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115A - 차량 완구 - Google Patents

차량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115A
KR20110096115A KR1020117010656A KR20117010656A KR20110096115A KR 20110096115 A KR20110096115 A KR 20110096115A KR 1020117010656 A KR1020117010656 A KR 1020117010656A KR 20117010656 A KR20117010656 A KR 20117010656A KR 20110096115 A KR20110096115 A KR 2011009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y
vehicle
side wall
base member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꾸또 후루사와
쇼따로 마쯔노
가쯔유끼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1009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4Stunt-cars, e.g. lifting front wheels, roll-over or invertible c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9/00Model railwa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형태의 외관으로부터 변화 가능한 제2 형태의 외관의 예측을 어렵게 한 차량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차량 완구이며, 표면이 제1 형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이면이 제2 형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이 제1 형태를 나타내고, 이면이 제2 형태를 나타내도록 표면과 이면에 다른 외관이 실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 부재를 갖고, 2개 이상의 회전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회전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연결하여 차량 완구를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로 유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차량 완구가 제1 형태일 때, 베이스 부재의 이면은 2개 이상의 회전 부재에 의해 덮여 볼 수 없는 상태로 된다.

Description

차량 완구{TOY VEHICLE}
본 발명은, 제1 형태의 차량으로부터, 제1 형태와는 다른 제2 형태의 차량으로 변화되는 차량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완구로서, 표리면에 다른 외관을 실시한 복수의 부재를 갖고, 조작자가 각 부재를 회전시켜 각 부재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다른 외관의 차량 완구로 변화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량 완구는, 지지 프레임에 보디 측벽과 보디 전방면과 보디 후방면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보디 측벽과 보디 전방면과 보디 후방면을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 완구의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량 완구는, 차량 완구의 본체의 전후에 다른 차종의 디자인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중앙에 표면과 이면에서 디자인이 다른 복수의 부재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복수의 부재가 차량 전방부를 덮도록 프레임을 배치한 경우와 차량 후방부를 덮도록 프레임을 배치한 경우에서 차량 완구의 외관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특허출원공개소58-36580호공보 일본등록실용신안공개제3047055호공보
다음에 종래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량 완구는, 차량의 외관을 변화시킬 때에 보디 측벽과 보디 전방면과 보디 후방면만을 상하로 회전시켜 외관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외관을 변화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부분은 차량 완구의 일부분에 그쳐, 변화의 예측이 용이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차량 완구는, 복수의 부재를 차량 완구의 전방 또는 후방의 부분에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차량의 종류를 변화시키므로, 본체를 덮는 부재의 두께분만큼 차량 완구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어, 외관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량 완구의 변화 전후의 외관을 예측하는 것을 어렵게 한 차량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차량 완구이며, 표면이 상기 제1 형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이면이 상기 제2 형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이 상기 제1 형태를 나타내고, 이면이 상기 제2 형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에 다른 외관이 실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 부재를 갖고, 상기 2개 이상의 회전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회전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연결하여 상기 차량 완구를 상기 제1 형태 또는 상기 제2 형태로 유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완구가 상기 제1 형태일 때,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이면은 상기 2개 이상의 회전 부재에 의해 덮여 볼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볼 수 없는 상태」라 함은, 완전히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는 물론, 제2 형태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시인할 수 없는 상태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연결부는 자석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 부재끼리를 연결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조작자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회전 부재와는 상이한 다른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가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차량 완구의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차륜의 주위면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차량 완구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2개 이상의 회전 부재 중 적어도 1개에는 차량 완구의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기 차륜이 설치된 회전 부재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에 따르면, 제1 형태의 외관으로부터 변화 가능한 제2 형태의 외관을 예측하는 것을 어렵게 한 차량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로서의 보통 승용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로부터 제2 형태인 패트롤카로의 변화 초기 단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로부터 제2 형태인 패트롤카로의 변화 중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2 형태인 패트롤카의 완성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로서의 초특급 전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인 보통 전차로의 변화 초기 단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인 보통 전차로의 변화 중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인 보통 전차로의 변화 종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2 형태인 보통 전차의 완성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로서의 보통 승용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로서의 보통 승용차로부터 제2 형태로서 패트롤카로의 변화 초기 단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완구(1)는 섀시(2)와, 차륜(3)과,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측벽(8)과, 측벽(9)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차륜(3)이 설치되어 있는 섀시(2)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측벽(8)과, 측벽(9)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은 범용의 수지로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섀시(2)의 표면은 제1 형태로서의 보통 승용차의 저면을 구성하고, 이면은 제2 형태로서의 패트롤카의 저면을 구성하고 있다.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과, 측벽(8)과, 측벽(9)의 표면에는 제1 형태로서의 보통 승용차의 외관이 실시되어 있고, 이면에는 제2 형태로서의 패트롤카의 외관이 실시되어 있다.
섀시(2)의 이면은,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일 때에는,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측벽(8)과, 측벽(9)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에 의해 덮여, 제2 형태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본 발명에서 말하는「볼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일 때에는, 제2 형태인 패트롤카의 형태를 나타내는 섀시(2), 보디 전방면(5), 보닛(6), 전방측 차실(7), 보디 후방면(10), 트렁크(11), 후방측 차실(12)과, 측벽(8)과, 측벽(9)의 이면은 외관으로부터는 시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면에 어떠한 외관을 실시해도, 제1 형태를 나타내는 표면에는 영향이 적고, 또한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의 외관으로부터는, 제2 형태인 패트롤카의 외관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차륜(3)이 설치되어 있는 섀시(2)(본 발명에서 말하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차량 완구의 보디를 구성하는,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측벽(8)과, 측벽(9)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전 부재)을 회동시키기 위해, 차량 완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디의 외관을 변화시키게 되므로, 조작자는 변화의 예측이 어려워진다.
섀시(2)의 4변에는, 보디 전방면(5)과 보디 후방면(10)과 측벽(8)과 측벽(9)이 힌지부(40 내지 4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이, 힌지부(44, 4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이, 힌지부(46, 47)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과 측벽(8)과 측벽(9)은, 각각이 접하는 단부가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9)과 후방측 차실(12)이 접하는 개소에는, 측벽(9)의 단부(9e)의 내측 경사면과 후방측 차실(12)의 좌측 단부(12g)의 하측 경사면이 접하도록 측벽(9)의 단부(9e)와 후방측 차실(12)의 좌측 단부(12g)는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차실(7)의 단부(7f)에는, 단부(7f)의 표면으로부터 1㎜ 정도 오목해지도록 자석(20A)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차실(12)의 단부(12f)에는, 자석(20A)과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측 차실(12)의 면(12f)의 표면으로부터 1㎜ 정도 돌출되도록 금속 부품(20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20A)과 금속 부품(20B)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간단히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차량 완구의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방측 차실(7)의 후방부의 좌우 측면에는 걸림편(7a, 7b)이 설치되어 있고, 걸림편(7a, 7b)의 후방측의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홈부(7d, 7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차실(12)의 전방부의 좌우 측면에는 걸림편(7a, 7b)에 대응하도록 걸림편(12a, 12b)이 설치되고, 걸림편(12a, 12b)의 전방측의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홈부(12d, 12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걸림편(7a)과 걸림편(12a), 걸림편(7b)과 걸림편(12b)에 의해 걸림부가 구성되어 있다.
측벽(9)의 상단부에는 조작부(9a)가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9a)는 지지부(9c)와 지지부(9c)의 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9b)로 이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측벽(8)의 상단부에도 지지부(8c)와 손잡이(8b)로 이루어지는 조작부(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8a, 9a)에 의해 조작자는 측벽(8, 9), 즉, 회전 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8a, 9a)는, 다른 회전 부재인, 전방측 차실(7), 후방측 차실(12)의 각각의 걸림편(7a, 7b, 12a, 12b)에 걸려 있으므로, 조작부(8a, 9a)가 설치된 회전 부재[측벽(8, 9)]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로부터 제2 형태인 패트롤카로의 변화 중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섀시(2)의 표면(2A) 및 이면(2B)에는, 보디 전방면(5)을 위치 결정하는 돌출부(31), 돌출부(32), 리브(33)와, 리브(34)가 동일하도록 기립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31)는 보디 전방면(5)을 D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즉, 섀시(2)의 이면(2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31)의 전방측의 면에 보디 전방면(5)의 표면이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섀시(2)의 중앙 부근에 기립 설치하는 리브(33)는, 전방측 차실을 D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브(33)의 헤드 정상부가 전방측 차실(7)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33)의 헤드 정상부에는, 전방측 차실(7)의 곡부(7g)에 대응하도록 단차(33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2)는 돌출부(31)와 마찬가지로, 보디 후방면(10)을 E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즉, 섀시(2)의 이면(2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디 후방면(10)의 표면이 돌출부(32)의 후방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34)는, 리브(33)와 마찬가지로 후방측 차실(12)을 E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브(34)의 헤드 정상부가 후방측 차실(12)의 천장부(12h)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34)의 헤드 정상부에는, 보다 적절한 각도로 후방측 차실(12)을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경사면(3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2 형태인 패트롤카의 완성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패트롤카의 형태로 변화되었을 때라도, 차량 완구(1)의 좌우가 반대로 되었을 뿐이며 기본 구성은 바뀌어 있지 않고, 섀시(2)의 전단부(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보디 전방면(5)에 보닛(6)과 전방측 차실(7)이 또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섀시(2)의 후단부(2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보디 후방면(10)에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이 또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차실(7)과 후방측 차실(12)이 자석(20A)과 금속 부품(20B)에 의해 흡착되어 있다.
그리고 섀시(2)의 측단부에는 측벽(8)과 측벽(9)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부(8a)는 걸림편(7b)과 걸림편(12b)에 끼워지고, 조작부(9a)도 걸림편(7a)과 걸림편(12a)에 끼워져 있다.
차량 완구(1)를 보통 승용차로부터 패트롤카로 형태를 변경시킬 때에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우선 조작부(8a)와 조작부(9a)를 잡아 측벽(8)과 측벽(9)을 외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전방측 차실(7)과 후방측 차실(12)을 잡고, 자석(20A)과 금속 부품(20B)의 흡착력에 저항하도록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을 A 방향[섀시(2)의 표면(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을 B 방향[섀시(2)의 표면(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한다.
다음에, 측벽(8)과 측벽(9)과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과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을 회전시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한다.
다음에, 차량 완구(1)를 뒤집도록 C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보디 전방면(5)과 보닛(6)과 전방측 차실(7)을 D 방향, 보디 후방면(10)과 트렁크(11)와 후방측 차실(12)을 E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석(20A)과 금속 부품(20B)을 흡착시킨다. 여기서 자석(20A)이 만드는 오목부에 금속 부품(20B)의 헤드가 끼워지므로, 전방측 차실(7)과 후방측 차실(12)의 횡방향이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후, 측벽(8, 9)을 섀시(2)의 이면(2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측벽(8)의 상단부에 설치된 조작부(8a)를 걸림편(7b)과 걸림편(12b)에 끼워 측벽(8)을 고정하고, 측벽(9)의 상단부에 설치된 조작부(9a)도 걸림편(7a)과 걸림편(12a)에 끼워 측벽(9)을 고정한다. 이에 의해 보통 승용차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패트롤카로의 변화가 완료된다.
패트롤카의 상태로부터 보통 승용차의 상태로 변화시킬 때에도 상술한 수순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면 되어, 조작자는 용이하게 외관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차륜(3)은 그 주위면이 섀시(2)의 표면(2A) 및 이면(2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섀시(2)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형태인 보통 승용차일 때에도 제2 형태인 패트롤카일 때에도, 차륜(3)에 대해서는 공용할 수 있어, 차량 완구의 구조의 간소화와, 형태의 변화를 양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로서의 초특급 전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는 예에서는, 섀시(2)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측 차실(7)이나 측벽(8, 9) 등을 180도 회전시켜 외관을 변화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변형예에서는, 차량 완구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보디 전방면(55)을 중심으로 하여 섀시(52)나 측벽(58, 59)을 180도 회전시켜 외관을 변화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완구(50)는, 보디 전방면(55)과, 차륜(53)이 설치된 섀시(52)와, 측벽(58)과, 측벽(59)과, 보유 지지부(62)와, 보유 지지부(63)와,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보디 전방면(55)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차륜(53)이 설치된 섀시(52)와, 측벽(58)과, 측벽(59)과, 보유 지지부(62)와, 보유 지지부(63)와,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측벽(58)과, 측벽(59)과, 보유 지지부(62), 보유 지지부(63)와,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에는 표면에 초특급 전차의 외관이 실시되고, 이면에 보통 전차의 외관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보디 전방면(55)의 표면(55b)에는 제1 형태로서의 초특급 전차의 선단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 전방면(55)의 이면에는 제2 형태로서의 보통 전차의 전방면의 외관이 실시되어 있지만,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일 때에는, 측벽(58)과, 측벽(59)과, 보유 지지부(62), 보유 지지부(63)와,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에 의해 덮여, 제2 형태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상태(본 발명에서 말하는「볼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일 때에는, 제2 형태인 보통 전차의 형태를 나타내는 보디 전방면(55), 차륜(53)이 설치된 섀시(52), 측벽(58), 측벽(59), 보유 지지부(62), 보유 지지부(63), 좌측 천장부(60), 우측 천장부(61)의 이면은 외관으로부터는 시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면에 어떠한 외관을 실시해도, 제1 형태를 나타내는 표면에는 영향이 적고, 또한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의 외관으로부터는, 제2 형태인 보통 전차의 외관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보디 전방면(55)(본 발명에서 말하는 베이스 부재)의 표면과 이면 중 한쪽만을 외부에 나타내고, 다른 쪽을 차량 완구의 내측에 숨길 수 있으므로, 각각의 외관을 완전히 다른 것으로 설정할 수 있어, 조작자는 변화 전후의 외관의 예측이 어려워진다.
보디 전방면(55)의 저면 후방측에는, 섀시(52)가 힌지부(7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보디 전방면(55)의 좌측면 후방측에는 측벽(58)의 전단부가 힌지부(73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보디 전방면(55)의 우측면 후방측에는 측벽(59)의 전단부가 힌지부(73B)(도 6 참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힌지부의 구조에 대해 힌지부(73A)를 예로 설명하면, 보디 전방면(55)의 좌측면 후방측에 설치된 샤프트 수용부(55a)가, 측벽(58)의 전단부에 설치된 샤프트 수용부(58a) 사이에 삽입되고, 샤프트 수용부(55a)와 샤프트 수용부(58a)를 관통하도록 샤프트(81)가 삽입되어 있다.
측벽(58)의 후단부에는, 힌지부(72A)를 통해 보유 지지부(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85)의 상단부에는 힌지부(70A와 70B)를 통해 좌측 천장부(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59)도 측벽(58)과 마찬가지로, 힌지부(72B)를 통해 보유 지지부(6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벽(85)의 상단부에는 힌지부(71A와 71B)를 통해 우측 천장부(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인 보통 전차로의 변화 초기 단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보유 지지부(62)의 내측면(62b)에는 자석(65A)이 설치되어 있고, 자석(65A)의 표면이 내측면(62b)보다 1㎜ 정도 오목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63)의 내측면(63b)에는 자석(65A)과 대응하도록 금속 부품(65B)이 설치되어 있고, 금속 부품(65B)의 헤드의 표면이 내측면(63b)보다 1㎜ 정도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금속 부품(65B)은 자석과 흡착하도록 철이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간단히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해제하거나 할 수 있고, 또한 차량 완구의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유 지지부(62)의 하측에는 걸림편(62a)이 설치되고, 보유 지지부(63)의 하측에는 걸림편(63a)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편(62a)에는 홈부(62e)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편(63a)에는 홈부(63e)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편(62a)과 걸림편(6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섀시(52)의 후단부에는 고정부(52a)가 섀시(52)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인 보통 전차로의 변화 중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인 보통 전차로의 변화 종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천장부(60)의 우측 천장부(61)와 접촉하는 면에는 오목부(60b)가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천장부(61)의 좌측 천장부(60)와 접촉하는 면에는 오목부(60b)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61b)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도 5에 관한 차량 완구의 제2 형태인 보통 전차의 완성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58)의 상부에는 테이퍼면(5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천장부(60)의 측면부(60c)에도 테이퍼면(60c)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 완구(50)를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로부터 제2 형태로서의 보통 전차로 형태를 변경시킬 때에는 도 5의 상태로부터, 우선 보유 지지부(62)와 보유 지지부(63)를 갖고, 자석(65A)과 금속 부품(65B)의 흡착력에 저항하도록 힌지부(73A)를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 지지부(62)와 측벽(58)을 H 방향[보디 전방면(55)의 좌측면(55d)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힌지부(73B)를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 지지부(63)와 측벽(59)을 I 방향[보디 전방면(55)의 표면(55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걸림편(62a)과 걸림편(63a)은 초특급 전차의 상태나 보통 전차의 상태일 때에, 고정부(52a)를 걸고 있다. 그로 인해 보유 지지부(62)와 보유 지지부(63)를 이격시키면, 고정부(52a)는 걸림편(62a)과 걸림편(63a) 사이에서 누락되어, 섀시(52)가 힌지부(74)를 회전축으로 하여 J 방향[보디 전방면(55)의 표면(55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6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부(62)를 힌지부(72A)를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 지지부(62)가 측벽(58)에 접할 때까지 K 방향[측벽(58)의 표면(58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보유 지지부(63)를 힌지부(72B)를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 지지부(63)가 측벽(59)에 접할 때까지 L 방향[측벽(59)의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좌측 천장부(60)를 힌지부(70A, 70B)를 회전축으로 하여 M 방향[측벽(58)의 표면(58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우측 천장부(61)를 힌지부(71A, 71B)를 회전축으로 하여 N 방향[측벽(59)의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58)의 표면(58b)이 보디 전방면(55)의 좌측면(55d)에 접할 때까지 측벽(58)을 H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부(62)와 좌측 천장부(60)와 측벽(58)을 회전시켜, 보유 지지부(62)와 좌측 천장부(60)와 측벽(58)과 보디 전방면(55)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조작자가 간단하게 위치 결정하면서 차량의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측벽(59)을 I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석(65A)과 금속 부품(65B)을 흡착시킨다.
여기서,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를 접촉시키면, 오목부(60b)에 볼록부(61b)가 끼워진다. 이에 의해, 좌측 천장부(60)의 M 방향과 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고, 우측 천장부(61)의 N 방향과 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차량 완구(50)를 갖고 놀아도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가 용이하게 차량 상방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섀시(52)를 보디 전방면(55)의 하측 전단부(55c)에 접할 때까지 J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걸림편(62a)과 걸림편(63a) 사이에 고정부(52a)를 끼워 넣는다. 여기서, 보유 지지부(62)와 보유 지지부(63)는 자석(65A)과 금속 부품(65B)에 의해 흡착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여 섀시(52)를 J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자석(65A)의 흡착력에 저항하여 약간 걸림편(62a)과 걸림편(63a)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므로, 고정부(52a)를 용이하게 걸림편(62a)과 걸림편(63a)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보통 전차로의 변화가 완료된다. 보디 전방면(55)의 표면(55b)은 측벽(58)과 측벽(59)과 보유 지지부(62)와 보유 지지부(63)와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와 섀시(52)에 의해 내측에 둘러싸여, 외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없도록 차량의 내측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내측에 수납할 수 있는 길이나 크기이면 보디 전방면(55)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변화되는 차량의 길이나 형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섀시(52)와, 측벽(58)과, 측벽(59)과, 보유 지지부(62), 보유 지지부(63)와, 좌측 천장부(60)와, 우측 천장부(61)가 보디 전방면(55)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하고, 초특급 전차의 외관이 실시된 표면이 모두 차량 내측에 수납되므로, 보통 전차의 상태로부터는 초특급 전차의 상태로 변화 가능한 것의 예측은 어려워진다.
또한, 차륜(53)은 그 주위면이 섀시(52)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섀시(52)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형태인 초특급 전차일 때에도 제2 형태인 보통 전차일 때에도, 차륜(53)에 대해서는 공용할 수 있어, 차량 완구의 구조의 간소화와, 형태의 변화를 양립할 수 있다.
테이퍼면(58b)과 테이퍼면(60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 완구(50)가 초특급 전차의 형태를 나타낼 때에 측벽(58)의 상부와 좌측 천장부(60)의 측면부가 간섭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힌지부(70A, 70B)를 회전축으로 하여 좌측 천장부(60)를 회전시켜 표면과 이면을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보통 전차의 디자인으로 해도 테이퍼면(58b)과 테이퍼면(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화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과 철이나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금속 부품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을 2개 사용하여 자석끼리를 흡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1), 돌출부(32), 리브(33), 리브(34)를 섀시(2)의 한쪽의 표면에 2개씩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1), 돌출부(32), 리브(33), 리브(34)를 1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3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위치 결정이 필요한 개소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측 차실(7)과 보디 전방면(55)의 형상을 크게 변화시키는 차종 사이에서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의 형상이나 보유 지지부의 형상 등을 차량의 종류를 변경한 경우에 차량 내부에 외관을 수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 완구는, 본 실시예와 동일한 수순으로 차량의 종류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고, 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임의로 차량의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 완구는, 연결부로서 자석과 금속 부품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부재끼리를 걸리게 하거나 벨크로 등으로 연결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완구는, 수지로 제작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이나 목재 등으로 제작되어도 된다.
1 : 차량 완구
2 : 섀시
5 : 보디 전방면
6 : 보닛
7 : 전방측 차실
8, 9 : 측벽
9 : 측벽
10 : 보디 후방면
11 : 트렁크
12 : 후방측 차실
31, 32 : 돌출부
33, 34 : 리브
40 내지 47 : 힌지부

Claims (8)

  1.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차량 완구이며,
    표면이 상기 제1 형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이면이 상기 제2 형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이 상기 제1 형태를 나타내고, 이면이 상기 제2 형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에 다른 외관이 실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 부재를 갖고,
    상기 2개 이상의 회전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회전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연결하여 상기 차량 완구를 상기 제1 형태 또는 상기 제2 형태로 유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완구가 상기 제1 형태일 때,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이면은 상기 2개 이상의 회전 부재에 의해 덮여 볼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자석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 부재끼리를 연결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조작자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회전 부재와는 다른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가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차량 완구의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주위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차량 완구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회전 부재 중 적어도 1개에는 차량 완구의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상기 차륜이 설치된 회전 부재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완구.
KR1020117010656A 2009-09-24 2010-07-06 차량 완구 KR20110096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8376A JP4527188B1 (ja) 2009-09-24 2009-09-24 車両玩具
JPJP-P-2009-218376 2009-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115A true KR20110096115A (ko) 2011-08-29

Family

ID=4276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656A KR20110096115A (ko) 2009-09-24 2010-07-06 차량 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9498B2 (ko)
EP (1) EP2371436A4 (ko)
JP (1) JP4527188B1 (ko)
KR (1) KR20110096115A (ko)
CN (2) CN102671388B (ko)
HK (2) HK1151490A1 (ko)
TW (2) TWI417126B (ko)
WO (1) WO2011036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78B1 (ko) * 2012-09-07 2014-05-29 최신규 리버스 자동차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7140B1 (ja) * 2011-06-14 2011-12-14 株式会社バンダイ 車両玩具変形装置、当該装置の車両玩具変形方法及び車両玩具
CN102430245B (zh) * 2011-11-01 2014-05-28 株式会社万代 车辆玩具
JP5048865B1 (ja) * 2011-11-01 2012-10-17 株式会社バンダイ 車両玩具
US9962618B2 (en) * 2011-12-16 2018-05-08 Mattel, Inc. Toy vehicle
JP5553874B2 (ja) * 2012-10-01 2014-07-16 株式会社バンダイ 車両玩具
US10071320B2 (en) * 2012-10-05 2018-09-11 Mattel, Inc. Multi-configurable toy vehicle
JP5536262B1 (ja) * 2013-07-03 2014-07-02 株式会社バンダイ 変形玩具及び遊戯システム
CN104722079B (zh) * 2013-12-20 2017-06-16 中国人民解放军军械工程学院 分体双控玩具车
KR101635319B1 (ko) * 2015-06-12 2016-06-30 최종일 변신 완구
CN206198683U (zh) * 2016-09-28 2017-05-3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子母玩具
US11279422B2 (en) * 2018-08-10 2022-03-22 Shuguang Gu Transformable vehicle of sedan and SUV/station wag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347A (en) 1981-07-31 1983-05-10 Takara Co., Ltd. Toy tractor assembly
JPS5836580A (ja) 1981-08-24 1983-03-03 株式会社バンダイ 形態変化走行玩具
JPS5832790A (ja) * 1981-08-24 1983-02-25 株式会社バンダイ 形態変化走行玩具
GB2128489B (en) 1982-10-12 1986-08-20 Takara Co Ltd Reconfigurable toy assembly
JPS59141977A (ja) * 1983-02-01 1984-08-14 株式会社 バンダイ 表示装置
US4513851A (en) 1983-08-19 1985-04-30 American Locker Security Systems, Inc. Coin counting and release mechanism
GB2159721B (en) * 1984-06-09 1988-12-07 Takara Kabushiki Kaisha Transformable toy vehicle
JP2847770B2 (ja) 1989-06-27 1999-01-2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共振器端面の保護層の形成方法
JP2593353B2 (ja) 1989-07-14 1997-03-26 ハウス食品株式会社 低粘度ソースの製造法
JPH0347055U (ko) * 1989-09-19 1991-04-30
US5362271A (en) * 1991-10-24 1994-11-08 Butt Sandra L Magnetic playthings
JP3047055U (ja) * 1997-09-11 1998-03-31 ピープル株式会社 自動車おもちゃ
US5924910A (en) * 1997-11-06 1999-07-20 Lcd International L.L.C. Toy vehicle with movable weapon and body shell halves
CN1703262A (zh) * 2002-10-16 2005-11-30 马特尔公司 磁性组装玩具
US6749482B1 (en) * 2003-09-16 2004-06-15 Awesome Toys, Llc. Multi-configurable toy vehicle
US7217170B2 (en) * 2004-10-26 2007-05-15 Mattel, Inc. Transformable toy vehicle
US7950979B2 (en) * 2007-09-15 2011-05-31 Mattel, Inc. Transforming vehicle
TWM336808U (en) * 2008-01-25 2008-07-21 Jia Feng Internat Co Ltd Toy chassis driver structure
JP2009189520A (ja) 2008-02-14 2009-08-27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CN201171907Y (zh) 2008-03-10 2008-12-31 杜菁 一种遥控变形机器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78B1 (ko) * 2012-09-07 2014-05-29 최신규 리버스 자동차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9498B2 (en) 2013-04-16
TW201111024A (en) 2011-04-01
CN102671388B (zh) 2014-03-26
EP2371436A1 (en) 2011-10-05
TWI417126B (zh) 2013-12-01
HK1176326A1 (en) 2013-07-26
CN102029073B (zh) 2012-05-30
JP4527188B1 (ja) 2010-08-18
JP2011067231A (ja) 2011-04-07
US20110070801A1 (en) 2011-03-24
TW201414528A (zh) 2014-04-16
CN102671388A (zh) 2012-09-19
WO2011036930A1 (ja) 2011-03-31
HK1151490A1 (en) 2012-02-03
CN102029073A (zh) 2011-04-27
EP2371436A4 (en)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115A (ko) 차량 완구
RU2647793C1 (ru) Составной волчок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вободной сборки
US20070096489A1 (en) Hinge structure of glove box for vehicle
JP4835254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5279446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5031067B2 (ja) 車両玩具
JP5220940B2 (ja) 車両玩具
JP5356623B2 (ja) 車両玩具
JP2020189571A (ja) 乗降用ステップ
TW201325680A (zh) 車輛玩具
JP5316859B2 (ja) 車内の床下収納構造
KR101050723B1 (ko)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KR20046041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JP3183007U (ja) ゴミ箱
JP2014162428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095230B1 (ko) 러기지 박스용 커버의 잠금장치
KR102431485B1 (ko) 수레로 변환가능한 러기지 보드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KR101674136B1 (ko) 교구 보관용 장난감
JP2017203289A (ja) 車止め支柱
JP4837695B2 (ja) ヒンジ機構
JP3157798U (ja) 荷カゴ
JP6196133B2 (ja) 収納構造
JP2004351076A (ja) 模型玩具のボディ取付構造
TWM444973U (zh) 機車、其坐墊及樞轉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