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921B1 -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 Google Patents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921B1
KR100425921B1 KR1019980000528A KR19980000528A KR100425921B1 KR 100425921 B1 KR100425921 B1 KR 100425921B1 KR 1019980000528 A KR1019980000528 A KR 1019980000528A KR 19980000528 A KR19980000528 A KR 19980000528A KR 100425921 B1 KR100425921 B1 KR 10042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robot
plate
whee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295A (ko
Inventor
최낙임
Original Assignee
이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희 filed Critical 이용희
Priority to KR101998000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9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0Dolls with parts moved due to movements of other parts, e.g.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으로 조정되는 주행중인 완구자동차가 장애물에 부딪치면 직립되면서 로봇트 완구로 모양을 바꾸면서 연속적인 주행이 가능하여 주행 완구로서의 사용은 물론 로봇트 완구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무선으로 조정되는 완구자동차는 주행중 장애물에 부딪히면 방향을 바꾸는 것은 있으나 로봇트로 변신되는 완구는 없으며, 통상의 변신 완구로는 사용중 또다른 사용을 위하여 별도의 새로운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차 완구를 로봇트로 변신시키기가 불가능한 것이 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리모콘의 신호에 의하여 주행하는 무선 자동차의 전면이 소정 물체에 부딪치면 주행중인 자동차 완구의 앞바퀴가 스프링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자동차가 직립되면서 로보트 완구로 모양을 바꾸어 이 상태에서 계속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변신 자동차 완구.

Description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본 발명은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트 콘트롤(이하 "리모콘"이라함)의 신호에 의하여 일정 방향으로 주행하는 무선 자동차의 전면이 장애물에 어느 정도의 충격으로 부딪치면 주행중인 자동차 완구가 직립되면서 로보트 완구로 모양을 바꾼상태에서도 계속적인 주행이 가능토록하여 주행완구로서의 사용은 물론 로보트 완구로서의 사용이 가능토록하여 주행 완구의 단순한 기능을 보완함과 동시에 보다 흥미감을 갖고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으로 동작되는 주행 완구(자동차 완구)에 있어서는 변신하는 주행완구는 제안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통상의 변신 완구에 있어서는 결합부위를 회전시키거나 하면서 외관의 형상만을 변화시키면서 비슷한 형태의 자동차완구나 로봇트완구로 변신케 하거나 또한 별도의 조립체를 조립하여 변신하게 한 것으로,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나 리모콘으로 작동되는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조립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었다.
이는 리모콘으로 동작되는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리모콘의 조작으로 자동차 완구를 전후 좌우로 빠르게 이동토록 하여 경주용으로서의 놀이만을 유도토록 한 것이어서 미취학아동들이 실내에서 유용하게 놀이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모콘으로 조정되는 자동차 완구가 장애물에 부딪치면 앞바퀴가 하부몸체에서 분리되면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직립되면서 로봇트의 형상으로 변신되면서 연속적인 주행이 가능토록 하여 실내에서 미취학아동들이 유용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보트 완구로 변신된 상태에서도 계속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이 가능한 로보트 완구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자동차완구로 결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자동차완구로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로봇트로 변신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리셋트스위치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변신을 위하여 앞바퀴가 뒷바퀴로 진행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앞바퀴에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로봇트로 변신시키는 상부 몸체의 작동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는 작동판의 작동을 위하여 몸체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9은 앞바퀴판을 탈착토록 하기 위한 앞바퀴판 고정부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로봇트로 변신될 경우에 뒷바퀴로 작동토록 되는 날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1은 날개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2는 변신된 로봇트가 주행할 경우에 앞바퀴 밀림이 방지토록 하기위한 리세트 스위치부의 분해사시도.
도13은 로봇트 팔이 좌우로 벌려지거나 오무려지도록 되는 구성을 나타낸 요부 조립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 앞바퀴 12: 바퀴판
13: 지지대 14: 회동돌기
15: 스프링 16: 소공
20: 하부몸체 21: 전지수납부
22: 회동홀 23: 개구부
24: 고정돌기
30: 작동돌기판 31: 작동돌기
32: 가동고리 33: 격실
33a: 실내폭 34: 스프링
35: 덮개
40: 상부몸체 41: 머리체
42,42a: 슬라이드홈 43: 슬라이드 돌기
44: 캡 45: 나사
46: 스프링 47: 걸고리
48: 고리 49: 회동돌기
50,50a: 팔 51: 협지돌기
52,52a: 고정판 53: 고정돌부
54: 공간 55,55a: 작동판
56,56a: 격벽 57: 덮개판
58: 나사 59: 단턱
60: 스위치부 61: 걸림편
62: 스프링 63: 리세트스위치
64: 리세트돌기 65: 리세트가이드홈
66: 스위치캡 67: 고정익편
68: 나사 69: 절개부
70: 고정캡 71: 안내돌기
71a: 안내홈 72: 고정돌기
72a: 고정홈 73: 로울러
74: 날개 75: 절개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 및 제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자동차 형상으로 외관이 구성되며, 앞 바퀴(11)를 측면에서 끼워고정토록 되는 바퀴판(12)의 양측으로 각각 지지대(13,13a)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3)의 회동돌기(14)가 하부 몸체(20)의 전지수납부(21)에 형성된 회동홀(22)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토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13)의 끝단에는 스프링(15)을 고정하여, 상기 스프링(15)의 타측단을 하부 몸체(20)의 개구부(23)를 관통시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24)에 고정설치하여 지지대(13)가 지지대(13)의 바퀴판(12)에 천공된 소공(16)에 걸려진 작동돌기(31)의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앞 바퀴(11)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 바퀴(1)에 밀착되면서 로봇트로 직립토록 구성된다.
이때 앞 바퀴(11)가 끼워진 바퀴판(12)에는 일정한 크기의 소공(16)이 형성되어 하부몸체(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작동돌기(31)가 출입되면서 바퀴판(12)이 형성된 지지대(13,13a)가 절첩토록 구성한다.
이때 바퀴판(12)의 소공(16)을 출입하는 작동돌기(31)가 작동토록 하기 위하여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작동돌기판(30)의 전방으로는 소공(16)의 내단측에 걸릴 수 있도록 작동돌기(31)가 형성되고 직하방으로는 「+」자 형상의 가동고리(32)를 형성하여 이를 하부 몸체(20)의 상면에 2단으로 형성된 격실(33)에 스프링(34)으로 탄력지게 설치하여 덮개(35)로 고정하여 격실(33)의 내공간에서 가동고리(32)가 탈리되지 않으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돌기판(30)의 유동간격은「+」자 형상의 가동고리(32)가 삽입되어 있는 격실의 실내폭(33a)만큼만 작동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돌기판(30)의 작동을 위한 유도는 자동차에서 로봇트의 변신을 위하여 머리체(41)를 눌러주는 로보트 완구의 일측 팔(50)에는 도8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일측으로는 협지돌기(51)가 돌설되고, 전면 중앙으로는 고정판(52)의 고정돌부(53)에 삽입되어 전후진 될 수 있는 공간(54)이 형성된 자동차의 범퍼에 해당하는 작동판(55)이 고정판(52)의 격벽(56)내에 안치되어 그 상면에서 덮개판(57)이 덮어지면서 나사(58)로 고정판(52)의 고정돌부(53)에 나착시켜 작동판(55)만이 공간(54)에 의하여 전후진되면서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덮개판(57)의 정확한 고정을 위하여는 고정판(52)의 상측으로 내측홈이 요설된 단턱(59)을 형성하고 양 측방으로는 격벽(56)을 형성하여 덮개판(57)의 정확한 고정이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타측 팔(50a)에는 일측팔(50)에 형성된 작동판(55)의 협지돌기(51)가 출입될 수 있도록 작동판(55a)의 일측이 절개되어지는 절개홈(51a)이 형성되고 작동판(55,55a)이 모아진 상태에서 고정토록 하기 위하여는 타측팔(50a)의 고정판(52a)의 격벽(56a)은 일측팔(50)에 형성된 고정판(52)의 격벽(56)과 밀착되면서 협지돌기(51)가 격벽(56a)을 잡게 되면서 팔이 벌려지지 않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팔이 양측으로 벌려질 경우 동시에 머리체(41)도 상승토록 하기 위하여는 상부 몸체(40)의 중앙 좌우로는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홈(42)을 형성하여 이에 슬라이드돌기(43)가 형성된 캡(44)을 위치시켜 머리체(41)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45)로 고정하고, 상기 머리체(41)의 하단으로는 스프링(46)의 일단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고리(47)를 형성하고 스프링(46)의 타단은 슬라이드홈(42,42a)의 사이에 형성된 고리(48)에 고정하여 스프링(46)의 탄력에 의하여 머리체(41)가 캡(44)과 같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팔(50,50a)이 좌우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팔(50,50a)이 각각 상부몸체(40)의 회동돌기(49)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토록 끼워졌기 때문에 양팔이 모아질 경우에는 양팔(50,50a)이 머리체(41)를 가압하면서 양팔(50,50a)의 선단에 형성된 작동판(55)의 협지돌기(51)가 작동판(55)을 안치하고 있는 고정판(52)의 격벽(56.56a)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타측팔(50a)의 격벽(56a)을 잡고 있기 때문에 머리체(41)의 하단에 형성된 걸고리(47)에 의하여 늘려진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하여도 벌어지지 않토록 되어 있는 것이고, 이때 작동판(55)이 미동에 의하여 전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작동판(55)의 협지돌기(51)의 후단(A)을 밀고 있는 작동돌기판(30)의 선단(B)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고 작동돌기판(30)은 그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3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면서 작동돌기판(30)의 선단(B)이 작동판(55)의 협지돌기(51)의 후단(A)을 가압하기 때문에 쉽게 미동되지 않으면서 전후진되지 않게 되어 좌우로 양팔이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판(55,55a)이 동시 또는 각각 장애물에 의하여 충격을 받으면 작동판(55)이 공간(54)에 의하여 후진되면 작동돌기판(30)이 동시에 후진되어지게 되어 작동돌기판(30)의 작동돌기(31)가 바퀴판(12)의 소공(16)에서 탈리되면서 바퀴판(12)의 지지대(13)는 뒷바퀴(1)쪽으로 열려지면서 동시에 양팔(50,50a)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던 상부몸체(40)의 머리체(41)가 걸고리(47)에 걸려서 늘어나 있는 스프링(46)이 복귀하고자 하는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양팔(50,50a)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완구에서 로봇트로 변신된 상태에서도 계속적인 주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는 앞바퀴(11)가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뒷 바퀴(1)에 접촉될 경우에 뒷바퀴(1)의 구동력이 앞바퀴(11)에 전달되면 앞바퀴(11)가 뒷바퀴(1)에서 떨어지고자 하는 힘이 발생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앞 바퀴(11)를 고정한 바퀴판(12)의 내단측(C)을 고정하기 위하여 하단으로는 걸림편(61)이 형성되고 이의 상부로는 밑면이 막힌 「⊂」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리세트 스위치(63)를 형성하여 「⊂」자 형상으로 된 배면으로는 스프링(62)을 삽설하고, 전면으로는 리세트돌기(64)가 형성된 스위치부(60)를 리세트 가이드홈(65)이 형성된 스위치 캡(66)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스위치 캡(66)의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69)로 걸림편(61)이 돌출토록 결합하고 그후 스위치 캡(66)의 상단에 돌설된 고정익편(67)을 하부몸체(20)에 형성된 절개부(25)에 삽입하여 그 하단을 나사(68)로 고정하여 리세트스위치(63)가 스위치캡(66)의 내공간에서 스프링(62)의 탄력에 의하여 항시 하강되어 있다가 로보트 완구로 변신시 바퀴판(12)의 내단측(C)이 걸림편(6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바퀴판(12)에 고정된 앞 바퀴(11)를 뒷 바퀴(1)에 완전밀착토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 완구에서 로봇트완구로 변신되면서 직립될 경우에 안정적인 직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안내돌기(71)와 고정돌기(7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캡(70)을 양단에 로울러(73)가 고정된 날개(74)의 절개홈(75)에 안내돌기(71)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몸체(40)에 형성된 안내홈(71a)과 고정홈(72a)에 고정시킴으로서 차량의 직립시 날개(74)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작동되면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안정적인 각도는 안내돌기(71)와 고정돌기(72)의 간격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로봇트에서 자동차로 변신하기 위하여는 스위치 캡(66)의 상면 가이드홈(65)으로 돌출된 리세트 돌기(64)를 상부로 올려주면 바퀴판(12)의 내단측이 걸림편(61)에서 빠지게 되므로 바퀴판(12)의 지지대(13)를 들어올리면서 바퀴판(12)의 소공(16)에 작동돌기(31)가 삽입되도록 결합시키면 다시 자동차 완구로 변신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통상의 무선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리모콘으로 원격 조정하면 신호에 의하여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뒷바퀴(1)가 회전하여 일방또는 좌우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진행하다가 장애물에 자동차완구의 범퍼역활을 하는 작동판(55,55a)이 부딪치면 작동판(55)에 형성된 홈(54)의 내공간으로 인하여 작동판(55,55a)이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고 작동판(55,55a)이 후퇴하면 작동판(55)의 후단에 형성된 협지돌기(51)가 후퇴하면서 협지돌기(51)가 잡고 있던 격벽(56a)이 탈리되고 동시에 협지돌기 후단(A)이 작동돌기판(30)의 선단(B)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돌기판(30)을 후진시키면 바퀴판(12)의 소공(16)에 걸려 있던 작동돌기판(30)의 작동돌기(31)가 빠지게 되면서 바퀴판(12)과 지지대(13)가 늘어나 있는 스프링(15)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복원되면서 자동차가 직립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협지돌기(51)가 잡고 있던 격벽(56a)이 탈리되면서 머리체(41)을 가압하고 있던 팔(50,50a)이 머리체(41)를 가압하고 있던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하여 머리체(41)가 상승되면서 팔(50,50a)이 좌우로 벌려지게 되고 이때 캡(44)의 상부로 볼록한 부분이 팔(50,50a)을 지지토록 되어 팔(50,50a)이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퀴판(12)의 소공(16)에 결합되어 있던 작동돌기(31)가 소공(16)에서 빠지게되어 앞바퀴(11)를 고정한 바퀴판(12)에 형성된 지지대(13)가 스프링(15)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선회하면서 자동차는 뒷바퀴(10)가 전진하려는 구동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직립되면서 앞바퀴(11)가 뒷바퀴(1)와 접촉되면서 로봇트완구로 변신되는 것이다.
이때 앞바퀴(11)가 선회하여 뒷 바퀴(1)에 접촉지지될 때 즉,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여 직립될려고 하는 상태에서는 관성력에 의하여 로봇트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완구의 후방에 장착된 날개(74)가 도11에 도시한 형태로 일정 각도 이내로 유동되면서 관성력을 완화시켜 완화시켜 자동차가 직립될 경우에 뒤집어 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후 앞바퀴(11)가 뒷바퀴(1)와 맞물릴 경우에 뒷바퀴(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앞바퀴(11)는 앞바퀴(11)의 원심력에 의하여 뒷바퀴(1)와 떨어지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판(12)의 내단측(C)이 리세트 스위치(6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61)에 걸리게 되므로 앞바퀴(11)와 뒷바퀴(1)가 완전 고정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그 구동을 완벽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므로 리모콘으로 조작하면 로보트로 변신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뒷바퀴(1)는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앞바퀴(11)는 주행을 위한 주행바퀴로 전환되는 것이고 뒷바퀴(1)의 구동력을 강하게 전달토록 하기 위하여 앞바퀴(11)는 다양한 요철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로보트로 변신한 상태에서 자동차로 변신하기 위하여는 리세트 돌기(64)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걸림편(61)에 걸린진 앞바퀴(11)를 지지하고 있는 바퀴판(12)를 이탈시켜 바퀴판(12)을 반대편으로 회전시킨 후 작동돌기판(30)의 작동돌기(31)와 결합시키면 본래의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의 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는 자동차 완구가 장애물에 부딪히면 자동적으로 로보트 완구로 변신을 하게되고 로보트 완구로 변신한 상태에서도 연속적인 주행이 가능하여 자동차 완구의 기능은 물론 로보트 완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충돌에 의하여 자동차에 로봇로 변신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자동차 완구의 전면이 장애물에 부딪치면 작동판(55)이 후퇴하여 작동판의 협지돌기(51)가 고정판(52a)의 격벽(56a)을 탈리시키면서 바퀴판(12)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대(13)의 호동돌기(14)가 하부 몸체(20)의 회동홀(22)에 회동가능토록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13)의 끝단에 장착된 스프링(15)이 고정돌기(24)에 고정설치되어 지지대(13)가 지지대(13)의 바퀴판(12)에 천공된 소공(16)에 걸려진 작동돌기(31)의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앞 바퀴(11)가 뒷 바퀴(1)에 밀착되면서 로봇트로 직립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로봇트로의 변신시 팔이 벌어질 경우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머리체를 가압하는 팔이 팔에 형성된 협지돌기가 격벽(56a)에 걸려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직립될 경우에 안정성의 확보를 위하여 안내돌기와 고정돌기가 안내홈과 고정홈에 날개의 절개홈에 기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날개판이 일정폭으로 벌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직립될 경우에 앞바퀴가 뒷바퀴의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5.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협지돌기의 작동을 위하여 협지돌기의 후단(A)을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작동돌기판이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앞바퀴가 뒷바퀴에 밀착될경우에 앞바퀴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리세트스위치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이 앞바퀴판의 내측단(C)을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7. 제2항에 있어서, 팔이벌어지도록 하는 머리체는 그 하단에 형성된 걸고리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스프링의 일단은 머리체와 연결되어 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캡이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홈의 사이에 형성된 고리에 장착되어 탄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KR1019980000528A 1998-01-12 1998-01-12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KR10042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528A KR100425921B1 (ko) 1998-01-12 1998-01-12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528A KR100425921B1 (ko) 1998-01-12 1998-01-12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295A KR19990065295A (ko) 1999-08-05
KR100425921B1 true KR100425921B1 (ko) 2004-06-12

Family

ID=3732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528A KR100425921B1 (ko) 1998-01-12 1998-01-12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92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4721A1 (en) * 2010-06-09 2011-12-14 Tomy Company, Ltd. Toy device
KR101375110B1 (ko) 2012-12-20 2014-03-17 최신규 변신 완구
CN104114248A (zh) * 2012-02-24 2014-10-22 崔信奎 变形汽车玩具及利用该玩具的游戏装置
WO2016076557A1 (ko) * 2014-11-12 2016-05-19 장원봉 완구용 변신자동차
KR20160056754A (ko) 2014-11-28 2016-05-20 장원봉 완구용 변신자동차
KR20160078073A (ko) 2014-12-24 2016-07-04 최종일 변신 완구
CN107771098A (zh) * 2015-06-12 2018-03-06 崔锺 变形玩具
US10035076B2 (en) 2016-09-21 2018-07-31 Mga Entertainment, Inc. Transformer toy with rolling vehicle integrated into command center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9-01-17 최종일 다단 분리 변신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72A (ko) * 2001-03-28 2002-10-11 김다영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01327306B1 (ko) * 2012-03-26 2013-11-11 최신규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400980B1 (ko) * 2013-04-03 2014-05-29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527316B1 (ko) * 2014-01-27 2015-06-09 최종일 완구용 자동차
KR101504876B1 (ko) * 2014-09-29 2015-03-20 최신규 완구용 자동차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1746917B1 (ko) 2015-05-11 2017-06-27 최종일 팝업 완구
US10421028B2 (en) 2015-05-12 2019-09-24 Choirock Contents Factory Co., Ltd. Transformable to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5487A (en) * 1985-01-16 1987-11-10 Nikko Co., Ltd. Movable toy automatically swingable between an up position and a down 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5487A (en) * 1985-01-16 1987-11-10 Nikko Co., Ltd. Movable toy automatically swingable between an up position and a down positio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4721A1 (en) * 2010-06-09 2011-12-14 Tomy Company, Ltd. Toy device
CN104114248B (zh) * 2012-02-24 2016-12-28 崔信奎 变形汽车玩具及利用该玩具的游戏装置
CN104114248A (zh) * 2012-02-24 2014-10-22 崔信奎 变形汽车玩具及利用该玩具的游戏装置
CN105920852B (zh) * 2012-02-24 2018-07-20 崔信奎 变形汽车玩具及利用该玩具的游戏装置
CN105920852A (zh) * 2012-02-24 2016-09-07 崔信奎 变形汽车玩具及利用该玩具的游戏装置
KR101375110B1 (ko) 2012-12-20 2014-03-17 최신규 변신 완구
WO2016076557A1 (ko) * 2014-11-12 2016-05-19 장원봉 완구용 변신자동차
KR20160056754A (ko) 2014-11-28 2016-05-20 장원봉 완구용 변신자동차
KR101653887B1 (ko) 2014-12-24 2016-09-02 최종일 변신 완구
KR20160078073A (ko) 2014-12-24 2016-07-04 최종일 변신 완구
CN107771098A (zh) * 2015-06-12 2018-03-06 崔锺 变形玩具
CN107771098B (zh) * 2015-06-12 2019-06-04 崔锺一 变形玩具
US10035076B2 (en) 2016-09-21 2018-07-31 Mga Entertainment, Inc. Transformer toy with rolling vehicle integrated into command center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9-01-17 최종일 다단 분리 변신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295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5921B1 (ko)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US4307533A (en) Insect simulating mobile toy having flappable wings
US6036572A (en) Drive for toy with suction cup feet
US5310379A (en) Multiple configuration toy vehicle
US5626506A (en) Toy vehicle having concealed extendable jaws
JPH08182869A (ja) 自動車玩具
CA2651004C (en) Motorized toy creature
CA2680552A1 (en) Toy with housing having movable components
US4575349A (en) Winged creature
US20100279583A1 (en) Track set with a tiltable surface for use with a toy vehicle
US6866290B2 (en) Apparatus of a collapsible handcart for turning a platform when operating a retractable handle
US6152801A (en) Toy car structure
CN205411046U (zh) 一种可折叠浴巾架
US4626224A (en) Slowly appearing, rapidly disappearing figure toy
JP2000093238A (ja) 収納装置
US9121410B2 (en) Oscillating fan with built-in pull-type control switch
US4601478A (en) Simulated flying figure with movable wings
US6083078A (en) Toy with moving body movable between two platforms
US6672937B1 (en) Miniature toy vehicle
JP3737961B2 (ja) 玩具対戦システム及び対戦玩具
US4547170A (en) Moveable toy
JPH0324238B2 (ko)
CN216259066U (zh) 一种玩具陀螺枪
JPS62243579A (ja) パラシユ−ト付走行玩具
CN216395255U (zh) 一种老虎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