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77B1 - 변신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변신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77B1
KR101400977B1 KR1020120090514A KR20120090514A KR101400977B1 KR 101400977 B1 KR101400977 B1 KR 101400977B1 KR 1020120090514 A KR1020120090514 A KR 1020120090514A KR 20120090514 A KR20120090514 A KR 20120090514A KR 101400977 B1 KR101400977 B1 KR 10140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rd
rotating shaft
link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110A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12009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9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 바닥에 설치된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그 부착된 카드가 노출되도록 몸체를 변형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복수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완구의 임의의 하우징 하부에 잠금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가 설치된 하우징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상기 잠금부가 설치된 하우징이 분리된 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자동 주행 과정에서 카드가 검출되면 그 카드를 뒤집어 보여 줄 수 있도록 형태를 자동으로 변형하여 카드 놀이와 함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신 자동차 완구{TRANSFORM TOY CAR}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중 바닥에 설치된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그 부착된 카드가 노출되도록 몸체를 변형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변신 완구는 로봇 형상 또는 자동차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완구 몸체를 여러 가지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여 로봇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한 것으로 이는 한가지의 완구로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변신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린이용 카드 놀이는 사각 형상의 카드 표면 또는 이면에 놀이용 그림 또는 캐릭터 등이 인쇄되어 있고, 소정의 게임 규칙에 따라 상기 그림 또는 캐릭터가 인쇄된 카드를 뒤집어서 확인으로써 카드 놀이를 진행한다.
이러한 어린이용 카드 놀이는 카드 이용자가 바닥에 카드를 편 후 그 카드를 손으로 뒤집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놀이가 단순하여 어린이의 경우 쉽게 흥미를 잃어 버리고, 카드 표면에 인쇄된 그림을 모으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1999-65295호(발명의 명칭: 장애물에 부딪치면 로보트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에는 로보트 완구로 모양을 바꾸는 변신 자동차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 바닥에 설치된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그 부착된 카드가 노출되도록 몸체를 변형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복수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완구의 임의의 하우징 하부에 잠금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가 설치된 하우징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어 잠금 해제되면, 상기 잠금부가 설치된 하우징이 분리되어 상기 잠금부에 부착된 카드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분리된 하우징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의 바닥면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구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3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을 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제 1 하우징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이 상기 제 3 하우징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카드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제 1 및 제 3 하우징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잠금부와 체결되어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제 1 하우징 결합부;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수납되고, 상기 수납된 회전축이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제 1 가이드홈에 수납된 회전축을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3 하우징은 상기 잠금부와 체결되어 상기 제 3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제 3 하우징 결합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이 수납되고, 상기 수납된 회전축이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제 2 가이드홈에 수납된 회전축을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축은 원통 형상의 회전축 몸체; 및 상기 회전축 몸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평판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는 잠금부 몸체; 상기 잠금부 몸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 1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턱; 상기 잠금부 몸체의 하부에 설치한 자성체; 및 상기 잠금부 몸체가 임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3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을 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제 1 하우징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3 하우징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고, 카드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이 제 1 및 제 3 하우징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과 분리된 제 2 하우징이 상기 회전축의 접철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축은 원통 형상의 회전축 몸체; 상기 회전축 몸체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부; 상기 회전축 몸체와 가이드부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한 링크부; 상기 가이드부와 링크부를 연결하는 제 1 링크 회전축; 상기 제 1 링크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링크부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링크 스프링; 상기 회전축 몸체와 링크부를 연결하는 제 2 링크 회전축; 및 상기 제 2 링크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몸체와 링크부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링크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회전축을 형성한 제 1 하우징;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한 쌍의 제 1 동작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한 쌍의 제 2 동작부;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카드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동작부가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1 동작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동작부가 임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스프링;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회전축에 타측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회전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동작부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에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해제되어 제 1 동작부가 동작하여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는 상부에 제 1 관통공을 형성한 잠금부 몸체; 일측에 제 2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부 몸체로부터 양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와 지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부 회전축; 상기 잠금부 몸체의 하부에 설치한 자성체; 및 상기 잠금부 몸체가 임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제공하는 잠금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자동 주행 과정에서 카드가 검출되면 그 카드를 뒤집어 보여 줄 수 있도록 형태를 자동으로 변형하여 카드 놀이와 함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가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게임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진행할 수 있어서 게임의 재미와 자동차의 활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다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회전축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다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다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다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100)는 버스 형상의 완구로서,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과, 제 3 하우징(130)과, 회전축(140)과, 잠금부(150)와, 회전축 토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우징(110, 120, 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완구에 잠금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150) 설치된 임의의 하우징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150)에 카드(200)가 부착되면, 상기 잠금부(150)가 설치된 하우징이 분리된 후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20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하우징(110)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사각형의 육면체 형상으로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1 가이드 홈(112)과, 제 1 스프링(113)과, 바퀴(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우징 결합부(111)는 제 1 하우징(110)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사각 형상의 판부재로서, 내부에는 잠금부(150)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결합부(111)는 제 2 하우징(120)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어 잠금부(15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하우징(110)이 제 2 하우징(120)과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결합부(111)는 제 2 하우징(1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홈(112)은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제 1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일측으로 회전축(14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112)에 수납된 회전축(140)이 상기 제 1 가이드홈(112)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 1 스프링(113)은 제 1 가이드홈(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홈(112)에 삽입된 회전축(140)을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바퀴(114)는 제 1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완구(100)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하우징(120)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사각 형상의 육면체로서,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의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회전축 관통공(121)과, 결합부 관통공(122)과, 자석부 관통공(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 관통공(121)은 제 2 하우징(120)의 길이방향 양쪽 중앙에 서로 대칭으로 천공되어 회전축(140)이 관통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 관통공(122)은 제 2 하우징(120)의 길이방향 양쪽에 서로 대칭으로 천공되어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 결합부(131)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자석부 관통공(123)은 제 2 하우징(120)의 저면에 천공되어 잠금부(150)의 자성체(153)가 카드(2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 관통공(123)을 형성하여 자성체(153)와 카드(200)가 더욱 밀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자성체(153)와 카드(200) 사이의 밀착력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120)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면, 상기 자석부 관통공(123)을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하우징(130)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사각 형상의 육면체로서, 제 3 하우징 결합부(131)와, 제 2 가이드 홈(132)과, 제 2 스프링(133)과, 바퀴(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제 3 하우징(130)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사각 형상의 판부재로서, 내부에는 잠금부(150)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제 2 하우징(120)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어 잠금부(15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3 하우징(130)이 제 2 하우징(120)과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제 2 하우징(1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홈(132)은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제 3 하우징(13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일측으로 회전축(14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가이드홈(132)에 수납된 회전축(140)이 상기 제 3 가이드홈(132)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 2 스프링(133)은 제 2 가이드홈(1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가이드홈(132)에 삽입된 회전축(140)을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바퀴(134)는 제 3 하우징(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완구(100)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40)은 제 2 하우징(120)을 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이 상기 제 3 하우징(130)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축 몸체(141)와, 가이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 몸체(141)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제 2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 몸체(1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 몸체(141)는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 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몸체(141)의 외부면에 반경방향으로 회전축 돌기(141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회전축 몸체(141)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30)이 제 2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잠금부(150)는 제 2 하우징(12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드(200)의 접착 여부에 따라 동작하여 제 1 하우징(110) 및 제 3 하우징(130)이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잠금부 몸체(151)와, 걸림턱(152)과, 자성체(153)와, 잠금부 스프링(1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 몸체(151)는 단면이 'T'자 형상의 부재로서, 상측의 양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턱(152)이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153)는 잠금부 몸체(1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하우징(120)의 하부에 카드(200)가 위치할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카드(200)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부 몸체(1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 스프링(154)은 잠금부 몸체(1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151)가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잠금부 몸체(151)가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에 각각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 스프링(154)은 자성체(153)와 카드(200)의 접착으로 인해 잠금부 몸체(151)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자성체(153)와 카드(200) 사이에 발생한 자기장이 사라지면, 상기 잠금부 몸체(15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도록 복원용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 토션부(160)는 제 2 하우징(120)과 회전축(14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제 1 하우징(110) 및 제 3 하우징(130)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회전축 스프링(161)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축 토션부(160)의 외부 하우징은 제 2 하우징(120)과 결합되고, 회전축 스프링(161)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 토션부(160)의 하우징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축(140)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 스프링(161)에 탄성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제 1 하우징(110) 및 제 3 하우징(130)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카드(200)는 외부면에 임의의 도형, 숫자, 글자, 그림, 사진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되고, 내부에는 철판(미도시)이 설치되어 잠금부(150)의 자성체(153)와 자기장에 의한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제 1 내지 제 3 하우징(110 내지 13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제 2 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잠금부(150)의 잠금부 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걸림턱(152)과 체결됨으로써 고정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우징(110 내지 130)이 직렬로 연결된 버스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회전축(140)의 가이드부(142)는 각각 제 1 하우징(110)의 제 1 가이드홈(112)과 제 3 하우징(130)의 제 2 가이드홈(132)으로 삽입되며 제 1 스프링(113)과 제 2 스프링(133)을 각각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한다.
한편,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완구(100)를 주행시켜 상기 완구(100)의 하부에 카드(200)가 위치되면, 도 4와 같이 카드(200)와 잠금부(150)의 자성체(153) 사이에 잠금부 스프링(154)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인력이 발생하여 서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카드(200)는 제 2 하우징(120)의 저면에 밀착되고 자성체(153)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하부로 이동하여 자석부 관통공(123)을 관통하여 카드(200)와 접착하게 된다.
상기 자성체(153)가 이동함에 따라 잠금부 몸체(151)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걸림턱(152)과 분리된다.
상기 걸림턱(152)과,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 사이의 결속력이 사라지면, 제 1 스프링(113)과, 제 2 스프링(133)의 탄성력이 가이드부(142)를 밀어내게 되어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은 각각 제 2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벌어지면 회전축 토션부(160)의 회전축 스프링(161)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120)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저면에 밀착된 카드(2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카드(200)의 바닥면이 상방향으로 노출된다.
(제 2 실시예)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회전축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다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신 자동차 완구(100')는 버스 형상의 완구로서,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과, 제 3 하우징(130)과, 회전축(140')과, 잠금부(150)와, 회전축 토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우징(110, 120, 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완구에 잠금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150) 설치된 임의의 하우징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150)에 카드(200)가 부착되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분리된 제 2 하우징(120)이 상기 회전축(140')의 접철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후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20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는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40')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회전축(140')은 제 2 하우징(120)을 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3 하우징(130)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 몸체(141')와,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와, 제 1 링크 회전축(144')과, 제 1 링크 스프링(145')과, 제 2 링크 회전축(146')과, 제 2 링크 스프링(1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 몸체(141')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제 2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 몸체(1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 몸체(141')는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 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몸체(141')의 외부면에 반경방향으로 회전축 돌기(14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 몸체(141')는 양측 단부에 링크부(143')와 결합하는 회전축 결합홈(141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홈(141b')을 관통하는 회전축 관통공(141c')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에는 링크부(142')와 결합하는 가이드 결합홈(14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결합홈(142a')을 관통하는 가이드 관통공(142b')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2')는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30)이 제 2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링크부(143')는 상기 회전축 몸체(141')와 가이드부(142')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 몸체(141')와 가이드부(142') 사이에 접철되도록 하며, 양측 단부에는 회전축 결합홈(141b')과 가이드 결합홈(142a')과 결합하도록 링크 결합부(143a')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결합부(143a')를 관통하는 링크 관통공(143b')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링크 회전축(144')은 가이드 결합홈(142a')과 링크 결합부(143a')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 관통공(142b')과 링크 관통공(143b')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가 상기 제 1 링크 회전축(14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철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링크 스프링(145')은 제 1 링크 회전축(144')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링크 회전축(146')은 회전축 결합홈(141b')과 링크 결합부(143a')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 관통공(141c')과 링크 관통공(143b')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몸체(141')와 링크부(143')가 상기 제 2 링크 회전축(14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철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링크 스프링(147')은 제 2 링크 회전축(146')에 설치되어 회전축 몸체(141')와 링크부(143')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링크 스프링(147')은 제 1 링크 스프링(145')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스프링(145', 147')에 의한 탄성력으로 회전축 몸체(141')와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가 결과적으로 'Z'자 형상으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제 1 내지 제 3 하우징(110 내지 13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제 2 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잠금부 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걸림턱과 체결됨으로써 고정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우징(110 내지 130)이 직렬로 연결된 버스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회전축(140')의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와 회전축 몸체(141')는 평평하게 배치되어 각각 제 1 하우징(110)의 제 1 가이드홈(112)과 제 3 하우징(130)의 제 2 가이드홈(132)으로 삽입되며 제 1 스프링(113)과 제 2 스프링(133)을 각각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한다.
한편,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완구(100')를 주행시켜 상기 완구(100')의 하부에 카드(200)가 위치되면, 도 8와 같이 카드(200)와 잠금부(150)의 자성체(153) 사이에 잠금부 스프링(154)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인력이 발생하여 서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카드(200)는 제 2 하우징(120)의 저면에 밀착되고 자성체(153)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자석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카드(200)와 접착하게 된다.
상기 자성체(153)가 이동함에 따라 잠금부 몸체(151)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와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는 걸림턱과 분리된다.
상기 걸림턱과,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하우징 결합부(111), 제 3 하우징(130)의 제 3 하우징 결합부(131) 사이의 결속력이 사라지면, 제 1 스프링(113)과, 제 2 스프링(133)의 탄성력이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를 밀어내게 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제 3 하우징(130)에서 각각 밀려난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는 제 1 및 제 2 링크 스프링(145', 147')의 탄성력에 의해 'Z'자 형상으로 접철되어 제 2 하우징(120)은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벌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벌어지면 회전축 토션부(160)의 회전축 스프링(161)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120)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저면에 밀착된 카드(2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카드(200)의 바닥면이 상방향으로 노출된다.
(제 3 실시예)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다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300)는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과, 한 쌍의 제 1 동작부(330)와, 한 쌍의 제 2 동작부(340)와, 잠금부(350)와, 동작부 스프링(360)과, 회전축 토션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우징(3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전측에 회전축(31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제 1 동작부(330)와 결합하는 제 1 결합공(312)과, 제 2 동작부(340)가 결합하는 제 2 결합공(31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32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300)의 전측에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쪽 측벽에는 잠금부(350)의 일부가 관통하는 잠금부 관통공(321)이 설치되고, 저면에는 자석부 관통공(322)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동작부(330)는 일측에 제 1 동작 회전축(331)이 설치되어 제 1 결합공(312)을 통해 제 1 하우징(3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동작 회전축(33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잠금부(350)와 체결되는 잠금부 결합홈(3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동작부(340)는 일측에 제 2 동작 회전축(341)이 설치되어 제 2 결합공(313)을 통해 제 1 하우징93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350)는 제 2 하우징(3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카드(200)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동작부(330)가 상기 제 1 하우징(310)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구성으로서, 잠금부 몸체(351)와, 한 쌍의 지지부(353)와, 지지부 회전축(355)과, 자성체(356)와, 잠금부 스프링(3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 몸체(351)는 저면에 베이스를 형성한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에는 지지부(353)와 결합하기 위한 제 1 관통공(35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53)는 상기 잠금부 몸체(351)로부터 양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제 1 지지부(353a)와 제 2 지지부(35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353a, 353b)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353a, 353b)의 단부에는 잠금부 몸체(351)와 결합하기 위한 제 2 관통공(35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 회전축(355)은 제 1 및 제 2 관통공(352, 354)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351)와 지지부(3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자성체(356)는 상기 잠금부 몸체(3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하우징(320)의 하부에 카드(200)가 위치할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카드(200)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부 몸체(3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 스프링(357)은 잠금부 몸체(3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351)가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잠금부 몸체(351)가 제 1 하우징(310)과 제 1 동작부(33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 스프링(357)은 자성체(353)와 카드(200)의 접착으로 인해 잠금부 몸체(351)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자성체(353)와 카드(200) 사이에 발생한 자기장이 사라지면, 상기 잠금부 몸체(35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도록 복원용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동작부 스프링(360)은 제 1 하우징(310)과 제 1 동작부(3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동작부(330)가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제 1 하우징(310)과 동작부(330)가 90도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 토션부(370)는 일측이 제 2 하우징(320)과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축(311)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 토션부(370)는 내부에 회전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제 1 동작부(330)가 제 1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320)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축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과 같이, 제 1 하우징(310) 및 제 2 하우징(320)의 양쪽으로 제 1 동작부(330)와 제 2 동작부(34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잠금부 몸체(351)는 잠금부 스프링(357)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부 몸체(351)와 지지부 회전축(355)을 통해 결합된 지지부(353)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지지부(353)의 말단은 잠금부 관통공(321)을 관통하여 제 1 동작부(330)의 잠금부 결합홈(332)에 삽입되어 제 2 하우징(320)의 양쪽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동작부(330)로 인해 상기 제 2 하우징(320)은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310, 320)의 양쪽에 제 1 및 제 2 동작부(330, 3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완구(300)가 주행하는 과정에 제 2 하우징(320)의 하부로 카드(200)가 위치하면, 자성체(356)가 인력에 의해 자석부 관통공(322)을 관통하여 카드(200)와 접착하게 된다.
상기 카드(200)와 자성체(356) 사이의 인력으로 인해 제 2 하우징(320)의 저면에 카드(200)가 부착되면, 자성체(356)와 연결된 잠금부 몸체(351)는 상기 카드(2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 회전축(355)을 통해 연결된 지지부(353)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53)가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353)의 말단은 제 2 하우징(320)의 내부로 이동하여 제 1 동작부(330)는 잠금 해제되며, 동작부 스프링(3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 1 동작부(330)는 도 12와 같이 제 1 동작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철된다.
상기 제 1 동작부(330)의 회전 동작으로 인해 제 1 하우징(310)의 전측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이때 제 2 동작부(340)는 제 2 동작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하우징(310)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제 2 하우징(320)은 제 1 동작부(330)의 동작으로 인해 회전을 차단하는 결합이 사라지면, 회전축 토션부(370)는 제 2 하우징(320)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저면에 밀착된 카드(2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카드(200)의 바닥면이 상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완구 110 : 제 1 하우징
111 : 제 1 하우징 결합부 112 : 제 1 가이드홈
113 : 제 1 스프링 114 : 바퀴
120 : 제 2 하우징 121 : 회전축 관통공
122 : 결합부 관통공 123 : 자석부 관통공
130 : 제 3 하우징 131 : 제 3 하우징 결합부
132 : 제 2 가이드홈 133 : 제 2 스프링
134 : 바퀴 140, 140' : 회전축
141, 141' : 회전축 몸체 141a, 141a' : 회전축 돌기
141b' : 회전축 결합홈 141c' : 회전축 관통공
142, 142' : 가이드부 142a' : 가이드 결합홈
142b' : 가이드 관통공 143' : 링크부
143a' : 링크 결합부 143b' : 링크 관통공
144' : 제 1 링크 회전축 145' : 제 1 링크 스프링
146' : 제 2 링크 회전축 147' : 제 2 링크 스프링
150 : 잠금부 151 : 잠금부 몸체
152 : 걸림턱 153 : 자성체
154 : 잠금부 스프링 160 : 회전축 토션부
161 : 회전축 스프링 200 : 카드
300 : 완구 310 : 제 1 하우징
311 : 회전축 312 : 제 1 결합공
313 : 제 2 결합공 320 : 제 2 하우징
321 : 잠금부 관통공 322 : 자석부 관통공
330 : 제 1 동작부 331 : 제 1 동작 회전축
332 : 잠금부 결합홈 340 : 제 2 동작부
341 : 제 2 동작 회전축 350 : 잠금부
351 : 잠금부 몸체 352 : 제 1 관통공
353 : 지지부 354 : 제 2 관통공
355 : 지지부 회전축 356 : 자성체
357 : 잠금부 스프링 360 : 동작부 스프링
370 : 회전축 토션부

Claims (10)

  1. 복수의 하우징(110, 120, 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완구의 임의의 하우징 하부에 잠금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150)가 설치된 하우징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150)에 임의의 카드(200)가 부착되어 잠금 해제되면, 상기 잠금부(150)가 설치된 하우징이 분리되어 상기 잠금부(150)에 부착된 카드(200)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분리된 하우징이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200)의 바닥면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제 1 하우징(110);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2 하우징(120);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3 하우징(130);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이 상기 제 3 하우징(130)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140);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카드(200)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이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150); 및
    상기 제 2 하우징(120)과 회전축(14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토션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110)은 상기 잠금부(150)와 체결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20)이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제 1 하우징 결합부(111);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이 수납되고, 상기 수납된 회전축(140)이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 1 가이드홈(112)에 설치되어 제 1 가이드홈(112)에 수납된 회전축(140)을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하우징(130)은 상기 잠금부(150)와 체결되어 상기 제 3 하우징(130)과 제 2 하우징(120)이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제 3 하우징 결합부(131);
    상기 회전축(140)의 타측이 수납되고, 상기 수납된 회전축(140)이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홈(132);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132)에 설치되어 제 2 가이드홈(132)에 수납된 회전축(140)을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40)은 원통 형상의 회전축 몸체(141); 및
    상기 회전축 몸체(141)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평판 형상의 가이드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50)는 잠금부 몸체(151);
    상기 잠금부 몸체(151)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 1 하우징(110) 및 제 3 하우징(13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턱(152);
    상기 잠금부 몸체(151)의 하부에 설치한 자성체(153); 및
    상기 잠금부 몸체(151)가 임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부 스프링(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7. 변신 자동차 완구로서,
    제 1 하우징(110);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2 하우징(120);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일측에 직렬로 배치한 제 3 하우징(130);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관통하고, 일측이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3 하우징(130)과 접철 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140');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카드(200)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이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중심으로 결합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150); 및
    상기 제 2 하우징(120)과 회전축(14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토션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150)에 임의의 카드(200)가 부착되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하우징(110, 130)과 분리된 제 2 하우징(120)이 상기 회전축(140')의 접철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20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40')은 원통 형상의 회전축 몸체(141');
    상기 회전축 몸체(14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부(142');
    상기 회전축 몸체(141)와 가이드부(142')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한 링크부(143');
    상기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를 연결하는 제 1 링크 회전축(144');
    상기 제 1 링크 회전축(144')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42')와 링크부(143')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링크 스프링(145');
    상기 회전축 몸체(141')와 링크부(143')를 연결하는 제 2 링크 회전축(146'); 및
    상기 제 2 링크 회전축(14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 몸체(141')와 링크부(143')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링크 스프링(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9. 일측에 회전축(311)을 형성한 제 1 하우징(310);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310)의 일측에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제 2 하우징(320);
    상기 제 1 하우징(310)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한 쌍의 제 1 동작부(330);
    상기 제 1 하우징(310)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한 쌍의 제 2 동작부(340);
    상기 제 2 하우징(3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카드(200)의 접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동작부(330)가 상기 제 1 하우징(310)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350);
    상기 제 1 하우징(310)과 제 1 동작부(3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동작부(330)가 임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스프링(360); 및
    상기 제 2 하우징(320)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우징(310)의 회전축(311)에 타측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회전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동작부(330)가 상기 제 1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우징(320)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토션부(37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350)에 카드(200)가 부착되면, 잠금 해제되어 제 1 동작부(330)가 동작하여 상기 제 2 하우징(320)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후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20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350)는 상부에 제 1 관통공(352)을 형성한 잠금부 몸체(351);
    일측에 제 2 관통공(354)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부 몸체(351)로부터 양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지지부(353);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352, 354)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351)와 지지부(3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부 회전축(355);
    상기 잠금부 몸체(351)의 하부에 설치한 자성체(356); 및
    상기 잠금부 몸체(351)가 임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부 스프링(3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
KR1020120090514A 2012-08-20 2012-08-20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40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514A KR101400977B1 (ko) 2012-08-20 2012-08-20 변신 자동차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514A KR101400977B1 (ko) 2012-08-20 2012-08-20 변신 자동차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10A KR20140024110A (ko) 2014-02-28
KR101400977B1 true KR101400977B1 (ko) 2014-05-29

Family

ID=5026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514A KR101400977B1 (ko) 2012-08-20 2012-08-20 변신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19B1 (ko) * 2015-06-12 2016-06-30 최종일 변신 완구
CN110935179A (zh) * 2018-09-21 2020-03-31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变形玩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2763S1 (en) * 2021-01-11 2022-05-24 Yanjun Zhong Toy c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584U (ko) * 1986-08-29 1988-03-12
US6722941B2 (en) 1999-02-12 2004-04-20 Learning Curve International Inc. Toy vehicle magnetic coupler
US20120199040A1 (en) 2009-06-01 2012-08-09 Macbain Jamie Toy car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97615A (ko) * 2012-02-24 2013-09-03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584U (ko) * 1986-08-29 1988-03-12
US6722941B2 (en) 1999-02-12 2004-04-20 Learning Curve International Inc. Toy vehicle magnetic coupler
US20120199040A1 (en) 2009-06-01 2012-08-09 Macbain Jamie Toy car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97615A (ko) * 2012-02-24 2013-09-03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19B1 (ko) * 2015-06-12 2016-06-30 최종일 변신 완구
WO2016200072A1 (ko) * 2015-06-12 2016-12-15 최종일 변신 완구
CN107771098A (zh) * 2015-06-12 2018-03-06 崔锺 变形玩具
CN107771098B (zh) * 2015-06-12 2019-06-04 崔锺一 变形玩具
CN110935179A (zh) * 2018-09-21 2020-03-31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变形玩具
US11123653B2 (en) 2018-09-21 2021-09-21 Choirock Contents Company Co., Ltd. Transformable toy
CN110935179B (zh) * 2018-09-21 2022-09-09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变形玩具
CN115228095A (zh) * 2018-09-21 2022-10-25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变形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10A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05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EP2111777B1 (en) Coupling device for a baby crib frame structure
KR101846078B1 (ko) 합체형 변신완구
KR101527316B1 (ko) 완구용 자동차
KR101859808B1 (ko) 변신 완구
KR101400977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JPWO2009087881A1 (ja) 玩具
KR101605604B1 (ko) 아이템 투척 완구용 자동차
KR101635319B1 (ko) 변신 완구
KR101320403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US20030143921A1 (en) Suspension for running toy and running toy
TWM611338U (zh) 電源適配器及電連接器
KR101563404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20060081959A (ko) 서로 회전하거나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휴대장치 및 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KR101563467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JP2014091496A (ja) 支持装置
JPH10312864A (ja)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5980565B2 (ja) 電子機器用ホールド装置
JP4659997B2 (ja) 収納ケース
JP3207854U (ja) ロッカー装置
JP2009173233A (ja) 容器保持装置
JP2003169959A (ja) ゲーム装置用プレイ・フィールド
CN219980452U (zh) 一种尾插充电装置
CN109847378B (zh) 单体夹吸车及合体车
JP6537041B2 (ja) 車両用ハンドル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