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997A -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 Google Patents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997A
KR20110097997A KR1020117017282A KR20117017282A KR20110097997A KR 20110097997 A KR20110097997 A KR 20110097997A KR 1020117017282 A KR1020117017282 A KR 1020117017282A KR 20117017282 A KR20117017282 A KR 20117017282A KR 20110097997 A KR20110097997 A KR 2011009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rrier layer
thin film
film transistor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786B1 (ko
Inventor
가즈나리 마키
겐이치 야구치
요스케 나카사토
사토루 모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01L29/456Ohmic electrodes on silicon
    • H01L29/458Ohmic electrodes on silicon for thin film silicon, e.g. source or drain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1Alloys based on copper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16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metallic substrates or on substrates of boron or silicon
    • C23C14/16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metallic substrates or on substrates of boron or silicon by cathodic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23C14/3414Metallurgical or chemical aspects of target preparation, e.g. casting, powder metallu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by physical means, e.g.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08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for thin film semiconductor, e.g. gate of T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65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after the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이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은, 원자% 로, Al :1 ∼ 10 %, Ca : 0.1 ∼ 2 % 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한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리 기판의 표면에 밀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된 게이트 전극층, 게이트 절연층, Si 반도체층, n 형 Si 반도체층, 배리어층, 상호 분리된 드레인 전극층과 소스 전극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 패시베이션층, 및 투명 전극층을 갖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되어 있다.

Description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THIN FILM TRANSISTOR HAVING A BARRIER LAYER AS A CONSTITUTING LAYER AND Cu-ALLOY SPUTTERING TARGET USED FOR SPUTTER FILM FORMATION OF THE BARRIER LAYER}
이 발명은, 각종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성층인 순구리의 배선층 (드레인 전극층 및 소스 전극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선층은 물론, 상기 n 형 Si 반도체층에 대해 높은 밀착 강도를 가짐과 함께, 상하측층의 구성 성분인 Si 나 Cu 의 상호 확산을 충분히 방지하는 기능 (이하, 배리어 기능이라고 한다) 을 갖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 년 3 월 11 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05735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유리 기판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이 밀착 형성되어 있고, 이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격자 형상 배선의 교차점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는, 도 1 에 주요부 종단면 모식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 (1) 의 표면에, 기판측으로부터, 금속 Mo 의 밀착층 (2) 을 개재하여 접합된 순구리의 게이트 전극층 (3), 질화규소의 게이트 절연층 (4), Si 반도체층 (5), n 형 Si 반도체층 (6), Cu 합금 타깃을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함으로써 성막된 배리어층, 및 분리 홈 (8) 으로 나누어진 순구리의 드레인 전극층 (9a) 과 소스 전극층 (9b) 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 (9),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질화규소의 패시베이션층 및 투명 전극층을 순차 적층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 구조를 갖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적층 구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시에는, 습식 에칭 처리에 의해 배선층 (9) 에 분리 홈 (8) 을 형성하여 드레인 전극층 (9a) 과 소스 전극층 (9b) 으로 구분한다. 이어서 배선층 (9) 에 형성된 분산 홈 (분리 홈 8) 의 바닥면에 노출되는 부분의 n 형 Si 반도체층을 드라이 에칭 처리에 의해 제거한다.
상기 습식 에칭 처리 및 드라이 에칭 처리 후의 분리 홈 (8) 의 바닥면에 노출되는 부분의 Si 반도체층 (5) 에 있어서는, 특히 상기 드라이 에칭 처리에서 표면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잃는다. 이 때문에, 그 표면이 극히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즉 미결합손 (댕글링 본드) 이 증대되어, 이것이 표면 결함으로 된다. 이 표면 결함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LCD 의 콘트라스트의 저감이나 시야각을 작게 하는 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피할 수 없는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 Si 반도체층 (5) 의 노출 표면에, 가스 : 100 % 수소 가스, 수소 가스 유량 : 10 ∼ 1000 SCCM, 수소 가스압 : 10 ∼ 500 ㎩, 처리 온도 : 200 ∼ 250 ℃, 출력 : 0.005 ∼ 0.5 W/㎠, 처리 시간 : 0.5 ∼ 1 분의 조건으로 수소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여, Si 반도체층 (5) 표면의 미결합손 (댕글링 본드) 을 수소 원자와 결합시켜 안정화하는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성층인 배리어층이, 원자% (이하, % 는 원자% 를 나타낸다) 로, Mg, Ti, Al, 및 Cr 중 1 종 이상 : 0.5 ∼ 20 % 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Cu 와 불가피 불순물 (단, 1 % 이하) 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스퍼터 성막한 후, 산화 분위기 (공기) 중에서 가열 산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 각종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가 현저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적층 상호간에는, 한층 더 높은 밀착 강도가 요구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 (1) 과 순구리의 게이트 전극층 (3) 사이, 상기 게이트 전극층 (3) 과 질화규소의 게이트 절연층 (4) 사이, 상기 게이트 절연층 (4) 과 Si 반도체층 (5) 사이, 상기 Si 반도체층 (5) 과 n 형 Si 반도체층 (6) 사이, 및 배리어층과 순구리의 배선층 (9) 사이, 또한 순구리의 배선층 (9) 과 도시되어 있지 않은 질화규소의 패시베이션층, 상기 패시베이션층과 투명 전극층 사이에는, 상기한 요구에 충분히 만족하게 대응할 수 있는 높은 밀착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6) 사이의 밀착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한 요구에 만족하게 대응할 수 있는 높은 밀착 강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4963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66757호
본 발명은,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 높은 밀착 강도를 갖는 배리어막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배리어층을 형성할 수 있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서술한 관점에서, 상기한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있어서의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 높은 밀착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하의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성층인 배리어층의 n 형 Si 반도체층에 대한 밀착 강도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에 수반하여 낮아지는 원인으로는, 특히 상기 수소 플라즈마 처리 조건이 고온화 및 장시간화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 100 % 수소 가스, 수소 가스 유량 : 10 ∼ 1000 SCCM, 수소 가스압 : 10 ∼ 500 ㎩, 출력 : 0.005 ∼ 0.5 W/㎠, 처리 온도 : 250 ∼ 350 ℃, 처리 시간 : 1 ∼ 5 분과 같이, 고온화 및 장시간화된 조건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의 필요성이 발생한다. 이 결과, 배리어층의 구성 성분 중, 특히 산소 성분이 활성화되어, 배선층측 및 n 형 Si 반도체층 측으로 확산 이동하고, 상기 배리어층의 산소 함유 비율이 저하되는 것 (산소 부족) 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 전술한 종래의 배리어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종래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의 합금 성분 중, Al 에 주목했다. 이 Al 에, Ca 를 합금 성분으로서 0.1 ∼ 2 % 의 비율로 함유시킨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했다.
즉, Al : 1 ∼ 10 %, Ca : 0.1 ∼ 2 % 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함으로써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특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에 수반되는 고온에서 장시간 조건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 후에도, 배리어층과 배선층 사이, 및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 높은 밀착 강도가 유지되고, 또한 우수한 배리어 기능도 유지된 배리어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이유는, 합금 성분인 Ca 의 작용에 의해, 배선층측 및 n 형 Si 반도체층측으로의 산소의 확산 이동이 현저하게 억제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발명은 상기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요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이 높은 밀착 강도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리 기판의 표면에 밀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된 게이트 전극층, 게이트 절연층, Si 반도체층, n 형 Si 반도체층, 배리어층, 상호 분리된 드레인 전극층과 소스 전극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 패시베이션층, 및 투명 전극층을 갖고, 상기 층은, 이 순서로 상기 유리 기판측으로부터 순차 적층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층은, 원자% 로, Al : 1 ∼ 10 %, Ca : 0.1 ∼ 2 % 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배리어층을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원자% 로, Al : 1 ∼ 10 %, Ca : 0.1 ∼ 2 % 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측층인 순구리의 배선층과 하측층인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배리어층이, Al : 1 ∼ 10 %, Ca : 0.1 ∼ 2 % 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되어 있다.
상기 상측층인 배선층과의 밀착성은 물론, 상기 하측층인 n 형 Si 반도체층과의 밀착성에도 우수하고, 이 우수한 밀착성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중에 실시되는 고온화 및 장시간화된 조건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 후에도 유지된다. 또한, 우수한 배리어 기능도 구비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에 충분히 만족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 발명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은, 상기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배리어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주요부 종단면 모식도이다.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다음으로, 이 발명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의 성분 조성을 상기와 같이 한정한 이유를 설명한다.
(a) Al
Al 성분에는, 배리어층과 상측층인 배선층 사이, 및 배리어층과 하측층인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 강고한 밀착성을 확보함과 함께, 우수한 배리어 기능을 형성하는 배리어층에 구비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러나, 그 함유 비율이 1 % 미만에서는, 상기 작용에 원하는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그 함유 비율이 10 % 를 초과하면, 도전성에 저하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함유 비율을 1 ∼ 10 %, 바람직하게는 2 ∼ 8 % 로 정했다.
(b) Ca
Ca 성분에는, 상기와 같이, 산화 분위기에서의 스퍼터 성막에 의해 형성된 배리어층 자체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수소 플라즈마 처리 조건이 고온화 및 장시간화되어도, 밀착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수소 플라즈마 처리시, 구성 성분인 산소가 상측층인 순구리의 배선층 및 하측층인 n 형 Si 반도체층으로 확산 이동하여, 상기 배리어층에 있어서의 산소의 함유 비율이 저감되고, 즉 층 자체가 산소 부족으로 되는 경우가 있었다. Ca 성분에는, 특히 상기한 산소의 확산 이동을 억제하여 배리어층 자체가 산소 부족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어, 이로써 밀착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함유 비율이 0.1 % 미만에서는, 상기 작용에 원하는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그 함유 비율이 2 % 를 초과해도, 그 이상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그 함유 비율을 0.1 ∼ 2 % 로 정했다.
(c) 잔부 : Cu 및 불가피 불순물
타깃의 불가피 불순물이 1 % 를 초과하면, 스퍼터 성막된 배리어층에 있어서의 불가피 불순물의 함유 비율도 1 % 를 초과하여 많아진다. 이 경우, 밀착성에 저하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불가피 불순물의 함유 비율은, 1 % 이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도 1 은,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주요부 종단면을 나타낸다.
이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리 기판 (1) 의 표면에 밀착층 (2) 을 개재하여 접합된 게이트 전극층 (3), 게이트 절연층 (4), Si 반도체층 (5), n 형 Si 반도체층 (6), 배리어층 (7), 상호 분리된 드레인 전극층 (9a) 과 소스 전극층 (9b) 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 (9), 패시베이션층, 및 투명 전극층을 갖는다. 이들 층은, 이 순서로 유리 기판측으로부터 순차 적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리어층 (7) 은, 전술한 본 발명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배리어층 (7) 과 배선층 (9) 사이, 및 배리어층 (7) 과 n 형 Si 반도체층 (6)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우수한 밀착성은, 고온에서 장시간 조건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 후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 우수한 배리어 기능도 얻어진다.
실시예
다음으로, 이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의 밀착 강도에 관하여,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막형성 조건에 따라, 세로 : 320 ㎜ × 가로 : 400 ㎜ × 두께 : 0.7 ㎜ 의 치수를 가진 유리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막두께 : 50 ㎚ 의 금속 Mo 의 밀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된 막두께 : 250 ㎚ 의 순구리의 게이트 전극층, 막두께 : 300 ㎚ 의 질화규소의 게이트 전극층, 막두께 : 150 ㎚ 의 Si 반도체층, 및 막두께 : 10 ㎚ 의 n 형 Si 반도체층을 순차 적층 형성했다.
용해 조제에 의해, 표 1, 2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Al-Ca 합금의 본 발명예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이하, 본 발명예의 타깃이라고 한다) 및 Cu-Al 합금의 비교예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이하, 비교예의 타깃이라고 한다) 을 제작했다. 또한, 상기 타깃의 불가피 불순물 함유량은 모두 1 % 이하였다.
상기 적층체를 갖는 유리 기판을 스퍼터 장치에 장입 (裝入) 시키고, 상기 타깃을 사용하여 분위기 : Ar+산소 (용량% 로, Ar/산소 = 90/10) 의 산화 분위기, 분위기 압력 : 0.4 ㎩, 기판 가열 온도 : 100 ℃ 의 조건으로 스퍼터를 실시하여, 막두께 : 50 ㎚ 의 배리어층을 형성했다.
또한, 순구리의 배선층을 250 ㎚ 의 막두께로 형성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예의 박막 트랜지스터 시료 1 ∼ 20 및 비교예의 박막 트랜지스터 시료 1 ∼ 10 을 각각 제조했다.
이어서, 얻어진 본 발명예의 박막 트랜지스터 시료 1 ∼ 20 및 비교예의 박막 트랜지스터 시료 1 ∼ 10 에, 이하의 조건으로 수소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했다.
가스 : 100 % 수소 가스
수소 가스 유량 : 500 sccm
수소 가스압 : 250 ㎩
처리 온도 : 275 ℃
출력 : 0.1 W/㎠
처리 시간 : 3 분
상기 조건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에 대응하는 수소 플라즈마 처리 조건으로서, 종래 실시되고 있는 수소 플라즈마 처리 조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처리 온도가 높고, 또한, 처리 시간이 길다.
상기 배리어층의 n 형 Si 반도체층에 대한 밀착성에 관해서, 수소 플라즈마 처리 전후의 변화를, 바둑판 눈금 부착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확인했다.
바둑판 눈금 부착 시험은, JIS-K5400 에 준하여 상기 시료의 표면에, 커터를 사용하여, 0.5 ㎜, 1 ㎜, 1.5 ㎜, 및 2 ㎜ 의 간격으로, 각각 종횡으로 11 개씩, 표면으로부터 n 형 Si 반도체층에 이르는 깊이로, 또한 0.1 ㎜ 의 홈폭으로 홈 (칼집) 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각각의 간격으로 100 개의 모눈을 제작했다. 이 모눈 전체에 걸쳐, 3M 사 제조 스카치 테이프를 밀착시켜 부착하고, 이어서 단번에 벗겨냈다. 그리고, 시료 표면의 100 개의 모눈 중, 박리된 모눈의 수 (개/100) 를 측정했다. 이 측정 결과를 표 1 ∼ 3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1 ∼ 3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예의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된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본 발명예의 박막 트랜지스터 시료 1 ∼ 20 에 있어서는,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처리 온도 및 긴 처리 시간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도 불구하고,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에는 극히 높은 부착 강도 (밀착성) 가 확보되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에 상당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비교예의 타깃 1 ∼ 10 을 사용하여 동일한 스퍼터 조건으로 형성된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비교예의 박막 트랜지스터 시료 1 ∼ 10 에 있어서는, 모두 통상 조건에 비하여 높은 처리 온도 및 긴 처리 시간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의 부착 강도 (밀착성) 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에 충분히 만족하게 대응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서는, 배리어층과 배선층 사이, 및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배리어 기능을 갖는 배리어막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우수한 밀착성은, 고온에서 장시간 조건에서의 수소 플라즈마 처리 후에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및 고집적화에 충분히 만족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로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 유리 기판, 2 : 밀착층, 3 : 게이트 전극층, 4 : 게이트 절연층, 5 : Si 반도체층, 6 : n 형 Si 반도체층, 7 : 배리어층, 8 : 분리 홈, 9 : 배선층, 9a : 드레인 전극층, 9b : 소스 전극층.

Claims (2)

  1. 유리 기판의 표면에 밀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된 게이트 전극층, 게이트 절연층, Si 반도체층, n 형 Si 반도체층, 배리어층, 상호 분리된 드레인 전극층과 소스 전극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 패시베이션층, 및 투명 전극층을 갖고,
    상기 층은, 이 순서로, 상기 유리 기판측으로부터 순차 적층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층은, 원자% 로, Al : 1 ∼ 10 %, Ca : 0.1 ∼ 2 % 를 함유 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층과 n 형 Si 반도체층이 높은 밀착 강도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2.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배리어층을 산화 분위기에서 스퍼터 성막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원자% 로,
    Al : 1 ∼ 10 %,
    Ca : 0.1 ∼ 2 % 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Cu 와 1 % 이하의 불가피 불순물을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KR1020117017282A 2009-03-11 2009-10-22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KR101261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57359A JP5354781B2 (ja) 2009-03-11 2009-03-11 バリア層を構成層とする薄膜トランジスターおよび前記バリア層のスパッタ成膜に用いられるCu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JP-P-2009-057359 2009-03-11
PCT/JP2009/005576 WO2010103587A1 (ja) 2009-03-11 2009-10-22 バリア層を構成層とする薄膜トランジスターおよびバリア層のスパッタ成膜に用いられるCu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997A true KR20110097997A (ko) 2011-08-31
KR101261786B1 KR101261786B1 (ko) 2013-05-07

Family

ID=4272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282A KR101261786B1 (ko) 2009-03-11 2009-10-22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8009B2 (ko)
JP (1) JP5354781B2 (ko)
KR (1) KR101261786B1 (ko)
CN (1) CN102349157B (ko)
TW (1) TWI484638B (ko)
WO (1) WO2010103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1426A1 (ja) * 2011-08-10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装置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装置の製造方法
JP6108210B2 (ja) 2012-01-31 2017-04-05 日立金属株式会社 電子部品用積層配線膜
JP5888501B2 (ja) * 2012-02-16 2016-03-2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薄膜配線形成方法
KR20130139438A (ko) 2012-06-05 2013-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8772934B2 (en) 2012-08-28 2014-07-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luminum interconnection apparatus
JP5842806B2 (ja) 2012-12-28 2016-01-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用銅合金製熱間圧延板、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KR102025103B1 (ko) 2013-07-22 2019-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545379B (zh) * 2013-11-06 2016-01-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晶体管、像素单元、阵列基板和显示装置
US9455184B2 (en) 2014-06-17 2016-09-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luminum interconnec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9637A (ja) 1991-05-28 1992-12-04 Oki Electric Ind Co Ltd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
CN100446102C (zh) 2003-05-16 2008-12-24 三菱麻铁里亚尔株式会社 光记录介质的反射层形成用的银合金溅射靶
EP1656467A2 (en) * 2003-08-21 2006-05-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pper-containing pvd target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JP2005166757A (ja) 2003-11-28 2005-06-23 Advanced Lcd Technologies Development Center Co Ltd 配線構造体、配線構造体の形成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薄膜トランジスタの形成方法、及び表示装置
JPWO2008018478A1 (ja) 2006-08-09 2009-12-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素子の接合構造
WO2008047726A1 (en) 2006-10-13 2008-04-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5234306B2 (ja) * 2006-10-18 2013-07-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熱欠陥発生が少なくかつ表面状態の良好なtftトランジスター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配線および電極並びにそれらを形成するための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CN101529566B (zh) * 2006-12-28 2011-11-16 株式会社爱发科 布线膜的形成方法、晶体管及电子装置
JP4840172B2 (ja) * 2007-02-07 2011-12-2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熱欠陥発生がなくかつ密着性に優れた液晶表示装置用配線および電極
JP5315641B2 (ja) * 2007-08-07 2013-10-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ー
JP2009070881A (ja) * 2007-09-11 2009-04-02 Mitsubishi Materials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ー
JP5269533B2 (ja) * 2008-09-26 2013-08-2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ー
JP5541651B2 (ja) * 2008-10-24 2014-07-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ー用配線膜形成用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5285710B2 (ja) * 2008-10-24 2013-09-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58009B2 (en) 2014-02-25
WO2010103587A1 (ja) 2010-09-16
TW201034200A (en) 2010-09-16
CN102349157A (zh) 2012-02-08
JP5354781B2 (ja) 2013-11-27
US20110309444A1 (en) 2011-12-22
CN102349157B (zh) 2014-09-10
KR101261786B1 (ko) 2013-05-07
JP2010212465A (ja) 2010-09-24
TWI484638B (zh)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786B1 (ko) 배리어층을 구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리어층의 스퍼터 성막에 사용되는 Cu 합금 스퍼터링 타깃
KR101527625B1 (ko) 배리어막과 드레인 전극막 및 소스 전극막 사이의 밀착 강도가 우수한 박막 트랜지스터
TWI437107B (zh) Display device
KR10152762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 중간체
JP5548396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用配線層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5996A (ko) 박막 트랜지스터용 배선막을 형성하기 위한 스퍼터링 타깃
KR20130133083A (ko) 배선 구조 및 표시 장치
KR20110042199A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배선막 형성용 스퍼터링 타깃
US20190148412A1 (en) Multilayer wiring film and thin film transistor element
KR20130126996A (ko) Cu 합금막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또는 전자 장치
JP2009070881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ー
JP2011232654A (ja) 表示装置用Al合金膜
JP2008124450A (ja) ターゲット、成膜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薄膜トランジスタ付パネル、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付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112989A (ja) ターゲット、成膜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薄膜トランジスタ付パネル、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010258347A (ja) 表示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Cu合金膜
JP5464667B2 (ja) 配線用Cu合金を用いた接続構造及び配線用Cu合金からなる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2013168582A (ja) 薄膜配線形成方法および薄膜配線
WO2022004491A1 (ja) 金属配線構造体、金属配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2021064655A (ja) 配線構造及びターゲット材
TW201928074A (zh) 配線構造及靶材
JP2010040535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ー
JP2010040536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