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634B1 - 판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634B1
KR101216634B1 KR1020110050703A KR20110050703A KR101216634B1 KR 101216634 B1 KR101216634 B1 KR 101216634B1 KR 1020110050703 A KR1020110050703 A KR 1020110050703A KR 20110050703 A KR20110050703 A KR 20110050703A KR 101216634 B1 KR101216634 B1 KR 101216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crew shaft
moving member
mov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092A (ko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2011005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7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transport devices
    • B65H2301/4471Grippers, e.g. moved in paths enclosing an area
    • B65H2301/44718Grippers, e.g. moved in paths enclosing an area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판재 이송 장치는,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1 스크류 축, 제1 스크류 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제1 스크류 축의 나선형 홈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2 스크류 축, 제1 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크류 축을 따라 판재의 이송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부재, 제2 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제2 스크류 축을 따라 제1 이동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부재, 및 제1 스크류 축과 제2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선택적으로 판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재 이송 장치 {APPARATUS FOR TRANSFERRING PLATE MATERIAL}
본 발명은 판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보다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다양한 형상의 판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판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재를 이송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커팅 블레이드와 같은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거나 절곡하기 위해서는 커팅 장치 또는 절곡 장치에 판재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판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판재의 일면에 롤러를 접촉시켜 롤러의 회전으로 판재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통상적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롤러를 사용하면 판재의 일면에 롤러 자국이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롤러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구조를 채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구조가 매우 불안정하여 판재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판재 이송 장치는 이송 가능한 판재의 형상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판재의 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판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가 판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롤러와 판재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져서 판재가 안정적으로 이송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다양한 형상의 판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재의 이송 중에 판재에 롤러 자국을 남기지 않는 판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판재 이송 장치는,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1 스크류 축, 제1 스크류 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제1 스크류 축의 나선형 홈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2 스크류 축, 제1 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크류 축을 따라 판재의 이송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부재, 제2 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제2 스크류 축을 따라 제1 이동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부재, 및 제1 스크류 축과 제2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선택적으로 판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상기 제1 스크류 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크류 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스크류 축과 상기 제2 스크류 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판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판재를 사이로 상기 지지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판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판재의 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상기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판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종점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종점은 상기 제2 시점과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판재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 판재를 클램핑하여 교대로 상기 판재를 상기 판재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보다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다양한 형상의 판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판재의 이송 중에 판재에 롤러 자국이 남지 않으며, 이동 부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판재 이송 장치에 판재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5의 판재 이송 장치에 판재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판재 이송 장치에 판재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가이드 부재(110), 제1 이동 부재(130) 및 제2 이동 부재(1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판재라 함은 주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재료를 말한다. 이러한 판재는 통상 띠 형상(스트립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판재 이송 장치를 통해 계속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가이드 부재(110)는 판재의 이송 방향(t)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후술할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를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10)는 가이드 부재(110)의 회전 운동을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150)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판재 이송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10)는,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1 스크류 부분(112)과, 제1 스크류 부분(112)의 나선형 홈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2 스크류 부분(11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10)에는 동일한 부재 내에 오른나사와 유사한 형태로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왼나사와 유사한 형태로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이동 부재(130)는 제1 스크류 부분(112)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제1 스크류 부분(112)에 맞물려서 이동하는 제1 베이스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하게 제2 이동 부재(150)는 제2 스크류 부분(116)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제2 스크류 부분(116)과 맞물려서 이동하는 제2 베이스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부분(112, 116)의 나선형 홈과 베이스부(132, 152)의 나선형 홈 사이에는 강구가 구를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나의 가이드 부재(110)를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부재와 이동 부재의 구성이 위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위와 같이 볼 스크류(ball screw) 형태로 구성하면, 이동 부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는 위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 부재(110)를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1 이동 부재(130)가 제1 시점(p1)에서 제1 종점(p2)으로 이동할 때, 제2 이동 부재(150)는 제2 시점(p3)에서 제2 종점(p4)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은 시점(p1, p3)과 종점(p2, p4) 사이에서 반복된다. 이러한 이동을 위해 가이드 부재(110)는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 부재(130, 150)를 시점(p1, p3)에서 종점(p2, p4)으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 부재(130, 150)를 종점(p2, p4)에서 시점(p1, p3)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회전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에는 가이드 부재(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110)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부(172)와, 연결부(172)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가이드 부재(110)를 일정한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8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1,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연결부(172)는 풀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통상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80)의 일단과 가이드 부재(110)의 일단에 풀리(182, 172)를 설치한 다음에 이러한 풀리(182, 172) 사이를 벨트(192)로 연결하면, 구동부(180)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가이드 부재(11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연결부 등의 구성이 위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와 구동부를 기어 결합 등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부는 가이드 부재와 별도로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가이드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부재(130, 150)는 판재(M)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해 클램핑부(136, 제2 이동 부재는 제1 이동 부재와 동일한 구성의 클램핑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1 이동 부재에 대해서만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이라는 것은 제어부의 제어 등에 따라 판재(M)를 클램핑하거나 또는 클램핑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램핑을 위해 클램핑부(136)는 판재(M)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38)와, 판재(M)를 사이로 지지부(138)의 반대쪽에서 판재(M)를 향해 이동하여 판재(M)의 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부(138)에 의해 판재(M)의 일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접촉부(139)가 판재(M)를 향해 이동하여 판재(M)의 타면과 접촉하면, 판재(M)는 클램핑부(136)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판재(M)를 클램핑하지 않을 때는 접촉부(139)가 판재(M)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러한 접촉부(139)의 이동을 위해 클램핑부(136)에는 구동부(19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면 접촉부(139)가 판재(M)를 향해 이동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면 접촉부(139)가 판재(M)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94)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139)는 판재의 이송 방향(t)과 수직한 방향, 즉 판재의 높이 방향(h)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판재(M)의 일부에 돌출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판재(M)와 접촉부(139)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질 경우에는, 돌출부를 피하도록 접촉부(139)를 높이 방향(도 1,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판재(M)와 접촉부(139) 사이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촉부(139)가 보다 안정적으로 판재(M)와 접촉하기 위해서는 접촉부(139)가 판재의 길이 방향(판재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돌출부는 판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부(139)가 판재의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보다 판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판재(M)와 접촉부(139) 사이의 양호한 접촉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는 접촉부(139)가 판재의 높이 방향(h)으로 이동한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재가 접촉부만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접촉부(139)만 판재의 높이 방향(h)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구성과 함께 접촉부(139)가 판재의 높이 방향(h)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설명한 클램핑부는 전술한 베이스부와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일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지지부(138)는 판재(M)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통상 평면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판재(M)의 일면이 일정한 곡면 등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곡면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부(138)는 판재(M)의 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술한다. 우선 판재(M)를 판재 이송 장치에 장착한다(이러한 장착을 위해 가이드 수단과 같은 통상의 구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클램핑부(136)의 접촉부(139)를 판재의 높이 방향(h)으로 적절히 이동시켜 판재(M)와 접촉부(139) 사이의 접촉이 보다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접촉부(139)를 판재(M)를 향해 이동시켜 판재(M)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1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이동 부재(130)를 제1 시점(p1)에서 제1 종점(p2)으로, 즉 판재의 이송 방향(t)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이동 부재(150)는 판재(M)를 클램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시점(p3)에서 제2 종점(p4)으로, 즉 판재의 이송 방향(t)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참고로 이동 부재(130, 150)에 의한 판재(M)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재(M)의 하면을 베어링부(미도시)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판재(M)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되면 판재(M)가 베어링부(베어링)의 회전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10)의 제1 스크류 부분(112)과 제2 스크류 부분(116)은 그 나선형 홈의 형성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11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으로 제1 이동 부재(130)가 제1 종점(p2)까지 이동하면, 가이드 부재(11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이동 부재(130)를 다시 제1 시점(p1)으로 이동시키고, 제2 이동 부재(150)도 다시 제2 시점(p3)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이동 부재(130)는 판재(M)를 클램핑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는데 반해, 제2 이동 부재(150)는 판재의 이송 방향(t)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판재를 클램핑한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가 시점과 종점 사이를 왕복하면서 판재의 이송 방향(t)으로 이동할 때만 판재(M)를 클램핑하면, 판재(M)는 그 이송 방향으로 계속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보다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돌출부를 갖는 것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판재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판재의 이송 중에 판재에 롤러 자국이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위와 같은 구동들 중에 가이드 부재의 회전이나 접촉부의 이동 등은 제어부 등을 통해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5의 판재 이송 장치에 판재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 등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가이드 부재가 제1 서브 가이드 부재와 제2 서브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와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1 서브 가이드 부재(210)와 제2 서브 가이드 부재(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이동 부재(130)는 제1 서브 가이드 부재(210)를 따라 이동하고, 제2 이동 부재(150)는 제2 서브 가이드 부재(220)를 따라 이동한다.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가이드 부재는 하나의 부재 내에서 2개의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길이가 긴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는 2개의 이동 부재가 2개의 서브 가이드 부재 내에서 별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짧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실시예 1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에 비해 그 길이가 짧다. 그리고 제1 이동 부재(130)의 제1 시점(p1)이 제2 이동 부재(150)의 제2 종점(p4)과 대응되고, 제1 이동 부재(130)의 제1 종점(p2)이 제2 이동 부재(150)의 제2 시점(p3)과 대응되면, 판재 이송 장치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 등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시점(p1), 제1 종점(p2), 제2 시점(p3), 제2 종점(p4)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직사각형이 될 때, 판재 이송 장치는 가장 짧아질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가이드 부재(210)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제1 스크류 축(212)을 포함하고, 제2 서브 가이드 부재(220)도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제2 스크류 축(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크류 축(212)의 나선형 홈과 제2 스크류 축(222)의 나선형 홈은 구동부 등의 구비 형태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크류 축과 제2 스크류 축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다면, 각각의 서브 가이드 부재에 각각의 구동부를 구비시킨 다음에 제1 스크류 축과 제1 스크류 축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스크류 축과 제2 스크류 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것이 장치의 단순화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스크류 축(212)과 제2 스크류 축(22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가진다면, 도 3 등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서브 가이드 부재(210)와 제2 서브 가이드 부재(2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나의 구동부(280)만으로도 제1 이동 부재(130)와 제2 이동 부재(15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280)만으로 2개의 서브 가이드 부재(210, 2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2개의 연결부(272, 274)를 더 포함한다. 결국, 구동부는 1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위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만으로 스크류 축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272)는 제1 스크류 축(212)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스크류 축(212)과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고, 제2 연결부(274)는 제1 연결부(272)에 대응하는 제2 스크류 축(222)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2 스크류 축(222)과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272)와 제2 연결부(274)를 동일한 측면에 위치시키면, 구동부(280)도 동일한 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구동부(280)로 2개의 연결부(272, 274)를 통해 2개의 서브 가이드 부재(210, 2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도 실시예 1의 연결부와 유사하게 풀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이동 부재와 유사하게 베이스부와 클램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이동 부재(130)는 제1 스크류 축(212)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제1 스크류 축(212)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이동 부재(150)도 제2 스크류 축(222)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제2 스크류 축(222)의 회전에 따라 제1 베이스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베이스부에는 전술한 클램핑부가 연결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가이드 부재 112: 제1 스크류 부분
116: 제2 스크류 부분 130: 제1 이동 부재
132: 베이스부 136: 클램핑부
138: 지지부 139: 접촉부
150: 제2 이동 부재 172: 연결부
180: 구동부

Claims (6)

  1.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1 스크류 축;
    상기 제1 스크류 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축의 나선형 홈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홈을 갖는 제2 스크류 축;
    상기 제1 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스크류 축을 따라 판재의 이송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부재;
    상기 제2 스크류 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류 축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스크류 축과 상기 제2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선택적으로 판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 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크류 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스크류 축과 상기 제2 스크류 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이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판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판재를 사이로 상기 지지부의 반대쪽에서 상기 판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판재의 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이송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이송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판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이송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판재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판재를 클램핑하여 교대로 상기 판재를 상기 판재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이송 장치.
KR1020110050703A 2011-05-27 2011-05-27 판재 이송 장치 KR101216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03A KR101216634B1 (ko) 2011-05-27 2011-05-27 판재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03A KR101216634B1 (ko) 2011-05-27 2011-05-27 판재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92A KR20120132092A (ko) 2012-12-05
KR101216634B1 true KR101216634B1 (ko) 2012-12-31

Family

ID=4751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703A KR101216634B1 (ko) 2011-05-27 2011-05-27 판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8001B (zh) * 2016-08-25 2020-10-23 诸暨市迅翔云科技有限公司 一种尼龙牵引机的张力辊驱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41B1 (ko) 2008-12-23 2009-03-18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클램핑 이송 장치 및 이를 채용한 금속 판재 절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41B1 (ko) 2008-12-23 2009-03-18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클램핑 이송 장치 및 이를 채용한 금속 판재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92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940B1 (ko) 컨베이어
JP2017088407A (ja) 導体輸送装置、とりわけケーブル処理マシンにて処理されるべきケーブル用の装置
US9056349B2 (en) Coil-spring manufacturing apparatus
WO2008099995A1 (en) Inversion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1216634B1 (ko) 판재 이송 장치
JP2007313275A (ja) 揚送研磨装置
CN110214117B (zh) 带式输送机及系统
JP2003040415A (ja) 基板搬送装置
JP4983676B2 (ja) ベルト材の切断供給装置および方法
JP4631678B2 (ja) 搬送装置
KR101938499B1 (ko)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장치
KR100413064B1 (ko) 원호상의 밴드 블레이드 절곡장치
KR101692750B1 (ko) 테이프의 공급길이가 조절 가능한 테이프 권취장치
CN202566232U (zh) 传输定位导向装置
KR101692749B1 (ko) 테이프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는 테이프 권취장치
KR101587229B1 (ko) 평각선 이송장치
JP5338129B2 (ja) 規正装置、搬送装置
KR101613118B1 (ko) 경사 이송 시스템
KR20200092679A (ko) 스트립 절단 공급 장치
CN110683297B (zh) 地毯自动转运装置
JP2019102531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加工装置
CN110626730A (zh) 自动传输装置
JP7288350B2 (ja) 繰出装置
JP4993572B2 (ja) ベルトコンベヤ
JP2007308274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