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03B1 - 변신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변신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403B1
KR101320403B1 KR1020120058663A KR20120058663A KR101320403B1 KR 101320403 B1 KR101320403 B1 KR 101320403B1 KR 1020120058663 A KR1020120058663 A KR 1020120058663A KR 20120058663 A KR20120058663 A KR 20120058663A KR 101320403 B1 KR101320403 B1 KR 101320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ssembly
housing
hook
leg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12005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변신하거나 로봇에서 자동차로 변신할 수 있는 변신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된 버튼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튼부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후크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후크부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퀴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과 바퀴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와 바퀴 조립체 사이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바퀴 조립체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신장하는 다리 조립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쉽게 변신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로봇에서 자동차로 쉽게 변신할 수 있어서 어린이의 재미와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신 자동차 완구{TOY OF CHANGEABLE CAR}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변신하거나 로봇에서 자동차로 변신할 수 있는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신 가능한 자동차 완구나 로봇 완구는 자동차 형상 또는 로봇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여러 조각으로 조립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신이 가능하고 한가지 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변신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변신 가능한 자동차 완구나 로봇 완구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237306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를 로봇으로 변신시키는 과정에서 다수의 조립체를 분해하거나 해체한 후 임의의 자동차 형상 또는 로봇 형상이 되도록 다시 조립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변신 가능한 완구는 변신과정에서 어린이들이 조립체의 조각 일부를 과도한 힘으로 분해하거나 변형시켜 조립체가 손상되거나 분실하되어 자동차 형상 또는 로봇 형상으로의 변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변신하거나 로봇에서 자동차로 변신할 수 있는 변신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된 버튼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튼부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후크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후크부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퀴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과 바퀴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와 바퀴 조립체 사이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바퀴 조립체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신장하는 다리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후크부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캐릭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릭터부가 상부로 돌출되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캐릭터부는 임의의 위치에 후크부와 체결되는 캐릭터부 걸림홈을 형성한 캐릭터부 몸체;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전측에 형성한 캐릭터; 및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릭터부 걸림홈에 체결된 후크부가 해제되면 상기 캐릭터부 몸체가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는 일측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바퀴 조립체와 치합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퀴 조립체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팔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크부는 상부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 후크부 몸체; 상기 후크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한 스프링 설치홈; 상기 후크부 몸체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 및 상기 후크부 몸체의 스프링 설치홈에 수납되어 상기 후크부가 이동하여 해제 동작 후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림턱은 임의의 길이를 형성한 제 1 걸림턱; 및 상기 제 1 걸림턱과 다른 길이를 형성한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퀴 조립체는 바퀴 조립체 몸체;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의 내부에 다리 조립체가 수납되도록 형성한 바퀴 조립체 수납홈;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후크부와 치합하는 바퀴 조립체 제 1 걸림턱; 및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퀴 조립체는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팔 조립체와 치합하는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리 조립체는 바퀴 조립체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시 상기 바퀴 조립체에 수납되고, 해제시 상기 바퀴 조립체의 상부로 인출되는 제 1 다리부; 상기 제 1 다리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시 상기 제 1 다리부에 수납되고, 해제시 상기 제 1 다리부의 상부로 인출되는 제 2 다리부; 및 상기 제 1 다리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후크부가 해제되면 상기 제 1 다리부와 제 2 다리부가 신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쉽게 변신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로봇에서 자동차로 쉽게 변신할 수 있어서 어린이의 재미와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변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변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100)는 자동차 형상의 완구가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로봇 형상의 완구로 변신되도록 하고, 상기 로봇 형상의 완구가 간단한 수납 동작을 통해 자동차 형상의 완구로 변신되도록 자동차 형상의 하우징(110)과, 버튼부(120)와, 후크부(130)와, 캐릭터부(140)와, 지지부(150)와, 바퀴 조립체(160)와, 다리 조립체(170, 180)와, 팔 조립체(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자동차 형상의 부재로서, 캐릭터부(140), 지지부(150), 바퀴 조립체(160), 다리 조립체(170, 180) 및 팔 조립체(190)가 설치되도록 수납 공간을 형성한 제 1 하우징(110a)과, 버튼부(120) 및 후크부(130)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11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상면에 캐릭터부(140)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되면 하우징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 설치부(115)와 회전축(19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제 1 덮개부(110a-1)와 제 2 덮개부(110a-2)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부(110a-1, 110a-2)는 상기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버튼부(12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버튼부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120)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버튼부 가이드홈(112)이 상기 버튼부 관통공(111)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캐릭터부(140), 지지부(150), 바퀴 조립체(160), 다리 조립체(170, 180) 및 팔 조립체(190)가 내측에 수납 및 설치되도록 수납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캐릭터부(140)가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캐릭터 관통공(114)이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상기 캐릭터부(140)가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부(110a-1, 110a-2)가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설치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 설치부(115)는 회전축(190)을 통해 제 1 및 제 2 덮개부(110a-1, 110a-2)와 함께 팔 조립체(190)가 결합된다.
상기 버튼부(120)는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1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버튼부 가이드(121)를 설치하여 하우징(110)에 형성된 버튼부 가이드홈(112)과 치합함으로써,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된 버튼부 관통공(111)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크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버튼부(12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120)의 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후크부 몸체(131)와, 스프링 설치홈(132)과, 걸림턱(133)과 스프링(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 몸체(131)는 버튼부(120) 하부의 경사면과 치합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120)의 상하방향 승강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 설치홈(132)은 후크부 몸체(131)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홈부를 형성하여 스프링(134)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133)은 후크부 몸체(131)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후크부 몸체(131)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들과 치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임의의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133)의 일부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제 1 걸림턱(133a)으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 1 걸림턱(133a)과 다른 길이를 형성하는 제 2 걸림턱(133b)으로 구성하여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서로 다른 조립체와 치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동작으로 다수의 조립체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걸림턱(133a)은 예를 들면, 캐릭터부(140)와 치합하고, 상기 제 2 걸림턱(133b)은 바퀴 조립체(160)와 치합된다.
상기 스프링(134)은 스프링 설치홈(132)에 설치되어 해제를 위해 후크부(130)가 원위치로부터 수평 이동하면 상기 후크부(130)가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캐릭터부(140)는 유아들의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친근한 이미지의 캐릭터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후크부(130)와 치합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130)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며, 캐릭터 몸체와, 캐릭터(142)와, 스프링(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릭터부 몸체는 장방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후측 임의의 위치에는 후크부(130)의 걸림턱(133)과 체결되는 캐릭터부 걸림홈(141)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걸림턱(133a)과 체결된다.
상기 캐릭터(142)는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전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릭터부(14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경우 유아에게 노출된다.
상기 스프링(143)은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릭터부 걸림홈(141)에 체결된 후크부(130)의 제 1 걸림턱(133a)이 해제되면 상기 캐릭터부 몸체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크부(130), 캐릭터부(140) 및 다리 조립체(170, 180)가 하우징(11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 수납홈(151)과, 지지부 가이드홈(152)과, 지지부 삽입홈(153), 지지부 가이드(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 수납홈(151)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캐릭터부(140)가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 가이드홈(152)은 상기 지지부 수납홈(151)의 양측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캐릭터부(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삽입홈(153)은 지지부 수납홈(151)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다리 조립체(170, 18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가이드(154)는 지지부 수납홈(151)으로부터 일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후크부(130)가 상기 지지부 가이드(154)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바퀴 조립체(160)는 자동차 형상의 완구인 경우 바퀴로써 기능하고, 로봇 형상의 완구인 경우 직립된 로봇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우징(110)의 하부에 후크부(130)와 치합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퀴 조립체(160)는 상기 후크부(130)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며, 복수의 바퀴 조립체 몸체(161)와, 바퀴 조립체 수납홈(162)과, 바퀴 조립체 제 1 걸림턱(163)과, 복수의 바퀴(164)와,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161)는 장방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바퀴 조립체 수납홈(162)이 형성되어 다리 조립체(170, 180)가 수납된다.
상기 바퀴 조립체 제 1 걸림턱(163)은 바퀴 조립체 몸체(161)의 상부 일측에 일정 길이 돌출된 'ㄱ'자 형상의 부재로서, 후크부(130)의 제 2 걸림턱(133b)과 치합하여 체결됨으로써, 바퀴 조립체(160)가 하우징(11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바퀴(164)는 바퀴 조립체 몸체(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 형상의 완구로 동작할 경우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165)은 바퀴 조립체 몸체(161)의 하부 일측에 일정 길이 돌출된 'ㄴ'자 형상의 부재로서, 팔 조립체(190)와 치합하여 상기 팔 조립체(190)가 바퀴 조립체(16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다리 조립체(170, 180)는 하우징(110)과 바퀴 조립체(160) 사이에 설치되고,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 사이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바퀴 조립체(16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신장하는 구성으로서, 제 1 다리부(170)와 제 2 다리부(180)와 스프링(1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다리부(170)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부재로서, 바퀴 조립체(160)의 바퀴 조립체 수납홈(16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체결(잠금)된 경우 상기 바퀴 조립체 수납홈(161)에 삽입되고, 상기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분리(잠금 해제)된 경우 상기 바퀴 조립체 수납홈(161)의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다리부 수납홈(171)과, 제 1 다리부 가이드홈(172)과, 제 1 다리부 가이드(173)와 스프링(1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다리부 수납홈(171)은 제 2 다리부(18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 1 다리부 수납홈(171)의 내측면에는 제 1 다리부 가이드홈(17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다리부(18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 1 다리부 가이드(173)는 제 1 다리부 수납홈(171)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바퀴 조립체 수납홈(16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을 따라 제 1 다리부(17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74)은 제 1 다리부(170)를 관통하고, 일측이 제 2 다리부(180)의 저면에 설치되며 타측이 바퀴 조립체 수납홈(162)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분리(잠금 해제)되면 신장하여 바퀴 조립체(160)와 제 1 다리부(170)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다리부(180)는 제 1 다리부(17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체결(잠금)되면, 상기 제 1 다리부(170)에 수납되고,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분리(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 1 다리부(170)의 상부로 돌출되며, 제 2 다리부 삽입부(181)와, 제 2 다리부 가이드(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다리부 삽입부(181)는 지지부 삽입홈(153)에 체결되어 지지부(150)에 고정되며, 제 2 다리부 가이드(182)는 상기 제 2 다리부 삽입부(181)의 외부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제 1 다리부 가이드홈(172)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다리부 가이드홈(172)을 따라 상기 제 2 다리부(18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팔 조립체(190)는 일측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 설치부(115)와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바퀴 조립체(160)의 바퀴 지지부 제 2 걸림턱(165)과 치합하여 고정(잠금)되며,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분리(잠금 해제)되면, 상기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벌어지는 구성으로서, 내측 팔 조립체(191)와, 팔 조립체 회전공(192)과, 제 1 홈부(193)와 제 2 홈부(194)와 회전축(195)과 스프링(19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팔 조립체(190)는 내측 팔 조립체(191)와 체결되어 하부에 제 1 홈부(193)과 제 2 홈부(194)에 의한 관통공을 형성하여 바퀴 조립체(160)의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165)과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팔 조립체 회전공(192)은 하우징(110)의 회전축 설치부(115)와 회전축(19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196)은 회전축(195)에 설치되어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가 분리(잠금 해제)되면, 팔 조립체(190)가 상기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변신)
도 1과 같이 자동차 형태의 완구에서 사용자 또는 유아가 버튼부(120)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1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후크부(130)의 경사진 상부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130)는 지지부 가이드(154)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크부(130)가 이동하면, 후크부(130)의 걸림턱(133)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후크부(130)의 후측에 설치된 스프링(134)은 가압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130)가 이동함에 따라 체결(잠금)된 상태를 유지하던 캐릭터부(140)와 바퀴 조립체(160)는 상기 걸림턱(133)이 캐릭터 걸림홈(141)과 바퀴 지지부 제 1 걸림턱(163)과 분리되어 캐릭터부(140)의 스프링(143) 및 다리 조립체(170, 180)의 스프링(174)에 의해 각각 하우징(110)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캐릭터부(140)는 캐릭터부 몸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 및 제 2 덮개부(110a-1, 110a-2)를 밀어내며 개방한 후 돌출되고, 상기 바퀴 조립체(16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 다리부(170)가 제 2 다리부(180)에서 인출되어 바퀴 조립체(160)는 하우징(1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팔 조립체(190)는 바퀴 조립체(160)의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165)과 분리되어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의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버튼부(120)가 원위치 되면 후크부(130)의 스프링(134)에 의해 상기 후크부(130)는 원위치되어 상기 버튼부(120)도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원위치된다.
따라서 간단한 버튼부(120)의 누름 동작으로 자동차 형상의 완구가 로봇 형상으로 완구로 쉽게 변신하게 된다.
(로봇에서 자동차로 변신)
로봇으로 변신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양쪽으로 벌어진 팔 조립체(190)를 오므리면서 상부로 돌출된 캐릭터부(140)의 상부를 손바닥으로 누른다.
이때 손바닥에 의해 상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은 캐릭터부(14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캐릭터부(140)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방된 제 1 및 제 2 덮개부(110a-1, 110a-2)는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캐릭터부(14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바닥에 의해 하우징(110)도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신장된 상태의 제 1 다리부(170)와 제 2 다리부(180)는 압축되고, 바퀴 조립체(160)는 하우징(110)의 하부로 삽입된다.
이때, 캐릭터부(140)의 후측에 형성된 캐릭터부 걸림홈(141)은 후크부(130)의 제 1 걸림홈(133a)과 체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바퀴 조립체 제 1 걸림홈(163)은 길이가 짧은 후크부(130)의 제 2 걸림홈(133b)과 체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홈(165)은 팔 조립체(190)의 제 1 홈부(193) 및 제 2 홈부(194)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과 체결되어 상기 팔 조립체(190)가 하우징(110)의 양쪽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간단한 수납 동작을 통해 로봇 형상의 완구가 자동차 형상의 완구로 쉽게 변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변신 자동차 완구 110 : 하우징
110a : 제 1 하우징 110a-1 : 제 1 덮개부
110a-2 : 제 2 덮개부 110b : 제 2 하우징
111 : 버튼부 관통공 112 : 버튼부 가이드홈
113 : 수납부 114 : 캐릭터 관통공
115 : 회전축 설치부 120 : 버튼부
121 : 버튼부 가이드 130 : 후크부
131 : 후크부 몸체 132 : 스프링 설치홈
133 : 걸림턱 133a : 제 1 걸림턱
133b : 제 2 걸림턱 134 : 스프링
140 : 캐릭터부 141 : 캐릭터부 걸림홈
142 : 캐릭터 143 : 스프링
150 : 지지부 151 : 지지부 수납홈
152 : 지지부 가이드홈 153 : 지지부 삽입홈
154 : 지지부 가이드 160 : 바퀴 조립체
161 : 바퀴 조립체 몸체 162 : 바퀴 조립체 수납홈
163 : 바퀴 조립체 제 1 걸림턱 164 : 바퀴
165 :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 170 : 제 1 다리부
171 : 제 1 다리부 수납홈 172 : 제 1 다리부 가이드홈
173 : 제 1 다리부 가이드 174 : 스프링
180 : 제 2 다리부 181 : 제 2 다리부 삽입부
182 : 제 2 다리부 가이드 190 : 팔 조립체
191 : 내측 팔 조립체 192 : 팔 조립체 회전공
193 : 제 1 홈부 194 : 제 2 홈부
195 : 회전축 196 : 스프링

Claims (10)

  1.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된 버튼부(12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튼부(120)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120)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후크부(13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후크부(130)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130)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퀴 조립체(160); 및
    상기 하우징(110)과 바퀴 조립체(16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130)와 바퀴 조립체(160) 사이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바퀴 조립체(16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신장하는 다리 조립체(170, 180)를 포함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후크부(130)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130)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캐릭터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캐릭터부(140)가 상부로 돌출되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방되도록 하는 덮개부(110a-1, 110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140)는 임의의 위치에 후크부(130)와 체결되는 캐릭터부 걸림홈(141)을 형성한 캐릭터부 몸체;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전측에 형성한 캐릭터(142); 및
    상기 캐릭터부 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릭터부 걸림홈(141)에 체결된 후크부(130)가 해제되면 상기 캐릭터부 몸체가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바퀴 조립체(160)와 치합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퀴 조립체(160)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19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팔 조립체(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130)는 상부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 후크부 몸체(131);
    상기 후크부 몸체(131)의 일측에 형성한 스프링 설치홈(132);
    상기 후크부 몸체(13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33); 및
    상기 후크부 몸체(131)의 스프링 설치홈(132)에 수납되어 상기 후크부(130)가 이동하여 해제 동작 후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33)은 임의의 길이를 형성한 제 1 걸림턱(133a); 및
    상기 제 1 걸림턱(133b)과 다른 길이를 형성한 제 2 걸림턱(13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조립체(160)는 바퀴 조립체 몸체(161);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161)의 내부에 다리 조립체(170, 180)가 수납되도록 형성한 바퀴 조립체 수납홈(162);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161)로부터 돌출되어 후크부(130)와 치합하는 바퀴 조립체 제 1 걸림턱(163); 및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바퀴(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조립체(160)는 상기 바퀴 조립체 몸체(161)로부터 돌출되어 팔 조립체(190)와 치합하는 바퀴 조립체 제 2 걸림턱(1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조립체(170, 180)는 바퀴 조립체(16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시 상기 바퀴 조립체(160)에 수납되고, 해제시 상기 바퀴 조립체(160)의 상부로 인출되는 제 1 다리부(170);
    상기 제 1 다리부(17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시 상기 제 1 다리부(170)에 수납되고, 해제시 상기 제 1 다리부(170)의 상부로 인출되는 제 2 다리부(180); 및
    상기 제 1 다리부(170)의 내측에 설치되고, 후크부(130)가 해제되면 상기 제 1 다리부(170)와 제 2 다리부(180)가 신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KR1020120058663A 2012-05-31 2012-05-31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320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663A KR101320403B1 (ko) 2012-05-31 2012-05-31 변신 자동차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663A KR101320403B1 (ko) 2012-05-31 2012-05-31 변신 자동차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403B1 true KR101320403B1 (ko) 2013-10-23

Family

ID=4963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663A KR101320403B1 (ko) 2012-05-31 2012-05-31 변신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4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754A (ko) 2014-11-28 2016-05-20 장원봉 완구용 변신자동차
KR20160078073A (ko) 2014-12-24 2016-07-04 최종일 변신 완구
KR101786887B1 (ko) * 2016-05-18 2017-10-17 주식회사 우리아이 발사체를 구비한 변신 완구 어셈블리
CN107349606A (zh) * 2016-05-09 2017-11-17 广东佳奇科技教育股份有限公司 子弹头式变形机器人玩具车
KR101948429B1 (ko) * 2017-07-28 2019-02-13 최종일 변신완구
CN109939451A (zh) * 2017-12-21 2019-06-2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一键多段变形玩具
KR102347193B1 (ko) 2020-09-01 2022-01-07 김영두 캐릭터 변신 세발 자전거
CN109939451B (zh) * 2017-12-21 2024-06-04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一键多段变形玩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521A (ja) 2008-02-14 2009-08-27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JP4598839B2 (ja) * 2008-03-17 2010-12-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形態変化玩具
JP2011120756A (ja) 2009-12-11 2011-06-23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521A (ja) 2008-02-14 2009-08-27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JP4598839B2 (ja) * 2008-03-17 2010-12-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形態変化玩具
JP2011120756A (ja) 2009-12-11 2011-06-23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754A (ko) 2014-11-28 2016-05-20 장원봉 완구용 변신자동차
KR20160078073A (ko) 2014-12-24 2016-07-04 최종일 변신 완구
CN107349606A (zh) * 2016-05-09 2017-11-17 广东佳奇科技教育股份有限公司 子弹头式变形机器人玩具车
KR101786887B1 (ko) * 2016-05-18 2017-10-17 주식회사 우리아이 발사체를 구비한 변신 완구 어셈블리
KR101948429B1 (ko) * 2017-07-28 2019-02-13 최종일 변신완구
CN109939451A (zh) * 2017-12-21 2019-06-2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一键多段变形玩具
CN109939451B (zh) * 2017-12-21 2024-06-04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一键多段变形玩具
KR102347193B1 (ko) 2020-09-01 2022-01-07 김영두 캐릭터 변신 세발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403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327305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JP3052152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KR101605604B1 (ko) 아이템 투척 완구용 자동차
KR101527316B1 (ko) 완구용 자동차
US8523193B1 (en) Convertible ride-on and pull wagon toy
CN104717853B (zh) 具可掀式盖体的组合件及其可移动的转轴模块
KR101846078B1 (ko) 합체형 변신완구
KR20110096115A (ko) 차량 완구
JP3182214U (ja) スーツケース用錠前装置
KR101563404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US6468128B1 (en) Collapsible car
KR101370617B1 (ko) 완구용 자동차
JP5695123B2 (ja) スーツケース等のバッグ類における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KR20140024110A (ko) 변신 자동차 완구
US9474982B2 (en) Tower track play set
KR101237097B1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KR20150069570A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237162B1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200428963Y1 (ko) 소형 수제금고의 서랍개폐장치
JP2013223588A (ja) 走行体玩具、及び走行玩具
KR20190101671A (ko) 자동차 형상의 유아용 완구
KR101326452B1 (ko) 자동차의 러기지룸용 러기지커버
JP5434449B2 (ja) 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