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916B1 - 다단 분리 변신 완구 - Google Patents

다단 분리 변신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916B1
KR101939916B1 KR1020170102425A KR20170102425A KR101939916B1 KR 101939916 B1 KR101939916 B1 KR 101939916B1 KR 1020170102425 A KR1020170102425 A KR 1020170102425A KR 20170102425 A KR20170102425 A KR 20170102425A KR 101939916 B1 KR101939916 B1 KR 10193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ation
unit
frame
head fram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최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일 filed Critical 최종일
Priority to KR102017010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6Missile-launching means on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신 완구의 경사진 슬로프를 따라 주행물체를 주행시키는 과정에서 주행물체가 분리되면서 변신하고, 변신 완구를 통과한 주행물체도 변신함으로써, 어린이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분리 변신 완구 {Multi-transformable toy}
본 발명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신 완구의 경사진 슬로프를 따라 주행물체를 주행시키는 과정에서 주행물체가 분리되면서 변신하고, 변신 완구를 통과한 주행물체도 변신함으로써, 어린이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변신 완구는 자동차 또는 로봇 형상 등의 형태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 완구로서, 이는 하나의 완구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신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완구 변신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변신 완구는 대부분 사용자인 어린이가 변신 완구의 구성품을 접거나, 펼치거나, 결합 또는 해체를 통해 다른 형태로 변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변신과정이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가 변신을 시도하는 도중에 변신 완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변신 완구는 변신 형태가 한 가지뿐이라서 조금만 가지고 놀아도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425921호, "장애물에 부딪히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4767호, "발사장치를 구비한 다단 변신 완구"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53887호, "변신 완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린이가 직접 완구를 변신시키지 않고 완구에 별도의 주행물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구가 자동으로 변신이 이루어지는 변신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그리고 변신 완구가 한 가지 형태로만 변신하지 않고 분리되면서 서로 다른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한, 주행물체가 변신 완구를 통과한 후에는 주행물체도 다른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변신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리 변신 완구는 내부에 경사진 슬로프(203)가 형성된 발사부(200); 상기 발사부(200)와 체결되는 변신부(100); 상기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 고정하는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 상기 변신부(100) 내부에 형성된 변신 구동부; 및 상기 경사진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로 구성되어, 주행물체(300)가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다가 변신 구동부와 접촉하여 발사부(200)로부터 변신부(100)를 발사, 분리하고 분리된 변신부(100)가 다른 형태로 형태를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변신부(100)는 발사부(200)로부터 발사, 분리된 후 다른 형태로 형태를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부(100)가 발사된 후 발사부(200)는 다른 형태로 형태를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물체(300)는 변신유도 아이템(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주행물체(300)가 슬로프(203)를 주행한 후 변신유도 아이템(310)에 접했을 때 주행물체(300)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에 헤드프레임(130)이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변신 구동부가 헤드프레임(130)의 전개를 구속한 상태에서 주행물체(300)가 변신구동부를 구동시켰을 때 헤드프레임(130)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에 다리(150)가 토션힌지 체결되고, 상기 변신 구동부가 다리(150)의 전개를 구속한 상태에서 주행물체(300)가 변신구동부를 구동시켰을 때 다리(150)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 구동부는 변신부 프레임(101)에 힌지 체결되어 슬로프(203)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와 충돌하여 축(10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런처(102); 변신부 프레임(101)에 축(105)으로 힌지 체결되어 일 측은 상기 런처(102)와 접하고, 타측은 헤드프레임(130)의 돌기(132)에 걸리는 걸쇠(115)가 형성된 헤드프레임 락커(104);로 구성됨으써, 주행물체(300)가 상기 런처(102)와 충돌하는 순간 런처(102)가 헤드프레임 락커(104)를 회전시켜 걸쇠(115)와 헤드프레임(130)의 돌기(132) 결합을 해제하여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프레임(130)의 일 측에는 헤드(160)가 힌지 체결되고, 헤드프레임(130) 내부에서 헤드링크(133)의 일 측은 상기 헤드(160)와 힌지 체결되고, 타 측은 변신부 프레임(101)과 힌지체결됨으로써,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될 때 헤드(160)가 헤드프레임(130)과 연동하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 구동부는 변신부 프레임(101)에 힌지 체결되어 슬로프(203)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와 충돌하여 축(10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런처(102); 변신부 프레임(101) 양측에 축(107)으로 힌지 체결되어 일 측은 상기 런처(102)와 접하고, 타측은 다리(150)의 홈(151)에 삽입되는 걸쇠(108)가 형성된 다리잠금장치(106)로 구성됨으로써, 주행물체(300)가 상기 런처(102)와 충돌하는 순간 런처(102)가 다리잠금장치(106)를 회전시켜 걸쇠(108)가 다리(150)의 홈(151)으로부터 빠지면서 다리(150)가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에는 팔조인트 축(141)이 힌지 체결되고, 상기 팔조인트 축(141)의 단부에는 팔조인트(142)가 토션힌지 체결되며, 상기 팔조인트(142)에는 돌기(143)가 돌출된 팔(140)이 토션힌지 체결됨으로써, 상기 다리(150)가 상기 팔(140)의 돌기(143)를 가압하여 팔(140) 전개를 구속하다가, 다리(150)가 전개되면서 구속이 해제되어 팔(140)이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프레임(130)에는 앞날개(170)가 토션 힌지체결되고, 상기 앞날개(170)의 걸쇠(173)는 변신부 프레임(101)의 홈(117)에 걸려 앞날개(170)의 전개가 구속되다가,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면서 앞날개(170)의 걸쇠(173)가 변신부 프레임(101)의 홈(117)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앞날개(170)가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는 변신부 프레임(101)에 토션 힌지 체결되어 변신 구동부의 잠금 해제에 의해 전개되는 헤드프레임(130); 상기 헤드프레임(130) 양측에 돌출된 가압돌기(136);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 양측에 토션 힌지 체결되어 일측은 경사면(112)이 형성되고, 타측은 걸쇠(113)가 형성된 변신부 잠금장치(110); 및 발사부 프레임(201)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02);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면서 가압돌기(136)가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경사면(112)을 가압하여 변신부 잠금장치(110)를 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걸쇠(113)가 발사부 프레임(201)의 걸림돌기(202)로부터 빠지면서 변신부(100)와 발사부(200) 체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의 후방에는 체결판(109)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발사부 프레임(201)의 내부에는 스프링(208)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밀대(209)가 형성됨으로써,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하면 상기 체결판(109)이 밀대(209)와 밀착되며 스프링(208)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의 구속이 해제되면 스프링(20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밀대(209)가 체결판(109)을 밀어 발사부(200)로부터 변신부(100)가 분리, 발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사부 프레임(201) 양측에 돌기(222)가 돌출된 뒷날개(220)가 토션 힌지체결되고, 양측에 막음구(212)가 형성된 뒷날개 잠금장치(210)가 발사부 프레임(201)에 축(211)으로 토션 힌지체결되며, 상기 축(211)에는 체결판(109)의 홈(114)에 삽입되는 걸쇠(214)가 형성됨으로써, 변신부(100)가 발사부(200)로부터 분리, 발사될 때 체결판(109)의 홈(114)에 삽입된 걸쇠(214)에 의해 막음구(212)가 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막음구(212)가 뒷날개(220)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뒷날개(220)가 축(2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리 변신 완구는 어린이가 직접 완구를 변신시키지 않고 완구에 별도의 주행물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구가 자동으로 변신이 이루어져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이끌어낸다.
그리고 변신 완구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분리되면서 서로 다른 형태로 변신하고, 주행물체가 변신 완구를 통과한 후에는 주행물체도 다른 형태로 변신함으로써 더욱더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리 변신 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리 변신 완구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리 변신 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주행물체와 접촉하여 변신을 이루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발사부와 변신부를 결합하는 변신부 잠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발사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변신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변신부가 분리되어 변신을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발사부의 뒷날개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변신부의 팔 부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앞날개 잠금장치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단 분리 변신 완구가 분리, 변신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주행물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주행물체의 변신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신 완구에 구성된 슬로프를 따라 주행물체(300)가 주행하여 변신 완구를 통과하면 변신 완구가 분리되면서 각각 변신하고, 주행물체(300)도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신완구는 변신부(100)와 발사부(200)로 구성되고, 변신부(100)와 발사부(200)가 결합되어 있다가, 주행물체(300)가 변신 완구를 통과하면서 변신부(100)와 발사부(200)가 분리되면서 각자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발사부(200)와 변신부(100)가 체결된 상태 즉, 변신하기 전 상태의 모습이고, 이 상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발사부(200)와 변신부(100)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발사부(200)는 전방에 변신부(100)를 체결한 상태에서, 주행물체(300)의 주행에 의해 발사부(200)가 변신부(100)를 분리시켜 발사하는 부분이다.
상기 발사부(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부 프레임(201)의 내부에 경사진 슬로프(203)가 형성되고, 발사부 프레임(201)의 상부에는 슬로프 커버(204)가 힌지 체결되어 슬로프 커버(204)가 여닫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로프 커버(204)에는 보조 슬로프(205)가 힌지 체결됨으로써, 슬로프 커버(204)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로프 커버(204)를 회전시켜 열면 도 17과 같이 발사부(200) 내부의 경사진 슬로프(203)가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슬로프 커버(204)를 열면 슬로프(203)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슬로프 커버(204)를 닫으면 발사부 프레임(201)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커버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로프 커버(204)의 후방에 백커버(206)를 백커버 축(207)으로 힌지 체결함으로써, 슬로프 커버(204)를 닫으면 백커버(206)가 발사부(200) 내부의 슬로프(203)를 밀폐하다가, 슬로프 커버(204)를 열면 상기 백커버(206)가 열리면서 발사부(200) 내부의 슬로프(203)와 슬로프 커버(204)가 밀착되며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변신부(100)와 발사부(200)는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로 체결고정되고, 주행물체(300)의 슬로프 주행에 의해 변신부(100)가 발사부(200)로부터 분리 발사된다.
상기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는 변신부(100) 및 발사부(200)의 분리, 변신을 구동하는 변신 구동부와 연계하여 동작하므로 변신 구동부와 함께 설명한다.
변신 구동부는 변신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변신 구동부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변신부(100)의 슬로프(116)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변신 구동부는 도 4와 같이 판 형태의 런처(102)가 변신부 프레임(101)에 런처축(103)으로 힌지 체결되고, 상기 런처(102)는 변신부 프레임(101) 내부에서 헤드프레임 락커(104) 및 다리잠금장치(106)와 접한다.
상기 헤드프레임 락커(104)는 변신부(100)에서 헤드프레임(130) 및 헤드(160)의 전개 잠금장치로서, 도 3 및 도 5와 같이 변신부 프레임(101)에 헤드프레임(130)이 헤드프레임 축(131)으로 힌지 체결되어 헤드프레임(130)이 접혀 있고, 헤드(160)가 헤드프레임(130)에 헤드축(161)으로 힌지 체결되어 헤드프레임(130)에 접혀 있는 상태이다. 상기 헤드축(161)은 토션 힌지이다.
상기 런처(102)와 접해 있는 헤드프레임 락커(104)는 상기 헤드(160) 및 헤드프레임(130)이 변신부 프레임(101)에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이다.
로드 형태의 헤드프레임 락커(104)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변신부 프레임(101)에 헤드프레임 락커(104)의 가운데 부분이 축(105)으로 힌지 체결되고, 축(105)을 중심으로 일 측은 런처(102)와 접하며, 축(105)을 중심으로 타 측에는 걸쇠(115)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프레임 락커(104)의 걸쇠(115)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헤드프레임(130) 하부에 형성된 돌기(132)에 삽입됨으로써, 헤드프레임(130)에 접힌 상태인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변신부(100)에는 팔(140)과 다리(150)가 접혀 있는 상태인데, 상기 런처(102)와 접해 있는 다리잠금장치(106)는 다리(150)가 변신부 프레임(101)에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이다.
변신부(100)의 다리(150)는 팔(140)을 전개를 구속하는 팔 잠금장치 역할을 하여, 다리(150)가 전개되면 팔(140)이 다리와 연계하여 전개된다.
도 4와 같이 로드 형태의 다리잠금장치(106)는 가운데 부분이 변신부 프레임(101)에 토션 힌지인 축(107)으로 힌지 체결되고, 축(107)을 중심으로 일 측은 런처(102)와 접하고, 타 측에는 걸쇠(108)가 형성된다.
도 6, 도 7 및 도 10과 같이 다리(15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부에 홈(151)이 형성되는데, 다리(150)가 접혔을 때 돌부가 변신부 프레임(10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다리잠금장치(106)의 걸쇠(108)가 변신부 프레임(101) 내부로 삽입된 다리(150) 돌부의 홈(151)에 삽입됨으로써, 다리(150)가 전개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신부(100)와 발사부(200)가 체결된 도 1의 상태에서 슬로프커버(204)와 보조 슬로프(205)를 열어 슬로프(203)를 연장한 상태에서 슬로프(203)로 주행물체(300)를 주행시키면, 주행물체(300)가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다가 슬로프(203) 상부에 형성된 런처(102)와 부딪히며 런처축(103)을 중심으로 런처(102)를 회전시킨다.
런처(102)가 회전하면서 축(105)을 중심으로 헤드프레임 락커(104)를 회전시키고, 축(107)을 중심으로 다리잠금장치(106)를 회전시킨다.
런처(102)가 헤드프레임 락커(104)를 회전시키면, 헤드프레임 락커(104)가 회전하면서 헤드프레임 락커(104)의 걸쇠(115)가 헤드프레임(130) 하부의 돌기(132)로부터 빠진다.
변신부 프레임(101)에 토션 힌지인 헤드프레임 축(131)을 체결된 헤드프레임(130)은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변신부(100)로부터 전개되고, 상기 헤드 프레임(130)에 헤드축(161)으로 체결된 헤드(160)도 헤드프레임(130)과 연동하여 전개된다.
이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헤드프레임(130) 내부와 헤드(160) 내부를 헤드링크(133)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장치나 토션 힌지 없이도 헤드프레임(130)과 연계하여 헤드(160)가 전개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헤드링크(133)의 일 측은 헤드프레임(130)을 관통하여 변신부 프레임(101)과 링크축(134)으로 힌지 체결되고, 헤드링크(133)의 타 측은 헤드(160)와 링크 축(135)으로 힌지 체결된다.
상기 각 링크 축(134,135)은 헤드프레임 축(131) 및 헤드 축(16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면 헤드링크(133)가 헤드(160)를 당겨서 도 11과 같이 헤드(16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전개시킨다.
그리고 런처(102)가 런처축(10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축(107)을 중심으로 변신부 프레임(101) 양측에 각각 형성된 다리잠금장치(106)를 회전시키면 걸쇠(108)가 하향 회전하며 도 7 및 도 10과 같이 변신부 프레임(101) 내부로 삽입된 다리(150) 돌부의 홈(151)으로부터 다리잠금장치(106)의 걸쇠(108)가 빠지면서 다리(150)가 전개된다.
상기 다리(150)는 도시하지 않은 토션 힌지를 통해 변신부 프레임(101)에 힌지 체결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다리잠금장치(106)의 해제를 통해 도 17과 같이 다리(150)가 외 측으로 회전 전개된다.
변신부(100)의 상기 다리(150) 상부 위치에는 팔(140)이 접힌 상태로 고정되는데, 다리(150)는 팔(140)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는 팔(140) 잠금장치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150)가 전개되면서 팔(140)이 전개되는데, 상기 팔(14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헤드프레임(130)에 팔 조인트 축(141)이 힌지 체결된다.
팔(14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조인트 축(141)의 단부에 팔 조인트(142)가 형성되고, 상기 팔조인트(142)에는 팔(140)이 힌지체결된다.
상기 팔(140)의 하부에는 돌기(143)가 하향 돌출되는데, 팔(140)과 다리(150)가 접힌 상태에서는 다리가 팔(140) 하부에 돌출된 돌기(143)를 눌러서 팔(140)이 전개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150)가 전개되어 펼쳐지면 잠금이 해제되면서 헤드프레임(130)과 함께 팔조인트 축(141)이 연계하여 상승하고, 팔조인트(142)에 형성된 2개의 토션 힌지 축으로 중심으로 팔(140)이 회전하며 펼쳐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프레임 락커(104)가 회전하며 헤드프레임(130)의 잠금이 해제되어 헤드프레임(130)이 변신부 프레임(101)의 헤드프레임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날개(170)의 내부에 형성된 걸쇠(173)가 변신부 프레임(101)의 홈(117)으로부터 빠지면서 도 11과 같이 앞날개(170)가 헤드프레임(130)으로부터 전개되며 펼쳐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슬로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가 런처(102)에 부딪혀 런처(102)를 회전시키면, 런처(102)가 헤드프레임 락커(104)를 회전시켜 변신부(100)에 접혀있던 헤드프레임(130) 및 헤드(160)를 전개시키고,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면서 앞날개(170) 잠금이 해제되면서 앞날개(170)가 전개된다.
또한, 런처(102)가 다리잠금장치(106)를 회전시켜 변신부(100)에 접혀있던 다리(150)를 전개시키며, 다리(150)가 전개되면서 팔(140)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변신부(100)에 접혀있던 팔(140)이 전개된다.
본 발명은 주행물체(300)의 슬로프 주행에 의해 변신부(100)가 도 11과 같이 변신하는데, 변신부(100)가 단순히 변신할 뿐만 아니라, 발사부(200)로부터 분리되면서 변신부(100)가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변신부(100)의 하부 후방으로 체결판(109)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판(109)은 도 8의 발사부 프레임(201)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미부호)로 삽입하여 체결된다.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부(200)에 변신부(100)를 체결하면, 변신부(100)의 체결판(109) 끝 부분이 발사부(200) 내부의 밀대(209)와 접하게 된다.
상기 밀대(209)는 발사부(200)의 바닥 상부 면을 따라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밀대(209)의 내부에는 스프링(208)이 삽입되어 발사부 프레임(201)에 지지되어 밀대(209)를 탄력 지지한다.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하면 변신부(100)의 체결판(109)이 밀대(209)에 접하면서 밀대(209)를 밀어 스프링(208)을 압착한다. 상기 스프링(208)의 탄성 복원력이 발사부(200)로부터 변신부(100)를 발사, 분리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발사부(200)에 체결된 변신부(1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신부 프레임(101)의 양측에는 판 형태의 변신부 잠금장치(110)가 변신부 프레임(101)에 축(111)으로 토션 힌지체결된다.
상기 변신부 잠금장치(110)는 판 형태로 성형되는데 가운데 부분이 축(111)으로 변신부 프레임(101)에 축(111)으로 토션 힌지 체결되고, 축(111)을 중심으로 일 측에는 경사면(112)이 형성되고, 축(111)을 중심으로 타 측에는 걸쇠(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헤드프레임(130)의 양측 면에는 가압돌기(136)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변신부(100)가 변신하기 전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돌기(136)는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경사면(1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가, 변신부(100)가 변신하는 과정 즉, 헤드프레임(1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헤드프레임(130) 양측에 형성된 가압돌기(136)가 경사면(112)으로 진입하여 경사면(112)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8과 같이 발사부 프레임(201)의 전방 양측에는 걸림돌기(202)가 돌출, 형성되는데,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하면 상술한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걸쇠(113)가 발사부 프레임(201)의 걸림돌기(202)에 체결되어서 변신부(100)가 발사부(200)에 체결, 고정된다.
변신부(100)가 발사부(200)에 체결되면 발사부(200)의 스프링(208)이 압착되어 스프링(208)의 탄성 복원력으로 밀대(209)가 변신부(100)의 체결판(109)을 밀고 있지만, 상술한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가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있어서 변신부(1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주행물체(300)가 슬로프를 주행하여 런처(102)를 부딪혀서 헤드프레임 락커(104)를 회전시켜 헤드프레임(130)이 회전하여 전개되고 이때, 헤드프레임(130) 양측의 가압돌기(136)가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경사면(112)을 가압하여 회전시키고,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경사면(112) 반대 측에 형성된 걸쇠(113)가 발사부 프레임(201)의 걸림돌기(202)로부터 빠지면서 스프링(20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변신부(100)가 발사되며 변신한다.
변신부(100)가 발사부(200)로부터 발사됨과 동시에 변신부(100)가 변신하는데, 변신부(100)가 발사되면서 발사부(200)도 변신한다.
도 1과 같이 발사부(200)의 발사부 프레임(201) 양측에는 뒷날개(220)가 축(221)으로 토션 힌지 체결되고, 뒷날개(220)의 하부{축(221)의 하부 위치로}에는 돌기(222)가 하향 돌출된다.
도 3,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부(200)의 슬로프(203) 하부에는 뒷날개 잠금장치(210)가 발사부 프레임(201)에 축(211)으로 토션 힌지 체결된다.
상기 뒷날개 잠금장치(210)의 양측에는 막음구(212)가 형성되고, 뒷날개 잠금장치(210)의 축(211)의 가운데 부분에는 걸쇠(214)가 체결되는데, 상기 걸쇠(214)는 축(211)에 대해 한 방향 즉, 발사부(200)의 후방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2와 같이 뒷날개 잠금장치(210)의 축(211)에는 돌출된 스토퍼(213)가 형성됨으로써, 축(211)에서 걸쇠(214)가 전방 즉, 변신부(100)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213)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변신부(100)의 체결판(109) 상부 면에는 홈(114)이 형성됨으로써,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하였을 때, 체결판(109)의 홈(114)에 뒷날개 잠금장치(210)의 걸쇠(214)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주행물체(300)가 슬로프를 주행하여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변신부(100)가 발사부(200)로부터 발사될 때, 도 12에서 체결판(109)이 변신부(100)와 함께 발사되면서 체결판(109)의 홈(114)에 삽입된 걸쇠(214)가 회전하고, 스토퍼(213)에 의해 축(211)이 회전하면서 축(21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막음구(212)가 하향 회전한다.
도 9 및 도 12와 같이 뒷날개(220)는 토션 힌지인 축(221)에 체결되어 뒷날개(220)가 발사부 프레임(201) 외 측으로 펴지려는 힘을 받고 있으나, 뒷날개 잠금장치(210)의 막음구(212)가 뒷날개(220)의 돌기(222)와 접해 뒷날개(220)가 펴지지 몫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막음구(212)가 하향 회전하면, 돌기(222)가 발사부 프레임(20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뒷날개(220)가 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신 완구는 주행물체(300)가 변신 완구의 슬로프를 주행하여 변신 구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부(200)로부터 변신부(100)를 발사 분리시키고, 변신부(100) 및 발사부(200)가 변신한다.
이때, 주행물체(300)가 본 발명의 변신 완구 슬로프를 주행한 후, 주행물체(300)도 변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주행물체(300)는 경사진 슬로프(203)를 따라 구를 수 있는 물체면 그 형태에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6과 같이 자동차 형태로 주행물체(300)를 형성한다.
상기 주행물체(300)는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여 변신완구 전방으로 빠져나온 후 변신유도 아이템(310)에 의해 주행물체(300)가 변신하도록 구성한다.
자석으로 변신유도 아이템(310)을 구성하고, 주행물체(300) 내부의 자력에 의해 해제가 가능한 변신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여 변신완구 전방으로 빠져나온 후 주행물체(300)가 변신유도 아이템(310)인 자석에 이르면 자력에 의해 주행물체(300)의 변신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도 17과 같이 주행물체(300)가 분리되며 변신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변신유도 아이템(310)을 소정 높이를 갖는 물체로 구성함으로써, 주행물체(300)가 변신유도 아이템(310)과 물리적 접촉에 의해 변신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도 17과 같이 주행물체(300)가 분리 변신된다.
상기와 같이 변신유도 아이템(310)의 자력 또는 충돌력에 의해 주행물체(300)가 분리 변신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발명인과 동일한 발명자가 2015.06.12.자로 특허출원하여 2016.06.24. 특허등록된 '변신 완구'를 통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리 변신 완구는 어린이가 직접 완구를 변신시키지 않고 완구에 별도의 주행물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구가 자동으로 변신이 이루어져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이끌어낸다.
그리고 변신 완구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분리되면서 서로 다른 형태로 변신하고, 주행물체가 변신 완구를 통과한 후에는 주행물체도 다른 형태로 변신함으로써 더욱더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변신부 101 : 변신부 프레임
102 : 런처 103 : 런처축
104 : 헤드프레임 락커 105 : 축
106 : 다리 잠금장치 107 : 축
108 : 걸쇠 109 :체결판
110 : 변신부 잠금장치 111 : 축
112 : 경사면 113 : 걸쇠
114 : 홈 115 : 걸쇠
116 : 슬로프 117 : 홈
130 : 헤드프레임 131 : 헤드프레임 축
132 : 돌기 133 : 헤드링크
134 : 링크축 135 : 링크축
136 : 가압돌기 140 : 팔
141 : 팔조인트 축 142 : 팔조인트
143 : 돌기 150 : 다리
151 : 홈 160 : 헤드
161 : 헤드축 170 : 앞날개
171 : 앞날개 축 173 : 걸쇠
200 : 발사부 201 : 발사부 프레임
202 : 걸림돌기 203 : 슬로프
204 : 슬로프 커버 205 : 보조슬로프
206 : 백커버 207 : 백커버 축
208 : 스프링 209 : 밀대
210 : 뒷날개 잠금장치 211 : 축
212 : 막음구 213 : 스토퍼
214 : 걸쇠 220 : 뒷날개
221 : 축 222 : 돌기
300 : 주행물체 310 : 변신유도 아이템

Claims (15)

  1. 내부에 경사진 슬로프(203)가 형성된 발사부(200);
    상기 발사부(200)와 체결되는 변신부(100);
    상기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 고정하는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
    상기 변신부(100) 내부에 형성된 변신 구동부; 및
    상기 경사진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로 구성되어,
    주행물체(300)가 슬로프(203)를 따라 주행하다가 변신 구동부와 접촉하여 발사부(200)로부터 변신부(100)를 발사,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100)는 발사부(200)로부터 발사, 분리된 후 다른 형태로 형태를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100)가 발사된 후 발사부(200)는 다른 형태로 형태를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물체(300)는 변신유도 아이템(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주행물체(300)가 슬로프(203)를 주행한 후 변신유도 아이템(310)에 접했을 때 주행물체(300)가 다른 형태로 변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100)는,
    변신부 프레임(101)에서 헤드프레임(130)이 움직일 수 있도록 체결되고,
    상기 변신 구동부가 헤드프레임(130)의 움직임을 구속한 상태에서 주행물체(300)가 변신구동부를 구동시켰을 때 헤드프레임(130)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헤드프레임(130)이 움직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100)는,
    변신부 프레임(101)에서 다리(15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체결되고,
    상기 변신 구동부가 다리(150)의 움직임을 구속한 상태에서 주행물체(300)가 변신구동부를 구동시켰을 때 다리(150) 잠금장치가 해제되면서 다리(150)가 움직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 구동부는,
    변신부 프레임(101)에 체결되어 슬로프(203)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와 충돌하여 움직이는 런처(102);
    변신부 프레임(101)에 체결되고, 상기 런처(102)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움직이며 헤드프레임(130)의 움직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헤드프레임 락커(104);로 구성됨으로써,
    주행물체(300)가 상기 런처(102)와 충돌하는 순간 런처(102)가 헤드프레임 락커(104)를 움직여서 헤드프레임(130) 구속을 해제하여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130)의 일 측에서 헤드(16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체결되고,
    헤드프레임(130) 내부에서 헤드링크(133)의 일 측은 상기 헤드(160)와 힌지 체결되고, 타 측은 변신부 프레임(101)과 힌지 체결됨으로써,
    헤드프레임(130)이 움직여 전개될 때 헤드(160)가 헤드프레임(130)과 연동하여 움직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 구동부는,
    변신부 프레임(101)에 체결되어 슬로프(203)를 주행하는 주행물체(300)와 충돌하여 움직이는 런처(102);
    변신부 프레임(101) 양측에 체결되고, 상기 런처(102)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움직이며 다리(150)의 움직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다리잠금장치(106)로 구성됨으로써,
    주행물체(300)가 상기 런처(102)와 충돌하는 순간 런처(102)가 다리잠금장치(106)를 움직여서 다리(150)의 구속을 해제하여 다리(150)가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에는 팔조인트(142)가 구비된 팔조인트 축(141)이 체결되고,
    상기 팔조인트(142)에는 다리(150)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팔(140)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다리(150)가 움직여 전개되기 전에는 다리(150)가 팔(140) 전개를 구속하다가, 다리(150)가 전개되면서 팔(140)의 구속이 해제되어 팔(140)이 움직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130)에서 앞날개(17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체결되고,
    상기 앞날개(170)는 헤드프레임(130)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되다가,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면서 헤드프레임(130) 구속이 해제되어 앞날개(170)가 움직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는,
    변신부 프레임(101)에 체결되어 변신 구동부의 잠금 해제에 의해 움직여 전개되는 헤드프레임(130);
    상기 헤드프레임(130) 양측에 돌출된 가압돌기(136);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 양측에 힌지 체결되어 일 측은 경사면(112)이 형성되고, 타 측은 걸쇠(113)가 형성된 변신부 잠금장치(110); 및
    발사부 프레임(201)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02);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헤드프레임(130)이 전개되면서 가압돌기(136)가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경사면(112)을 가압하여 변신부 잠금장치(110)를 구동시키고, 변신부 잠금장치(110)의 걸쇠(113)가 발사부 프레임(201)의 걸림돌기(202)로부터 빠지면서 변신부(100)와 발사부(200) 체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신부 프레임(101)의 후방에는 체결판(109)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발사부 프레임(201)의 내부에는 스프링(208)이 형성됨으로써,
    변신부(100)를 발사부(200)에 체결하면 상기 체결판(109)이 스프링(208)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변신부 분리 잠금장치의 구속이 해제되면 스프링(20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체결판(109)을 밀어 발사부(200)로부터 변신부(100)가 분리, 발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 프레임(201) 양측에서 움직이도록 뒷날개(220)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판(109)과 연동하여 상기 뒷날개(220)의 움직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뒷날개(220) 잠금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체결판(109)이 발사되면서 뒷날개(220)의 구속이 해제되어 뒷날개(220)가 움직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 프레임(201) 양측에 돌기(222)가 돌출된 뒷날개(220)가 토션 힌지체결되고,
    양측에 막음구(212)가 형성된 뒷날개 잠금장치(210)가 발사부 프레임(201)에 축(211)으로 토션 힌지 체결되며,
    상기 축(211)에는 체결판(109)의 홈(114)에 삽입되는 걸쇠(214)가 형성됨으로써,
    변신부(100)가 발사부(200)로부터 분리, 발사될 때 체결판(109)의 홈(114)에 삽입된 걸쇠(214)에 의해 막음구(212)가 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막음구(212)가 뒷날개(220)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뒷날개(220)가 축(2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리 변신 완구.
KR1020170102425A 2017-08-11 2017-08-11 다단 분리 변신 완구 KR10193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425A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7-08-11 다단 분리 변신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425A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7-08-11 다단 분리 변신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16B1 true KR101939916B1 (ko) 2019-01-17

Family

ID=6527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425A KR101939916B1 (ko) 2017-08-11 2017-08-11 다단 분리 변신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394A1 (ko) * 2020-01-08 2021-07-15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21B1 (ko) 1998-01-12 2004-06-12 이용희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KR101653887B1 (ko) 2014-12-24 2016-09-02 최종일 변신 완구
KR20170084767A (ko) 2016-01-13 2017-07-21 최종일 발사장치를 구비한 다단 변신 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21B1 (ko) 1998-01-12 2004-06-12 이용희 장애물에부딪치면로보트완구로변신하는자동차완구
KR101653887B1 (ko) 2014-12-24 2016-09-02 최종일 변신 완구
KR20170084767A (ko) 2016-01-13 2017-07-21 최종일 발사장치를 구비한 다단 변신 완구
KR101815363B1 (ko) * 2016-01-13 2018-01-08 최종일 발사장치를 구비한 다단 변신 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394A1 (ko) * 2020-01-08 2021-07-15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9534B (zh) 配備發射裝置的變形玩具
KR101605604B1 (ko) 아이템 투척 완구용 자동차
KR101859808B1 (ko) 변신 완구
CN207822509U (zh) 可弹射的玩具车
KR101846078B1 (ko) 합체형 변신완구
KR101556752B1 (ko) 손가락 만입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숨겨진 물체를 방출하도록 형성된 코어
KR101939916B1 (ko) 다단 분리 변신 완구
US8998673B2 (en) Toy with projectile launcher
CN107537160B (zh) 可二次夹币玩具
CN102438713A (zh) 具有可缩回折叠翼部的玩具
KR20150069315A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20160078073A (ko) 변신 완구
CN209997191U (zh) 可分裂组合的玩具套装
US6468128B1 (en) Collapsible car
JP7413504B2 (ja) 折り畳み式遊具
CN108786132B (zh) 组合变形玩具
CN214130294U (zh) 一种变形玩具和变形盒
CN214260649U (zh) 单次触发多次腾空的玩具
CN114452657A (zh) 一种场景玩具结构
US20130109270A1 (en) Expander and Action Figure with an Expander
WO2020187088A1 (zh) 运载玩具车
CN109985400B (zh) 一种折叠玩具
WO2020187089A1 (zh) 可分裂组合的玩具套装
CN209997196U (zh) 变形玩具
KR101965511B1 (ko) 발사형 변신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