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36B1 - 교구 보관용 장난감 - Google Patents

교구 보관용 장난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36B1
KR101674136B1 KR1020150092319A KR20150092319A KR101674136B1 KR 101674136 B1 KR101674136 B1 KR 101674136B1 KR 1020150092319 A KR1020150092319 A KR 1020150092319A KR 20150092319 A KR20150092319 A KR 20150092319A KR 101674136 B1 KR101674136 B1 KR 10167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ans
main body
storage space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경
전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석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석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석나라
Priority to KR102015009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2Acoustical or optical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44Toy garages for receiving toy vehicles; Fill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구 보관용 장난감은, 내부에 교구가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을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본체와 개폐수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되, 상기 개구부가 상기 개폐수단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상기 보관공간 내에 배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구 보관용 장난감{Toy for keeping educational tools container}
본 발명은 교구 보관용 장난감으로서, 교구가 내부에 보관되면서도 장난감으로서도 활용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위한 학습용 교구는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서, 이와 같은 교구를 이용하여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들의 논리 사고력, 공간 사고력, 수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유아학습교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교구를 주로 사용하는 유아들이 이 교구를 사용한 후에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그 자체로서 장난감이 될 수 있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도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보관을 위해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유아들이 사용하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아울러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나아가 장난감 자체의 형상구조상 보관함의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구현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미관상 우수하며 보관함의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시키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구 보관용 장난감은, 내부에 교구가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이 개방되도록 개구부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본체와 개폐수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개폐수단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상기 보관공간 내에 배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개폐수단에서 상기 보관공간 측 일면에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회동되게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관공간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개폐수단을 연결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로부터 방향전환되어 연장된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수단의 회전루트가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비간섭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개폐수단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된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상기 개폐수단이 폐쇄 시 상기 개폐수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개폐수단과 상기 본체 중 하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되어 잠금고정되는 잠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되는 걸림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압하 시 밀려서 이동되고 압하 후 역이동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고정턱에 걸림잠금되는 걸림브라켓; 및 상기 걸림브라켓과 접하면서 상기 걸림브라켓을 역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브라켓이 밀려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외력을 받는 외력걸림턱이 상기 걸림브라켓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수단이 연계되며 상기 보관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안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받침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착탈되도록, 상기 커버부재 및 받침부재 각각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부재에 장착된 바퀴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양측에 상기 바퀴부재가 착탈되는 바퀴축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에 상기 바퀴가 장착 시, 양측에 상기 바퀴부재가 인입되는 바퀴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받침부재의 슬라이드 탈거 시, 상기 바퀴홈에 상기 바퀴부재가 걸려서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받침부재의 슬라이드 탈거가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재와 바퀴축은 자력으로 체결되도록 자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를 소리 또는 광으로서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체와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외형이 버스 형상을 이룬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구 보관용 장난감은, 연결수단이 본체와 개폐수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되, 개구부가 개폐수단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보관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 또는 아동들이 개폐수단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끼여서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난감으로서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도 신체의 일부가 걸려서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난감으로서 미관상 어울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전사고의 방지 및 미관상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수단의 제1 연결부가 지지부재로부터 개구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제2 연결부가 제1 연결부의 타단부로부터 방향전환되어 연장되면서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길게 연장됨으로써, 개폐수단이 개구부를 개방 시 원활하면서도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구 보관용 장난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걸림부재가 하강하여 잠금부재에 의해 잠금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본체의 받침부재가 커버부재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구 보관용 장난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연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에서 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은 교구를 보관하는 보관함 기능을 가지면서 아울러 장난감의 외형을 가짐으로써, 교구를 활용하는 유아 또는 아동들이 교구를 가지고 논 후 보관하여 정리 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그 자체가 장난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성적인 측면에 있어서, 개구부(100a)를 가진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00a)를 개폐하는 개폐수단(200), 및 상기 본체(100)와 개폐수단(20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교구가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을 개방하는 개구부(100a)를 가진다. 아울러, 이러한 본체(100)에는 손잡이(150)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들려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200)은 본체(100)의 개구부(100a)를 개폐하도록 본체(100)의 개구부(100a)에 착탈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에 따라, 본체(100)의 개구부(100a)가 개폐수단(200)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교구를 보관공간에 넣거나 보관공간으로부터 교구를 외부로 빼낼 수 있으며, 폐쇄된 경우에는 본체(100) 내부의 보관공간과 외부를 차단함으로써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외부로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된다.
이러한 본체(100)와 개폐수단(2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외형은 바람직한 일례로서 버스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는 교구를 보관하는 보관용량 측면에 있어서 버스 형상이 다른 차의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내부공간이 큼에 따라 보관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교구 보관용 장난감으로서 교구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자체가 장난감 차로서 유아 또는 아동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0a)는 본체(100)의 어떤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지만, 일례로서 본체(100)와 개폐수단(2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외형이 버스 형상이라면, 유아 또는 아동들의 흥미와 재미를 위해 외면에 장난감이 의인화된 캐릭터가 그려진 경우, 얼굴이 표현되는 전면부를 통해 교구를 보관공간에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개폐수단(200)은 이와 같이 개구된 본체(100)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장난감이 의인화된 캐릭터의 얼굴이 외면에 그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300)은 본체(100)와 개폐수단(200)을 힌지구조(300a)로 연결하며, 상기 개구부(100a)가 개폐수단(200)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보관공간 내에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만약, 개구부(100a)가 개폐수단(200)에 의해 폐쇄된 경우에 상기 연결수단(300)이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된다면, 유아 또는 아동들이 개폐수단(200)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노출된 힌지구조(300a)의 연결수단(300)에 신체의 일부가 끼임에 따라 다칠 수 있고, 아울러 본 발명의 교구 보관용 장난감을 장난감으로서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도 노출된 연결수단(300)에 걸림에 따라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난감으로서 외형을 취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미관상 어울리지 않는 구조로서 노출됨에 따라 장난감 외형구현 측면에 있어서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 방지 및 미관상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 상기 연결수단(300)은 개구부(100a)가 개폐수단(200)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는 연결부재(310)와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310)는 일단부가 개폐수단(200)에서 보관공간 측 일면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고, 상기 지지부재(320)는 보관공간의 내부 일면에 설치되며 연결부재(310)의 타단부가 회동되게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10)는 제1 연결부(311)와 제2 연결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부(311)는 일단부가 지지부재(320)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지지부재(320)로부터 개구부(100a)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지지부재(32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연결부(312)는 제1 연결부(311)와 개폐수단(200)을 연결하며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으로 제1 연결부(311)의 타단부로부터 방향전환되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연결부(311)가 지지부재(320)로부터 개구부(100a)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지지부재(320)로부터 연장된다면, 연결부재(310)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된 개폐수단(200)이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회전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본체(100)에서 개구부(100a)를 형성하는 상단부분에 개폐수단(200)이 걸림으로써 개구부(100a)의 개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제1 연결부(311)가 지지부재(320)로부터 개구부(100a)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지지부재(320)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12)가 제1 연결부(311)로부터 연장되되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으로 방향전환(굴곡 또는 절곡)된 연장구조를 취하지 않는다면, 연결부재(310)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된 개폐수단(200)이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회전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제1 연결부(311)가 최대로 회전하여 본체(100)에서 개구부(100a)를 형성하는 상단부분에 걸린 경우에도, 개폐수단(200)이 개구부(100a)를 일부분 즉 도면상 개구부(100a)의 상부를 가림으로써 개구부(100a)의 개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제2 연결부(312)가 제1 연결부(311)로부터 연장되되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으로 방향전환(굴곡 또는 절곡)된 연장구조를 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연결부(312)는 개폐수단(200)이 개구부(100a)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개폐수단(200)의 회전루트가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101)와 비간섭되도록, 제1 연결부(311)로부터 돌출부(101)의 돌출높이보다 길게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가 버스 형상이라면 상부 외면에 형성된 에어컨과 같이 본체(100)의 외면에 돌출부(10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만약에 제2 연결부(312)가 제1 연결부(311)로부터 돌출부(101)의 돌출높이보다 짧게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면, 개폐수단(200)의 회전루트가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101)와 간섭됨으로써, 개폐수단(200)이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 시 돌출부(101)에 걸림됨에 따라 개구부(100a)의 개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제2 연결부(312)가 제1 연결부(311)로부터 돌출부(101)의 돌출높이보다 길게 연장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연결부(312)의 형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연장된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200)의 회전루트에 대한 접선방향으로 직선연장된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제1 연결부(311)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일 지점에 있어서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을 포함하면 될 뿐, 개폐수단(200)의 회전루트와 동일한 곡선형 방향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300)은 연결부재(310)에 설치된 제1 탄성부재(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330)는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으로 개폐수단(200)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10)와 지지부재(320)를 연결하는 회동축(340)에 회전되게 장착될 수 있는데, 즉 회동축(340)이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하지 않고 위치고정되게 회동축(3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330)는 일단부가 본체(100) 내부 상면에 탄성지지되고 타단부가 연결부재(310)의 제1 연결부(311)에 탄성지지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본체(100) 내부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타단부가 제1 연결부(311)를 회동축(3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개폐수단(200)을 회동축(3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잠금부재(110)의 잠금고정이 해제 시 개폐수단(200)은 회동축(3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개폐수단(200)이 본체(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 시, 개폐수단(200)을 고정시키도록 개폐수단(200)과 본체(100) 중 하나는 걸림부재(210)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210)가 걸림되어 잠금고정되는 잠금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10)가 개폐수단(200)에 형성되고, 잠금부재(110)가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부재(110)는 걸림브라켓(111)과 제2 탄성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11)은 걸림부재(210)가 걸림되는 걸림고정턱(111a)이 형성되며, 걸림부재(210)가 압하 시 밀려서 이동되고 압하 후 역이동되어 걸림부재(210)가 상기 걸림고정턱(111a)에 걸림잠금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112)는 걸림브라켓(111)과 접하면서 걸림브라켓(111)을 역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걸림부재(210)에 의해 걸림브라켓(111)이 밀려서 이동 시, 걸림브라켓(111)과 본체(100) 하부의 지지턱(102)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압축된다.
이에 더하여, 걸림부재(210)의 걸림잠금을 해제하도록, 걸림부재(210)에 의해 걸림브라켓(111)이 밀려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걸림브라켓(111)을 이동시키는 외력을 받는 외력걸림턱(111b)이 걸림브라켓(1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분리되는 구조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와 받침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부재(120)는 개폐수단(200)이 연계되며 보관공간을 커버하는 구조를 취하며, 상기 받침부재(130)는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안착되며 커버부재(120)에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재(120)에 받침부재(13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착탈되도록, 커버부재(120) 및 받침부재(130) 각각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출라인(121)(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라인(121)(131)은 커버부재(120)와 받침부재(130) 중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됨으로써, 받침부재(130)가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커버부재(120)에 대해 받침부재(130)가 도면상 횡방향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방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부재(130)는 보관공간 내에 교구들이 많거나 서로 엉키게 배치된 경우 유아 또는 아동들이 교구를 개구부(100a)를 통해 빼낼 때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무리하게 빼내다가 다칠 수 있는데, 이때에 받침부재(130)를 커버부재(120)로부터 탈거함으로써 보관공간 내의 교구들을 쉽고 안전하게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만 형성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00)의 하부와 함께 측부의 내측부까지 형성할 수 있는데, 측부의 내측부까지 형성하는 경우에는 받침부재(130)의 탈거 시 커버부재(120)와 받침부재(130) 사이에, 보관공간 내의 교구들이 끼거나 유아 또는 아동들의 손이 낄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100)는 받침부재(130)에 장착된 바퀴부재(14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받침부재(130)는 양측에 상기 바퀴부재(140)가 착탈되는 바퀴축(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20)는 받침부재(130)에 바퀴가 장착 시, 양측에 바퀴부재(140)가 인입되는 바퀴홈(122)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커버부재(120)에 대한 받침부재(130)의 슬라이드 탈거 시 바퀴홈(122)에 바퀴부재(140)가 걸려서 커버부재(120)에 대한 받침부재(130)의 슬라이드 탈거가 차단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바퀴부재(140)와 바퀴축(132)은 자력으로 체결되도록 자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 또는 아동들은 바퀴를 바퀴축(132)에 자력으로 붙였다 떼었다 하는 바퀴탈부착 놀이도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개폐수단(200)의 개폐를 소리 또는 광으로서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수단은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200) 외면의 상부에 제1 디스플레이부(410), 하부에 제2 디스플레이부(420) 및 제3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디스플레이부(410)는 서로 색이 다른 원형광이 발하도록 구성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420)는 장난감이 의인화된 캐릭터의 얼굴에서 눈 모양의 변화를 광으로서 표현하고, 제3 디스플레이부(430)는 입모양의 변화를 광으로서 표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폐수단(200)의 개폐를 광으로서 알림하면서도 표정이 변하는 캐릭터 장난감 차로서 유아 또는 아동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제1 디스플레이부(410), 제2 디스플레이부(420), 제3 디스플레이부(430)에 광을 발하도록 하는 구성 및 개폐수단(200)의 동작 등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게 발광을 제어하는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전기 및 전자 구성도 취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폐수단(200)의 개폐를 여러 가지의 소리 또는 노래로서 알림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종래의 어떠한 전자부품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외형이 버스 형상이라면 실제 버스와 같이 전면과 측면에 배치된 창문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전체적으로 각 부분의 색상이 다른 칼라를 띄도록 함에 따라 미관상으로도 유아 또는 아동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수단(300)이 본체(100)와 개폐수단(200)을 힌지구조(300a)로 연결하되, 개구부(100a)가 개폐수단(200)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보관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 또는 아동들이 개폐수단(200)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끼여서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난감으로서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도 신체의 일부가 걸려서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난감으로서 미관상 어울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전사고의 방지 및 미관상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수단(300)의 제1 연결부(311)가 지지부재(320)로부터 개구부(100a)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지지부재(320)로부터 연장되고, 개구부(100a)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200)의 회전방향으로 제2 연결부(312)가 제1 연결부(311)의 타단부로부터 방향전환되어 연장되면서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101)의 돌출높이보다 길게 연장됨으로써, 개폐수단(200)이 개구부(100a)를 개방 시 원활하면서도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체 100a : 개구부
101 : 돌출부 102 : 지지턱
110 : 잠금부재 111 : 걸림브라켓
111a : 걸림고정턱 111b : 외력걸림턱
112 : 제2 탄성부재 120 : 커버부재
121 : 돌출라인 122 : 바퀴홈
130 : 받침부재 131 : 돌출라인
132 : 바퀴축 140 : 바퀴부재
150 : 손잡이 200 : 개폐수단
210 : 걸림부재 300 : 연결수단
300a : 힌지구조 310 : 연결부재
311 : 제1 연결부 312 : 제2 연결부
320 : 지지부재 330 : 제1 탄성부재
340 : 회동축 410 : 제1 디스플레이부
420 : 제2 디스플레이부 430 : 제3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내부에 교구가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을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본체와 개폐수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되, 상기 개구부가 상기 개폐수단으로 폐쇄 시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상기 보관공간 내에 배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수단이 연계되며 상기 보관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안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받침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착탈되도록, 상기 커버부재 및 받침부재 각각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출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부재에 장착된 바퀴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양측에 상기 바퀴부재가 착탈되는 바퀴축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에 상기 바퀴가 장착 시, 양측에 상기 바퀴부재가 인입되는 바퀴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받침부재의 슬라이드 탈거 시, 상기 바퀴홈에 상기 바퀴부재가 걸려서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받침부재의 슬라이드 탈거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개폐수단에서 상기 보관공간 측 일면에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회동되게 연결된 지지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관공간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개폐수단을 연결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부로부터 방향전환되어 연장된 제2 연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수단의 회전루트가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비간섭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개폐수단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된 제1 탄성부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상기 개폐수단이 폐쇄 시, 상기 개폐수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개폐수단과 상기 본체 중 하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되어 잠금고정되는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되는 걸림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압하 시 밀려서 이동되고 압하 후 역이동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고정턱에 걸림잠금되는 걸림브라켓; 및
    상기 걸림브라켓과 접하면서 상기 걸림브라켓을 역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브라켓이 밀려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외력을 받는 외력걸림턱이 상기 걸림브라켓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와 바퀴축은 자력으로 체결되도록 자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11.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를 소리 또는 광으로서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알림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12.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에 보관된 교구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13.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외형이 버스 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 보관용 장난감.
KR1020150092319A 2015-06-29 2015-06-29 교구 보관용 장난감 KR10167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19A KR101674136B1 (ko) 2015-06-29 2015-06-29 교구 보관용 장난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19A KR101674136B1 (ko) 2015-06-29 2015-06-29 교구 보관용 장난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136B1 true KR101674136B1 (ko) 2016-11-10

Family

ID=5748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319A KR101674136B1 (ko) 2015-06-29 2015-06-29 교구 보관용 장난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4090U (ko) * 1987-03-28 1988-10-11
KR970049131U (ko) * 1997-05-23 1997-08-12 최신규 소꼽놀이구를 가진 인형완구
KR200274453Y1 (ko) * 2002-01-24 2002-05-06 최만기 무선 자동차용 리모콘 겸용 보관 케이스
KR20140023140A (ko) * 2012-08-17 2014-02-26 최신규 완구용 자동차 발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4090U (ko) * 1987-03-28 1988-10-11
KR970049131U (ko) * 1997-05-23 1997-08-12 최신규 소꼽놀이구를 가진 인형완구
KR200274453Y1 (ko) * 2002-01-24 2002-05-06 최만기 무선 자동차용 리모콘 겸용 보관 케이스
KR20140023140A (ko) * 2012-08-17 2014-02-26 최신규 완구용 자동차 발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322B2 (en) Combinable transformable toy
JPS6130703Y2 (ko)
CA2958317C (en) System and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nd changing infant-toddler behavior
US8523193B1 (en) Convertible ride-on and pull wagon toy
TW201414528A (zh) 車輛玩具
KR101320403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US20090179394A1 (en) Interactive stroller for educating a child
KR101674136B1 (ko) 교구 보관용 장난감
US20110014845A1 (en) Water Toy
US20170135886A1 (en) Incubator
US20120028533A1 (en) Baby toy with baby care items
AU2012203669A1 (en) A pacifier holder
CN207270713U (zh) 一种多层玩具车
US6116984A (en) Pop-out toy
US20130186790A1 (en) Product and Point of Sale Display Packaging
CN205704219U (zh) 一种幼儿陪伴机器人
JPS62243579A (ja) パラシユ−ト付走行玩具
EP2211821A1 (en) Device for holding a dummy
JP2020007782A (ja) サッシ窓枠構造
KR200479955Y1 (ko) 팽이를 발사하는 완구
CN220314604U (zh) 一种炭黑绘画玩具
KR101545120B1 (ko) 장난감 자동차 보관 용기
KR102178466B1 (ko) 전복 방지용 서랍을 구비하는 가구
CN207203448U (zh) 一种拼接式的组合玩具
US20240139638A1 (en) Traveling toy for figure 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