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602A - 지엽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02A
KR20110098602A KR1020100103925A KR20100103925A KR20110098602A KR 20110098602 A KR20110098602 A KR 20110098602A KR 1020100103925 A KR1020100103925 A KR 1020100103925A KR 20100103925 A KR20100103925 A KR 20100103925A KR 20110098602 A KR20110098602 A KR 2011009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guide
switching gate
path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195B1 (ko
Inventor
나오후미 기타가와
신지 시바타
미노루 가도와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분기부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를 퇴피하는 공간을 확보한 경우에도, 안정된 지엽의 반송을 행하는 지엽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 지엽을 취급하는 지엽 취급 장치(200)이며, 지엽이 반송되는 반송로와, 반송로가 분기되는 분기부(500)과, 분기부(500)에서,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504)와, 전환 게이트(504)와 대향하고, 반송로의 반송면(701)을 형성하며, 가동인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구비하고,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압하 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지엽 취급 장치{PAPER 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紙葉)을 취급하는 지엽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엽 취급 장치는, 제외국(諸外國)에서도 이용되어, 다양한 지엽을 취급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상태가 나쁜 지엽이 많을 경우도 있고, 지엽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도, 반송 잼(jam)을 저감하여, 안정된 지엽의 반송이 요청된다.
종래, 지엽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이 반송되는 반송로의 분기부의 구성으로서는, 상류의 반송로에서 반송되어 온 지엽의 반송처를 서로 방향이 다른 2 방향의 반송로 중 어느 쪽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게이트에 의해 반송처를 전환하는 구성(특허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8-15017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엽 취급 장치의 분기부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류에서 반송되어 온 지엽이 직진 방향으로 반송될 경우에는, 전환 게이트는 반송로의 반송면보다 하부로 잠입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환 게이트에 대향하는 반송면의 하부에, 전환 게이트를 퇴피할 공간이 필요해진다. 한편, 거의 수직 방향으로 지엽을 반송할 경우에, 반송로가 전환 게이트를 퇴피할 공간을 가지면, 지엽을 안정되게 반송하기 위한 반송 가이드를 충분히 배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환 게이트를 퇴피할 공간을 확보했을 경우에도, 안정된 지엽의 반송을 행하는 지엽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지엽을 취급하는 지엽 취급 장치로서, 지엽이 반송되는 반송로와, 반송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와, 분기부에 있어서,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와, 전환 게이트와 대향하고,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고, 가동인 가동 반송 가이드를 구비하고, 전환 게이트는, 가동 반송 가이드를 압하(押下)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을 반송하는 반송로의 분기부에 있어서, 안정된 지엽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와 각 유닛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도 3은 지폐 취급 장치(200)의 투과 측면도.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200)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도 5는 분기부의 전환 게이트, 가동 반송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반송 가이드, 전환 게이트가 형성하는 반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지엽이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될 때의 제 1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지엽이 화살표 C 방향으로 반송될 때의 제 1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지엽이 화살표 E 방향으로부터 반송될 때의 제 1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지엽이 화살표 F 방향으로부터 반송될 때의 제 1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지폐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반송될 때의 제 2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지엽이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될 때의 제 2 실시형태의 분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5의 Y-Y'에 있어서의 분기부의 측면도.
도 15는 도 5의 Z-Z'에 있어서의 분기부의 측면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지엽 취급 장치에서는, 지엽이 반송되는 반송로와, 반송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와, 분기부에 있어서,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와, 전환 게이트와 대향하고,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며, 가동인 가동 반송 가이드를 구비하고, 전환 게이트는, 가동 반송 가이드를 압하 가능하다.
전환 게이트가 가동 반송 가이드를 압하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안정된 지엽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지엽 취급 장치에서는, 지엽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가동 반송 가이드를,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반송 롤러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배치한다.
가동 반송 가이드를, 반송력을 갖는 반송 롤러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함으로써, 반송 롤러가 지엽을 협지(挾持)하는 협지면(挾持面)의 위치와, 반송 가이드가 형성하는 반송면의 위치가 가까워져서, 반송 롤러에 지엽이 말려드는 것을 억제하고, 적당한 반송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지엽 취급 장치에서는, 전환 게이트를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가동 반송 가이드는, 복수의 전환 게이트 중 일부와 대향하고,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한다.
반송로의 폭방향 중, 효과가 큰 위치에 한정해서 가동 반송 가이드를 배치함으로써, 반송로의 폭방향 전면(全面)에 가동 반송 가이드를 배치하는 경우보다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지엽 취급 장치에서는, 지엽이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를 분기하는 분기부와, 분기부에서, 제 1 안내면과 제 2 안내면을 갖고, 제 1 안내면으로 전환하여 제 1 반송로를 형성하고 제 2 반송로를 차단하는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와, 전환 게이트가 갖는 제 1 안내면과 대향하고, 제 1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 2 상태를 갖는 가동 반송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술한 대로, 가동 반송 가이드는, 반송되는 지엽을 안내하는 반송면을 형성하는 제 1 상태(가동 반송 가이드가 반송면 위치에 있는 상태)와, 상기 전환부를 퇴피(退避)하는 퇴피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상태(가동 반송 가이드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지엽이 반송될 때에, 가동 반송 가이드를 제 1 상태로 함으로써, 반송면에 전환부를 잠입시키는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안정된 지엽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지엽 취급 장치에서는,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구동부는, 전환 게이트가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동작에 따라, 가동 반송 가이드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서 이동시킨다.
전환 게이트의 동작에 따라, 가동 반송 가이드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신속한 전환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지엽 취급 장치에서는, 구동부는, 가동 반송 가이드를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전환 게이트를 갖고, 유지 부재가 가동 반송 가이드를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힘에 저항하여, 전환 게이트가 가동 반송 가이드를 가압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는 제 1 위치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전환 게이트가 가동 반송 가이드에 대한 가압을 해방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는 유지 부재가 유지하는 힘에 의해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한다.
가동 반송 가이드의 이동의 구동원을, 전환 게이트의 전환 동작으로 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에 새로운 구동원, 즉 전환 게이트의 구동원과는 다른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저비용,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지엽 취급 장치의 하나인 지폐 취급 장치(200)를 실장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카드, 지폐, 통장 등을 매체로 해서,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예입, 지불, 불입 등의 처리를 행한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카드를 접수하여 카드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처리부 및 명세표를 발행하는 명세표 발행부를 구비하는 카드·명세표 처리부(110)와, 통장을 접수하여 기장을 행하는 통장 처리부(180)와, 이용자에게 거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이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고객 조작부(120)와,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취급 장치(200)를 구비한다.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와 각 유닛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본체 제어부(130)는, 도시하지 않는 CPU와 메모리를 갖고, 카드·명세표 처리부(110), 통장 처리부(180), 고객 조작부(120), 지폐 취급 장치(200)의 각각의 제어부에 제어 지령을 보내는 동시에, 각 유닛의 제어부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40), 보수시에 계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계원 조작부(150), 본체 제어부(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기억부(160), 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70)를 구비한다. 또한, 계원 조작부(150)는, 고객 조작부(120)와 겸용으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3을 이용해서 지폐 취급 장치(20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지폐 취급 장치(200)의 투과 측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면의 우측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정면측에 해당하고, 도면의 좌측이 후방측에 해당한다. 지폐 취급 장치(200)는, 지폐 취급 장치(200)의 상측의 유닛인 상부 지폐 기구(202)와, 하측의 유닛인 하부 지폐 기구(204)를 구비한다.
상부 지폐 기구(202)는, 폐쇄 상태의 셔터(212)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입금·불입시에 이용자로부터 지폐가 투입되고, 출금시에 이용자에 의해 지폐가 취출되는 지엽 입출금부(210)와, 지폐의 진위, 액면의 판별을 행하는 지폐 판별부(220)와, 거래 성립까지의 사이에 입금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일시 수납고(230)와, 후술하는 하부 지폐 기구(204)의 지폐 수납고(311-314)에 지폐를 장전하고, 하부 지폐 기구(204)의 지폐 수납고(311-314)로부터의 지폐를 회수하는 장전 회수고(240)와, 지폐가 반송되는 반송로(251-257)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 지폐 기구(20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금부(210)를 상부 지폐 기구(202)의 정면 앞 부분에 배치하고, 입출금부(210)의 후방에 일시 수납고(230)를 배치하고, 일시 수납고(230)의 후방에 지폐 판별부(220)를 배치하고, 지폐 판별부(220)의 후방에 장전 회수고(240)를 배치한다.
하부 지폐 기구(204)는, 입금된 지폐, 출금될 지폐를 금종별로 보관하는 지폐 수납고(311-314)와, 입금되었지만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파손된 지폐나 더럽혀진 지폐, 환류시키지 않는 5000엔권, 2000엔권 등을 수납하는 리젝트고(310)와, 지폐가 반송되는 반송로(270-275)를 구비한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200)는, 지폐 판별부(220)에 의해 판별된 지폐의 액면 및 지폐의 파손 정도에 의거하여, 지폐를 리젝트고(310)에 수납할지, 지폐 수납고(311-314)에 수납할지를 판단한다.
또한, 하부 지폐 기구(204)는, 금고(300)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금고(300)는, 상부 지폐 기구(202)와 하부 지폐 기구(204)를 접속하는 연결부(304)를 배치하는 개구부(302)를, 금고(300)의 케이싱 상면에 갖는다. 연결부(304)는, 하부 지폐 기구(204)를 상부 지폐 기구(202)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260)를 구비한다.
계속해서, 반송로, 및 반송로의 분기부에 배치되는 전환 게이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분기부란, 하나의 반송로가 분기되어서 다른 반송로를 형성하는 부분, 바꿔 말하면, 다른 반송로가 합류해서 하나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상부 지폐 기구(202)의 반송로(251)와 반송로(252)는, 입출금부(210)와 지폐 판별부(220)를 접속한다. 상부 지폐 기구(202)는, 반송로(251)와 반송로(252)의 사이에 전환 게이트(281)를 배치하고, 전환 게이트(281)는, 반송로(252)와 반송로(260)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와, 반송로(251)와 반송로(252)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전환한다. 상부 지폐 기구(202)의 반송로(253), 반송로(254), 반송로(256)는, 지폐 판별부(220)와 일시 수납고(230)를 접속한다. 상부 지폐 기구(202)는, 반송로(253)와 반송로(254)의 사이에 전환 게이트(282)를 배치하고, 전환 게이트(282)는, 반송로(253)와 반송로(257)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와, 반송로(253)와 반송로(254)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전환한다. 상부 지폐 기구(202)는, 반송로(254)와 반송로(255)의 사이에 전환 게이트(283)를 배치하고, 전환 게이트(283)는, 반송로(254)와 반송로(255)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와, 반송로(254)와 반송로(256)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전환한다.
하부 지폐 기구(204)는, 반송로(270)의 도중에 전환 게이트(291-295)를 배치하고, 전환 게이트(291-295)는, 반송로(270)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와, 지폐 수납고(311-314), 리젝트고(310)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271-275)를 각각 전환한다.
또한, 적어도 반송로(252-257, 260, 270-275)는, 지폐가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쌍방향 반송로이다.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200)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이용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폐 취급 장치(200)의 제어 관계를 설명한다.
지폐 취급 장치(200)는, 지폐 취급 장치(20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330)를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는 CPU와 메모리를 갖는 제어부(330)는, 본체 제어부(130)에 접속되어, 본체 제어부(130)로부터의 지시를 받고, 전술한 입출금부(210), 지폐 판별부(220), 일시 수납고(230), 각 반송로(251-257, 260, 270-275), 각 전환 게이트(281-283, 291-295), 각 지폐 수납고(311-314), 리젝트고(3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지폐 취급 장치(200)의 주된 처리에 대해서,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가장 먼저, 이용자로부터의 지폐의 입금을 접수하는 입금 거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 입출금부(210)에 지폐가 투입되면, 제어부(330)는, 입출금부(210)에 지폐를 1매씩 속출시키고, 반송로(251, 252), 지폐 판별부(220), 반송로(253), 전환 게이트(282), 반송로(254)를 통해서, 전환 게이트(283)까지 지폐를 반송시킨다. 이때, 제어부(330)는, 지폐 판별부(220)에 실장되는 센서 등에 의해 지폐의 진위, 액면, 정손(正損)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를 본체 제어부(130)에 보낸다. 또한, 제어부(330)는, 지폐 판별부(220)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전환 게이트(283)에 반송된 지폐를 반송로(256) 또는 반송로(255)에 반송되도록 분배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반송로(254)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2)를 전환하고 있다.
제어부(330)는, 지폐를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환 게이트(283)를, 반송로(256)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하고, 반송로(256)를 통해서 지폐를 일시 수납고(230)에 반송시킨다. 한편, 제어부(330)는, 지폐를 판별 불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반송로(255)를 통해서 지폐를 입출금부(210)에 반송시킨다.
본체 제어부(130)는, 제어부(330)로부터 보내진 정보에 의거하여, 입금된 지폐의 총액을 고객 조작부(120)에 표시시킨다. 본체 제어부(130)가 고객 조작부(120)를 통해서 이용자로부터 입금 거래의 확정의 정보를 받으면, 제어부(330)는, 본체 제어부(130)로부터 지시를 받아, 일시 수납고(230)에 일단 수납된 지폐를, 반송로(256), 전환 게이트(283), 반송로(254), 전환 게이트(282), 반송로(253), 지폐 판별부(220), 반송로(252), 전환 게이트(281), 반송로(260)를 통해서 하부 지폐 기구(204)에 지폐를 반송시킨다. 이때, 제어부(330)는, 반송로(256)로부터 반송로(254)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3)를 전환하고, 반송로(254)로부터 반송로(253)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2)를 전환하고, 반송로(252)로부터 반송로(260)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1)를 전환하고 있다.
제어부(330)는, 하부 지폐 기구(204)에 반송되어 온 지폐를 반송로(270), 전환 게이트(291-295), 반송로(271-275)를 통해서, 지폐 수납고(311-314) 또는 리젝트고(310)에, 하부 지폐 기구(204)에 반송된 지폐를 수납시킨다. 이때, 제어부(330)는,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반송로(270)로부터 반송로(271-275)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91-295)를 전환하고, 반송로(271-275) 중 어느 하나에 반송된 지폐를, 대응하는 지폐 수납고(311-314)에 반송한다.
다음으로, 이용자에게 지폐를 출금하는 출금 거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소정액의 출금의 지시를 받으면, 본체 제어부(130)가 제어부(330)에 대하여, 지폐를 입출금부(210)에 반송하도록 지시를 낸다. 제어부(330)는, 지폐 수납고(311-314)에 대하여 1매씩 소정 매수 분의 지폐를 속출시키고, 반송로(271-275), 전환 게이트(291-295), 반송로(270), 반송로(260), 전환 게이트(281), 반송로(252), 지폐 판별부(220), 반송로(253)를 통해서, 전환 게이트(282)까지 지폐를 반송시킨다. 이때, 제어부(330)는, 지폐 판별부(220)에,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 액면, 정손 상태를 판별시킨다. 제어부(330)는, 지폐 판별부(220)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전환 게이트(282)에 반송된 지폐를 반송로(254) 또는 반송로(257)에 반송되도록 분배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반송로(252)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1)를 전환하고 있다.
제어부(330)는, 판별 결과, 지폐를 출금 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환 게이트(282), 반송로(254), 전환 게이트(283), 반송로(255)를 통해서 입출금부(210)까지 지폐를 반송시킨다. 이때, 제어부(330)는, 반송로(254)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2)를 전환하고, 반송로(255)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3)를 전환한다.
한편, 제어부(330)는, 지폐를 출금 불가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전환 게이트(282), 반송로(257)를 통해서 장전 회수고(240)까지 지폐를 반송시킨다. 이때, 제어부(330)는, 반송로(257)에 지폐를 반송하도록 전환 게이트(282)를 전환한다.
입출금부(210) 또는 장전 회수고(240)에의 지폐의 반송 동작이 종료하면, 본체 제어부(130)는, 셔터(212)를 개방 상태로 해서, 이용자가 지폐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해 출금 거래 처리를 종료한다.
도 5는 반송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의 전환 게이트, 가동 반송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전환 게이트(504)는, 도 3에 나타낸 전환 게이트(281-283, 291-295)를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X-X'에 있어서의 분기부(500)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반송 가이드, 전환 게이트가 형성하는 반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6, 7을 이용해서 본 실시형태의 분기부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기부(500)는, 반송로(530)를 구성하는 한쌍의 반송 가이드(501(도 5에서는 생략), 502)와, 반송로(531)를 구성하는 한쌍의 반송 가이드(505, 506)(도 5에서는 생략)와, 반송로(532)를 구성하는 한쌍의 반송 가이드(507, 508)와, 반송로(530) 및 반송로(531)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제 1 반송로라고도 함)와 반송로(530) 및 반송로(532)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제 2 반송로라고도 함)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504), 반송로(531)의 전환 게이트(504)에 대향하고, 반송로(531)를 형성하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제 1 가이드라고도 함)와,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력을 주는 반송 롤러(513), 반송 벨트(515)를 구비하고, 반송 가이드(502)와 반송 가이드(505)를 동일 부재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반송 벨트(515)는 없어도 된다.
도 5, 도 6은,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 5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와, 반송로(530, 53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 중, 반송로(530, 5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를 선택, 전환했을 경우의 도면이다.
전환 게이트(504)는, 지폐를 안내하는 제 1 안내면(5041)과 제 2 안내면(5042)을, 단일의 전환 게이트(504)의 상이한 면에 배치하고, 각각의 안내면이 상이한 반송로를 형성한다. 전환 게이트(504)는, 도 5에 나타내는 구동원(517)으로부터 동력을 얻어서 전환 동작을 행한다.
전환 게이트(504)의 제 1 안내면(5041)은, 반송 가이드(501, 506)와 함께 반송면(704)을 형성하고(도 7에 기재),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가이드면(5091)은, 반송 가이드(502, 505, 518)와 함께 반송면(701)을 형성하며(도 7에 기재), 이들 반송면이, 제 1 반송로(530, 531)를 형성한다. 이때, 전환 게이트(504)는, 반송로(530, 532)로부터 형성되는 제 2 반송로를 차단한다. 또한, 전환 게이트(504),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후술하는 도 9의 상태로 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의 제 2 안내면(5042)은, 반송 가이드(502, 507)와 함께 반송면(702)을 형성하고(도 7에 기재), 반송 가이드(501, 508)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면(703)과 함께 제 2 반송로(530, 532)를 형성한다(도 7에 기재). 이때, 전환 게이트(504)는, 반송로(530, 531)로부터 형성되는 제 1 반송로를 차단한다. 여기서 차단이란, 물리적으로 반송로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극간 등이 있었다고 해도, 지폐가 차단된 반송로를 반송 경로로서 이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분기부에 대해서, 도 14, 도 15를 이용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도 5의 Y-Y'에 있어서의 분기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Y-Y'의 위치에서는, 분기부(500)는, 전환 게이트(504)를 갖지만, 전환 게이트(504)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반송 가이드(518) 또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아니라,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 가능한 공간(535)을 갖고 있다. 반송 가이드(518)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 53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를 선택할 때에, 전환 게이트(504)가 퇴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공간(535)에도 도 6과 마찬가지로,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설치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설치하는 개소를 제한하여, 비용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도 5의 Z-Z'에 있어서의 분기부의 측면도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5의 Z-Z'의 위치에서는, 분기부(500)는, 전환 게이트(504)는 갖지 않고, 반송 가이드(518)를 갖고, 가이드면(5091), 반송 가이드(502, 505)와 함께 반송면(701)을 형성한다.
도 5, 6, 14,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게이트(504)는, 반송로(530-532)의 폭방향의 전폭에 걸치도록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반송로(530-532)의 폭방향이란, 화살표 W로 나타내는 방향이며, 지폐(503)가 반송되는 반송면과 동일면이며, 지폐가 반송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전환 게이트(504)는, 지폐(503)의 진로를 가로막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로(530-532)의 폭방향으로 넓게 배치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가 지폐에 주는 부하를 일부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 또는 균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503)의 반송을 안정된 것으로 한다.
한편,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반송로(530-532)의 폭방향으로, 반송 롤러(513) 또는 반송 벨트(515)를 사이에 끼우도록 반송로(530-532)의 폭방향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513) 또는 반송 벨트(515)는, 지폐를 협지하기 때문에, 그 주위는 다른 장소보다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반송 성능의 향상 효과가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 게이트(504)가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반송로(530-532)의 폭방향의 일부인 반송 롤러(513), 반송 벨트(515)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만 설치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가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압할 때의 부하를 저감하고, 전환 게이트(504)의 전환 속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도 8, 10과 같이 반송로(530, 531)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될 경우에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지폐의 안내면(5091)은, 반송 가이드(502, 505, 518)와 함께 반송면(701)을 형성한다. 또한,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구비하지 않는 전환 게이트(504)와 대향하는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면(701)에 대하여 오목 구조(공간(535))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도 9, 11과 같이 반송로(530, 532)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될 경우에는,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 및 전술한 오목 구조로 퇴피하여, 잠입하고,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이, 반송 가이드(502, 507)와 함께 반송면(70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술한 전환 게이트(504),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동작에 특히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스프링(510)에 의해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지폐가 반송됨으로써 생기는 하중으로는 되밀리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스프링(510)은,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반송면(701)을 형성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화살표 P 방향의 회전 한도를 결정하는 상측 스토퍼(511)에 의해, 상측 스토퍼(511)가, 반송 가이드(502)가 형성하는 반송면의 이면에 맞닿음으로써, 화살표 P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반송 가이드(505)는, Q 방향의 회전 한도를 결정하는 하측 스토퍼(512)를 구비하고, 하측 스토퍼(512)가,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뒤쪽에 맞닿음으로써(도 9),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스프링(510)에 의해 P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던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전환 게이트(504)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송로(531)의 반송면(70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즉,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반송되는 지폐를 안내하는 반송면(701)을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기 위한 퇴피 공간(제 1 반송로에 오목부)을 형성하는 제 2 상태를 갖는다.
즉,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위치와 제 2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위치에서 가동한다. 또한 바꿔 말하면,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압하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계속해서, 분기부(500)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될 경우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5의 X-X' 단면 등의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갖는 분기부(500)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와 반송로(5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를 선택, 전환하고,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로(531)에 지폐가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환 게이트(504)는, 상류측의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되는 지폐(503)를, 하류측의 반송로(531)로 분배한다. 이때, 전환 게이트(504)는, 도 8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간섭 또는 맞닿기를 회피한 상태로 된다. 한편,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스프링(510)에 의해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측 스토퍼(511)가 반송 가이드(502)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간섭 또는 맞닿기를 회피한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과, 반송 가이드(502)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안내면(5091)이, 제 1 반송로를 형성한다.
지폐(503)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안내면(5091)을 포함하는 반송면(701)과,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을 포함하는 반송면(704)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의 반송면과 마찰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A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바꾸어가게 된다. 또한, 스프링(510)은, 지폐의 반송되는 하중으로는 되밀리지 않을 정도의 하중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반송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짐으로써, 제 1 반송로를 통해서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에 대향하는 면에도, 지폐의 반송을 안내하는 안내면(5091)에 의해 반송면(70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지폐가 일탈할 여지를 주지 않도록 지폐의 진로를 강제하고, 하류측의 반송로(531)를 형성하는 반송 가이드(505)에 있어서 지폐가 충돌이나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잼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지폐(503)에 반송력을 주는 반송 롤러(513) 또는 반송 벨트(515)의 주위에 설치함으로써, 반송 롤러(513) 또는 반송 벨트(515)에 지폐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반송 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갖지 않고,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만을 갖는 경우에는, 지폐 등에 반송력을 주는 반송 롤러 또는 반송 벨트가 형성하는 면 및 전환 게이트(504)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반송 가이드(502, 505)가 형성하는 반송면(701)과,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퇴피 공간의 저면과의 거리가 넓어져서, 구부러진 지폐 등이 반송 가이드(505)에 충돌하기 쉬워지고, 또한, 충돌할 때의 충돌각이 가동 반송 가이드를 가질 때보다 급한 각도로 되어, 안정된 지폐 반송의 방해로 된다.
도 9는, 도 5의 X-X' 단면 등의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갖는 분기부(500)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와 반송로(532)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선택, 전환하고,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로(532)에 지폐가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환 게이트(504)는, 상류측의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되는 지폐(503)를, 하류측의 반송로(532)에 분배한다. 이때, 구동원(517)은, 전환 게이트(504)를 도 9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회전, 이동된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간섭, 맞닿아서,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압한다. 스프링(510)에 의해 P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6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전환 게이트(504)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7의 반송면(70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인 퇴피 공간이 형성된다. 형성된 퇴피 공간에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과, 반송 가이드(501, 508)가 제 2 반송로를 형성한다.
지폐(503)는,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을 포함하는 반송면(702)과, 반송 가이드(508)를 포함하는 반송면(703)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의 반송면과 마찰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A로부터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바꾸어가게 된다.
이렇게,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가 돌출하지 않고, 제 2 반송로의 반송면(702)을 형성하여, 지폐의 진로를 강제하고,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갖지 않고,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을 갖지 않을 경우에는,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면(702)으로부터 돌출해서 지폐 반송의 장해가 되어, 안정된 지폐 반송의 방해로 된다.
또한, 도 8,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 게이트(504)가 지폐를 상이한 반송로로 분배하는 것이며,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반송처를 분배하기 위해서는 이용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8, 도 9의 분기부가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쌍방향 반송로였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8과 역방향으로 지폐가 반송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9와 역방향으로 지폐가 반송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분기부(500)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와 반송로(531)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선택, 전환하여, 반송로(531)로부터 반송로(530)에 지폐가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환 게이트(504)는, 상류측의 반송로(531)로부터 반송되는 지폐(503)를, 하류측의 반송로(530)에 안내한다. 이때, 구동원(517)은, 전환 게이트(504)를 도 8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회전 이동된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간섭, 맞닿기를 회피한 상태로 된다. 한편,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스프링(510)에 의해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측 스토퍼(511)가 반송 가이드(502)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간섭, 맞닿기를 회피한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과, 반송 가이드(502)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안내면(5091)이, 제 1 반송로를 형성한다.
지폐(503)는,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을 포함하는 반송면(704)과,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안내면(5091)을 포함하는 반송면(70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의 반송면과 마찰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E로부터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바꾸어가게 된다. 또한, 스프링(510)은, 지엽의 반송되는 하중으로는 되밀리지 않을 정도의 하중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반송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짐으로써, 제 1 반송로를 통해서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에 대향하는 면에도, 지폐의 반송을 안내하는 안내면(5091)에 의해 반송면(70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지폐가 일탈할 여지를 주지 않도록 지폐의 진로를 강제하고, 하류측의 반송로(531)를 형성하는 가이드(505)에 있어서 지폐가 충돌이나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잼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지폐(503)에 반송력을 주는 반송 롤러(513) 또는 반송 벨트(515)의 주위에 설치함으로써, 반송 롤러(513) 또는 반송 벨트(515)에 지폐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반송 잼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갖지 않고,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만을 갖는 경우에는, 지폐 등에 반송력을 주는 반송 롤러또는 반송 벨트가 형성하는 면과,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면의 사이가 넓어져서, 구부러진 지폐 등이 반송 가이드(502)에 충돌하기 쉬워져서, 안정된 지폐 반송의 방해로 된다.
도 11은, 분기부(500)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와 반송로(53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를 선택, 전환하고, 반송로(532)로부터 반송로(530)에 지폐가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환 게이트(504)는, 상류측의 반송로(532)로부터 반송되는 지폐(503)를, 하류측의 반송로(530)에 안내한다. 이때, 구동원(517)은, 전환 게이트(504)를 도 8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회전, 이동된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간섭, 맞닿아서,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압한다. 스프링(510)에 의해 P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가동 반송 가이드(509)는, 전환 게이트(504)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7의 반송면(70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인 퇴피 공간이 형성된다. 형성된 퇴피 공간에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과, 반송 가이드(501, 508)가, 제 2 반송로를 형성한다.
지폐(503)는,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을 포함하는 반송면(702)과, 반송 가이드(501, 508)를 포함하는 반송면(703)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의 반송면과 마찰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F로부터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바꾸어가게 된다.
이렇게, 가동 반송 가이드(509)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가 돌출하지 않고, 제 2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여, 지폐의 진로를 강제해서,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달리,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갖지 않고,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할 공간을 갖지 않을 경우에는, 전환 게이트(504)가 지폐 반송의 장해가 되어, 안정된 지폐 반송의 방해로 된다
도 12, 13을 이용해서, 전환 게이트(504)가 전환하는 반송로(530) 및 반송로(5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와 반송로(530) 및 반송로(53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의 어느 것에도 가동 반송 가이드(504, 1002)를 설치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기부(500)는, 반송로(530)를 구성하는 한쌍의 반송 가이드(501, 502)와, 반송로(531)를 구성하는 한쌍의 반송 가이드(505, 506)와, 반송로(532)를 구성하는 한쌍의 반송 가이드(507, 508)와, 반송로(530) 및 반송로(5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와 반송로(530) 및 반송로(53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504), 전환 게이트(504)의 하나의 면(5041)에 대향하고, 반송로(531)를 형성하는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전환 게이트(504)의 다른 면(5042)에 대향하고, 제 2 반송로를 형성하는 가동 반송 가이드(1002)와,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513), 반송 벨트(515)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 가이드(502)와 반송 가이드(505)는 일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반송 가이드(1002)는, 스프링(1003)에 의해 화살표 U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지폐가 반송됨으로써 생기는 하중으로는 되밀리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스프링(1003)은, 가동 반송 가이드(1002)를 반송면(703)을 형성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가동 반송 가이드(1002)는, 화살표 U 방향의 회전 한도를 결정하는 상측 스토퍼(1004)를 구비하고, 상측 스토퍼(1004)가, 반송 가이드(501)가 형성하는 반송로(530)의 이면에 맞닿음으로써, 화살표 U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제 2 반송로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될 경우에는, 가동 반송 가이드(1002)의 지폐의 안내면(10021)은, 반송 가이드(501, 508)와 함께 반송면(703)을 형성한다. 또한, 전환 게이트(504)와 대향하고, 가동 반송 가이드(1002)를 구비하지 않는 반송 가이드(501, 508)의 부분은, 공간(535)과 마찬가지로, 반송면(704)에 대하여 오목 구조를 갖고 있어, 전환 게이트를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501)는, T 방향의 회전 한도를 결정하는 하측 스토퍼(1005)을 구비하고, 가동 반송 가이드(1002)의 상측 스토퍼(1004)가, 하측 스토퍼(1005)에 맞닿음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1002)가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스프링(1003)에 의해 U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던 가동 반송 가이드(1002)는, 전환 게이트(504)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송면(70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제 1 반송로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될 경우에는, 가동 반송 가이드(1002)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인 퇴피 공간이 형성된다. 형성된 퇴피 공간에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과,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안내면(5091)이, 제 1 반송로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가동 반송 가이드(1002)는, 반송되는 지폐를 안내하는 반송면을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제 2 반송로에 오목부)하는 제 2 상태에서 가동한다.
또한, 가동 반송 가이드(509)와 전환 게이트(504)에 의한 반송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것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분기부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될 경우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분기부(500)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와 반송로(53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를 선택, 전환하고,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로(532)에 지폐가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환 게이트(504)는, 상류측의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되는 지폐(503)를, 하류측의 반송로(532)에 분배한다. 이때, 전환 게이트(504)는, 도 12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회전, 이동된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1002)와 간섭 또는 맞닿기를 회피한 상태로 된다. 한편, 가동 반송 가이드(1002)는, 스프링(1003)에 의해 화살표 U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측 스토퍼(1004)가 반송 가이드(501)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가동 반송 가이드(1002)와 간섭, 맞닿기를 회피한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을 포함하는 반송면(702)과, 반송 가이드(501)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 가동 반송 가이드(1002)의 안내면(10021)을 포함하는 반송면(702)이, 제 2 반송로를 형성한다.
지폐(503)는, 가동 반송 가이드(1002)의 안내면(10021)을 포함하는 반송면(703)과,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반송로의 반송면과 마찰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A로부터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바꾸어가게 된다. 또한, 스프링(510)은, 지폐의 반송되는 하중으로는 되밀리지 않을 정도의 하중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가동 반송 가이드(1002)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가동 반송 가이드(1002)를 가짐으로써, 제 2 반송로를 통해서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2)에 대향하는 면에도, 지폐의 반송을 안내하는 안내면(10021)에 의해 반송면(703)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지폐가 일탈할 여지를 주지 않도록 지폐의 진로를 강제하고, 하류측의 제 2 반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508)에 있어서 지폐가 충돌이나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가동 반송 가이드(1002)를 갖지 않고,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만을 갖는 경우에는, 전환 게이트(504)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반송 가이드(501, 508)가 형성하는 반송면(703)과,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퇴피 공간의 저면의 거리가 넓어져서, 구부러진 지폐 등이 반송 가이드(508)에 충돌하기 쉬워지며, 또한, 충돌할 때의 충돌각이 가동 반송 가이드를 가질 때보다 급한 각도로 되어, 안정된 지폐 반송의 방해로 된다.
또한, 지폐가 반송로(532)로부터 반송로(530)에 반송될 경우에도, 전환 게이트(504), 가동 반송 가이드(509, 1002)의 동작은 마찬가지이다.
도 13은, 분기부(500)에 있어서,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로(530)와 반송로(5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반송로를 선택, 전환하고,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로(531)에 지폐가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환 게이트(504)는, 상류측의 반송로(530)로부터 반송되는 지폐(503)를, 하류측의 반송로(531)에 분배한다. 이때, 구동원(517)은, 전환 게이트(504)를 도 13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회전, 이동된 전환 게이트(504)는, 가동 반송 가이드(1002)와 간섭, 맞닿아서, 가동 반송 가이드(1002)를 가압한다. 스프링(1003)에 의해 U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12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가동 반송 가이드(1002)는, 전환 게이트(504)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7의 반송면(70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가동 반송 가이드(1002)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인 퇴피 공간이 형성된다. 형성된 퇴피 공간에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 반송 가이드(501, 506)와, 가동 반송 가이드(509), 반송 가이드(502, 505)가 제 1 반송로를 형성한다.
지폐(503)는, 전환 게이트(504)의 안내면(5041)을 포함하는 반송면(704)과, 가동 반송 가이드(509)의 안내면(5091)을 포함하는 반송면(701)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531)의 반송면과 마찰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A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바꾸어가게 된다.
이렇게, 가동 반송 가이드(1002)가 퇴피함으로써, 전환 게이트(504)가 돌출하지 않고, 제 1 반송로의 반송면(704)을 형성하여, 지폐의 진로를 강제하고, 분기부(500)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가동 반송 가이드(1002)를 갖지 않고, 전환 게이트(504)를 퇴피하는 공간을 갖지 않을 경우는, 전환 게이트(504)가 반송면(704)으로부터 돌출하여 지폐 반송의 장해가 되어, 안정된 지폐 반송의 방해로 된다.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한 가동 반송 가이드는, 도 3에 나타낸 전환 게이트(281-283, 291-295)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지엽 수납고(311-314)에 공통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270)와, 공통하여 지엽을 반송하는 반송로(270)와 각각의 지폐 수납고(311-314)를 접속하는 반송로(271-274)를 분기하는 부분에,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의 분기부(500)를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지폐 수납고에 지폐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로의 지폐 반송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지폐 수납고 부근에서의 잼을 억제하여, 시큐리티(security)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반송 가이드는, 반송로가 굴곡하는 굴곡부가, 연속하는 곳에 있는 분기부에 배치하면 된다.
지폐 취급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반송로를 지폐 취급 장치의 빈 스페이스에 배치하려고 하면, 반송로가 굴곡부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굴곡부에 지폐가 도달했을 때에는, 굴곡해 있는 반송로 면을 지폐가 따름으로써 지폐의 반송 방향이 꺾이고, 지금까지 지폐가 진행하고 있었던 방향과는 꺾이기 때문에, 지폐의 선단의 방향이 안정되지 않고, 선단이 반송 가이드 내에서 상하로 진동하여, 전환 게이트를 갖는 분기부에 있어서 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굴곡부가 연속하는 개소, 도 3의 V 등에서는 지폐의 선단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잼이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전환 게이트(504)와 함께 가동 반송 가이드(509)를 가짐으로써, 지폐의 진동을 커지기 전에 교정할 수 있어, 진동이 적은 반송 즉 안정된 지폐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의 가동 반송 가이드는, 전환 게이트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개방되면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고, 전환 게이트에 의해 가압되면 전환 게이트의 퇴피 위치를 퇴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가동 반송 가이드가, 반송되는 지폐를 안내하는 반송면 위치(제 1 상태라고도 함)와, 전환 게이트를 퇴피하는 퇴피 위치(제 2 상태라고도 함)를 갖는 것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면, 당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환 게이트, 가동 반송 가이드는, 축을 갖고, 회전 이동하는 형태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평행 이동하는 구조여도, 퇴피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가동 반송 가이드에 직접 구동원을 설치하고, 전환 게이트의 동작에 연동시켜서, 가동 반송 가이드의 반송면 위치와 퇴피 위치를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가동 반송 가이드가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해서 상하 방향으로 가동 반송 가이드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고속으로 전환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반송 가이드는, 전환 게이트에 대향하고, 반송 롤러의 양측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반송로 전면에 설치해도 되고, 반송로를 통해서 전환 게이트에 대향하는 모든 위치 또는 일부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같이 가동 반송 가이드를, 전환 게이트에 대향하고, 반송 롤러의 양측에만 배치함으로써, 지폐의 반송 잼이 특히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 반송면을 형성해서, 저비용으로 안정된 지폐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취급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지폐를 포함하는 지엽을 취급하는 지엽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어도 된다.
100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10 … 카드·명세표 처리부, 120 … 고객 조작부, 130 … 본체 제어부, 140 … 외부 인터페이스부, 150 … 계원 조작부, 160 … 외부 기억 장치, 17O … 전원부, 18O … 통장 처리부, 2OO … 지엽 취급 장치, 2O2 … 상부 지엽 기구, 204 … 하부 지엽 기구, 210 … 입출금부, 212 … 셔터, 220 … 지엽 판별부, 230 … 일시 수납고, 240 … 장전 회수고, 251-257, 260, 270-275 … 반송로, 281-283, 291-295 … 전환 게이트, 300 … 금고, 302 … 개구부, 304 … 연결부, 310 … 리젝트고, 311-314 … 지폐 수납고, 330 … 제어부, 500 … 분기부, 501, 502 … 반송 가이드, 503 … 지폐, 504 … 전환 게이트, 505-508 … 반송 가이드, 509 … 가동 반송 가이드, 510 … 스프링, 511 … 상측 스토퍼, 512 … 하측 스토퍼, 513 … 반송 롤러, 515 … 반송 벨트, 517 … 구동원, 530-532 … 반송로, 535 … 공간, 701-704 … 반송로의 반송면, 1002 … 가동 반송 가이드, 1003 … 스프링, 1004 … 상측 스토퍼, 1005 … 하측 스토퍼, 5041, 5042 … 전환 게이트의 안내면, 5091 … 반송 가이드의 안내면, 10021 … 반송면

Claims (8)

  1. 지엽(紙葉)을 취급하는 지엽 취급 장치로서,
    지엽이 반송(搬送)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서, 상기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와,
    상기 전환 게이트와 대향하고, 상기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며, 가동인 가동 반송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게이트는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압하(押下)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엽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상기 반송 롤러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게이트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전환 게이트 중 일부와 대향하고, 상기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지엽 취급 장치.
  4. 지엽을 취급하는 지엽 취급 장치로서,
    지엽이 반송되는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를 분기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서, 제 1 안내면과 제 2 안내면을 갖고, 상기 제 1 안내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 1 반송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송로를 차단하는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와,
    상기 전환 게이트가 갖는 제 1 안내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 1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 2 상태를 갖는 가동 반송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지엽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상기 반송 롤러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게이트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전환 게이트 중 일부와 대향하고, 상기 반송로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지엽 취급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상태에서의 제 2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환 게이트가 상기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전환 게이트를 갖고,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상기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힘에 저항하여, 상기 전환 게이트가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전환 게이트가, 상기 가동 반송 가이드에 대한 가압을 해방함으로써, 상기 유지 부재가 유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형성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KR1020100103925A 2010-02-26 2010-10-25 지엽 취급 장치 KR101077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270 2010-02-26
JP2010041270A JP5647798B2 (ja) 2010-02-26 2010-02-26 紙葉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02A true KR20110098602A (ko) 2011-09-01
KR101077195B1 KR101077195B1 (ko) 2011-10-27

Family

ID=4448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25A KR101077195B1 (ko) 2010-02-26 2010-10-25 지엽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47798B2 (ko)
KR (1) KR101077195B1 (ko)
CN (1) CN1021672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066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107B2 (ja) * 2012-12-17 2016-04-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預け払い機
JP6413688B2 (ja) * 2014-11-18 2018-10-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CN107499977A (zh) * 2017-08-14 2017-12-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张处理装置
JP6802395B2 (ja) * 2018-01-30 2020-12-1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収納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58A (ja) * 1991-02-25 1992-09-28 Hitachi Ltd 用紙排出装置
JP3342532B2 (ja) * 1992-03-25 2002-11-11 株式会社東芝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779076B2 (ja) * 1998-10-06 2006-05-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2005343620A (ja) * 2004-06-02 2005-12-15 Ricoh Co Ltd シート分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7944B2 (ja) * 2005-03-29 2011-09-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710430B2 (ja) * 2005-06-21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0598B2 (ja) * 2006-12-19 2011-06-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搬送路の切替ゲート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9084036A (ja) * 2007-10-03 2009-04-23 Sharp Corp 搬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249174A (ja) * 2008-04-10 2009-10-29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搬送切替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066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7241A (zh) 2011-08-31
KR101077195B1 (ko) 2011-10-27
JP2011178474A (ja) 2011-09-15
CN102167241B (zh) 2014-10-08
JP5647798B2 (ja)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782B1 (ko) 지엽반송 기구 및 지엽취급 장치
RU24808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JP6350141B2 (ja)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077195B1 (ko) 지엽 취급 장치
US11328551B2 (en) Modular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2010257090A (ja) 紙葉類取扱装置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281406B2 (ja) 厚み検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413688B2 (ja) 自動取引装置
CN104919503B (zh) 拉出装置以及介质交易装置
JP6031792B2 (ja) 現金自動預払機
JP2016045773A (ja) 媒体取引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388998Y1 (ko) 출금부에서의 종이매체 홀딩구조
JP6264191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03176073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2013117997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5225621A (ja) 紙幣取扱装置
JP5790464B2 (ja) 媒体搬送装置
JP2016057687A (ja) 媒体処理装置
JP5120226B2 (ja) 媒体取扱装置
JP6206005B2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19046160A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60112389A (ko) 출금부에서의 종이매체 홀딩구조 및 홀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