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372A -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372A
KR20020076372A KR1020010016158A KR20010016158A KR20020076372A KR 20020076372 A KR20020076372 A KR 20020076372A KR 1020010016158 A KR1020010016158 A KR 1020010016158A KR 20010016158 A KR20010016158 A KR 20010016158A KR 20020076372 A KR20020076372 A KR 2002007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electric motor
safety device
toy
toy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영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다영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영, 김은영 filed Critical 김다영
Priority to KR102001001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372A/ko
Priority to JP2002001544U priority patent/JP3088775U/ja
Publication of KR2002007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3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42Automatic stopping or brak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용 자동차 놀이시 사용자(어린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추돌에 의한 정지 및 무부하상태에서는 전동 모우터의 구동을 자동 차단시켜 과부하로 인한 전동 모우터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모양으로 몸체부가 사출성형되고, 차체프레임 후방에 전동 모우터가 설치되되, 상기 전동 모우터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후방 바퀴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완구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 선단부 중앙 부위에 전동 모우터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작동 스위치('ON','OFF'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측단부가 차체프레임 하방으로 드러나지는 구동편을 갖는 마이크로(MICRO) 스위치가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 중 추돌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작동 스위치에 의해 전원공급이 자동 차단되고 무부하상태, 즉, 완구용 자동차가 지면(트랙)에 놓여지지 않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이거나 주행 중 추돌로 인한 전복상태에서는 전동 모우터 구동을 위한 구동 스위치의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전동 모우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동 모우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로 인한 과열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TOY AUTOMOBILE}
본 발명은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구용 자동차 놀이시 사용자(어린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추돌에 의한 정지 및 무부하상태에서는 전동 모우터의 구동을 자동 차단시켜 과부하로 인한 전동 모우터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용 자동차는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동 모우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모우터로부터 동력(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전·후방 바퀴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전동 모무터의 전원을 'ON', 'OFF'시키는 전원 스위치와 각종 조명이나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전자부품들이 사용된다.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완구용 자동차는 고도한 기술발달로 인해 기능과 성능이 최첨단화 되어 인공지능이 부가됨은 물론, 자동차 경주를 위해 고속회전 전동 모우터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고속회전 전동 모우터가 사용되는 완구용 자동차에서는 속도를 높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소유감과 호기심 및 경쟁심을 자극하여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 판매에 따른 이익추구에만 급급할 뿐 전동 모우터의 고출력 즉, 완구용 자동차의 고속도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고속회전 전동 모우터가 사용되는 완구용 자동차에서는 주행을 위한 별도의 주행트랙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고속 주행에 따른 완구용 자동차의 통제가 난해하므로 움직이는 완구용 자동차를 잡으려다 지나가는 실제 차량과의 인사사고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트랙에서 주행시 잦은 추돌이 발생하게 되어 쉽게 파손 및 훼손되거나 안전사고 특히, 어린이들의 신체(손가락) 접촉시 충격으로 인해 타박상 및 찰과상을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완구용 자동차가 트랙내에서 주행 중 추돌이나 전방이 가로막혀 멈추게 되는 경우, 또는 트랙에서 이탈시 전동 모우터에는 계속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동 모우터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전동 모우터가 쉽게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밧데리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완구용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완구용 자동차의 주행 중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작동 스위치에 의해 전원공급이 자동 차단되어 전동 모우터의 구동이 멈추게 되고, 무부하상태, 즉, 완구용 자동차가 지면(트랙)에 놓여지지 않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이거나 주행 중 추돌로 인한 전복상태 또는 트랙이탈시에는 전동 모우터 구동을 위한 구동 스위치의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전동 모우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완구용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소정의 모양으로 몸체부가 사출성형되고, 차체프레임 후방에 전동 모우터가 설치되되, 상기 전동 모우터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후방 바퀴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완구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 선단부 중앙 부위에 전동 모우터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측단부가 차체프레임 하방으로 드러나지는 구동편을 갖는 마이크로(MICRO) 스위치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 저면 중앙부위에는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며 후단부에 띠형태의 도체부를 갖는 유동체가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구동편 단부에는 보조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차체프레임은 중앙 일부위가 분할되어 보조 프레임이 형성되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고 힌지축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어 보조 프레임 회동시 전동 모우터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장착된 완구용 자동차를 나타내는 평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장착된 완구용 자동차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체프레임 20:몸체부
22:구동편 24:보조 바퀴
30:유동체 32:브라켓
34:가이드 레일 36:도체부
38, 38':접속단자 40:코일 스프링
42:보조 프레임 M1:전동 모우터
P:밧데리 SW1:작동 스위치
SW2:마이크로 스위치 SW3:전원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장착된 완구용 자동차를 나타내는 평면개략도로서, 차체프레임(10) 후방에 전동 모우터(M1)가 설치되되, 상기 전동 모우터(M1)에는 동력전달수단(각종 기어류를 말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기재되지 않음)에 의해 전·후방 바퀴(12, 14)가 연결된 완구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 선단부 중앙 부위에 전동 모우터(M1)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작동 스위치(SW1)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장착된 완구용 자동차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소정의 모양으로 사출성형된 몸체부(20)내에 전동 모우터(M1)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SW2)가 설치되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SW2)에는 일측단부가 차체프레임(10) 하방으로 드러나지는 구동편(22)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SW2)의 구동편(22) 단부에는 완구용 자동차 주행시 지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바퀴(24)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저면도로서, 완구용 자동차의 차체 프레임 저면 중앙부위에 고속 주행에 따른 추돌 발생시 전동 모우터(M1)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유동체(3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유동체(30)는 브라켓(32)에 의해 차체프레임(10) 저면에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며 후단부에 띠형태의 도체부(36)가 형성되어 밧데리(P)와 접지된 접속단자(38, 38')와 접점을 이루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로서, 소정의 모양으로 사출성형된 몸체부(20)와, 후방에 전동 모우터(M1)가 설치되되, 상기 전동 모우터(M1)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후방 바퀴(12, 14)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차체프레임(10)이 구비된 완구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중앙 일부위가 분할되어 보조 프레임(10')이 형성되되,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탄설되고 힌지축(42)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체 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SW3)가 설치되어 보조 프레임(10') 회동시 전동 모우터(M1)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모양으로 몸체부(20)가 사출성형되고, 차체프레임(10) 후방에 전동 모우터(M1)가 설치되되, 상기 전동 모우터(M1)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후방 바퀴(12, 14)가 연결·회전되는 완구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 선단부 중앙 부위에 전동 모우터(M1)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작동 스위치(SW1)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일측단부가 차체프레임(10) 하방으로 드러나지는 구동편(22)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위치(SW2)로 이루어진 안전장치가 구비된 완구용 자동차를 이용하여 놀이(자동차 경주)를 함에 있어, 주행중인 완구용 자동차가 전방 추돌상황이나 또는 주행을 멈추기 위해 손으로 자동차의 전방을 가로 막아 차단시키게 되면,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SW1)가 전방 물체 또는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면서 작동되어 전기적인 신호(통상적인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신호체계이므로 자세한 도면 표기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가 밧데리(P)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밧데리(P)로부터 전동 모우터(M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스위치(SW1) 작동에 의해 밧데리(P)로부터 전동 모우터(M1)에 공급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주행중인 완구용 자동차는 추돌발생시 바로 멈추게 되므로 추돌발생 이후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지 않아 전동 모우터(M1)에 부가되는 과부하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막아 완구용 자동차의 주행을 멈추게 함에 있어서도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SW1)가 손에 접촉되면, 추돌시와 마찬가지로 작동 스위치(SW1)가 작동되어 전동 모우터(M1)의 구동이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 특히, 어린이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접촉에 따른 안전사고(타박상 및 철과상)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구용 자동차의 몸체부(20)로부터 일측단부가 차체프레임(10) 하방으로 드러나지는 구동편(22)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위치(SW2)가 설치됨에 따라, 완구용 자동차의 무부하상태 즉, 상기 전·후방 바퀴(12, 14)가 지면(트랙)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SW2)에 의해 밧데리(P)로부터 전동 모우터(M1)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완구용 자동차의 전·후방 바퀴(12, 14)를 지면에 닿게 하면, 상기 구동편(22)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SW2)가 작동되어 밧데리(P)로부터 전동 모우터(M1)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마이크로스위치(SW2)의 구동편(22) 단부에는 보조 바퀴(24)가 결합되어지므로 완구용 자동차 주행시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구동편(22)의 마모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SW2) 작동에 의해 주행되는 완구용 자동차가 트랙에서 이탈하게 되면, 마이크로 스위치(SW2)의 구동편(22)이 다시 원위치로 하강되어 밧데리(P)로부터 전동 모우터(M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무부하상태에서의 전동 모우터(M1) 과열과 전·후방 바퀴(12, 14)의 공회전이 방지는 되어 고가(高價)의 전동 모우터(M1)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밧데리(P)와 전동 모우터(M1) 및 마이크로 스위치(SW1)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기적인 연결관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저면도로서, 완구용 자동차의 차체 프레임(10) 저면 중앙부위에 브라켓(32)으로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며 후단부에 띠형태의 도체부(36)를 갖는 유동체(30)가 설치됨에 따라, 완구용 자동차의 주행시 추돌이 발생되면, 상기 유동체(30)에 의해 밧데리(P)로부터 전동 모우터(M1)의 전원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으로서, 이는 주행중인 완구용 자동차가 추돌로 인해 갑자기 멈추게 되더라도 관성(慣性)에 의해 유동체(30)가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전진 이동되어 접속단자(38, 38')로부터 도체부(36)가 탈리(脫離)됨에 따라,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전동 모우터(M1)의 구동이 멈추게 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로서, 완구용 자동차의 차체프레임(10) 중앙 일부위가 분할되어 보조 프레임(10')이 형성되되,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탄설되고 힌지축(42)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 사이에 전원 스위치(SW3)가 설치됨에 따라, 완구용 자동차의 무부하상태 즉, 전·후방 바퀴(12, 14)가 지면(트랙)에 닿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전동 모우터(M1)와 후방 바퀴(14)가 설치된 보조 프레임(10')이 힌지축(42)을 기점으로 하방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동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SW3)가 'OFF'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전동 모우터(M1)의 과열 및 공회전이 방지되며, 주행을 위해 완구용 자동차의 전·후방 바퀴(12, 14)가 지면에 닿게 되면 보조 프레임(10')이 힌지축(42)을 기점으로 회동(완구용 자동차의 자체 하중에 의해 눌려져 회동되는 것임)되어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SW3)가 'ON'상태로 접점을 이루게 되므로 전동 모우터(M1)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10')은 코일 스프링(40)으로 차체프레임(10)에 탄설된 상태이므로 완구용 자동차의 무부하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40)이 갖는 탄발력에 의해 보조 프레임(10')이 힌지축(42)을 기점으로 하강되는 것이고, 주행상태 즉, 상기 전·후방 바퀴가(12, 14)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완구용 자동차의 자체 하중에 의해 코일 스프링(40)이 눌려져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에 의해 완구용 자동차의 주행 및 정지를 위한 전원공급을 안전하고도 간편하게 자동으로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추돌 및 무부하상태에서의 전동 모우터(M1) 과열 및 공회전을 방지하여 이에 따른 전동 모우터(M1)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완구용 자동차에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 중 추돌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작동 스위치에 의해 전원공급이 자동 차단되고 무부하상태, 즉, 완구용 자동차가 지면(트랙)에 놓여지지 않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이거나 주행 중 추돌로 인한 전복 및 트랙이탈상태에서는 전동 모우터 구동을 위한 구동 스위치의 접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전동 모우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동 모우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로 인한 과열 및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고가인 전동 모우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고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원(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중인 완구용 자동차를 손을 대어 멈추게 함에 있어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하하여 어린이들의 타박상 및 철과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놀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모양으로 몸체부(20)가 사출성형되고, 차체프레임(10) 후방에 전동 모우터(M1)가 설치되되, 상기 전동 모우터(M1)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후방 바퀴(12, 14)가 연결된 완구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 선단부 중앙 부위에 전동 모우터(M1)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SW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일측단부가 차체프레임(10) 하방으로 드러나지는 구동편(22)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위치(SW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 저면 중앙부위에는 브라켓(32)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며 후단부에 띠형태의 도체부(36)를 갖는 유동체(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SW2)의 구동편 단부에는 보조 바퀴(2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은 중앙 일부위가 분할되어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탄설되고 힌지축(42)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보조 프레임(10')이 설치되되, 상기 차체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SW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020010016158A 2001-03-28 2001-03-28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KR20020076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158A KR20020076372A (ko) 2001-03-28 2001-03-28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JP2002001544U JP3088775U (ja) 2001-03-28 2002-03-22 自動車玩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158A KR20020076372A (ko) 2001-03-28 2001-03-28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585U Division KR200233703Y1 (ko) 2001-03-28 2001-03-28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372A true KR20020076372A (ko) 2002-10-11

Family

ID=2769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58A KR20020076372A (ko) 2001-03-28 2001-03-28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8775U (ko)
KR (1) KR200200763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7103A (zh) * 2012-09-26 2014-03-26 樊书印 一种玩具汽车
WO2018000473A1 (zh) * 2016-06-28 2018-01-04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用于安装在玩具车上的车轮架及玩具车
WO2018034529A1 (ko) * 2016-08-18 2018-02-22 최종일 주행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5410A (zh) * 2018-12-25 2019-03-01 杭州金浪机电有限公司 一种防止碰撞损坏的玩具车防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93U (ko) * 1973-05-18 1975-01-16
US4911669A (en) * 1988-10-11 1990-03-27 The Quaker Oats Company Toy simulated exploding vehicle
KR19990065295A (ko) * 1998-01-12 1999-08-05 이용희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KR20000011858U (ko) * 1998-12-09 2000-07-05 정해경 완구자동차용 온/오프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93U (ko) * 1973-05-18 1975-01-16
US4911669A (en) * 1988-10-11 1990-03-27 The Quaker Oats Company Toy simulated exploding vehicle
KR19990065295A (ko) * 1998-01-12 1999-08-05 이용희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KR20000011858U (ko) * 1998-12-09 2000-07-05 정해경 완구자동차용 온/오프스위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7103A (zh) * 2012-09-26 2014-03-26 樊书印 一种玩具汽车
WO2018000473A1 (zh) * 2016-06-28 2018-01-04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用于安装在玩具车上的车轮架及玩具车
WO2018034529A1 (ko) * 2016-08-18 2018-02-22 최종일 주행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장치
CN109641157A (zh) * 2016-08-18 2019-04-16 崔锺 行驶玩具及利用该行驶玩具的游戏装置
EP3608004A4 (en) * 2016-08-18 2020-12-16 Choirock Contents Factory Co., Ltd. VEHICLE TOYS AND GAME DEVICE WITH USE THEREOF
CN109641157B (zh) * 2016-08-18 2020-12-25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行驶玩具及利用该行驶玩具的游戏装置
US11117064B2 (en) 2016-08-18 2021-09-14 Choirock Contents Factory Co., Ltd. Driving toy and playing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8775U (ja)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3703Y1 (ko)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EP1563582B1 (en) Rechargeable system for movable toy
GB1272180A (en) Miniature high speed electric toy racing vehicle with rechargeable battery
KR20020076372A (ko) 완구용 자동차의 안전장치
CN201037014Y (zh) 车轮锁定机构
CN201592658U (zh) 电动游戏车刹车机构
US3818632A (en) Toy cars
US3115724A (en) Toy vehicle starter and timer
CN105150877A (zh) 电动清扫车整车电气控制系统
US4125261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US20030117103A1 (en)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3492758A (en) Movable upstanding two-wheeled toy
ATE54054T1 (de) Spielfahrzeug fuer spielfahrbahnen.
GB2124094A (en) Toy vehicle
US3339923A (en) Racing gate for model cars
KR900008428Y1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 점멸장치
KR200286531Y1 (ko) 안전 삼각대
KR200348253Y1 (ko) 유모차 구동장치
CN220276286U (zh) 一种玩具车
JPS60124556A (ja) 自動車輛の車輪による以外の制動及び起動方法
JPH1099555A (ja) 列車玩具
JPH0542591Y2 (ko)
JPS6324956Y2 (ko)
KR200349244Y1 (ko) 차량용 표시등 장치
KR880002162Y1 (ko) 자동차의 급회전용 전조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