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754A - 완구용 변신자동차 - Google Patents

완구용 변신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754A
KR20160056754A KR1020140168301A KR20140168301A KR20160056754A KR 20160056754 A KR20160056754 A KR 20160056754A KR 1020140168301 A KR1020140168301 A KR 1020140168301A KR 20140168301 A KR20140168301 A KR 20140168301A KR 20160056754 A KR20160056754 A KR 2016005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vehicle
vehicle body
robot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238B1 (ko
Inventor
장원봉
Original Assignee
장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봉 filed Critical 장원봉
Priority to KR102014016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7/00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 A63H7/02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 A63H7/04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moving together with a toy vehicle or together with wheels rolling on the ground, i.e. driven by vehicle or wheel movement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섀시에 대한 차체의 결합이 해제되며, 차체가 기립하여 변신하는 완구용 변신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구용 변신자동차{ Transform toy car }
본 발명은 전진 이동시 차체가 섀시에 대해 분리되어 기립하며 변신하는 완구용 변신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용 변신자동차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신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완구용 변신자동차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425,9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0,403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7305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425,921호는 무선으로 조정되는 주행중인 완구자동차가 장애물에 부딪치면 직립되면서 로봇트 완구로 모양을 바꾸는 것으로서, 자동차 전면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져야 변신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0,403호는 버튼부의 누름 동작으로 자동차 형상의 완구가 로봇 형상 완구로 변신하는 것으로서, 버튼부를 수동으로 눌러야 자동차가 변신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7,305호는 하우징 내부의 접착부에 설치된 자석과 자동차 완구와는 별도의 카드에 설치된 자성체 또는 금속판 간의 인력에 의해 변신이 되는 변신 자동차 완구로, 자동차 완구와는 별도의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카드가 더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완구용 변신자동차들은 별도의 외력 없이 주행 도중 자동으로 변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425,9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0,40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7,30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섀시에 대한 차체의 결합이 해제되며, 차체가 기립하여 변신하는 완구용 변신자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완구용 변신자동차는, 풀백기어부를 포함하는 완구용 변신자동차에 있어서,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전륜; 및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풀백기어부에 연동되는 한 쌍의 후륜;을 포함하는 섀시; 상기 섀시의 상부에 결합된 차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차체의 상기 섀시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차체가 상기 섀시에 대해 분리되어 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백기어부는 상기 섀시에 요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이동시 상기 후륜이 상기 요잉 방향 중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섀시는 상기 전륜이 설치된 전방 섀시와, 상기 후륜이 설치된 후방 섀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섀시가 상기 후방 섀시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차체가 상기 섀시에 대해 분리될 때, 상기 전방 섀시가 상기 후방 섀시에 대해 접히면서 상기 차체가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섀시는 상기 전륜이 설치된 전방 섀시와, 상기 후륜이 설치된 후방 섀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후방 섀시에 대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전방 섀시를 상기 차체에 결합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전륜에 연동되어 주행 도중 상기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록킹부의 록킹 해제시, 상기 차체가 상기 전방 섀시에 대해 분리되고 상기 전방 섀시가 상기 후방 섀시에 대해 접히면서 상기 차체가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차체 하부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전방 섀시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걸리는 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전륜에 연동된 웜과, 상기 웜에 맞물린 웜휠과, 상기 웜휠에 연동되어 상기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막대를 동작시키는 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일측이 상기 차체 내부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전방 섀시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는 팔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팔부재는 상기 차체가 기립할 때, 상기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에 결합되어 상기 풀백기어부의 상측에 배치된 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버는 상기 풀백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요잉방향의 일방향으로 틀어진 상기 후륜을 상기 전륜과 나란하게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는 상기 전륜 상측에 배치된 로봇상체와, 상기 로봇상체의 후방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 로봇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록킹 해제시, 상기 로봇상체는 상기 로봇몸체에 대해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상체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 로봇머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록킹 해제시, 상기 로봇머리는 상기 로봇상체에 대해 회전하여 돌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완구용 변신자동차는, 한 쌍의 전륜이 설치된 전방 섀시와, 한 쌍의 후륜이 설치된 후방 섀시와, 상기 전방 섀시와 상기 후방 섀시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접힘부를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섀시에는 상기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구동력을 생성하는 풀백기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풀백기어부는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이동시 요잉 방향중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섀시 또는 상기 차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섀시와 상기 차체를 임시로 결합하는 록킹부가 형성되고,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이동시 상기 전륜의 전진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섀시와 상기 차체 사이의 임시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차체의 섀시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며, 차체가 섀시에 대해 분리되어 기립하여 변신하기 때문에, 완구용 변신자동차가 주행 도중 별도의 외력 없이 자동으로 변신할 수 있어, 놀이용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또한, 풀백기어부가 섀시에 요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이동시 요잉 방향 중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져, 완구용 변신자동차가 주행도중 드리프팅이 가능하다.
또한, 전방 섀시가 후방 섀시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차체가 섀시에 대해 분리되어 접히면서 기립되므로, 변신과정에서 기립이 용이하다.
또한, 전방 섀시를 차체에 결합시키는 록킹부와, 전륜에 연동되어 주행 도중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여, 완구용 변신자동차가 주행 도중에 용이하게 변신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팔부재는 일측이 차체 내부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전방 섀시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므로, 차체가 기립할 때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봇팔로서 유용하다.
또한, 차체에 결합되어 풀백기어부의 상측에 배치된 레버를 포함하여,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주행 전에 후륜의 방향을 전륜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로봇상체와 로봇몸체는 서로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고, 로봇머리도 로봇상체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록킹 해제시 용이하게 로봇으로 변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차체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로봇상체와 팔부재가 회전된 사시도.
도 4는 섀시의 평면도.
도 5는 섀시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록킹부와 록킹해제부의 동작상태도.
도 8은 팔부재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레버를 통해 후륜의 방향을 조정하는 동작상태도.
도 10은 완구용 변신자동차가 로봇으로 변신되는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차체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로봇상체와 팔부재가 회전된 사시도이고, 도 4는 섀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섀시의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록킹부와 록킹해제부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8은 팔부재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9는 레버를 통해 후륜의 방향을 조정하는 동작상태도이고, 도 10은 완구용 변신자동차가 로봇으로 변신되는 동작상태도이다.
본 설명은 도 2의 좌표에서 X방향을 좌측, Y방향을 후방측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변신자동차(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백기어부(160)를 포함하는 완구용 변신자동차(1)로서,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전륜(105) 및 후방에 설치되어 풀백기어부(160)에 연동되는 한 쌍의 후륜(155)을 포함하는 섀시(100); 와, 섀시(100)의 상부에 결합된 차체(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완구용 변신자동차(1)는 전륜(105)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차체(200)의 섀시(10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고, 차체(200)가 섀시(100)에 대해 분리되어 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섀시(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구용 변신자동차(1)의 하부에 위치하여, 한 쌍의 전륜(105) 및 한 쌍의 후륜(155)이 설치된다.
섀시(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05)이 설치된 전방 섀시(101)와, 후륜(155)이 설치된 후방 섀시(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 섀시(101)의 내부에는 전륜(105)과 연동된 록킹해제부(350) 및 록킹부의 막대(320)가 형성되고, 후방 섀시(150)의 내측 상부에는 풀백기어부(160)가 요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킹부는 차체 하부에 형성된 후크(310)와, 전방 섀시(101)의 내측 후방에 형성된 막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섀시(101)와 후방 섀시(150)의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탄성접힘부(190)가 형성되어, 전방 섀시(101)의 후방과 후방 섀시(150)의 전방이 힌지 결합된다.
전방 섀시(10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의 하부판(110)과, 하부판(110)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120)과, 측벽(120)의 상부를 덮는 상판(140)과, 하부판(110)의 전방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범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벽(120)은 전방 및 좌우측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판(110)은 전방부의 좌우 폭이 후방부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륜(105)은 좌우 측벽(120)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전륜(105)이 결합된 전륜구동축(106)은 좌우 측벽(120)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 섀시(101)의 내측 전방에는 전륜구동축(106)이 위치하고, 전륜구동축(106) 후방에는 전륜구동축(106)과 연동되어 주행 도중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부(3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해제부(350)의 후방에는 록킹부의 막대(320)가 형성된다.
막대(320)에는 차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후크(310)가 걸려 전방 섀시(101)가 차체(200)에 결합된다.
막대(320)는 전륜(105)에 연동된 록킹해제부(35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록킹부의 록킹이 해제된다.
전방 섀시(101)는 후방 섀시(150)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록킹부의 록킹 해제시, 차체(200)가 전방 섀시(101)에 대해 분리되고, 전방 섀시(101)가 후방 섀시(150)에 대해 접히면서 차체(200)가 기립된다. 그래서 변신과정에서 기립이 용이하다.
후크(310)와 막대(320)를 포함하는 록킹부와, 록킹해제부(350)의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또한, 전방 섀시(101)의 좌측 후방 상부, 즉 상판(140)의 좌측 후방에는 사각 형상의 록킹홀(145)이 형성된다. 후크(310)는 록킹홀(145)에 삽입된 후 막대(320)에 걸려, 전방 섀시(101)를 차체(200)에 임시로 결합시킨다.
전방 섀시(101)의 후방에는 제3스프링(191)의 탄성력을 이용한 탄성접힘부(190)를 통해 후방 섀시(150)가 힌지 결합된다.
록킹부, 즉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차체(200)에 대한 전방 섀시(101)의 결합이 해제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접힘부(190)를 중심으로 전방 섀시(101)는 후방 섀시(150)에 대해 접히게 된다.
전방 섀시(101)가 후방 섀시(150)에 대해 접히는 것은, 탄성접힘부(190)의 제3스프링(191)의 탄성력에 의한 것이다.
후방 섀시(1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 섀시(150)의 상부에는 풀백기어부(160)가 요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후륜(155)은 후륜구동축을 통해 풀백기어부(160)에 연동되어 설치된다.
후방 섀시(15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구(170)가 다수개 형성된다. 볼트구(170)는 원형을 이루고, 중공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구(170)는 후방 섀시(150)의 좌우 전방부에 2개, 좌우 후방부에 2개가 각각 형성된다.
4개의 볼트구(170)는 차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4개의 중공원통(260)과 짝을 이뤄 볼트로 결합된다. 즉, 후방 섀시(150)는 차체(200)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중공원통(26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차체(2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후방 섀시(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에 풀백기어부(160)가 요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풀백기어부(160)는 완구용 변신자동차(1)의 전진 구동력을 생성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섀시(150)의 전방 좌측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좌측걸림턱(180)이 형성되고, 우측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우측걸림턱(182)이 형성된다. 좌측걸림턱(18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걸림턱(182)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걸림턱(180) 및 우측걸림턱(182)은 풀백기어부(160)의 하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풀백기어부(160)는 좌측걸림턱(180)과 우측걸림턱(18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풀백기어부(160)의 좌측면과 접촉하는 좌측걸림턱(180)의 내측면은, 완구용 변신자동차(1)의 진행방향과 일직선을 이룬다.
반면에 우측걸림턱(182)의 내측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풀백기어부(160)와 우측걸림턱(182) 사이에는 공간(184)이 형성된다. 공간(184)에서 풀백기어부(160)는 요잉방향으로 이동된다. 풀백기어부(160)의 요잉방향 회전으로 인해 후륜(155)이 요잉방향 중 시계방향으로 틀어지며 드리프팅된다.
공간(184)의 좌우폭을 좁게 하면, 후륜(155)이 시계방향으로 적게 틀어져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드리프팅되는 회전 반경이 크다. 즉,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원거리 회전 드리프팅을 하게 된다.
반면에 공간(184)의 좌우폭을 넓게 하면, 후륜(155)이 시계방향으로 많이 틀어져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드리프팅되는 회전 반경이 작아진다. 즉,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근거리 회전 드리프팅을 하게 된다.
또한, 우측걸림턱(182)의 내측면 등에 탄성부재를 부착하여 공간(184)의 좌우폭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a의 상태에서 풀백기어부(160)의 좌측면은 좌측걸림턱(180)의 내측면에 접하고, 도 4b의 상태에서 풀백기어부(160)의 우측면은 우측걸림턱(182)의 내측면에 접한다.
다시 설명하면, 풀백기어부(160)는 도 4a에 도시한 상태에서 주행을 시작하며, 주행 도중에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틀어진다. 즉 완구용 변신자동차(1)의 전진 이동시, 후륜(155)이 요잉 방향 중 시계방향으로 틀어진다. 이로 인해, 완구용 변신자동차(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진 이동 중에 드리프팅이 가능하다.
한편, 전방 섀시(101) 및 후방 섀시(150)의 상부에는 사각 형상의 차체(200)가 결합된다.
차체(200)는 전방 섀시(101) 및 후방 섀시(150)의 상부 전체를 덮는다.
차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여 전륜(105)의 상측에 배치되는 로봇상체(210)와, 로봇상체(210)의 후방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 로봇몸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로봇몸체(240)는 후방 섀시(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로봇상체(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와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로봇상체(210)의 양측벽에는 전륜(105)이 배치되는 반원 형상의 전륜홈(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봇상체(210)의 양측벽의 후방 하부는, 로봇몸체(240)의 양측벽의 전방 하부에 힌지 결합된다. 그래서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차체(200)에서 전방 섀시(101)가 분리되면,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상체(210)는 로봇몸체(240)에 대해 접히게 된다. 로봇상체(210)의 접힘은 힌지 결합부분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로봇상체(210)의 내측 후방에는 로봇머리(212)가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다. 로봇머리(212)가 결합된 힌지축은 로봇상체(210)의 양측벽의 후방 상부에 결합된다.
로봇머리(212)는 로봇상체(210)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에서, 로봇몸체(240)의 전방에 형성된 머리홈(271)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차체(200)에서 전방 섀시(101)가 분리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상체(210)가 접히고, 그와 동시에 로봇머리(212)도 로봇상체(210)에 대해 회전하여 상측으로 돌출된다. 즉, 록킹 해제시, 로봇머리(212)는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10의 도시한 상태로 돌출된다.
이상과 같이, 로봇상체(210)와 로봇머리(212)가 각각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 해제시 용이하게 로봇으로 변신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상체(210)의 후방에는 로봇몸체(240)가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다.
로봇몸체(24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로봇몸체(240)는 사각 형상의 로봇몸체상판(270)과, 로봇몸체상판(27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로봇몸체측벽(2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봇몸체측벽(275)은 로봇몸체(240)의 좌우측과 후방에 형성된다.
로봇몸체측벽(275)의 전방 하부에는 로봇상체(210)가 힌지 결합된다.
로봇몸체상판(270)의 전방 중앙에는 로봇머리(212)가 삽입되는 머리홈(271)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머리홈(271)의 일측에는 록킹부의 후크(310)가 형성된다. 후크(310)는 로봇몸체상판(270)의 전방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록킹부는 차체(200), 즉 로봇몸체상판(270)의 하부에 형성된 후크(310)와, 전방 섀시(101)의 내측 후방에 형성되어 후크(310)가 걸리는 막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크(310)는 전방 섀시(101)의 상판(140)의 좌측 후방에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록킹홀(145)에 삽입된다. 후크(310)는 록킹홀(145)을 통과한 후,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320)에 걸려 록킹된다.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을 통해 전방 섀시(101)는 차체(200)에 임시로 결합된다.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 및 록킹 해제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로봇몸체측벽(275)의 전방 내측면에는 사각 형상의 팔부재(241)가 힌지 결합된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부재(241)는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전방 섀시(101)가 차체(200)에서 분리되며 차체(200)가 기립할 때, 차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도 2와 같이 팔부재(241)가 차체(200) 내부에 접힌 상태에서,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200) 외측으로 돌출된다. 팔부재(241)의 회전은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팔부재(241)는 일단이 로봇몸체측벽(275)에 힌지 결합 되고, 팔부재(241)의 내측면에는 사각형상의 제1돌기(242)가 형성된다.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가 록킹되어 전방 섀시(101)가 차체(200)에 결합되어 있을 때, 제1돌기(242)는 전방 섀시(101)의 좌우 측벽(120) 후방에 형성된 제2돌기(122)에 걸려 차체(200) 내부에서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도 8a 참고).
그리고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면 도 3 및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부재(241)는 회전하여 차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5 및 도 8을 참고하여 팔부재(241)의 동작을 좀더 상술한다.
팔부재(241)는 로봇의 팔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전방 섀시(101)가 후방 섀시(150)에 대해 접힐 때 차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후크(310)와 막대(320)가 록킹되어 전방 섀시(101)가 차체(200)에 임시로 결합되어 있을 때, 전방 섀시(101)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섀시(150)와 일렬을 이룬다. 이 때,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부재(2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돌기(242)는, 전방 섀시(101)의 좌우 측벽(120)의 후방 외측면에 형성된 제2돌기(122)에 걸린다. 그래서 팔부재(241)는 도 2와 같이 차체(200) 내부에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면, 전방 섀시(101)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섀시(150)에 대해 접힌다. 이 때, 도 8b와 같이, 전방 섀시(101)의 측벽(120), 즉 제2돌기(122)는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돌기(242)에 대한 제2돌기(122)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도 8c와 같이, 팔부재(241)가 회전되어 차체(200)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팔부재(241)는 변신 로봇의 로봇팔로서 기능하기에 유용하다.
한편, 로봇몸체측벽(275)에서 팔부재(241)의 후방에는 후륜(155)이 배치되는 후륜홈(276)이 형성된다. 후륜홈(276)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로봇몸체(240)의 내측, 즉 로봇몸체상판(270)의 하부에는 4개의 중공원통(260)이 돌출 형성된다.
중공원통(2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섀시(150)의 볼트구(170)와 짝을 이뤄 볼트 결합된다. 그래서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전방 섀시(101)가 차체(200)로부터 분리될 때에도, 후방 섀시(150)는 차체(200), 즉 로봇몸체(24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200)의 상부, 즉 로봇몸체(240)의 상부에 결합된 레버(250)를 더 포함한다. 레버(250)는 풀백기어부(160)의 상측에 배치된다.
레버(250)는 로봇몸체(240)의 상부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고, 일측부가 하측을 향해 구부러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버(250)의 상부는 사각 형상의 덮개(290)로 덮혀 있고, 레버(250)의 중앙 상부에는 사각 형상의 돌출버튼(252)이 형성되어 덮개(29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레버(250)는 도 4b 및 도 9b와 같이 틀어진 후륜(155)을, 도 4a 및 도 9a와 같이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후륜(155)을 전륜(105)과 나란하게 정렬시킨다.
다시 설명하면, 도 4b 및 도 9b와 같이 후륜(155)이 틀어진 경우에는, 후륜구동축과 연결된 풀백기어부(160)도 요잉방향의 일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그래서 레버(250)의 돌출버튼(252)을 누르면, 도 4a 및 도 9a와 같이 풀백기어부(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요잉방향의 일방향으로 틀어졌던 후륜(155)이 전륜(105)과 나란히 정렬된다. 이와 같이, 레버(25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후륜(155)을 전륜(105)과 나란히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버(250)의 돌출버튼(252)을 눌러 후륜(155)을 전륜(105)과 나란히 정렬시킨 상태에서 완구용 변신자동차(1)를 풀백시킨 후, 완구용 변신자동차(1)를 전진 주행시킬 수 있다.
이하에는 도 4,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록킹부 및 록킹해제부(350)에 대해 상술한다.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는 차체(200)의 하부에 결합된 후크(310)와, 전방 섀시(101)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후크(310)가 걸리는 막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막대(320)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3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32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부가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도 7a와 같이 막대(320)의 단차진 일측부의 하부에 후크(310)가 걸려 록킹이 완료되어, 전방 섀시(101)가 차체(200)에 임시 결합된다.
또한, 막대(320)의 상부 후방에는 사각 형상의 제3돌기(321)가 형성된다. 제1스프링(322)은 제3돌기(321)에 걸려 막대(320)에 전방을 향한 탄성복원력을 가한다.
한편, 록킹해제부(3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구동축(106)의 중심에 결합된 원통 형상의 웜(352)과, 웜(352)에 맞물린 원판 형상의 웜휠(354)과, 웜휠(354)의 상부에 결합되어 웜휠(354)과 연동되고 록킹부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막대(320)를 동작시키는 캠(3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캠(356)에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35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웜(352)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에 전륜구동축(106)이 삽입된다. 그래서 웜(352)은 전륜(105)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웜(352)은 전륜구동축(106)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웜(352)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웜(352)의 후방에는 원판 형상의 웜휠(354)이 형성된다.
웜휠(354)의 외주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웜(352)의 나사산에 맞물린다.
웜휠(354)의 상부에는 캠(356)이 결합된다. 그래서 캠(356)은 웜휠(354)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캠(35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357)에 대해 일측 반경이 타측 반경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356)이 회전하면 막대(320)가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막대(3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320)에 걸려있던 후크(31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록킹부인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 해제로 인해,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섀시(101)는 차체(200)에서 분리되고, 이 때 전방 섀시(101)는 후방 섀시(150)에 대해 접히게 되며, 차체(200)는 기립된다.
이상에 설명한 록킹부 및 록킹해제부(350)를 통해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주행 도중에 용이하게 별도의 외력없이 로봇으로 변신 가능하다.
전륜(105)의 전진에 연동되어 후크(310)와 막대(320)의 록킹이 해제된 후에,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356)은 제2스프링(35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막대(320)는 제1스프링(3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전술한 구성과 작동으로 인해, 완구용 변신자동차(1)를 풀백시킨 후 놓아두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주행한다. 그 후, 후륜(155)이 요잉방향 중 시계방향으로 틀어지면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좌측으로 드리프팅 된다. 그리고 록킹해제부(350)에 의해 막대(320)에 대한 후크(310)의 록킹이 해제되어, 도 10c와 같이 차체(200)가 전방 섀시(101)에 대해 분리되면서 기립하여 로봇으로 변신된다. 변신 시, 로봇몸체(240)와 전방 섀시(101)가 다리역할을 하여 기립상태가 지지되고, 팔부재(241)가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로봇상체(210)가 로봇몸체(240)에 대해 접히며, 로봇머리(212)도 로봇상체(210)에 대해 접혀 상측으로 돌출되어 로봇으로 변신이 완료된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구용 변신자동차(1)는 전륜(105)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차체(200)의 섀시(10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며, 차체(200)가 섀시(100)에 대해 분리되어 기립하여 변신 가능하기 때문에, 완구용 변신자동차(1)가 주행 도중 별도의 외력 없이 자동으로 로봇으로 변신할 수 있어, 놀이용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완구용 변신자동차 100: 섀시
101: 전방 섀시 105: 전륜
106: 전륜구동축 110: 하부판
120: 측벽 122: 제2돌기
130: 범퍼 140: 상판
145: 록킹홀 150: 후방 섀시
155: 후륜 160: 풀백기어부
170: 볼트구 180: 좌측걸림턱
182: 우측걸림턱 184: 공간
190: 탄성접힘부 191: 제3스프링
200: 차체 210: 로봇상체
211: 전륜홈 212: 로봇머리
240: 로봇몸체 241: 팔부재
242: 제1돌기 250: 레버
252: 돌출버튼 260: 중공원통
270: 로봇몸체상판 271: 머리홈
275: 로봇몸체측벽 276: 후륜홈
290: 덮개 310: 후크
320: 막대 321: 제3돌기
322: 제1스프링 350: 록킹해제부
352: 웜 354: 웜휠
356: 캠 357: 회전중심축
358: 제2스프링

Claims (1)

  1. 한 쌍의 전륜이 설치된 전방 섀시와, 한 쌍의 후륜이 설치된 후방 섀시와, 상기 전방 섀시와 상기 후방 섀시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접힘부를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섀시에는 상기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구동력을 생성하는 풀백기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풀백기어부는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이동시 요잉 방향중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섀시 또는 상기 차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섀시와 상기 차체를 임시로 결합하는 록킹부가 형성되고,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전진 이동시 상기 전륜의 전진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섀시와 상기 차체 사이의 임시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풀백기어부의 상기 요잉 방향 회전폭을 조절하여 상기 완구용 변신자동차의 드리프팅 회전반경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변신자동차.
KR1020140168301A 2014-11-28 2014-11-28 완구용 변신자동차 KR102164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01A KR102164238B1 (ko) 2014-11-28 2014-11-28 완구용 변신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01A KR102164238B1 (ko) 2014-11-28 2014-11-28 완구용 변신자동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264A Division KR101529621B1 (ko) 2014-11-12 2014-11-12 완구용 변신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54A true KR20160056754A (ko) 2016-05-20
KR102164238B1 KR102164238B1 (ko) 2020-10-12

Family

ID=5610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301A KR102164238B1 (ko) 2014-11-28 2014-11-28 완구용 변신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930A1 (ko) * 2017-01-23 2018-07-26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자동차 완구
KR20200145418A (ko) 2019-06-21 2020-12-30 이현성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 rc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347A (ja) * 1993-11-15 1995-05-30 Sente Creations:Kk 可動形態変化玩具
JPH0928933A (ja) * 1995-05-12 1997-02-04 Takara Co Ltd 形態変化玩具
KR100425921B1 (ko) 1998-01-12 2004-06-12 이용희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JP3169835U (ja) * 2011-06-08 2011-08-18 有限会社イング二十一 走行玩具
JP2012176212A (ja) * 2011-02-24 2012-09-13 Toytec:Kk 走行玩具
KR101320403B1 (ko) 2012-05-31 2013-10-23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327305B1 (ko)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347A (ja) * 1993-11-15 1995-05-30 Sente Creations:Kk 可動形態変化玩具
JPH0928933A (ja) * 1995-05-12 1997-02-04 Takara Co Ltd 形態変化玩具
KR100425921B1 (ko) 1998-01-12 2004-06-12 이용희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JP2012176212A (ja) * 2011-02-24 2012-09-13 Toytec:Kk 走行玩具
JP3169835U (ja) * 2011-06-08 2011-08-18 有限会社イング二十一 走行玩具
KR101327305B1 (ko)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320403B1 (ko) 2012-05-31 2013-10-23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930A1 (ko) * 2017-01-23 2018-07-26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자동차 완구
KR20200145418A (ko) 2019-06-21 2020-12-30 이현성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 rc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238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220B1 (en) Truck bed extension/ramp
KR101529621B1 (ko) 완구용 변신자동차
EP3055169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utility vehicle accessory mounting
KR20160056754A (ko) 완구용 변신자동차
JP6602903B2 (ja) 連結装置及び牽引車
KR101506649B1 (ko) 차량 적재함의 수납함
KR101563404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US8678424B2 (en) Bicycle trailor front wheel arrangement
KR20170141966A (ko) 완구용 합체변신차량
JP2013193617A (ja) コンテナの緊締装置
JP2011148414A (ja) 車両の仕切板
KR20150069570A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US20160185397A1 (en) Latch mechanism
JP2013040444A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装置
KR101890653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JP2007112453A (ja) 箱型パレットの扉パネルロック装置
CN205867572U (zh) 顶部可弹射配件的玩具
JPS6368402A (ja) キヤスタ
JP3098206U (ja) 牽引装置
JP7187329B2 (ja) 安全装置
JP7064971B2 (ja) 作業台におけるキャスタ装置
JPH0810026Y2 (ja)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輪止め格納装置
EP2623345B1 (en) Towing hook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displacing a towing hook of a towing hook arrangement
CN203296568U (zh) 车用可折叠式保险箱
JP6865634B2 (ja) 荷台付き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