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887B1 - 변신 완구 - Google Patents

변신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887B1
KR101653887B1 KR1020140188755A KR20140188755A KR101653887B1 KR 101653887 B1 KR101653887 B1 KR 101653887B1 KR 1020140188755 A KR1020140188755 A KR 1020140188755A KR 20140188755 A KR20140188755 A KR 20140188755A KR 101653887 B1 KR101653887 B1 KR 10165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lope
cover
hing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073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최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일 filed Critical 최종일
Priority to KR1020140188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6Missile-launching means on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신 완구의 슬로프에 주행 물체를 주행시키면 변신완구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면서 주행 물체를 발사시키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 완구는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내부에 형성된 슬로프(108);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된 변신 구동장치; 상기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물체(10);로 구성되어 주행 물체(10)가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다 상기 변신 구동장치와 접촉하는 순간 변신 완구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변신 완구 {Transform toy}
본 발명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신 완구의 경사진 슬로프에 주행 물체를 주행시키면 변신완구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면서 동시에 주행 물체를 발사시키는 변신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변신 완구는 자동차 형상 또는 로봇 형상 등의 형태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한 가지의 완구로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완구 변신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변신 완구는 대부분 사용자인 어린이가 변신 완구의 구성품을 접거나, 펼치거나, 결합 또는 해체를 통해 다른 형태의 변신을 하도록 구성되어 불편하고, 변신과정이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가 변신을 시도하는 도중에 무리한 힘을 주어 변신 완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425921호,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403호, "변신 자동차 완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변신 완구 내부에 슬로프를 형성하고, 슬로프에 소정의 질량을 갖는 물체(이하 '주행 물체'라 함.)가 주행하여 통과하면 변신완구가 자동으로 형태를 변경하여 변신하면서, 주행 물체를 더욱 가속하여 발사시키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 완구는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내부에 형성된 슬로프(108);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된 변신 구동장치; 상기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물체(10);로 구성되어 주행 물체(10)가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다 상기 변신 구동장치와 접촉하는 순간 변신 완구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에는 헤드프레임(130)이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변신 구동장치는 상기 헤드프레임(130)의 회전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물체(10)가 상기 변신 구동장치와 접촉하는 순간 변신 구동장치의 헤드프레임(130) 구속이 해제되어 헤드프레임(130)이 회전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 구동장치는 상기 헤드프레임(130)에 토션힌지 체결된 임팩트바(110); 상기 임팩트바(110)의 일 측으로 돌출된 런처바(113);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에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임팩트바(110)와 접하도록 돌출된 스토퍼(124)를 구비한 락킹바(12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락킹바(120)의 스토퍼(124)가 임팩트바(110)의 런처바(113)와 접하여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으로 하는 헤드프레임(13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런처바(113)는 곡선 형태로 성형되어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충돌시 상기 임팩트바(110)가 스토퍼(124)를 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팩트바(110)의 하단에는 임팩트바 롤러(1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로프(108)의 일 측 단부에는 발사대커버(102)가 베이스프레임(101)에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락킹바(120)의 일 측이 상기 발사대커버(102)까지 연장되며, 상기 락킹바(120)의 일 측단부에 형성된 발사대커버 잠금장치(122)가 발사대커버(102) 내면에 체결되어 발사대커버 힌지(103)를 중심으로하는 발사대커버(102)의 회전을 구속하고, 슬로프(108)를 주행하는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락킹바(120)의 발사대커버 잠금장치(122)의 발사대커버(102) 구속을 해제하여 발사대커버(102)가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바(120)에는 앞다리 잠금장치(123)가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01)에 앞다리(140)가 토션힌지 체결되며, 상기 앞다리(140)의 일 측에 걸쇠 형태로 돌출된 앞다리 걸쇠(142)가 상기 락킹바(120)의 앞다리 잠금장치(123)에 걸려 앞다리(140)의 회전을 구속하다가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락킹바(120)의 앞다리 잠금장치(123)의 앞다리(140) 구속을 해제하여 앞다리(14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프레임(130)에는 날개(160)가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날개(160)는 베이스프레임(101) 측면에 형성된 날개 걸림구(166)에 구속되어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상향 돌출하는 헤드프레임(130)과 연동하여 날개(160)가 상향 돌출하면서 날개 걸림구(166)의 구속이 해제되어 날개(16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에는 뒷다리(150)가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뒷다리(150)에 외측으로 돌출된 뒷다리 걸림구(152)가 형성되며, 접힌 날개(160)가 상기 걸림구(152)에 접함으로써 뒷다리(150)의 회전을 구속하다가,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헤드프레임(130)의 돌출 회전과 연동하여 날개(160)가 돌출 회면하면서 뒷다리(150)의 구속을 해제하여 뒷다리(15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에는 슬로프(108) 상부를 덮는 슬로프커버(104)가 힌지 체결되되, 상기 슬로프커버(104)를 열면 슬로프커버(104)의 단부가 슬로프(108)에 연결되어 슬로프(108)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프레임 힌지(131)에 발사패널(133)이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발사패널(133)의 회전은 변신 구동장치에 구속되며,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발사패널(133)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면서 회전하여 주행 물체(10)를 가격하여 가속시켜 슬로프(108)를 따라 발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는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슬로프에 주행 물체를 주행시키면, 변신 완구가 자동으로 형태를 변경하여 변신하므로, 어린이들이 일일이 손으로 변신시킬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한 번에 변신이 이루어지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변신 완구 내부에 형성된 슬로프를 주행하는 주행 물체는 변신완구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주행 물체를 더욱 가속시켜 발사하므로 다양한 재미와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변신 완구의 슬로프 커버를 열어 주행 물체를 주행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슬로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물체가 임팩트바에 부딪히며 변신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가 변신을 시작하며 헤드프레임이 올라오고, 발사대 커버가 열리면서 슬로프를 주행한 주행 물체가 발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가 변신을 시작하며 앞다리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의 날개가 접힌 내부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의 날개가 접힌 외부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의 날개가 뒷다리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가 변신하여 날개 및 뒷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가 변신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100)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신 전의 형태가 차량 형태를 갖는다. 도 1에서 차량의 보닛 부분을 '전방'이라 하고, 차량의 뒷부분을 '후방'이라 한다.
그리고 회전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축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힌지를 '토션힌지'라고 명한다.
변신하기 전의 변신 완구(100)는 도 1과 같이 차량 형태이고(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형태로 설명하지만 차량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 베이스 프레임(101)의 전방에 발사대커버(102)가 발사대커버 힌지(103)로 힌지체결되고, 변신 완구(100)의 상부에는 슬로프커버(104)가 도 3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01)에 슬러프커버 힌지(105)로 힌지체결되며, 변신 완구(100)의 후방에는 백커버(106)가 슬로프 커버(104)의 후방에 백커버 힌지(107)로 힌지체결된다.
그리고 변신 완구(100)의 양 측면에는 날개(160)가 접혀 베이스 프레임(101)에 밀착되고, 변신 완구(100)의 앞바퀴와 뒷바퀴에는 각각 앞다리(140)와 뒷다리(150)가 베이스 프레임(101)에 밀착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변신 완구(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신 완구(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슬로프(108)가 형성되고, 변신 완구(100)가 변신하기 전에는 상기 슬로프커버(104)와 백커버(107)에 의해 변신 완구(100) 내부의 슬로프(108)가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100)가 변신하기 전 상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프레임(130)이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1) 상부에 힌지체결되고, 상기 헤드프레임(130)에는 임팩트바(110) 상단이 임팩트바 힌지(111)를 통해 헤드프레임(130)에 힌지체결된다.
상기 임팩트바(110)는 슬로프(108) 경로 중간에서 하향 연장되고, 중간 부분에서 런처바(113)가 변신완구(10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락킹바(120)의 스토퍼(124)와 접한다.
상기 임팩트바(110)와 락킹바(120)는 본 발명의 변신 완구(100)가 변신하도록 하는 변신 구동장치에 해당한다.
상술한 발사대커버 힌지(103), 헤드프레임 힌지(130), 임팩트바 힌지(111)는 모두 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된 토션힌지이다. 그리고 이후에 설명하는 락킹바 힌지(121), 발사패널 힌지(134), 앞다리 힌지(141), 뒷다리 힌지(151), 암힌지(162), 날개힌지(163) 및 보조날개 힌지(165)도 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된 토션힌지이다.
그리고 변신 완구(100)의 내부 양 측에는 도 3과 같이 락킹바(120)의 일 측단부가 락킹바 힌지(121)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1)에 힌지체결된다. 상기 락킹바(120)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락킹바 힌지(1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한다.
상기 락킹바(120)의 타 측단부는 변신 완구(100)의 발사대 커버(102)까지 연장되어 락킹바(120)의 타 측단부에 형성된 걸쇠형태의 발사대 잠금장치(122)가 발사대 커버(10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발사대커버(102)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토션스프링에 의해 발사대커버(102)는 발사대커버 힌지(10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려고 하는데 상기 릭킹바(120)의 발사대커버 잠금장치(122)가 발사대커버(102)가 열리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각 락킹바(1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앞다리 잠금장치(123)는 변신 완구(100)의 양 측에 접힌 앞다리(140) 걸쇠에 걸려 앞다리(140)가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고 있는 상태이고, 락킹바(120)의 중간 부분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24)는 임팩트바(110)의 런처바(113)에 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3에서 상기 임팩트바(110)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임팩트바 힌지(1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고 있는데, 락킹바(120)의 스토퍼(124)와 임팩트바(110)의 런처바(113)가 서로 접하면서 임팩트바(110)가 임팩트바 힌지(111)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힘과, 스토퍼(124)가 락킹바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도 3과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신 완구(100)를 변신시키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슬로프커버(104)를 열어 변신 완구(100)의 내부에 형성된 슬로프(108)를 개방한다. 슬로프커버(104)를 열면 도 4와 같이 슬로프커버(104)의 단부가 슬로프(108)의 단부와 접하면서 슬로프(108)의 길이가 연장된다.
그리고 경사진 슬로프(108)에 주행 물체(10)를 올려 놓으면 주행 물체(10)가 경사진 슬로프(108)를 따라 변신 완구(100) 내부를 주행한다. 상기 슬로프(108)의 양 측에는 슬로프가드(109)를 형성함으로써 주행 물체(10)가 슬로프(108)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행 물체(10)를 자동차 형태로 설명하지만, 자동차 형태 뿐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경사진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던 주행 물체(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신 완구(100) 내부의 임팩트바(110)와 충돌하고, 임팩트(110)는 임팩트바 힌지(111)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임팩트바(110)가 회전하면서 임팩트바(110)의 일측에 형성된 런처바(113)가 락킹바(120)의 스토퍼(124)를 밀고, 락킹바(120)는 락킹바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124)가 락킹바힌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곡선 형태로 성형된 임팩트바(110)의 런처바(113)가 스토퍼(124)를 타고 넘어가면서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리려고 하는 헤드프레임(130)의 구속이 해제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헤드프레임(130)에 힌지 체결된 임팩트바(110)의 런처바(113)는 베이스프레임(101)에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걸려 있는 상태로 헤드프레임(13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주행물체(10)의 임팩트바(110) 충돌로 임팩트바(110)가 회전하면서 런처바(113)가 연동회전하면서 돌기(미도시)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구속이 해제된다.
헤드프레임(130)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헤드프레임(130)은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6과 같이 헤드가 상향 돌출된다.
그리고 락킹바(120)가 락킹바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락킹바(120) 단부의 발사대커버 잠금장치(122)가 발사대커버(102)의 구속을 해제하고, 발사대커버(102)는 발사대커버 힌지(10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 6과 같이 발사대커버(102)가 열린다.
도 7와 같이 앞다리(140)의 일 측에 돌출형성된 앞다리 걸쇠(142)가 도 2의 락킹바(120) 중간부에 형성된 앞다리 잠금장치(123)에 걸려서 앞다리(104)가 변신 완구(100)의 양 측에 밀착 고정된 상태였는데, 주행 물체(10)가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다가 임팩트바(110)를 밀면서 락킹바(120)가 락킹바 힌지(12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락킹바(120)의 앞다리 잠금장치(123)가 앞다리(140)의 앞다리 걸쇠(142)에서 빠지면서 도 7과 같이 앞다리(140)가 앞다리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펼쳐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신 완구(10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변신하면 앞다리(140)와 마찬가지로 뒷다리(150)도 벌어지고, 이와 동시에 날개(160)가 펼쳐진다.
날개(160)와 뒷다리(150)가 펼쳐지는 변신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8과 같이 날개(160)를 지지하는 날개암(161)의 일 측 단부는 헤드프레임(130)에 암힌지(162)로 힌지체결되고, 상기 날개암(161)의 타 측 단부는 날개(160)와 날개힌지(163)로 힌지체결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평면 형태의 날개(160)는 분할되어 보조날개(164)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날개(164)는 보조날개 힌지(165)를 통해 날개(160)에 힌지체결되어 변신 완구(100)의 양 측에 접혀 밀착된다.
상기 암힌지(162), 날개힌지(163) 및 보조날개 힌지(165)는 모두 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펼쳐지려고 하는 회전력을 받고 있는데, 도 8 및 도 9와 같이 접힌 날개(160)가 변신 완구(100)의 베이스 프레임(101) 양 측에 돌출된 날개걸림구(166)에 걸려 펼쳐지지 않고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그런데, 경사진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던 주행 물체(10)가 임팩트바(110)와 충돌하여 임팩트바(110)의 런처바(113)가 락킹바(120)의 스토퍼(124)를 타고 넘어가면서 헤드프레임(130)의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으로 한 회전력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 6과 같이 헤드프레임(130)이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다.
이때, 도 8과 같이 헤드프레임(130)에 힌지체결된 날개암(161)이 헤드프레임(130)을 따라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을 회전하고, 상기 날개암(161)에 날개힌지(163)로 힌지체결된 날개(160)도 헤드프레임(130)을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날개(160)가 날개걸림구(166)에서 빠지면서 도 11과 같이 날개(160)가 펼쳐진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뒷다리(150)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뒷다리 힌지(151)로 힌지체결되어 토션스프링에 의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펼쳐지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160)가 펼쳐지기 전에는 도 10과 같이 날개(160)가 접힌 뒷다리(150) 상부에 위치하면서 뒷다리(150) 상면에 돌출된 뒷다리 걸림구(152)에 걸려 뒷다리(150)가 펼쳐지는 것을 구속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프레임(130)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뒷다리(150)를 구속하던 날개(160)가 연동하여 상부로 돌출하며 펴지게 되고, 날개(160)의 구속이 해제된 뒷다리(150)는 뒷다리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펼쳐진다.
본 발명의 변신 완구(100)은 내부의 경사진 슬로프(108)를 따라 소정의 질량을 가진 주행 물체(10)가 주행하다가 임팩트바(110)에 충돌하면서 변신이 시작되는데, 주행 물체(10)가 임팩트바(110)와 충돌하면서 주행 물체(10)의 속도가 감소한다.
도 3과 같이 임팩트바(110)의 하단에 임팩트바 롤러(112)를 설치함으로써 주행 물체(10)가 임팩트바(110)와 충돌할 때 임팩트바 롤러(112)에 접하는 순간 임팩트바 롤러(112)가 주행 물체(10)의 외면을 따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주행 물체(10)와 충돌하는 임팩트바(110) 하단에 임팩트바 롤러(112)를 설치하더라도 주행 물체(10)가 임팩트바(110)와 충돌하는 순간 주행 물체(10)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여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발사패널(133)을 헤드프레임 힌지(1310에 힌지체결한다. 상기 발사패널(133)의 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력을 갖고, 발사패널(133)의 회전을 임팩트바(110)가 구속하도록 한다.
주행 물체(10)가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면서 임팩트바(110)와 충돌하여 임팩트바(110)가 회전할 때 임팩트바(110)의 발사패널(133) 구속이 해제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패널(133)이 헤드프레임 힌지(131)를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빠르게 회전하면서 주행 물체(10)의 뒷부분을 가격하여 주행 물체(10)를 가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발사패널(133)에 의해 가속된 주행 물체(10)는 변신 완구(100)의 전방으로 빠르게 발사된다.
상기 임팩트바(110)의 발사패널(133)의 회전 구속은 공지된 여러 락킹수단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변신 완구(100)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슬로프(108)로 주행 물체(10)를 주행시키면, 주행 물체(10)가 변신 완구(100) 내부의 임팩트바(110)와 충돌하면서 헤드프레임(130)이 상부로 돌출되고, 이와 동시에 날개(160)가 펼쳐지며, 앞다리(140)와 뒷다리(150)가 동시에 펼쳐져서 자동차 모양이었던 완구가 로봇형태로 변신한다.
이와 동시에 변신한 로봇 전방으로 발사대커버(102)가 열리면서 주행 물체(10)가 빠른 속도로 발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 완구는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슬로프에 주행 물체를 주행시키면 변신 완구가 자동으로 형태를 변경하여 변신하므로, 어린이들이 일일이 손으로 변신시킬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한번에 변신이 이루어지므로 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변신 완구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슬로프를 주행하는 주행 물체는 변신완구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주행 물체(10)를 더욱 가속시켜 발사하므로 다양한 재미와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사진 슬로프(108)를 주행 물체(10)가 중력에 의해 주행하며 변신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주행 물체(10)에 자가 동력에 의한 주행 수단을 구비하여 수평의 슬로프(108)를 주행하며 변신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 완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행 물체 100 : 변신완구
101 : 베이스 프레임 102 : 발사대커버
103 : 발사대커버 힌지 104 : 슬로프커버
105 : 슬로프커버 힌지 106 : 백커버
107 : 백커버 힌지 108 : 슬로프
109 : 슬로프가드 110 : 임팩트바
111 : 임팩트바 힌지 112 : 임팩트바 롤러
113 : 런처바 120 : 락킹바
121 : 락킹바 힌지 122 : 발사대커버 잠금장치
123 : 앞다리 잠금장치 124 : 스토퍼
130 : 헤드프레임 131 : 헤드프레임 힌지
132 : 헤드 133 : 발사패널
134 : 발새패널 힌지 140 : 앞다리
141 : 앞다리 힌지 142 : 앞다리 걸쇠
150 : 뒷다리 151 : 뒷다리 힌지
152 : 뒷다리 걸림구 160 : 날개
161 : 날개암 162 : 암힌지
163 : 날개힌지 164 : 보조날개
165 : 보조날개 힌지 166 : 날개 걸림구

Claims (11)

  1. 베이스 프레임(101);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 내부에 형성된 슬로프(108);
    상기 베이스 프레임(101)에 힌지 체결된 헤드프레임(130);
    상기 헤드프레임(130)에 힌지 체결된 임팩트바(110)와, 상기 임팩트바(110)의 일 측으로 돌출된 런처바(113)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에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임팩트바(110)와 접하도록 돌출된 스토퍼(124)를 구비한 락킹바(120)로 구성된 변신 구동장치;
    상기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물체(10);로 구성되어 주행 물체(10)가 슬로프(108)를 따라 주행하다 상기 변신 구동장치와 접촉하는 순간 변신 완구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처바(113)는 곡선 형태로 성형되어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충돌시 상기 임팩트바(110)가 스토퍼(124)를 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바(110)의 하단에는 임팩트바 롤러(1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프(108)의 일 측 단부에는 발사대커버(102)가 베이스프레임(101)에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락킹바(120)의 일 측이 상기 발사대커버(102)까지 연장되며,
    상기 락킹바(120)의 일 측단부에 형성된 발사대커버 잠금장치(122)가 발사대커버(102) 내면에 체결되어 발사대커버 힌지(103)를 중심으로하는 발사대커버(102)의 회전을 구속하고,
    슬로프(108)를 주행하는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락킹바(120)의 발사대커버 잠금장치(122)의 발사대커버(102) 구속을 해제하여 발사대커버(102)가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120)에는 앞다리 잠금장치(123)가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01)에 앞다리(140)가 토션힌지 체결되며,
    상기 앞다리(140)의 일 측에 걸쇠 형태로 돌출된 앞다리 걸쇠(142)가 상기 락킹바(120)의 앞다리 잠금장치(123)에 걸려 앞다리(140)의 회전을 구속하다가,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락킹바(120)의 앞다리 잠금장치(123)의 앞다리(140) 구속을 해제하여 앞다리(14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130)에는 날개(160)가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날개(160)는 베이스프레임(101) 측면에 형성된 날개 걸림구(166)에 구속되어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행 물체(10)의 변신 구동장치 접촉시 상향 돌출하는 헤드프레임(130)과 연동하여 날개(160)가 상향 돌출하면서 날개 걸림구(166)의 구속이 해제되어 날개(16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에는 뒷다리(150)가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뒷다리(150)에 외측으로 돌출된 뒷다리 걸림구(152)가 형성되며,
    접힌 날개(160)가 상기 걸림구(152)에 접함으로써 뒷다리(150)의 회전을 구속하다가, 주행 물체(10)의 임팩트바(110) 접촉시 헤드프레임(130)의 돌출 회전과 연동하여 날개(160)가 돌출 회면하면서 뒷다리(150)의 구속을 해제하여 뒷다리(15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에는 슬로프(108) 상부를 덮는 슬로프커버(104)가 힌지 체결되되, 상기 슬로프커버(104)를 열면 슬로프커버(104)의 단부가 슬로프(108)에 연결되어 슬로프(108)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11. 제1항에 있어서,
    헤드프레임 힌지(131)에 발사패널(133)이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발사패널(133)의 회전은 변신 구동장치에 구속되며,
    주행 물체(10)의 변신 구동장치 접촉시 발사패널(133)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면서 회전하여 주행 물체(10)를 가격하여 가속시켜 슬로프(108)를 따라 발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KR1020140188755A 2014-12-24 2014-12-24 변신 완구 KR10165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55A KR101653887B1 (ko) 2014-12-24 2014-12-24 변신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55A KR101653887B1 (ko) 2014-12-24 2014-12-24 변신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073A KR20160078073A (ko) 2016-07-04
KR101653887B1 true KR101653887B1 (ko) 2016-09-02

Family

ID=5650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755A KR101653887B1 (ko) 2014-12-24 2014-12-24 변신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148B1 (ko) 2016-05-13 2017-09-19 최종일 변신완구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9-01-17 최종일 다단 분리 변신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63B1 (ko) * 2016-01-13 2018-01-08 최종일 발사장치를 구비한 다단 변신 완구
KR102632550B1 (ko) * 2021-01-27 2024-02-02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변신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748A (en) 1978-09-29 1980-02-19 Mattel, Inc. Toy vehicle and housing set
JP2004154398A (ja) * 2002-11-07 2004-06-03 Takara Co Ltd 走行玩具
KR100425921B1 (ko) 1998-01-12 2004-06-12 이용희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JP2012011029A (ja) * 2010-07-01 2012-01-19 Bandai Co Ltd 模型玩具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03B1 (ko) 2012-05-31 2013-10-23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748A (en) 1978-09-29 1980-02-19 Mattel, Inc. Toy vehicle and housing set
KR100425921B1 (ko) 1998-01-12 2004-06-12 이용희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JP2004154398A (ja) * 2002-11-07 2004-06-03 Takara Co Ltd 走行玩具
JP2012011029A (ja) * 2010-07-01 2012-01-19 Bandai Co Ltd 模型玩具収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148B1 (ko) 2016-05-13 2017-09-19 최종일 변신완구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9-01-17 최종일 다단 분리 변신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073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887B1 (ko) 변신 완구
CN108463276B (zh) 配备发射装置的变形玩具
TWI554319B (zh) Gyro toys
US8747180B2 (en)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US8801492B2 (en)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US8256721B2 (en)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JP6021502B2 (ja) 走行玩具
US8944339B2 (en) Toy vehicle track set
US8382553B2 (en)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WO2021036710A1 (zh) 玩具的运动触发组件及延时触发玩具
US9707489B2 (en) Playset with a pivotal track
US9573071B2 (en) Toy racetrack having collapsible loop portion
RU2707946C1 (ru) Игру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второго зажатия монеты
WO2020187087A1 (zh) 玩具组合
BR102012009948A2 (pt) Conjunto de brinquedo
CN207822512U (zh) 可二次翻转变形的玩具车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CN110652735B (zh) 一种抛投系统及玩具
CA2788207A1 (en) Reconfigurable toy vehicle
WO2020187088A1 (zh) 运载玩具车
CN210874087U (zh) 运动触发的玩具车
CN109985396B (zh) 可多次空翻玩具及可二次空翻的玩具车
CN213159379U (zh) 跳跃发射的玩具车和具有其的玩具组合
JPS6010624Y2 (ja) 折畳み展開自在な走行玩具
WO2020187089A1 (zh) 可分裂组合的玩具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