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066A -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066A
KR20190031066A KR1020170118926A KR20170118926A KR20190031066A KR 20190031066 A KR20190031066 A KR 20190031066A KR 1020170118926 A KR1020170118926 A KR 1020170118926A KR 20170118926 A KR20170118926 A KR 20170118926A KR 20190031066 A KR20190031066 A KR 2019003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ath
conveying
roller
bra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950B1 (ko
Inventor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7011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9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65H2404/632Wedg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는, 매체가 이송되는 메인경로가 복수의 분기경로로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경로를 복수의 상기 분기경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시켜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부재와, 상기 분기부로 진입하는 매체나, 상기 분기부로부터 이탈되는 매체에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MEDIA PATH CHANG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기기는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매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입금된 매체나 출금을 위한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 모듈을 포함하고, 매체 보관 모듈 사이나, 매체 입출금부와 매체 보관 사이에는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가 구비되고, 이러한 이송경로를 통과하는 매체는 이송경로의 분기점에서 분기되어 적절한 매체 보관 모듈이나 이송경로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롤러 간의 간격을 좁게 배치하여 분기부에서 이물질에 의해 잼 현상을 최소화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금융기기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는, 매체가 이송되는 메인경로가 복수의 분기경로로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경로를 복수의 상기 분기경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시켜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부재와, 상기 분기부로 진입하는 매체나, 상기 분기부로부터 이탈되는 매체에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입출금부와,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매체나 출금되는 매체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후에 반송된 매체를 처리하며, 매체가 이송되는 복수의 이송경로와, 복수의 이송경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서 이송되는 매체의 경로를 전환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는,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경로를 복수의 상기 분기경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시켜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부재와, 상기 분기부로 진입하는 매체나 상기 분기부로부터 이탈되는 매체에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금융기기를 이용하면, 이송부에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력을 증대시켜서, 가압롤러 없이도 매체의 반송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전환부재와 가압롤러 사이의 충돌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롤러 간의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분기부에서 이물질에 의해 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메인경로와 제2 경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분기부에서 매체가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부에서 매체가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정보 획득부는, 통장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장을 인식하기 위한 통장 처리 모듈(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객정보 획득부는, 카드의 입출이 가능하고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처리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객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근거리 통신,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매체 처리 장치 및 상기 금융기기의 고객정보 획득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매체 처리 장치 제어부와, 상기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듈은 상기 하부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하부 모듈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이 연결되지 않고 다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매체 입출 모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 모듈(12,13)은,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매체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및/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수납공간은 구획부재에 의해서 다수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 모듈(12,13)은, 예를 들어 지폐, 수표 및 상품권과 같은,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매체는 낱장 또는 번들 단위로 상기 매체 입출 모듈(12,13)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매체가 낱장 또는 번들 단위로 상기 매체 입출 모듈(12,13)로 방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 입출 모듈(12,13) 내에서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 공간과 매체가 인출되는 인출 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 입출 모듈이 독립적인 매체 인입 모듈과 매체 인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감별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 모듈은 매체의 입금 거래 과정, 출금 거래 과정 등에서 매체의 권종, 두께, 금액 등을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기 위한 일시 집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시 집적 모듈은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 모듈을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수 있다.
상기 일시 집적 모듈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 보관부로 이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시 집적 모듈은, 상기 매체 입출 모듈로 이송될 매체를 일시 집적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부는, 다수의 매체 보관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매체 보관 모듈(16)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 모듈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 모듈 및 수표 보관 모듈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매체 보관부는 지폐 보관 모듈 만 또는 수표 보관 모듈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다수의 매체 보관 모듈은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표 보관 모듈이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보충회수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충회수 모듈에는,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충할 매체 및 상기 매체 보관부로부터 회수된 매체 중 하나 이상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회수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모듈에는, 매체의 입금 거래 과정, 매체의 출금 거래 과정, 매체의 보충 과정 및 매체의 회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에서 불량 매체인 것으로 판단된 매체가 회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매체 입출 모듈로 인출되었으나, 고객이 미수취한 매체 및/또는 상기 감별 모듈에서 불량 매체로 판단된 매체 또는 상기 감별 모듈에서 미인식된 매체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상기 금융기기에 수표 입/출금 기능이 포함 될 경우 상기 매체 입출 모듈로부터 이송된 입금 수표가 회수되는 입금 수표 회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금 수표는 상기 금융기기를 운용하는 은행에서 발행된 자행 수표와 다른 은행으로부터 발행된 타행 수표가 구분되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입금 수표 회수 공간은 상기 회수 모듈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수 모듈 내에 구획된 공간에 구분되어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회수 모듈 및/또는 상기 수표 회수 공간은 계원 또는 관리자 등이 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회수 모듈 및/또는 상기 수표 회수 공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금융기기의 최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처리 장치에서는 입금을 위해 투입된 매체 또는 출금을 위해 방출될 매체가 각각의 모듈들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처리 장치는, 입출금부에 입금된 매체나 출금되는 매체 또는 입출금부에 입금된 후에 반송된 매체가 이송되는 복수의 이송경로와, 복수의 이송경로가 분기되는 분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기부에서 이송되는 매체를 전환하는 매체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경로 전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는 종래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20)가 도시된다.
종래 경로 전환 구조(20)에서, 분기부는 메인경로(21)에서 분기경로인 제1 경로(22)와 제2 경로(23)로 분기된다. 제1 경로(22)와 제2 경로(23)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다.
매체 분기 장치(30)는, 분기부에 배치되고 회전에 의해, 메인경로(21)를 제1 경로(22)와 연통시키거나 메인경로(21)를 제2 경로(23)와 연통시켜서,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종래 경로 전환 구조(20)는, 분기부 측으로 매체가 진입하는 진입부와, 분기부로부터 매체가 이탈되는 진출부에, 매체의 이송을 돕는 롤러들이 설치될 수 있다. 분기부는 매체의 반송에 취약한 구간이므로, 분기부 구간에 설치되는 반송롤러(41)와 함께 가압롤러(43)가 설치된다. 반송롤러(41)는 매체가 이송하는 이송력을 제공하고, 가압롤러(43)는 매체를 반송롤러(4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매체와 반송롤러(41)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매체의 진입과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가압롤러(43)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구조에 의해 반송롤러(41)를 가압하고, 이러한 스프링구조를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스프링구조를 위한 다수의 부품은, 매체 분기 장치(30)와 물리적인 충돌을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압롤러(43)는, 매체 분기 장치(30)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매체 분기 장치(30)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특히 진출부에서는 매체 분기 장치(30)의 후방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분기부에서는, 매체 분기 장치(30)와 가압롤러(43)와의 물리적인 충돌의 회피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가압롤러(43) 및 반송롤러(41)의 배치가 자유롭지 못하며, 이로 인해 롤러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배치되는 문제가 있다.
자동화기기 등의 금융기기에는 정상적인 지폐 이외에도 지폐가 아닌 이물질, 또는 접힌 지폐 등이 진입할 수 있으며, 이를 배출하기 위해서 반송롤러(41) 또는 가압롤러(43) 간의 간격은, 배출하고자 하는 이물질 등의 크기보다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기부에서는 매체 분기 장치(30)와 가압롤러(43) 간의 물리적인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가압롤러(43)가 매체 분기 장치(30)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분기부에서 이물질에 의해 잼(jam)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4, 도 5 및 도 7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10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100)는 금융기기(1) 내부에 구비된 매체 처리 장치의 모든 이송경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매체 보관 장치에 적용되는 이송경로뿐만 아니라, 감별부, 임시 집적부 등 매체가 이송되는 모든 이송경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100)는, 분기부(300)와, 경로전환부재(400)와, 이송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기부(300)는, 매체가 이송되는 메인경로(210)가 복수의 분기경로(230)로 분기된다.
구체적으로, 분기경로(230)는, 메인경로(210)에서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되는 제1 경로(231)와, 제2 경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로(231)와 제2 경로(232)는 도시된 개수와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가 복수로 구비되어 메인경로(210)가 3 이상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경로전환부재(400)는, 분기부(300)에 배치되고, 메인경로(210)를 복수의 분기경로(230) 중 어느 하나와 연통시켜서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경로전환부재(400)는 회전에 의해 경로를 전환하는 디버터장치일 수 있다. 경로전환부재(400)는 회전에 의해, 메인경로(210)와 제1 경로(231)를 연결시키거나(도 4 참조), 메인경로(210)와 제2 경로(232)를 연결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이송부(500)는, 분기부(300)로 진입하는 매체나, 상기 분기부(300)로부터 이탈되는 매체에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전환부재(400)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분기부(300)는, 경로전환부재(400)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매체가 진입하는 진입부(310)와, 경로전환부재(400)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분기경로(230)를 통해 매체가 이탈하는 진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500)는 제1 이송부재(510)와 제2 이송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재(510)는, 진입부(310)에 구비되어 분기부(300) 측으로 매체를 진입시키고, 제2 이송부재(520)는, 진출부(330)에 구비되어 분기부(300)로부터 매체를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부재(510)와 제2 이송부재(520) 중 적어도 하나는 경로전환부재(400)와 오버랩되게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구체적으로, 제1 이송부재(510)와 제2 이송부재(520) 중 적어도 하나는, 경로전환부재(400)와 겹치도록 설치하여 경로전환부재(400)와 오버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500)는 오버랩에 의해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100)는, 이송부(500)에 경로전환부재(400)와 오버랩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가압롤러에 의한 가압력으로 매체를 이송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가압롤러 없이도 매체의 반송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부(300)에 구비된 이송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가압롤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경로전환부재(400)와 가압롤러 사이의 충돌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롤러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즉, 롤러 간의 간격을 좁게 배치함으로써, 롤러 간의 간격이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분기부(300)에서 이물질에 의해 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재(510)는, 제1 반송롤러(511)와 가압롤러(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부재(520)는, 제2 반송롤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송롤러(511)는, 회전에 의해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513)는, 매체를 사이에 두고 제1 반송롤러(511)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매체를 제1 반송롤러(511)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반송롤러(511)와 가압롤러(513)는, 분기부(300)의 전단 즉, 메인경로(210) 또는 메인경로(210)와 분기경로(230)에 배치되어, 진입부(310)에서 매체의 진입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 반송롤러(520)는, 진출부(330)에 구비된 제2 이송부재(520)에 포함되며, 회전에 의해 매체를 이탈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체를 사이에 두고 경로전환부재(40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매체와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매체를 경로전환부재(400) 측으로 가압하여, 경로전환부재(400)와 오버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출부(330)에 구비된 제2 이송부재(520)는, 진입부(310)에 구비된 제1 이송부재(510)와 달리, 가압롤러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에 의한 매체의 이송력을, 경로전환부재(400)와 제2 반송롤러(520)의 오버랩 구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종래 경로 전환 구조(20)를 참조하면, 진출부에서 가압롤러(43)는, 매체(N)를 사이에 두고 반송롤러(41)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43)는 이송되는 매체(N)를 반송롤러(41) 방향으로 가압하여, 매체(N)의 이송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롤러(43)는 반송롤러(41)에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매체(N)의 변형이 작다. 도 6의 미설명부호인 31은 회전축이고, 33은 블레이드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송부재(520)는, 오버랩 구조에 의해, 매체(N)에 굴곡을 형성하고, 이러한 굴곡에 의해 매체(N)와 반송롤러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매체(N)의 이송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출부(330)에 가압롤러 없이도 매체(N)를 이탈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전환부재(400)는, 회전축(410)과, 블레이드(430)와, 롤러 자리홈(45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430)는, 회전축(410)에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회전축(410)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매체(N)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롤러 자리홈(450)은, 이격된 블레이드(430)들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반송롤러(520)는, 롤러 자리홈(4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롤러 자리홈(450)에 삽입됨으로써, 경로전환부재(40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즉, 제2 반송롤러(520)의 외주면을 회전축(4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인 제1 가상선(A)은, 블레이드(43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가상선인 제2 가상선(B)보다 회전축(41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반송롤러(520)와 경로전환부재(400)가 겹치게 됨으로써, 이송되는 지폐에 변형(굴곡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반송롤러(520)는, 제1 경로(231)에 배치되는 제1 롤러(521)와, 제2 경로(232)에 배치되는 제2 롤러(5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경로전환부재(400)는, 메인경로(210)와 제1 경로(231)가 연통되게 경로를 전환한 경우에는 제1 롤러(521)와 오버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경로전환부재(400)는, 메인경로(210)와 제2 경로(232)가 연통되게 경로를 전환한 경우에는 제2 롤러(522)와 오버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경로전환부재(400)는, 회전에 의해 메인경로(210)와 연통되는 분기경로(230)에 배치된 제2 반송롤러(520)와 오버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반송롤러(5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경로전환부재(400)의 상기 진출부(33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진입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들어가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5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경로전환부재(400)와 가압롤러 간의 물리적인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진출부(330)에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반송롤러를 경로전환부재(400)의 후방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진출부(330)의 가압롤러를 생략하므로, 제2 반송롤러(520)를 제1 반송롤러(511)를 향하여 전진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부(300)에서 제1 반송롤러(511)와 제2 반송롤러(520)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이물질에 의한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금융기기를 이용하면, 이송부에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가압롤러 없이도 매체의 반송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전환부재와 가압롤러 사이의 충돌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롤러 간의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롤러 간의 간격이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게 설계하여, 분기부에서 이물질에 의해 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210: 메인경로
230 분기경로 231 제1 경로
232 제2 경로 300: 분기부
310 진입부 330 진출부
400: 디버터 410 회전축
430 블레이드 450 롤러 자리홈
500: 이송부 510 제1 이송부재
511 제1 반송롤러 513 가압롤러
520 제2 이송부재, 제2 반송롤러
521 제1 롤러 522 제2 롤러

Claims (8)

  1. 매체가 이송되는 메인경로가 복수의 분기경로로 분기되는 분기부;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경로를 복수의 상기 분기경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시켜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부재; 및,
    상기 분기부로 진입하는 매체나, 상기 분기부로부터 이탈되는 매체에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는, 상기 경로전환부재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체가 진입하는 진입부와, 상기 경로전환부재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기경로를 통해 매체가 이탈하는 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진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 측으로 상기 매체를 진입시키는, 제1 이송부재와, 상기 진출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로부터 상기 매체를 이탈시키는,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제1 반송롤러와, 상기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송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매체를 상기 제1 반송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를 이탈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매체와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매체를 상기 경로전환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제2 반송롤러를 포함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하는 블레이드와,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 자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송롤러는, 상기 롤러 자리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러 자리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롤러의 외주면을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인 제1 가상선은,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들의 외주면을 연결한 가상선인 제2 가상선보다 상기 회전축에 가깝게 위치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경로는, 상기 메인경로에서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되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송롤러는, 상기 제1 경로에 배치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경로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전환부재는, 상기 메인경로와 상기 제1 경로가 연통되게 경로를 전환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롤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경로와 상기 제2 경로가 연통되게 경로를 전환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롤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상기 제2 반송롤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경로전환부재의 상기 진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진입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들어가게 위치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8. 매체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입출금부; 및,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매체나 출금되는 매체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후에 반송된 매체를 처리하며, 매체가 이송되는 복수의 이송경로와, 복수의 이송경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에서 이송되는 매체의 경로를 전환하는,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는,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경로를 복수의 상기 분기경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시켜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부재; 및,
    상기 분기부로 진입하는 매체나 상기 분기부로부터 이탈되는 매체에 이송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전환부재와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1020170118926A 2017-09-15 2017-09-15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200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26A KR102002950B1 (ko) 2017-09-15 2017-09-15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26A KR102002950B1 (ko) 2017-09-15 2017-09-15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066A true KR20190031066A (ko) 2019-03-25
KR102002950B1 KR102002950B1 (ko) 2019-10-01

Family

ID=6590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26A KR102002950B1 (ko) 2017-09-15 2017-09-15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602A (ko) * 2010-02-26 2011-09-0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 취급 장치
KR20120077977A (ko) * 2010-12-31 2012-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반송방향 변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입출금장치
KR20120079038A (ko) * 2010-04-30 2012-07-1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KR20170011024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602A (ko) * 2010-02-26 2011-09-0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 취급 장치
KR20120079038A (ko) * 2010-04-30 2012-07-11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KR20120077977A (ko) * 2010-12-31 2012-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반송방향 변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입출금장치
KR20170011024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950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131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JP2012008926A (ja) 自動取引装置
KR101673079B1 (ko) 금융 기기
KR101844994B1 (ko) 경로 전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매체 보관 장치 및 금융기기
EP3089123B1 (en) Financial device
KR20160143433A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CN106251471A (zh) 介质导引部件以及纸张类处理装置
KR101965857B1 (ko)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59829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 기기
JP5277757B2 (ja) 紙幣処理装置
KR102002950B1 (ko)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781686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900766B1 (ko) 매체 보관 장치,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EP2350990B1 (en) Handling of different classes of currency
KR102625029B1 (ko) 지류 입금 장치
KR101799393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61843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190023164A (ko) 금융 기기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2948B1 (ko) 매체 반송 모듈과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871437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965858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20170036290A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