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돌출설치시킨 연결용 외팔보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게다가,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병렬 배치된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 유닛 프레임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헐겁게 끼우게 한 연결 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의 사용형태도와 그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와 그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작기계, 전자기기, 산업용 로봇, 운반기계 등의 이동부에 급전, 급액, 급기 등을 실시하는 전선케이블, 광파이버케이블, 유체공급 호스 등의 가요성의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하, 단순히 '케이블류'라고 칭한다)을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하여 케이블 고정단부(G1)와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서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안전하게 확실히 보호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류(C)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Ga)과, 이 측면판(Ga)의 굴곡 바깥둘레측 및 굴곡 안둘레측에 각각 옆걸기되는 연결로드(Gb)로 구성된 링크체가 케이블류(C)를 안에 삽입한 상태로,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굴곡 반지름을 일정 이상으로 규제하여 다수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에 적용하는 것이다.
게다가, 그 사용형태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 1의 케이블류 보호안 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는, 도 1에 나타내는 좌우 한 쌍에서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G)의 굴곡 안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스케이트 유닛(110)을 복수 배치하고, 이러한 서로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110)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과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G)의 가로방향의 왕복이동을 따라서 전동 주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1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스케이트 유닛(110)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J)이 스케이트 유닛(110,110)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연결수단(J)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케이트 유닛(11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111,111)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X)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112)과, 이 연결블록(112)을 축으로 지지하여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111,111) 사이에 설치한 연결용 옆걸기축(113)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어 전동 주행하는 복수의 롤러(114)를 축으로 지지한 유닛 프레임(111)과, ⊃자 형상 단면을 갖는 강판제의 연결블록(112)은, 이것들에 각각 구멍이 뚫려진 삽입 관통구멍에 한 개의 연결용 옆걸기축(113)을 삽입 관통시켜, 이 연결용 옆걸기축 (113)의 양단부에 와셔(115)를 통하여 나사(116)로 고정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상술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X)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111,111) 사이에 확보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 1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연결용 옆걸기축(113)을 중심으로 한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111,111)과 연결블록(112)과의 상하방향의 상대굴곡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110,110)의 상호간에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하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서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111,111)과 연결블록(112)과의 연결용 옆걸기축(11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빈틈(X)의 범위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110,110)의 상호간에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는, 스케이팅 유닛(110) 자체에 생기기 쉬운 무리한 변형이나 파손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케이트 유닛(110)의 설치상태이더라도 메인터넌스작업을 필요로 하는 스케이트 유닛(110)을 보수 가능한 위치에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메인터넌스 작업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200)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200)는, 상술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굴곡 안둘레측에 복수의 스케이트 유닛(210)을 배치하고,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좌우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G)의 가로방향의 왕복이동에 따라 전동 주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2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스케이트 유닛(210)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J)이 스케이트 유닛 (210,210)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연결수단(J)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케이트 유 닛(21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211,211)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X)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212)과, 이 연결블록(212)에 고정하여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211,211)에 대해서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돌출설치시킨 연결용 외팔보축(213)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어 전동 주행하는 복수의 롤러(214)를 축으로 지지한 유닛 프레임(211)과 강판제의 연결블록 (212)과는, 단차가 진 볼트(Stepped bolt)로 이루어지는 연결용 외팔보축(213)이 유닛 프레임(211)을 통하여 연결블록(212)에 나사로 연결 고정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상술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X)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211,211) 사이에 확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 외팔보축(213)으로 이루어지는 단차가 진 볼트는, 머리부(213a), 원통부(213b), 나사부(213c)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211,211)에는, 연결용 외팔보축(213)이 되는 단차가 진 볼트의 원통부(213b)가 삽입 관통하는 크기의 삽입 관통구멍이 구멍이 뚫려져 있다. 게다가, 상기 원통부 (213b)의 길이는, 적어도, 유닛 프레임(211)의 두께보다 빈틈(X)분만큼 길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 2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200)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 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연결용 외팔보축(213)을 중심으로 한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211,211)과 연결블록(212)과의 상하방향의 상대굴곡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210,210)의 상호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하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211,211)에 대해서 연결용 외팔보축(21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빈틈의 범위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210,210)의 상호간에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200)는, 상술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와 같이, 스케이트 유닛(210) 자체에 생기기 쉬운 무리한 변형이나 파손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어, 게다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케이트 유닛(210)의 설치상태이더라도 메인터넌스 작업을 필요로 하는 스케이트 유닛(210)을 보수 가능한 위치에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메인터넌스 작업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실시예 3]
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300)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300)는, 상술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200)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굴곡 안둘레측에 복수의 스케이트 유닛 (310)을 배치하여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G)의 가로방향의 왕복이동을 따라서 전동 주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3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스케이트 유닛(310)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J)이 스케이트 유닛 (310,310)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연결수단(J)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케이트 유닛(31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311,311)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X)을 남기고 병렬 배치된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 (312,312)와, 이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312,312)와 유닛 프레임 (311,311)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헐겁게 끼우게 한 연결 핀(313)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하방 보호안내부분(G2)과 상방 보호안내부분(G4)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어 전동 주 행하는 복수의 롤러(314)를 축으로 지지한 유닛 프레임(311)과 강판제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312)는, 이것들에 각각 구멍이 뚫린 삽입 관통구멍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헐겁게 끼우게 한 연결 핀(313)을 삽입 관통시켜, 이 연결 핀(313)의 양단부에 분할 핀(315)을 꽂아 넣고 고정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상술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X)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311,311) 사이에 확보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 3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300)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311,311)과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312)와의 연결 핀(313)을 중심으로 한 상하방향의 상대 굴곡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310)의 상호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311,311)과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312)와의 연결 핀(31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빈틈의 범위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310,310)의 상호간에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300)는, 상 술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100,200)와 같이, 스케이트 유닛 (310) 자체에 생기기 쉬운 무리한 변형이나 파손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G)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G3)과 케이블 이동단부(G5)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케이트 유닛(310)의 설치상태이더라도 메인터넌스 작업을 필요로 하는 스케이트 유닛(310)을 보수 가능한 위치에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메인터넌스 작업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본 발명은, 케이블류를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하여 케이블 고정단부와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서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굴곡 안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스케이트 유닛을 복수 배치하여 상기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상방 보호안내부분과 하방 보호안내부분과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전동 주행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특유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스케이트 유닛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이,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스케이트 유닛과 유닛연결수단과의 상 하방향의 상대 굴곡에 의해서 흡수하여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스케이트 유닛과 유닛연결수단과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여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에 유연성을 발휘하여 스케이트 유닛 자체에 생기기 쉬운 무리한 변형이나 파손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케이트 유닛의 설치상태이더라도 그 메인터넌스 작업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2에 따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유닛연결수단이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을 축으로 지지하여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 설치한 연결용 옆걸기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과 연결블록과의 연결용 옆걸기축을 중심으로 한 상하방향의 상대 굴곡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에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서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과 연결블록과의 연결용 옆걸기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빈틈의 범위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에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유닛연결수단이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에 고정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돌출설치시킨 연결용 외팔보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과 연결블록과의 연결용 외팔보축을 중심으로 한 상하방향의 상대 굴곡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에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연결용 외팔보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빈틈의 범위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 간에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 4에 따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유닛연결수단이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병렬 배치된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 이들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 유닛 프레임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헐겁게 끼우게 한 연결 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다소의 상하이동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과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의 연결 핀을 중심으로 한 상하방향의 상대 굴곡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에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의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구부려 젖혀진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과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 다소의 사행에 의한 구부림이 있었다고 해도, 이 구부림에 의한 구부림변형을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과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의 연결 핀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빈틈의 범위 내에서의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연결된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에 좌우방향으로 옆으로 어긋난 연결형태를 나타내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4)

  1. 케이블류를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하여 케이블 고정단부와 케이블 이동단부와의 사이에 차례차례 형성되는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지면서 보호 안내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굴곡 안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스케이트 유닛을 복수 배치하여 상기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케이블 구부려 젖힌 부분을 통하여 구부려 젖혀진 상방 보호안내부분과 하방 보호안내부분과의 상호 접촉을 회피하면서 전동 주행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 유닛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호굴곡과 좌우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의 상호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을 축으로 지지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 설치한 연결용 옆걸기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 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배치된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에 고정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돌출설치시킨 연결용 외팔보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연결수단이, 상기 스케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유닛 프레임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빈틈을 남기고 병렬 배치된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연결용 사이드 플레이트와 유닛 프레임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헐겁게 끼우게 한 연결 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KR1020070036280A 2006-06-01 2007-04-13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KR101030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3741A JP4209431B2 (ja) 2006-06-01 2006-06-01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ティング台車
JPJP-P-2006-00153741 2006-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98A true KR20070115598A (ko) 2007-12-06
KR101030704B1 KR101030704B1 (ko) 2011-04-26

Family

ID=3865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280A KR101030704B1 (ko) 2006-06-01 2007-04-13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43731B2 (ko)
JP (1) JP4209431B2 (ko)
KR (1) KR101030704B1 (ko)
CN (1) CN101082361B (ko)
DE (1) DE10200702559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09B1 (ko) * 2012-04-20 2012-06-25 김두진 로보체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559B2 (ja) * 2005-07-08 2010-06-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JP4598619B2 (ja) * 2005-07-19 2010-12-1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JP4757288B2 (ja) * 2008-08-28 2011-08-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JP4963307B2 (ja) * 2008-10-30 2012-06-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JP4963308B2 (ja) * 2008-11-20 2012-06-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JP5618933B2 (ja) * 2011-07-25 2014-11-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414820B2 (ja) * 2012-02-27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4014206A (ja) * 2012-07-03 2014-01-23 Disco Abrasive Syst Ltd 伝達線固定部材
CN103470693B (zh) * 2013-09-27 2015-04-29 浙江时代计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超长型三坐标测量机的拖链
US9173312B1 (en) * 2014-04-30 2015-10-27 Quanta Computer Inc. Cable storage under a drawer
US11329470B2 (en) 2018-01-19 2022-05-10 Junkosha Inc. Supporting member, conduit supporting device, and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CN110510451A (zh) * 2019-09-03 2019-11-29 同济大学 宽体滑轮
DE202020100699U1 (de) * 2020-02-10 2020-05-13 Igus Gmbh Räumlich verfahrbar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sowie Rolleneinheit und Führungskörper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4307A (en) * 1974-10-01 1976-07-28 Borjesson Kv Chain construction
JPS5947151B2 (ja) * 1980-07-02 1984-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始動手段付発電機直結フライホイ−ル装置
JPS5895132U (ja) 1981-12-21 1983-06-2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ブルドラツグチエ−ン装置
US4462565A (en) * 1983-01-17 1984-07-31 Lockheed Corporation Erectable and retractable support for rolling conductor track
US4789120A (en) * 1986-03-27 1988-12-06 Kidde, Inc. Carrier track system for extensible and retractable boom machines
JPH03287391A (ja) * 1990-03-31 1991-12-18 Daikin Ind Ltd 直交座標ロボット
US5649415A (en) * 1995-02-02 1997-07-22 Hubbell Incorporated Power supply chain and chain carriage system
JPH09247834A (ja) * 1996-03-12 1997-09-19 Copal Co Ltd ケーブル保護ケースの支持機構
JPH10220533A (ja) * 1997-02-13 1998-08-21 Fuji Eng Kk 可撓性長尺物の保護装置
CN1239833C (zh) * 1998-05-05 2006-02-01 Igus工业用注压件有限公司 能量导引链条
IT250490Y1 (it) * 2000-09-29 2003-09-10 Mauri Giovanni Carro per catena portacavi
FR2835034A1 (fr) * 2002-01-18 2003-07-25 Kabelschlepp France Dispositif de decharge d'efforts pour chaines porte-cables
DE102004050148A1 (de) * 2004-10-15 2006-06-01 Kabelschlepp Gmbh Tragwagen für eine Energieführungseinheit sowie Energieführungsvorrichtung
JP4493559B2 (ja) 2005-07-08 2010-06-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JP4598619B2 (ja) 2005-07-19 2010-12-1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09B1 (ko) * 2012-04-20 2012-06-25 김두진 로보체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09431B2 (ja) 2009-01-14
KR101030704B1 (ko) 2011-04-26
CN101082361B (zh) 2011-05-11
US7343731B2 (en) 2008-03-18
US20070277499A1 (en) 2007-12-06
DE102007025599A1 (de) 2007-12-06
DE102007025599B4 (de) 2012-10-25
CN101082361A (zh) 2007-12-05
JP2007321902A (ja)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70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JP449355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US7373770B2 (en) Skate unit for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8561949B2 (en) Articulated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JP2009052714A (ja) ケーブル保護チェーンの破損検知システムおよび破損検知方法
JP2007024213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JP4963307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US20210231194A1 (en) Elongate object guiding device, and roller attachment
US8061493B2 (en) Power conducting system for long distances
KR101905376B1 (ko)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레일
KR20120060527A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CN210196660U (zh) 一种减少管道应力的吊座
CN105826796A (zh) 布设装置
CN217328294U (zh) 拖链行走防护装置
CN111196527A (zh) 一种长行程重型拖链运行装置
KR101860825B1 (ko) 케이블 체인의 이동 가이드 조립체
CN210838908U (zh) 一种防尘排管拖链
KR101785986B1 (ko) 케이블 안내장치
CN211046314U (zh) 电缆拖拽轨道导向装置及导向轨道总成
KR19990005558U (ko) 이동설비의 케이블 및 호스 정렬장치
CN219413413U (zh) 拖链装置及作业机械
KR0125958Y1 (ko) 중장비의 호스벤딩부위 처짐방지용 고정구
CN213831174U (zh) 外置独立式刀具冷却装置
JP4000016B2 (ja) ケーブルベアのクランプ装置
KR200158724Y1 (ko) 슬래그 포트 대차의 전원케이블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