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467B1 -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467B1
KR101563467B1 KR1020150067164A KR20150067164A KR101563467B1 KR 101563467 B1 KR101563467 B1 KR 101563467B1 KR 1020150067164 A KR1020150067164 A KR 1020150067164A KR 20150067164 A KR20150067164 A KR 20150067164A KR 101563467 B1 KR101563467 B1 KR 10156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upper housing
fender
latch
oper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570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최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일 filed Critical 최종일
Priority to KR102015006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4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7/00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 A63H7/02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상기 하부에 부착된 카드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형태를 자동으로 변신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저면에 카드가 접착되어 작동바가 이동하면, 상기 작동바에 연결된 제 1 래치가 잠금 해제되고, 상기 제 1 래치와 치합한 휀더부와 분리되어 상기 저면에 접착된 카드가 노출되도록 동작하는 보닛부와, 상기 보닛부의 양측에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래치가 잠금 해제되면 상부 하우징 몸체를 고정하는 제 2 래치가 잠금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휀더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부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자동차 완구의 변신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IMPROVED TRANSFORM TOY CAR}
본 발명은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완구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상기 하부에 부착된 카드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형태를 자동으로 변신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변신 완구는 로봇 형상 또는 자동차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완구 몸체를 여러 가지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여 로봇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한 것으로 이는 한가지의 완구로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변신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린이용 카드 놀이는 사각 형상의 카드 표면 또는 이면에 놀이용 그림 또는 캐릭터 등이 인쇄되어 있고, 소정의 게임 규칙에 따라 상기 그림 또는 캐릭터가 인쇄된 카드를 뒤집어서 확인으로써 카드 놀이를 진행한다.
이러한 어린이용 카드 놀이는 카드 이용자가 바닥에 카드를 편 후 그 카드를 손으로 뒤집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놀이가 단순하여 어린이의 경우 쉽게 흥미를 잃어 버리고, 카드 표면에 인쇄된 그림을 모으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27305호(발명의 명칭: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에는 차량의 저면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그 부착된 카드의 저면이 보이도록 뒤집어지는 변신 자동차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변신 자동차 완구는 자석 등의 접착부를 구비한 작동바가 하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착부에 카드가 부착되면 작동바의 일측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바의 타측에 일정 길이 연장된 래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판과 분리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변신 자동차 완구는 접착부에 카드가 부착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작동바의 타측에 설치된 래치가 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상기 지지판이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27305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상기 하부에 부착된 카드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형태를 자동으로 변신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면에 카드가 접착되어 작동바가 이동하면, 상기 작동바에 연결된 제 1 래치가 잠금 해제되고, 상기 제 1 래치와 치합한 휀더부와 분리되어 상기 저면에 접착된 카드가 노출되도록 동작하는 보닛부와, 상기 보닛부의 양측에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래치가 잠금 해제되면 상부 하우징 몸체를 고정하는 제 2 래치가 잠금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휀더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부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닛부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보닛 힌지를 형성한 상부 보닛부; 상기 상부 보닛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작동바 설치홈이 돌출된 하부 보닛부; 상기 작동바 설치홈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휀더부와 치합하는 제 1 래치를 형성한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드가 접착되면 상기 작동바를 이동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작동바와 하부 보닛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가 이동하면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동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휀더부는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휀더 결합 힌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휀더부는 휀더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휀더부가 하부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휀더 힌지; 상기 휀더부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작동바와 치합하는 휀더 잠금홈; 및 상기 휀더 힌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 몸체와 치합하는 제 2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가 하부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 제 1 힌지;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래치와 치합하는 상부 하우징 잠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는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가 보닛부와 분리되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의 내측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하부에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자동차 완구의 변신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작동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변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작동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는
자동차(10)와 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차(10)의 저면에 상기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자동차(10)의 몸체 일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자동차(10)의 일부를 직립시키거나 또는 전부를 전복시켜서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자동차(10)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20)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임의의 캐릭터 또는 게임 정보 등이 인쇄된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자성체 또는 금속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0)은 복수의 보닛부(120, 130)가 하부 하우징(200)의 잠금 해제 수단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대략 "V" 자 형태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며, 상부 몸체부(110)와, 제 1 보닛부(120)와, 제 2 보닛부(130)와, 복수의 바퀴부(140)와, 보닛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10)는 차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가 보닛 회전축(16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상부 몸체 힌지부(111, 112)와, 상기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가 잠금 해제되어 자동차(10)의 양쪽으로 벌어지면 노출되는 내부 몸체부(113)와, 상기 내부 몸체부(113)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가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작동바(250)의 보닛 래치(255)가 관통하는 잠금부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닛부(120)는 상부 몸체부(1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상부 몸체 힌지부(112)에 보닛 회전축(160)과 보닛 토션 스프링(17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250)의 보닛 래치(255)와 치합되는 보닛 잠금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보닛 잠금부(121)는 제 1 보닛부(12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닛 래치(254)와 치합하여 상기 제 1 보닛부(12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보닛 래치(255)가 예를 들면 상부 몸체부(11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보닛 토션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보닛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부 몸체부(110)의 바깥쪽으로 벌어진다.
상기 제 2 보닛부(130)는 상부 몸체부(110)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상부 몸체 힌지부(111)에 보닛 회전축(160)과 보닛 토션 스프링(17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250)의 보닛 래치(255)와 치합되는 보닛 잠금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보닛 잠금부(131)는 제 2 보닛부(13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닛 래치(255)와 치합하여 상기 제 2 보닛부(1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보닛 래치(255)가 예를 들면 상부 몸체부(11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보닛 토션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보닛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보닛부(1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벌어진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는 작동바(250)의 보닛 래치(255)에 의해 잠금 상태에서 하나의 구성을 유지하고, 잠금 해제가 되면 2개로 분리된다.
상기 바퀴(140)는 상부 몸체부(110)에 바퀴 회전축(150)을 통해 결합되어 아이들이 자동차(10)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닛 토션 스프링(170)은 보닛 회전축(16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부 몸체부(110)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하며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0)은 상부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카드(20)가 부착되면 작동바(250)가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여 하부 몸체부(2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220)이 상기 하부 몸체부(21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면을 가압함으로써, 주행중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10)이 직립되거나 또는 전복되도록 하며, 하부 몸체부(210)와, 지지판(220)과, 지지판 토션 스프링(240)과, 작동바(250)와, 접착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부(210)는 일측에 지지판(220)이 수납되는 수납홈과, 하부 몸체부(21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되어 관통공(211')에 삽입된 지지판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지지판(22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힌지부(211)와, 지지판 회전축(230)에 설치된 지지판 토션 스프링(240)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상부 토션 스프링 삽입홈(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부(210)는 타측에 작동바(250)가 설치되도록 한 쌍의 작동바 지지부(212)가 설치되고, 카드(20)와 접착부(260)가 직접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몸체부(210)를 관통하는 하부 몸체 관통공(213)이 설치될 수 도 있으며, 상기 작동바 지지부(2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작동바 가이드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20)은 하부 몸체부(2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판 힌지부(221)가 상기 하부 몸체부(210)의 하부 몸체 힌지부(211)와 지지판 회전축(23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지판 토션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판(220)이 바닥면(30)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자동차(10)의 전면부터 들어 올려지면서 직립되도록 하거나 또는 자동차(10) 전체가 전복되도록 한다.
또한,상기 지지판(220)은 하부 토션 스프링 삽입홈(222)을 형성하여 지지판 회전축(230)에 설치된 지지판 토션 스프링(240)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 토션 스프링(240)의 타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20)은 타측 선단에 지지판 잠금홈(223)이 형성되어 작동바(250)에 의한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작동바(250)의 슬라이드 래치(252)와 치합된다.
상기 작동바(250)는 하부 몸체부(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드(20)가 접착부(260)에 접착되면 이동하여 지지판(220) 및 상부 하우징(100)의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가 잠금 해제되도록 동작하며, 작동바 몸체(251)와, 슬라이드 래치(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바 몸체(251)는 하부 몸체부(210)의 작동바 지지부(2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작동바 가이드 관통공(21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작동바 가이드(253)와, 작동바 몸체 경사부(254)와, 보닛 래치(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바 가이드(253)는 작동바 몸체(25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작동바 가이드 관통공(212')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바 몸체(251)가 작동바 지지부(212)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작동바 몸체 경사부(254)는 작동바 몸체(251)의 양쪽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 몸체(25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 래치(252)와 치합하여 상기 슬라이드 래치(25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래치(252)와 맞닿는 부분에는 경사면(254a)이 형성된다.
상기 보닛 래치(255)는 작동바 몸체(251)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작동바 몸체(251)의 이동에 따라 상부 하우징(100)의 몸체 일부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내부 몸체부(113)의 잠금부 관통공(114)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보닛부(120, 1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래치(252)는 일측은 작동바 몸체(251)와 치합하고, 타측은 지지판(220)의 지지판 잠금홈(223)과 치합하며, 상기 작동바 몸체(251)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220)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슬라이드 래치 경사부(256)와, 슬라이드 래치 몸체부(257)와 슬라이드 스프링(2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래치 경사부(256)는 슬라이드 래치(252)의 일측에 한 쌍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 몸체(251)와 치합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바 몸체(251)의 작동바 몸체 경사부(254)와 밀착하여 상부에는 경사면(256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래치 몸체부(257)는 슬라이드 래치 경사부(256)의 타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말단부에는 지지판 잠금홈(223)에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지지판(220)이 잠금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래치 몸체부(257)의 말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 래치 몸체부(257)가 지지판 잠금홈(223)으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판 잠금홈(223)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258)은 슬라이드 래치 몸체부(257)와 작동바 지지부(2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래치(252)가 작동바 몸체(251)의 일측에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작동바 몸체(25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래치(252)가 예를 들면 도면 4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 스프링(258)은 압축되고, 상기 작동바 몸체(251)에 하방향으로 발생하던 힘이 사라지면, 상기 슬라이드 스프링(258)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래치(252)가 도면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되며, 상기 작동바 몸체(251)도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되게 한다.
상기 접착부(260)는 작동바(250)의 저면에 설치되어 카드(20)와 접착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자석이고, 상기 카드(20)에 설치된 자성체 또는 금속체와 자기장을 통해 접착하여 상기 작동바(25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10)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도 5(a)와 같이 카드(20)의 상면을 지나가면, 자동차(10)의 하부에 설치된 접착부(260)가 카드(20)와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260)는 자석이고, 상기 카드(20)의 내부에는 자성체나 또는 금속판이 설치되어 상기 접착부(260)의 자기장에 의한 인력으로 인해 서로 부착하게 되며, 상기 카드(20)와 접착부(260)의 부착으로 인해 상기 작동바 몸체(251)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바 몸체(251)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래치(252)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판(2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슬라이드 래치(252)가 이동하여 지지판(220)이 잠금 해제되면, 도 5(b), 도 5(c)와 같이 자동차(10)의 하부로부터 분리되어 바닥면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20)와 접착부(260)가 부착하여 작동바(250)에 의한 지지판(220)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작동바 몸체(251)의 상부에 설치된 보닛 래치(255)는 상기 작동바 몸체(251)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보닛 잠금부(121, 131)와의 치합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제 1 보닛부(120)와 제 2 보닛부(130)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 5(b), 도 5(c)와 같이 양쪽으로 분리되어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220)이 바닥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판 토션 스프링(240)에 의해 도 5(d)와 같이 지지판(220)이 대략 90도 회동하면 자동차(10)가 직립된 상태가 되고, 상기 지지판(220)이 90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도 5(e)와 같이 자동차(10)가 완전히 전복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10)가 직립된 상태에서는 자동차(10)의 전면에 있는 사용자만 카드(2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동차(10)가 전복된 상태는 모든 사람이 카드(2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립된 자동차(10) 또는 전복된 자동차(10)로부터 카드(20)를 제거하면 상기 카드(20)와 접착부(260) 사이에 발생하던 자기장이 사라지고, 슬라이드 스프링(258)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래치(252)가 원위치되며, 상기 작동바 몸체(251)도 원위치 된다.
이때 지지판(220)을 원위치시켜 슬라이드 래치(252)와 치합하여 잠금 상태가되도록 하고, 제 1 및 제 2 보닛부(120, 130)를 원위치시켜 보닛 래치(255)와 치합하여 잠금 상태로 원위치시켜 처음의 자동차 형상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동바(250)가 지지판(2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여 자동차 형상의 제 1 형상에서 임의의 제 2 형상으로 쉽게 변신할 수 있게 되고, 변신된 제 2 형상에서 제 1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변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는 자동차(10')와 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차(10')의 저면에 상기 카드(20)가 부착되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자동차(10)의 몸체 일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자동차(10)의 일부를 직립시키거나 또는 제 2 형상으로 변신하여 상기 부착된 카드(20)의 바닥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20)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임의의 캐릭터 또는 게임 정보 등이 인쇄된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자성체 또는 금속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0)은 보닛부(310)와, 복수의 휀더부(320, 320')와, 상부 하우징 몸체(330)와, 보조 하우징(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닛부(310)는 저면에 카드(20)가 접착되면, 하부 하우징(40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착된 카드(20)의 저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보닛부(311)와, 하부 보닛부(312)와, 작동바(314)와, 접착부(315)와, 작동바 스프링(3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보닛부(310)는 저면에 카드(20)가 접착되면 제 1 래치(314')와 치합된 휀더부(320, 320')가 잠금 해제되고, 상기 휀더부(320, 320')가 잠금 해제됨에 따라 제 2 래치(323)를 통해 치합된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보닛부(310)에서 분리되면, 상기 보닛부(310)는 하부 하우징(40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저면에 접착된 카드(20)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제 2 형상으로 변형된다.
상기 상부 보닛부(311)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부재로서, 일측에는 보닛 힌지(311')를 형성하여 하부 하우징(400)과 보닛 회전축(311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보닛부(311)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상부 보닛부(311)와 하부 하우징(40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닛 스프링(311b)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보닛부(311)는 양측면에는 제 1 래치 관통공(311")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 보닛부(31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바(314)의 제 1 래치(314')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보닛부(312)는 상부 보닛부(311)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 보닛부(312)의 상면에는 작동바 설치홈(313)이 돌출되어 작동바(314)가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바(314)가 작동바 설치홈(3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작동바(314)는 작동바 설치홈(313)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양측 단부가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 1 래치(31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래치(314')는 휀더부(320, 320')와 치합하거나 또는 분리되어 상기 휀더부(320, 320')가 보닛부(310)의 양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휀더부(320, 320')가 상기 보닛부(310)로부터 분리되는 잠금 해제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315)는 작동바(3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드(20)가 접착되면 상기 작동바(314)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자석이고, 상기 카드(20)에 설치된 자성체 또는 금속체와 자기장을 통해 접착하여 상기 작동바(314)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 스프링(316)은 작동바(314)와 하부 보닛부(3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314)가 접착부(315)와 카드(20)의 접착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된 후, 상기 카드(20)와 접착부(315)가 분리되면 상기 작동바(31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휀더부(320, 320')는 제 1 휀더부(320)와, 제 2 휀더부(320')로 구성되고, 보닛부(3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부 하우징(400)의 제 1 휀더 결합 힌지(430)와, 제 2 휀더 결합 힌지(431)를 통해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휀더 힌지(321)와, 휀더 잠금홈(322)과, 제 2 래치(323)와, 앞바퀴(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휀더 힌지(321)는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몸체 일측에 각각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가 하부 하우징(400)의 제 1 휀더 결합 힌지(430)와 제 2 휀더 결합 힌지(431)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가 보닛부(31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휀더 잠금홈(322)은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몸체 타측에 설치된 홈부로서, 작동바(314)의 제 1 래치(314')와 치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가 보닛부(31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래치(323)는 휀더 힌지(321)의 일측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상부 하우징 잠금홈(332)과 치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보닛부(31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가 보닛부(31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지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는 회전 가능하게 앞바퀴(324)가 앞바퀴 회전축(325)을 통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돔 형상의 부재로서, 작동바(314)의 동작과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동작에 따라 보닛부(310)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보닛부(310)와 분리되고, 상부 하우징 제 1 힌지(331)와, 상부 하우징 잠금홈(332)과, 상부 하우징 제 2 힌지(333)와, 보조 하우징(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 제 1 힌지(331)는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400)에 형성된 상부 하우징 결합 힌지(440)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하부 하우징(40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홈(332)은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제 2 래치(323)와 치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보닛부(31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 제 2 힌지(333)는 상부 하우징 잠금홈(332)의 일측에 설치되어 보조 하우징(340)이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보조 하우징(340)은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분리되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기 보조 하우징(340) 몸체의 일측에는 보조 하우징 힌지(341)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하우징 힌지(341)는 상부 하우징 제 2 힌지(333)와 보조 하우징 회전축(3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잠금 해제되어 분리되면, 상기 보조 하우징(340)이 상기 보조 하우징 회전축(34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하우징 스프링(343)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400)은 상부 하우징(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닛부(310)와,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와,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판 형상의 하부 하우징 몸체(410)와, 보닛 결합 힌지(420)와, 제 1 휀더 결합 힌지(430)와, 제 2 휀더 결합 힌지(431)와, 상부 하우징 결합 힌지(440)와, 뒷바퀴(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닛 결합 힌지(420)는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설치되어 상부 보닛부(311)에 형성된 보닛 힌지(311')와 보닛 회전축(311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보닛부(311)의 회전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휀더 결합 힌지(430)는 하부 하우징 몸체(410)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제 1 휀더부(320)의 휀더 힌지(321)와 휀더 회전축(432)을 통해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휀더부(320)의 잠금 해제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휀더 결합 힌지(430)는 제 1 휀더부(320)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 1 휀더부(320)가 휀더 회전축(43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휀더 스프링(4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휀더 결합 힌지(431)는 제 1 휀더 결합 힌지(431)와 평행하게 하부 하우징 몸체(410)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제 2 휀더부(320')의 휀더 힌지(321)와 휀더 회전축(432)을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휀더부(320')의 잠금 해제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휀더 결합 힌지(431)는 제 2 휀더부(320')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 2 휀더부(320')가 휀더 회전축(43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휀더 스프링(4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 결합 힌지(440)는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상부 하우징 제 1 힌지(331)와, 상부 하우징 회전축(441)을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잠금 해제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 결합 힌지(440)는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상부 하우징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부 하우징 스프링(4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뒷바퀴(450)는 하부 하우징 몸체(410)에 설치되어 자동차(10')가 주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의 제 2 실시예 동작 과정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자동차(10')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카드(20)의 상면을 지나가면, 도 8과 같이 자동차(10')의 보닛부(310)에 설치된 접착부(315)가 카드(20)와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315)는 자석이고, 상기 카드(20)의 내부에는 자성체나 또는 금속판이 설치되어 상기 접착부(315)의 자기장에 의한 인력으로 인해 서로 부착하게 되며, 상기 카드(20)와 접착부(315)의 부착으로 인해 작동바(314)는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작동바 스프링(316)은 압축되고, 제 1 래치(314')는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휀더 잠금홈(322)과 분리되어 잠금 해제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가 잠금 해제되면, 도 9와 같이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는 각각 제 1 및 제 2 휀더 결합 힌지(430, 43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며 벌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잠금 해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의 제 2 래치(323)는 상부 하우징 몸체(330)와 분리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도 잠금 해제된다.
상기 제 1 래치(314')와 제 2 래치(323)가 잠금 해제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던 보닛부(310)는 보닛 스프링(311b)의 탄성력에 의해 보닛 회전축(311a)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저면에 카드(20)가 부착된 상태로 기립되고, 상부 하우징 몸체(330)는 상부 하우징 스프링(44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하우징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10과 같이 분리되어 펼쳐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내부에 내재된 보조 하우징(340)은 보조 하우징 스프링(34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 하우징 회전축(34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로부터 분리되어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제 2 형상으로 변신한 자동차(10')는 보닛부(310)가 직립된 상태에서, 카드(20)의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형상으로 변신한 자동차(10')에서 카드(20)를 제거하면 상기 카드(20)와 접착부(315) 사이에 발생하던 자기장이 사라지고, 압축된 작동바 스프링(316)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바(314)와 제 1 래치(314')는 원위치 된다.
상기 작동바(314)와 제 1 래치(314')가 원위치된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의 보조 하우징(340)을 상부 하우징 몸체(330)에 수납시키고, 상기 보조 하우징(340)이 수납된 상부 하우징 몸체(330)를 상부 하우징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위치시킨다.
또한, 기립된 보닛부(310)를 보닛 회전축(311a)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원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쪽으로 벌어진 제 1 및 제 2 휀더부(320, 320')를 제 1 및 제 2 휀더 결합 힌지(430, 4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켜 제 1 래치(314')는 휀더 잠금홈(322)과 치합되도록 하고, 제 2 래치(323)는 상부 하우징 잠금홈(332)과 치합시켜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여 처음의 자동차 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 10' : 자동차 20 : 카드
100 : 상부 하우징 110 : 상부 몸체부
111 : 상부 몸체 힌지부 112 : 상부 몸체 힌지부
113 : 내부 몸체부 114 : 잠금부 관통공
120 : 제 1 보닛부 121 : 보닛 잠금부
130 : 제 2 보닛부 131 : 보닛 잠금부
140 : 바퀴부 150 : 바퀴 회전축
160 : 보닛 회전축 170 : 보닛 토션 스프링
200 : 하부 하우징 210 : 하부 몸체부
211 : 하부 몸체 힌지부 211' : 관통공
212 : 작동바 지지부 213 : 하부 몸체 관통공
220 : 지지판 221 : 지지판 힌지부
222 : 하부 토션 스프링 삽입홈 223 : 지지판 잠금홈
230 : 지지판 회전축 240 : 지지판 토션 스프링
250 : 작동바 251 : 작동바 몸체
252 : 슬라이드 래치 253 : 작동바 가이드
254 : 작동바 몸체 경사부 255 : 보닛 래치
256 : 슬라이드 래치 경사부 257 : 슬라이드 래치 몸체부
258 : 슬라이드 스프링 260 : 접착부
300 : 상부 하우징 310 : 보닛부
311 : 상부 보닛부 311' : 보닛 힌지
311" : 제 1 래치 관통공 311a : 보닛 회전축
311b : 보닛 스프링 312 : 하부 보닛부
313 : 작동바 설치홈 314 : 작동바
314' : 제 1 래치 315 : 접착부
316 : 작동바 스프링 320 : 제 1 휀더부
320' : 제 2 휀더부 321 : 휀더 힌지
322 : 휀더 잠금홈 323 : 제 2 래치
324 : 앞바퀴 325 : 앞바퀴 회전축
330 : 상부 하우징 몸체 331 : 상부 하우징 제 1 힌지
332 : 상부 하우징 잠금홈 333 : 상부 하우징 제 2 힌지
340 : 보조 하우징 341 : 보조 하우징 힌지
342 : 보조 하우징 회전축 343 : 보조 하우징 스프링
400 : 하부 하우징 410 : 하부 하우징 몸체
420 : 보닛 결합 힌지 430 : 제 1 휀더 결합 힌지
431 : 제 2 휀더 결합 힌지 432 : 휀더 회전축
433 : 휀더 스프링 440 : 상부 하우징 결합 힌지
441 : 상부 하우징 회전축 442 : 상부 하우징 스프링
450 : 뒷바퀴

Claims (6)

  1. 저면에 카드(20)가 접착되어 작동바(314)가 이동하면, 상기 작동바(314)에 연결된 제 1 래치(314')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저면에 접착된 카드(20)가 노출되도록 동작하는 보닛부(310)와, 상기 보닛부(310)의 양측에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래치(314')가 잠금 해제되면 상부 하우징 몸체(330)를 고정하는 제 2 래치(323)가 잠금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휀더부(320, 320')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30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부(310)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부(31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보닛 힌지(311')를 형성한 상부 보닛부(311);
    상기 상부 보닛부(3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작동바 설치홈(313)이 돌출된 하부 보닛부(312);
    상기 작동바 설치홈(313)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휀더부(320, 320')와 치합하는 제 1 래치(314')를 형성한 작동바(314);
    상기 작동바(3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드(20)가 접착되면 상기 작동바(314)를 이동시키는 접착부(315); 및
    상기 작동바(314)와 하부 보닛부(3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314)가 이동하면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동바 스프링(3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휀더부(320, 320')는 하부 하우징(400)에 설치된 휀더 결합 힌지(430, 4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휀더부(320, 320')는 휀더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휀더부(320, 320')가 하부 하우징(40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휀더 힌지(321);
    상기 휀더부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작동바(314)와 치합하는 휀더 잠금홈(322); 및
    상기 휀더 힌지(3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 몸체(330)와 치합하는 제 2 래치(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는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보닛부(310)와 분리되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내측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가 하부 하우징(40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 제 1 힌지(331);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몸체(3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래치(323)와 치합하는 상부 하우징 잠금홈(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1020150067164A 2015-05-14 2015-05-14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56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164A KR101563467B1 (ko) 2015-05-14 2015-05-14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164A KR101563467B1 (ko) 2015-05-14 2015-05-14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589A Division KR101563404B1 (ko) 2013-12-13 2013-12-13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70A KR20150069570A (ko) 2015-06-23
KR101563467B1 true KR101563467B1 (ko) 2015-11-02

Family

ID=5351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164A KR101563467B1 (ko) 2015-05-14 2015-05-14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50B1 (ko) * 2015-07-10 2016-11-18 최종일 변신완구
CN107537160B (zh) 2016-06-27 2023-04-2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二次夹币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521A (ja) 2008-02-14 2009-08-27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521A (ja) 2008-02-14 2009-08-27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70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05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563404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605604B1 (ko) 아이템 투척 완구용 자동차
KR101880988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859808B1 (ko) 변신 완구
KR101846078B1 (ko) 합체형 변신완구
KR101635319B1 (ko) 변신 완구
KR101563467B1 (ko)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KR20170090876A (ko) 발사체를 구비한 변신 완구
CN115228095A (zh) 变形玩具
US6468128B1 (en) Collapsible car
KR101890654B1 (ko) 변신 자동차 완구
JP4920773B2 (ja) 車両玩具
KR102164238B1 (ko) 완구용 변신자동차
KR20140024110A (ko) 변신 자동차 완구
KR101677850B1 (ko) 변신완구
KR102231701B1 (ko) 폴더블 완구
KR102105254B1 (ko) 변신완구
JP2020130435A (ja) 形態変化玩具
KR20180086775A (ko) 변신 자동차 완구
CN110251972A (zh) 承台玩具体
JPS5921827Y2 (ja) 装甲車玩具
JPS62183787A (ja) 合体による形態変化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