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306B1 -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 Google Patents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306B1
KR101327306B1 KR1020120030799A KR20120030799A KR101327306B1 KR 101327306 B1 KR101327306 B1 KR 101327306B1 KR 1020120030799 A KR1020120030799 A KR 1020120030799A KR 20120030799 A KR20120030799 A KR 20120030799A KR 101327306 B1 KR101327306 B1 KR 10132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d
attached
toy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940A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12003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30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63H18/026Start-finish mechanisms; Stop arrangements; Traffic lights;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과 잠금 수단이 설치된 자동차 완구가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자동차의 주행중에 카드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차가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부착된 카드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덤블링 자동차 완구로서, 자동차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드 뒷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카드 게임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카드 놀이시에 지루함을 해소하고, 카드를 뒤집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TUMBLING TOY CAR AND PLAY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잠금 수단이 설치된 자동차 완구가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자동차의 주행중에 카드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차가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부착된 카드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린이용 카드 놀이는 사각 형상의 카드 표면 또는 이면에 놀이용 그림 또는 캐릭터 등이 인쇄되어 있고, 소정의 게임 규칙에 따라 상기 그림 또는 캐릭터가 인쇄된 카드를 뒤집어서 확인으로써 카드 놀이를 진행한다.
이러한 어린이용 카드 놀이는 카드 이용자가 바닥에 카드를 편 후 그 카드를 손으로 뒤집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놀이가 단순하여 어린이의 경우 쉽게 흥미를 잃어 버리고, 카드 표면에 인쇄된 그림을 모으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과 잠금 수단이 설치된 자동차 완구가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자동차의 주행중에 카드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차가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부착된 카드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덤블링 자동차 완구로서, 자동차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차는 제 1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몸체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부가 상기 제 1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부가 상기 제 1 몸체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 상기 제 1 몸체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몸체부와 연결되며, 잠금 해제시 상기 제 2 몸체부가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접철(摺綴)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고, 카드가 부착되면 상기 잠금부가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몸체부는 일측에 카드와 자석이 직접 부착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몸체부는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뒷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는 제 1 몸체부에 설치되는 잠금부 거치대; 상기 잠금대 거치대에 잠금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 몸체; 상기 잠금부 몸체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부가 제 1 몸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몸체부와 치합하는 래치; 및 상기 잠금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제 2 몸체부를 가압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드는 내부에 자성체 또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로서,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자동차; 및 상기 자동차가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가압하는 발사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사대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발사대 몸체; 상기 발사대 몸체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자동차가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발사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축된 가압부를 잠금 해제시키는 버튼부; 상기 발사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동차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발사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로 자동차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과 잠금 수단이 내장된 자동차 완구에 카드가 부착되면 관성과 탄성력을 통해 자동차가 전복되도록 하여 카드 뒷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카드 게임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놀이시에 지루함을 해소하고, 카드를 뒤집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가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게임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진행할 수 있어서 게임의 재미와 자동차의 활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가 뒤집혀 카드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의 발사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도 7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덤블링 자동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가 뒤집혀 카드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10)는 주행중인 자동차(10)의 하부에 자성체 또는 금속판을 내부에 설치한 임의의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몸체 중 하나가 주행중인 자동차(10)의 관성과 상기 자동차(10)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며, 제 1 몸체부(100)와 제 2 몸체부(200)와 힌지부(300)와 판 스프링(400)과 잠금부(500)와 자석(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몸체부(100)는 자동차의 일부를 형상화한 부재로서, 일측에는 앞바퀴(110)가 바퀴 회전축(111)을 통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평판을 형성하여 카드(20)와 자석(600)이 직접 부착되도록 관통공(120)과 잠금부(5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몸체부(200)는 제 1 몸체부(100)의 자동차 형상과 치합하도록 자동차의 나머지를 형상화한 부재로서, 상기 제 1 몸체부(100)와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뒷바퀴(210)가 바퀴 회전축(211)을 통해 설치되며, 잠금부(500)와 치합하는 래치 결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몸체부(200)는 제 1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분리된 제 2 몸체부(200)가 주행중인 자동차(10)의 관성력과 후술되는 판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회전하며 뒤집어진다.
또한, 상기 래치 결합부(220)의 내부에는 나사 선형 스프링과 같은 동력 전달용 구동부(230)를 추가 설치하여 자동차(10)가 주행할 수 있도록 뒷바퀴(2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부(300)는 제1 몸체부(100)에 설치된 제 1 힌지부(300a)와 제 2 몸체부(200)에 설치된 제 2 힌지부(3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부(300a, 300b)를 힌지 회전축(310)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판 스프링(400)은 일측이 제 1 몸체부(100)에 설치되고, 타측이 제 2 몸체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 방향으로 접철(摺綴)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잠금부(500)는 일측이 제 1 몸체부(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 2 몸체부(200)와 연결되어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100, 200)가 자동차(10)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에는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접철되도록 하며, 잠금부 거치대(510)와, 잠금부 몸체(520)와, 래치(521)와 잠금부 토션 스프링(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 거치대(510)는 제 1 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잠금부 몸체(520)가 잠금부 회전축(53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 거치대(510)는 제 1 및 제 2 몸체부(100, 20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자동차(10)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 몸체(520)를 지지한다.
상기 잠금부 몸체(520)는 잠금대 거치대(510)에 잠금부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및 제 2 몸체부(100, 20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100, 200)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 2 몸체부(200)와 상기 제 1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래치(521)는 잠금부 몸체(520)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부(200)의 래치 결합부(220)와 치합하여 제 2 몸체부(200)가 제 1 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 토션 스프링(540)은 잠금부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일측이 잠금부 거치대(510)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 1 몸체부(1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래치(521)가 상기 제 2 몸체부(200)를 가압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자석(600)은 잠금부 몸체(5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자동차(10)의 하부 즉 제 1 몸체부(100)의 관통공(120) 하부에 카드(20)가 위치하면, 자기장에 의한 인력에 의해 상기 카드(2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자석(600)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드(20)와 부착된다.
상기 자석(600)은 주조자석, 소결자석, 휘토류자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석(600)이 카드(20)와 부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잠금부 몸체(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래치(521)가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제 1 몸체부(100)와 제 2 몸체부(200)가 잠금부(500)에 의해 잠금된 상태에서 자동차(10)를 카드(20)가 배치된 방향으로 밀어 주행시킨다.
상기 자동차(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주행할 수도 있고, 구동부(2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주행할 수도 있다.
한편, 주행중인 자동차(10)가 카드(20)를 통과하면, 자석(6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상기 카드(20)의 자성체 또는 금속물질과의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잠금부 토션 스프링(540)에 의해 자석(600)은 움직이지 않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카드(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몸체부(100)의 저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 1 몸체부(100)의 저면에 카드(20)가 부착되면, 자석(600)과 카드(200)는 더욱 가까워져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증가하여 잠금부 토션 스프링(540)의 탄성력을 초과하면 자석(6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몸체부(100) 또는 관통공(120)을 관통하여 카드(20)와 밀착하게 된다.
상기 자석(600)이 이동하면, 잠금부 몸체부(520)는 잠금부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잠금부(500)의 래치(521)도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521)와 제 2 몸체부(200)의 래치 결합부(220) 사이의 잠금은 해제된다.
상기 래치(521)와 래치 결합부(220)의 잠금이 해제되면, 제 2 몸체부(200)는 제 1 몸체부(100)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제 2 몸체부(200)는 판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주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회전하여 주행방향 전측으로 이동하면 주행중인 자동차(10)의 전측으로 즉 제 1 몸체부(100)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 2 몸체부(200)의 회전력과 관성력이 자동차(10)의 주행방향으로 함께 작용하여 자동차(10)는 주행방향으로 덤블링을 하듯이 굴러 제 1 몸체부(100)도 함께 넘어가서 뒤집어지게 되고, 상기 제 1 몸체부(100)에 부착된 카드(20)의 뒷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카드 뒷면을 자동차(10)가 재미있게 노출시켜 카드 게임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놀이 장치)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의 발사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는 자동차(10)와, 카드(20)와, 발사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차(10)는 하부에 임의의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카드(20)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임의의 캐릭터 또는 게임 정보 등이 인쇄된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자성체 또는 금속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사대(700)는 자동차(10)가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발사대 몸체(710)와, 레일(720)과, 버튼부(730)와, 가압부(740)와, 코일 스프링(7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사대 몸체(710)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버튼부(730)와, 가압부(740)와, 코일 스프링(750)이 수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730)와 가압부(740)의 일부가 발사대 몸체(710)를 관통하도록 관통공(711)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720)은 발사대 몸체(71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자동차(10)가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자동차(10)가 레일(720)의 임의의 위치에 임시로 고정되도록 홈부(72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721)는 자동차(10)의 뒷바퀴가 위치하여 자동차(10)가 레일(72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730)는 발사대 몸체(7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750)을 압축하기 위해 이동한 가압부(740)를 잠금 해제시키는 구성으로서, 버튼부 래치(731)와, 버튼부 회전축(7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부 래치(731)는 가압부(740)와 치합하여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 회전축(732)은 버튼부(730)가 발사대 몸체(7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버튼부(73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버튼부 래치(73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740)는 발사대 몸체(7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코일 스프링(750)의 탄성력으로 자동차(10)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가압부 몸체의 상부에는 가압부 래치(741)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 래치(741)는 버튼부 래치(731)와 치합하여 가압부(740)가 코일 스프링(750)을 압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750)은 발사대 몸체(7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력을 가압부(740)로 제공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로 돌출된 가압부(740)를 가압하여 발사대 몸체(710)의 내측으로 밀면, 일정 거리 이동하여 가압부 래치(741)와 버튼부 래치(731)가 치합함으로써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740)의 몸체에 의해 코일 스프링(75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후 레일(720)의 홈부(721)에 뒷바퀴가 위치되도록 자동차(10)를 배치한 후 카드(20)가 배치된 방향으로 자동차(10)를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720)의 방향을 설정한다.
상기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버튼부(730)를 눌러서 버튼부 래치(731)와 가압부 래치(741) 사이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상기 잠금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7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740)는 자동차(10)를 뒤에서 가압하여 설정된 방향으로 주행하며, 주행중에 자동차(10)의 저면에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자동차(10)의 몸체 일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 : 자동차 20 : 카드
100 : 제 1 몸체부 110 : 앞바퀴
111 : 바퀴 회전축 120 : 관통공
200 : 제 2 몸체부 210 : 뒷바퀴
211 : 바퀴 회전축 220 : 래치 결합부
230 : 구동부 300 : 힌지부
300a : 제 1 힌지부 300b : 제 2 힌지부
310 : 힌지 회전축 400 : 판 스프링
500 : 잠금부 510 : 잠금부 거치대
520 : 잠금부 몸체 521 : 래치
530 : 잠금부 회전축 540 : 잠금부 토션 스프링
600 : 자석 700 : 발사대
710 : 발사대 몸체 711 : 관통공
720 : 레일 721 : 홈부
730 : 버튼부 731 : 버튼부 래치
732 : 버튼부 회전축 740 : 가압부
741 : 가압부 래치 750 : 코일 스프링

Claims (8)

  1. 자동차(10)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자동차(10)는 제 1 몸체부(100);
    상기 제 1 몸체부(1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몸체부(200);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100, 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300);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
    상기 제 1 몸체부(1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몸체부(200)와 연결되며, 잠금 해제시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접철(摺綴)되도록 하는 잠금부(500); 및
    상기 잠금부(500)에 설치되고, 카드(20)가 부착되면 상기 잠금부(500)가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자석(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100)는 일측에 카드(20)와 자석(600)이 직접 부착되도록 관통공(1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부(200)는 자동차(10)가 주행할 수 있도록 뒷바퀴(2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500)는 제 1 몸체부(100)에 설치되는 잠금부 거치대(510);
    상기 잠금부 거치대(510)에 잠금부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 몸체(520);
    상기 잠금부 몸체(520)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제 1 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몸체부(200)와 치합하는 래치(521); 및
    상기 잠금부 회전축(530)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521)가 상기 제 2 몸체부(200)를 가압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부 토션 스프링(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20)는 내부에 자성체 또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
  7. 하부에 임의의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몸체의 관성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뒤집어져서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뒷면이 노출되도록 제 1 몸체부(100)와, 상기 제 1 몸체부(1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몸체부(200)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100, 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300)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과, 상기 제 1 몸체부(1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몸체부(200)와 연결되며, 잠금 해제시 상기 제 2 몸체부(200)가 상기 제 1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접철(摺綴)되도록 하는 잠금부(500)와, 상기 잠금부(500)에 설치되고, 카드(20)가 부착되면 상기 잠금부(500)가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자석(600)을 구비한 자동차(10); 및
    상기 자동차(10)가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가압하는 발사대(700)를 포함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700)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발사대 몸체(710);
    상기 발사대 몸체(710)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자동차(10)가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720);
    상기 발사대 몸체(7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축된 가압부(740)를 잠금 해제시키는 버튼부(730);
    상기 발사대 몸체(7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동차(10)를 가압하는 가압부(740); 및
    상기 발사대 몸체(7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740)로 자동차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7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블링 자동차 완구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20120030799A 2012-03-26 2012-03-26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32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99A KR101327306B1 (ko) 2012-03-26 2012-03-26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99A KR101327306B1 (ko) 2012-03-26 2012-03-26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940A KR20130108940A (ko) 2013-10-07
KR101327306B1 true KR101327306B1 (ko) 2013-11-11

Family

ID=4963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799A KR101327306B1 (ko) 2012-03-26 2012-03-26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096A1 (ko) * 2015-05-12 2016-11-17 최종일 변신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316B1 (ko) * 2014-01-27 2015-06-09 최종일 완구용 자동차
KR101746917B1 (ko) * 2015-05-11 2017-06-27 최종일 팝업 완구
CN107648864A (zh) * 2017-10-26 2018-02-02 谢文生 一种可diy的玩具小车
CN109985396B (zh) * 2017-12-29 2024-04-05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多次空翻玩具及可二次空翻的玩具车
CN110251972A (zh) * 2018-12-29 2019-09-20 广东原创动力文化传播有限公司 承台玩具体
KR102307661B1 (ko) * 2020-12-14 2021-10-01 선우윤 자동차 경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95A (ko) * 1998-01-12 1999-08-05 이용희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95A (ko) * 1998-01-12 1999-08-05 이용희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096A1 (ko) * 2015-05-12 2016-11-17 최종일 변신 완구
KR20160144298A (ko) * 2015-05-12 2016-12-16 최종일 변신 완구
CN106457053A (zh) * 2015-05-12 2017-02-22 崔锺 变形玩具
JP2018514334A (ja) * 2015-05-12 2018-06-07 チェ ジョンイルCHOI, Jong−Ill 変形玩具
KR101859808B1 (ko) * 2015-05-12 2018-06-28 최종일 변신 완구
EP3296004A4 (en) * 2015-05-12 2019-02-27 Choi, Jong-Ill TRANSFORMING TOY
US10421028B2 (en) 2015-05-12 2019-09-24 Choirock Contents Factory Co., Ltd. Transformable toy
AU2015394401B2 (en) * 2015-05-12 2019-10-03 Choirock Contents Factory Co., Ltd. Transforming toy
CN106457053B (zh) * 2015-05-12 2019-11-01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变形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940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06B1 (ko) 덤블링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327305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527316B1 (ko) 완구용 자동차
JP5391084B2 (ja) 玩具
JP6584530B2 (ja) 変形玩具
CN110935179B (zh) 变形玩具
RU2706821C1 (ru) Игру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выбрасывания аксессуара
KR101563404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370617B1 (ko) 완구용 자동차
KR101400977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563467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965498B1 (ko) 변신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완구
BR112014020669B1 (pt) Carro de brinquedo transformador
JP4145942B2 (ja) 手品具
JPS63158092A (ja) 走行玩具に於けるパラシユ−ト放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