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135B1 -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35B1
KR102054135B1 KR1020180079180A KR20180079180A KR102054135B1 KR 102054135 B1 KR102054135 B1 KR 102054135B1 KR 1020180079180 A KR1020180079180 A KR 1020180079180A KR 20180079180 A KR20180079180 A KR 20180079180A KR 102054135 B1 KR102054135 B1 KR 10205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iding block
transmission line
laye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무현
Original Assignee
신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현 filed Critical 신무현
Priority to KR102018007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하층을 이루며 고정되어 있고, 1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고정 블록; 상기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지나치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 및 2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1층 미끄럼 블록; 및 상기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지나치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2층 미끄럼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MULTI-LEVEL SLEEVE ASSEMBLY FO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슬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에어호스 등의 전송라인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리브를 다층 구조로 구비한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에는 에너지 공급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이 사용되고 있고, 전송라인을 꼬임 없이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전송라인용 보호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전송라인용 보호 장치는 단위 블록들이 일렬로 연결된 형태를 갖도록 제조되었다. 이러한 전송라인용 보호 장치는 단위 블록들이 연결된 부위를 관절로 하는 관절형 보호 장치로서, 관절들을 중심으로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송라인들은 단위 블록들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은 관절형 보호 장치는 케이블 베이어라 칭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케이블 베이어는 관절에서 발생하는 단위 블록들 간 마찰로 인해 분진을 발생시키므로, 클린룸 환경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클린룸 환경과 같이 분진 발생이 억제되어야 하는 곳에서는 전송라인용 무관절 보호 장치, 즉 슬리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슬리브는 유연성을 갖는 상하부 시트를 서로 접합한 형태로 마련되되,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 사이에 전송라인이 수용되기 위한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하부 시트의 최외곽 표면은 테프론 재질로 마련되는데, 테프론은 굽힘과 펴짐을 반복하더라도 분진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슬리브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92804호(전송라인용 슬리브)에 개시되어 있다.
슬리브는 굽힘과 펴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분진이나 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클린룸 환경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슬리브는, 그 유연성으로 인해, 굽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전송라인들이 꺾이는 문제를 초래하고,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아래로 처지는 문제도 초래한다.
슬리브가 갖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슬리브에 마련된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는 체인이라는 지지모듈이 삽입되고 있다. 이 체인은 굽힘 정도가 제한되고 처짐이 방지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바, 체인이 슬리브의 수용공간 중 일부에 삽입되면 슬리브가 굽혀진 상태 및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4928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한국등록특허 제10-110067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772922호(케이블 지지 가이드)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2804호(전송라인용 슬리브) 한국등록특허 제10-124928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한국등록특허 제10-110067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한국등록특허 제10-1772922호(케이블 지지 가이드)
슬리브가 산업기계에 설치될 경우, 슬리브의 일단은 산업기계의 고정체에 고정되고, 슬리브의 반대단은 산업기계의 이동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위 이동체가 소정 거리를 왕복하는 동안, 슬리브는 굽힘과 펴짐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슬리브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된 체인으로 인해, 슬리브의 굽힘 정도가 제한되고 슬리브의 처짐이 방지된다.
그런데 위 이동체의 왕복 거리가 길면 슬리브의 길이 및 체인의 길이 역시 길어질 수밖에 없는데, 그러면 슬리브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체인이 삽입되더라도 슬리브의 처짐이 방지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 이동체의 왕복 거리와 무관하게 항상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최하층을 이루며 고정되어 있고, 1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고정 블록; 상기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지나치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 및 2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1층 미끄럼 블록; 및 상기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지나치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2층 미끄럼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가 마련되고,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가 마련된다
상기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에는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이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고, 상기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에는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이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복수의 층으로 마련된다.
전송라인은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에 고정된 채 상기 1차 슬리브의 하단 쪽으로 연장하다가 상기 1차 슬리브를 통과하고, 이후 상기 2차 슬리브의 하단 쪽으로 연장하다가 상기 2차 슬리브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는 인입홀 및 인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부터 상기 2차 슬리브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의 부위는 상기 인입홀을 지나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인출홀을 지나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상부에 또 다른 미끄럼 블록을 미끄럼 가능하게 적층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 3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3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가 마련되고, 상기 2차 슬리브를 통과한 전송라인은 상기 3차 슬리브의 하단 쪽으로 연장하다가 상기 3차 슬리브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스톱퍼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는 인입홀 및 인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부터 상기 3차 슬리브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의 부위는 상기 인입홀을 지나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인출홀을 지나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외부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 블록의 좌우 길이 수준으로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왕복할 수 있어 고정 블록의 좌우 길이를 조절하면 위 이동체의 왕복 길이가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위 이동체의 왕복 길이가 체인을 수용한 한 개의 슬리브만을 적용하기에 너무 길어 위 한 개의 슬리브가 처질 것이 우려되면, 처지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여러 슬리브를 제조한 후, 이 슬리브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미끄럼 블록들을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국 산업기계의 이동체의 왕복 거리와 무관하게 항상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의 정면도로서, 모든 미끄럼 블록들이 최대로 우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의 정면도로서, 모든 미끄럼 블록들이 최대로 좌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의 우측면도로서, 슬리브 및 전송라인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1층 미끄럼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2층 미끄럼 블록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왼쪽을 좌측, 오른쪽을 우측으로 하고, 좌측에서 우측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을 전방, 왼쪽을 후방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110), 1층 미끄럼 블록(130) 및 2층 미끄럼 블록(150)을 포함한다.
고정 블록(110)은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100)가 설치될 공간 내에 마련된 소정의 받침대(미도시)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고정되는 부재로서, 위 다층 슬리브 조립체(100)의 최하층을 이룬다.
고정 블록(11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11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위 레일들(112)의 좌단에는 좌측 브라켓(114a)이 고정되어 있고, 이 좌측 브라켓(114a)에는 좌측 스톱퍼(116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위 레일들(112)의 우단에는 우측 브라켓(114b)이 고정되어 있고, 우측 브라켓(114b)에는 우측 스톱퍼(116b)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블록(110)의 상면에는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는 한 쌍의 레일(112) 사이에 위치하고, 우측 스톱퍼(116b) 쪽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이러한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18a)이 마련되어 있고, 1차 슬리브(102)의 하단은 이 체결공(118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 블록(110)의 상면에는 전송라인 고정체(117)도 설치되어 있다. 전송라인 고정체(1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112) 사이에 위치하고, 고정 블록(110)의 좌단과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 사이에 위치한다. 전송라인 고정체(117)는 하나만 마련되어도 좋고, 복수로 마련되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도 좋다.
산업기계의 고정체(미도시)에 그 일단이 고정된 전송라인(10)(케이블, 에어호스 등)은 고정 블록(110)의 상면에 놓여 우측으로 연장하다가 1차 슬리브(102)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전송라인(10)은 전송라인 고정체(117)에 고정된다. 고정 블록(110)의 상면에 고정된 전송라인(10)의 부위, 즉, 고정 블록(110)의 좌단으로부터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까지 연장하는 부위에서는 접힘과 펴짐이 전혀 일어나지 않으므로 접힘과 펴짐의 반복으로 인한 분진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따라서 고정 블록(110)의 상면에 고정된 전송라인(10)의 부위는 슬리브에 수용되지 않는다.
1층 미끄럼 블록(13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고정 블록(110)의 레일(112)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1층 미끄럼 블록(130)은 고정 블록(11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1층 미끄럼 블록(130)은 좌측 스톱퍼(116a)와 맞닿으면 더 이상 좌진할 수 없고, 이때 최대 좌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도 2와 같은 상태). 그리고 1층 미끄럼 블록(130)은 우측 스톱퍼(116b)와 맞닿으면 더 이상 우진할 수 없고, 이때 최대 우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도 1과 같은 상태).
1층 미끄럼 블록(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1층 미끄럼 블록(130)은 좌우로 왕복하는 과정에서 고정 블록(110)에 마련된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의 간섭을 받지 않고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를 지나칠 수 있다. 또한, 1층 미끄럼 블록(130)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제조 시 재료가 불필요하게 과다 사용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상면 우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38)가 마련된다.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3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나열된 복수의 체결공(138a)을 갖는데, 그러면 작업자는 이 체결공들(138a) 중 원하는 곳에 1차 슬리브(102)의 상단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가장 위쪽의 체결공(138a)에 1차 슬리브(102)의 상단이 고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로부터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38)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10)의 부위는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좌우진 시 접힘과 펴짐을 반복하게 되고, 이때 전송라인(10)으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로부터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38)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10)의 부위를 1차 슬리브(102)에 수용하여 위 분진이 주변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1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일들(132)의 좌단에는 좌측 브라켓(134a)이 고정되어 있고, 좌측 브라켓(134a)에는 좌측 스톱퍼(136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 레일들(132)의 우단에는 우측 브라켓(134b)이 고정되어 있고, 우측 브라켓(134b)에는 우측 스톱퍼(136b)가 설치되어 있다. 위 우측 스톱퍼(136b)는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38)보다 더 좌측에 위치한다.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상면에는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도 마련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는 한 쌍의 레일(132) 사이에 위치하고, 우측 스톱퍼(136b) 쪽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이러한 2층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는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18)와 동일한 방식으로 2차 슬리브(104)의 하단을 고정한다.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홀(130a) 및 인출홀(130b)도 마련된다. 인입홀(130a)은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83)의 좌측에 위치하고, 인출홀(130b)은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의 좌측에 위치한다. 1차 슬리브(102)를 통과한 전송라인(10)은 위 인입홀(130a)을 지나 1층 미끄럼 블록(130)의 내부를 경유하고, 이후 위 인출홀(130b)을 지나 2차 슬리브(104)의 하단으로 들어간다. 1차 슬리브(120)의 상단부터 2차 슬리브(104)의 하단까지 위와 같은 형태로 연장하는 전송라인(10)의 부위는 접힘과 펴짐이 일어나는 부위가 아니므로 슬리브에 수용되지 않는다.
2층 미끄럼 블록(15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1층 미끄럼 블록(130)의 레일(132)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2층 미끄럼 블록(150)은 1층 미끄럼 블록(13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2층 미끄럼 블록(150)은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좌측 스톱퍼(136a)와 맞닿으면 더 이상 좌진할 수 없고, 이때 최대 좌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도 2와 같은 상태). 그리고 2층 미끄럼 블록(150)은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우측 스톱퍼(136b)와 맞닿으면 더 이상 우진할 수 없고, 이때 최대 우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도 1과 같은 상태).
2층 미끄럼 블록(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2층 미끄럼 블록(150)은 좌우로 왕복하는 과정에서 1층 미끄럼 블록(130)에 마련된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의 간섭을 받지 않고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를 지나칠 수 있다. 또한, 2층 미끄럼 블록(150)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 2층 미끄럼 블록(150)의 제조 시 재료가 불필요하게 과다 사용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2층 미끄럼 블록(150)의 상면 우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58)가 마련된다.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5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나열된 복수의 체결공(158a)을 갖는데, 그러면 작업자는 이 체결공들(158a) 중 원하는 곳에 2차 슬리브(104)의 상단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가장 위쪽의 체결공(158a)에 2차 슬리브(104)의 상단이 고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로부터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58)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10)의 부위는 2층 미끄럼 블록(150)의 좌우진 시 접힘과 펴짐을 반복하게 되고, 이때 전송라인(10)으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139)로부터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158)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10)의 부위를 2차 슬리브(104)에 수용하여 위 분진이 주변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2층 미끄럼 블록(150)이 최상층 미끄럼 블록인 경우, 2차 슬리브(104)를 통과한 전송라인(10)은 산업기계의 이동체(미도시)에 연결되고, 2층 미끄럼 블록(150)은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산업기계의 이동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좌우로 왕복하면 1층 및 2층 미끄럼 블록(130, 150)도 좌우로 왕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과 같이 미끄럼 블록들(130, 150)이 최대 우진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좌진을 하면, 2층 미끄럼 블록(150)이 산업기계의 이동체에 이끌려 좌진을 하다가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좌측 스톱퍼(136a)와 맞닿게 된다. 그 이후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계속하여 좌진을 하면, 1층 미끄럼 블록(130)까지 좌측으로 이끌리다가 고정 블록(110)의 좌측 스톱퍼(116a)와 맞닿아 정지하고, 그러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우진을 하면, 2층 미끄럼 블록(150)이 산업기계의 이동체에 이끌려 우진을 하다가 1층 미끄럼 블록(130)의 우측 스톱퍼(136b)와 맞닿게 된다. 이후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계속 우진을 하면, 1층 미끄럼 블록(130)까지 우측으로 이끌리다가 고정 블록(110)의 우측 스톱퍼(116b)와 맞닿아 정지하고, 그러면 다시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굽힘과 펴짐을 반복하는 전송라인(10)의 부위는 1차 슬리브(102) 및 2차 슬리브(104)에 수용된 부위에 한하는바, 굽힘과 펴짐으로 인한 분진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앞서서는 2층 미끄럼 블록(150)이 최상층 미끄럼 블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2층 미끄럼 블록(150)의 상면에는 3층 미끄럼 블록(미도시)이 좌우로 미끄럼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2차 미끄럼 블록(150)에는 1차 미끄럼 블록(130)의 레일(132), 스톱퍼(136a, 136b), 인입홀(130a) 및 인출홀(130b)이 그대로 마련될 것이다. 또한, 2차 미끄럼 블록(150)에는 3차 슬리브(미도시)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3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가 마련되고, 3층 미끄럼 블록(미도시)에는 3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3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가 마련될 것이다.
따라서 3층 미끄럼 블록이 마련되면, 2차 슬리브(158)를 통과한 전송라인(10)이 2차 미끄럼 블록(150)의 인입홀 및 인출홀을 거친 후 3차 슬리브를 통과하게 된다.
위 3층 미끄럼 블록은 최상층 미끄럼 블록이 될 수도 있고, 다시 4층 미끄럼 블록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1차 슬리브(102) 및 2차 슬리브(104), 그리고 3차 이상의 슬리브들(미도시)도 추가된다면, 이 슬리브들(102, 104, 미도시) 각각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는 처짐 및 굽힘 제한을 위해 공지된 체인이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i) 고정 블록(110)의 좌우 길이 수준으로 산업기계의 이동체가 왕복할 수 있어 고정 블록(110)의 좌우 길이를 늘려 위 이동체의 왕복 길이 역시 늘릴 수 있고, ii) 처짐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슬리브들을 제조한 후, 이 슬리브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미끄럼 블록들을 적층할 수 있는바, iii) 결국 산업기계의 이동체의 왕복 거리와 무관하게 항상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전송라인
100 : 전송라인용 다단 슬리브 조립체
102 : 1차 슬리브 104 : 2차 슬리브
110 : 고정 블록 112, 132 : 레일
114a, 114b, 134a, 134b : 브라켓
116a, 116b, 136a, 136b : 스톱퍼
118 :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 130 : 1층 미끄럼 블록
130a : 인입홀 130b : 인출홀
138 :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 139 :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
150 : 2층 미끄럼 블록 158 :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

Claims (8)

  1. 최하층을 이루며 고정되어 있고, 1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고정 블록;
    상기 1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지나치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 및 2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1층 미끄럼 블록; 및
    상기 2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를 지나치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를 상면에 구비하는 2층 미끄럼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가 마련되고,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가 마련된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에는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이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고, 상기 2차 슬리브 상단 고정체에는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이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복수의 층으로 마련된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라인은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에 고정된 채 상기 1차 슬리브의 하단 쪽으로 연장하다가 상기 1차 슬리브를 통과한 후, 상기 2차 슬리브의 하단 쪽으로 연장하다가 상기 2차 슬리브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는 인입홀 및 인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1차 슬리브의 상단부터 상기 2차 슬리브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의 부위는 상기 인입홀을 지나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인출홀을 지나 상기 1층 미끄럼 블록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는 3차 슬리브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3차 슬리브 하단 고정체가 마련되고, 상기 2차 슬리브를 통과한 전송라인은 상기 3차 슬리브의 하단 쪽으로 연장하다가 상기 3차 슬리브를 통과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스톱퍼가 마련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상면에는 인입홀 및 인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2차 슬리브의 상단부터 상기 3차 슬리브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전송라인의 부위는 상기 인입홀을 지나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인출홀을 지나 상기 2층 미끄럼 블록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KR1020180079180A 2018-07-09 2018-07-09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KR10205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80A KR102054135B1 (ko) 2018-07-09 2018-07-09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80A KR102054135B1 (ko) 2018-07-09 2018-07-09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135B1 true KR102054135B1 (ko) 2019-12-10

Family

ID=6900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80A KR102054135B1 (ko) 2018-07-09 2018-07-09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13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152A (ja) * 2000-04-13 2001-10-23 Nippon Steel Corp トロリー式給電装置
JP2003013446A (ja) * 2001-06-29 2003-01-15 Komatsu Ltd 作業機
JP2004019870A (ja) * 2002-06-19 2004-01-22 Toray Eng Co Ltd 塗布装置
KR101100676B1 (ko) 2011-06-16 2012-01-03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142952B1 (ko) * 2010-03-22 2012-05-11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KR101192804B1 (ko) 2010-12-02 2012-10-18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3-04-01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20140134151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다단 인출식 붐
KR101772922B1 (ko)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152A (ja) * 2000-04-13 2001-10-23 Nippon Steel Corp トロリー式給電装置
JP2003013446A (ja) * 2001-06-29 2003-01-15 Komatsu Ltd 作業機
JP2004019870A (ja) * 2002-06-19 2004-01-22 Toray Eng Co Ltd 塗布装置
KR101142952B1 (ko) * 2010-03-22 2012-05-11 주식회사 아바코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KR101192804B1 (ko) 2010-12-02 2012-10-18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3-04-01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1100676B1 (ko) 2011-06-16 2012-01-03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20140134151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다단 인출식 붐
KR101772922B1 (ko)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953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KR101142952B1 (ko)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베어 시스템
KR10110067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US11535493B2 (en) Elevator system
KR102054135B1 (ko)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KR102012385B1 (ko) 2중 자켓층을 이용한 클램프형 케이블
DE102011018440A1 (d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einer Rückstelleinheit und Roboter mit einer solchen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KR101765509B1 (ko) 태양광 설비 제조에 사용되는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및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적층형 케이블
IT201800006570A1 (it) Dispositivo di scorrimento per un sedile di veicolo provvisto di un sistema di bloccaggio migliorato
KR100922345B1 (ko) 처짐 방지 케이블 베어 장치
JP5111890B2 (ja) 可動用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192804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
US11378160B2 (en) Long object guiding device and partition member
KR102008170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130006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CN104440899A (zh) 桌上机器人
KR102054136B1 (ko) 전송라인용 무관절 보호 장치
KR102088027B1 (ko)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JP4354458B2 (ja) 試験装置及びケーブルガイドユニット
KR102272965B1 (ko) 케이블 지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유닛
KR102455060B1 (ko) 클린 케이블베어 자켓
KR20190136842A (ko) 케이블 유닛
KR20180003175U (ko) 케이블 트레이
KR102380347B1 (ko) 케이블 무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