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623A - 직화구이기 - Google Patents

직화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623A
KR20110094623A KR1020100014159A KR20100014159A KR20110094623A KR 20110094623 A KR20110094623 A KR 20110094623A KR 1020100014159 A KR1020100014159 A KR 1020100014159A KR 20100014159 A KR20100014159 A KR 20100014159A KR 20110094623 A KR20110094623 A KR 2011009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rner
lid
main bod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111B1 (ko
Inventor
이정직
Original Assignee
이정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직 filed Critical 이정직
Priority to KR102010001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1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화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몸체의 융기부를 통해 진입된 화기가 겅그레와 뚜껑에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고른 열 분포로 음식물 조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섭취 식감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에 물을 담수할 수 있는 담수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융기부가 형성되며 외주벽에 겅그레 및 뚜껑안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되고 구이물을 올려놓는 겅그레 및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직화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연에는 직화열이 상기 본체와 뚜껑사이를 순화하면서 구이물을 익히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화구이기{A direct heating Roast pot}
본 발명은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화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몸체의 융기부를 통해 진입된 화기가 겅그레와 뚜껑에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고른 열 분포로 음식물 조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섭취 식감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구이란 직접적인 화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사용하는 조리용구를 직화구이용 조리기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직화구이용 조리기에는 석쇠 또는 그릴이 주를 이루며, 꼬챙이도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직화구이는 직화로 음식물의 표면을 급격하게 익힘으로써, 음식물이 가지는 고유의 즙, 향 등이 외부로 배출됨이 차단되어 음식물의 섭취 식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특히 육류나 어류와 같이 자체 지방을 가지는 음식물 조리에서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이러한 직화구이의 장점은 간접화기에서는 얻을 수 없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화구이는 직화로 음식물의 표면을 익힐 때 발생하는 냄새, 연기 및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즙 등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주변이 개방되지 않은 장소 즉, 건물 내부나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거밀집 실내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의 직화구이의 단점을 해결하고 실내에서 직화구이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직화구이기(또는 '직화구이 냄비' , '직화조리기', ;직화구이팬', 이하 '직화구이기'라 한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의 직화구이기는 중앙에 화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화기공을 가지는 융기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안착되고 음식물이 얹혀지는 겅그레, 및 상기 몸체를 덮고 손잡이가 구성된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직화구이기 일 예를 보면, 도 1은 종래의 직화구이기 단면도로서,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404681호(명칭: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로, 상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화기홀(22)이 천공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조리공간(11)을 형성하며, 상기 화기홀(22)이 천공된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1)가 마련되되 상기 플랜지(21)의 하면에 띠 형태로 요홈(24)이 형성된 내부본체(20)와; 저면 중앙에는 화기 입구(31)가 천공되고 상기 내부본체(20)의 외곽을 이격되게 감싸 화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유도로(12)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본체(20)의 플랜지(21) 하면에 당접하도록 외향플랜지 형태의 결합부(32)가 마련되되 상기 요홈(2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32)의 가장자리에 걸림턱(33)이 형성된 외부본체(30)와; 상기 외부본체(30)의 결합부(32)를 상기 내부본체(20)의 플랜지(21) 하면에 밀착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내부본체(20) 플랜지(2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어 상기 내부본체(20)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화기가 상기 외부본체(30)의 화기입구(31)를 통해 내부본체(20)의 화기홀로 진입되어 상기 내부본체(20)와 뚜껑(40) 채워짐에 따라 내부본체(20)에 안착된 음식물을 익히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화구이기는 외부본체(30) 및 뚜껑(40)이 밀폐된 구조로 되어있으나, 어디에도 화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화기가 상기 외부본체(30)의 화기입구(31)를 통해 내부본체(20)의 화기홀로 진입되어 상기 내부본체(20)와 뚜껑(40)에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내부본체(20)와 뚜껑(40) 사이의 압력으로 인해 화기의 진입을 차단시킴과 함께 버너의 화기가 버너와 외부본체(30) 사이 공간으로 배출됨에 따라 열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내부본체(20)와 뚜껑(40) 사이의 압력상승으로 상기 내부본체(20)에 안착된 음식물이 직화의 화기로 익혀지는 것이 아니라, 간접 구이와 같은 간접열에 의해 익혀짐에 따라 음식물의 익힘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과 함께 직화구이의 본래의 섭취 식감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직화구이기의 본체에 다수의 배기공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융기부 높이에 못 미치도록 물을 채운 본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겅그레를 올려놓고 뚜껑을 덮은 후 버너에서 화기가 상기 본체의 융기부를 통해 제공되면, 화기는 상기 겅그레의 통공과 뚜껑 사이에 전달되면서 상기 겅그레에 안착된 음식물을 익히게 되고, 또한 화기는 겅그레와 뚜껑 사이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화기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배기공으로 자연 배출됨에 따라 상술된 종래와 같이 본채와 뚜껑 사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익힘시간의 지연을 방지하면서 직화로 음식물의 익힘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에 물을 채우는 것은 가열되는 음식물에서 발생한 기름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본체의 바닥면에 수집될 때 화기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하고, 가열된 직화구이기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물의 가열로 발생하는 수증기가 음식물에 빠져나가는 수분을 보충해줘 과도한 가열로 인한 음식물의 건조를 예방하여 섭취 식감을 보존하도록 하는 여러가지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본체에 배기공이 형성된 구조의 직화구이기는 불필요하게 상기 본체의 높이가 높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융기부의 높이만큼 물을 채울 수 있으므로, 종래의 배기공은 상기 융기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결국, 상기 본체의 높이는 융기부 높이와 배기공의 형성 높이를 더한 높이로 형성되었다.
또한, 이러한 본체의 높이는 버너에 올려놓았을 때 과도한 높이로 인해 직화구이기의 안정감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겅그레의 하방에 배기공이 형성됨에 따라 물의 가열로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겅그레에 안착된 음식물에 미치지 못하고 본채의 배기공으로 배출됨에 따른 상기 음식물에 수분을 보충하는 효과를 상실시켜, 장시간 조리할 경우 수분증발로 인해 음식물의 식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가정에서 화기로 주로 사용되는 가스레인지와 휴대용 버너의 경우 버너와 용기 사이를 지지하는 받침대(또는 '삼발이'라고도 함)의 크기 및 모양이 상이하여, 상기 받침대에 올려놓는 직화구이기의 안정적인 지지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작은 충격에도 상기 받침대에 올려진 직화구이기가 떨어져 2차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뚜껑에는 화기를 음식물이 얹혀진 겅그레로 유도하기 위한 화기유도판이 고정 설치되어 있어, 화기의 원활한 유도로 인해 음식물의 익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상기 화기유도판은 불특정인 해체하지 못하도록 제작 당시부터 뚜껑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직화구이기의 사용 후 세척시 상기 뚜껑의 화기유도판이 고정된 부위의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청결한 구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위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화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몸체의 융기부를 통해 진입된 화기가 겅그레와 뚜껑에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고른 열 분포로 음식물 조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섭취 식감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너의 받침대의 형상에 맞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휴대용 화기집중부를 더 구성하여, 직화구이기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 중 취급 부주의에 의해 2차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화구이기는 바닥에 물을 담수할 수 있는 담수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융기부가 형성되며 외주벽에 겅그레 및 뚜껑안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되고 구이물을 올려놓는 겅그레 및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직화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연에는 직화열이 상기 본체와 뚜껑사이를 순화하면서 구이물을 익히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화구이기에는 휴대용버너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버너와 직화구이기 사이에 마련되어 화기를 상기 직화구이기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며 상방에 제3융기부가 형성되고 하방에는 휴대용버너의 받침대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휴대용화기집중부;를 더 포함하고, 휴대용화기집중부의 하방은 바람에 의해 휴대용버너의 화기가 유실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휴대용버너의 받침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뚜껑에는 본체의 내부를 투시하여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를 더 포함하고, 투시부는 투명하면 강화유리로 형성된 유리와; 상기 유리의 중앙에 마련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볼트; 상기 뚜껑의 내측에 마련되고 중앙이 상기 체결볼트에 삽입되는 화기유도판; 및 상기 체결볼트의 끝단 체결 고정되어 상기 화기유도판을 고정하며 필요에 따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투시부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유리, 또는 투시부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유리이며; 상기 겅그레의 제2융기부에 하방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방에는 화기를 배출하도록 복수의 화기배출공이 형성된 보조화기분기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뚜껑안착부는 뚜껑에 형성된 배기공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직화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몸체의 융기부를 통해 진입된 화기가 겅그레와 뚜껑에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고른 열 분포로 음식물 조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의 섭취 식감을 향상시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버너의 받침대의 형상에 맞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휴대용 화기집중부를 더 구성하여, 직화구이기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 중 취급 부주의에 의해 2차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화구이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복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기유도판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겅그레의 통공 위치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겅그레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화기집중부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화기집중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조화기분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보조화기분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복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기유도판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겅그레의 통공 위치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겅그레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직화구이기(100)는 제1융기부(112)가 중앙에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단에 구이물을 올려놓는 겅그레(120), 및 상기 본체(110)의 상단을 덮는 뚜껑(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중앙에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고 중앙에 화기가 배출할 수 있는 화기공이 형성된 제1융기부(112)와, 상기 융기부(112)와 외주벽 사이의 공간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담수공간(114)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벽 상단에는 겅그레(120) 및 뚜껑(130)이 각각 안착되는 겅그레 및 뚜껑안착부(116)(118)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버너나 가스레인지에 마련된 받침대에 안착시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부(1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겅그레(120)는 상기 본체(110)의 겅그레안착부(116)에 안착되어 상단에 구이물을 올려놓고 구이물을 직화로 익혀지도록 구이물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겅그레(120)는 중앙에 화기가 올라올 수 있도록 화기공이 형성된 일정높이를 가지는 제2융기부(122), 및 상기 제2융기부(122)의 주변으로 다수의 통공(1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겅그레(120)는 도 6과 같이 제2융기부(122)에서 끝단으로 갈 수록 하향되는 기울기(b), 및 끝단부에서 상기 제2융기부(122)쪽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기울기(a)로 형성되며, 상기 하향되는 기울기(a)(b) 사이에 다수의 통공(124)이 형성되어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이 본체(110)로 수집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공(124)은 본체(110)의 제1융기부(112)와 외주벽 사이의 공간(S)에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기 통공(124)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 본체(110)의 담수공간(114)에 담수된 물에 낙하되지 않고 가령, 직화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제1융기부(112)에 낙하되어 기름이 타고 이로 인한 연기가 발생됨을 방지하기 것이고, 또한 이물질 등이 상기 제1융기부(112)의 화기공으로 낙하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뚜껑(130)은 본체(110)의 상단을 커버하여 직화로 구이물을 구울 때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작화열을 순환시켜 구이물의 원활한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뚜껑(130)은 하방이 개방되고 상방은 돔 형태로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투시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어느 일측에는 손잡이(140)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뚜껑(130)의 하방에는 직화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본체(110)와 뚜껑(130) 사이의 압력상승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배기공(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130)의 다수의 배기공(134)은 조리시 본체(110)에 담수된 물이 가열에 의해 증발하는 수증기가 겅그레(120)의 통공(124)을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겅그레(120)에 얹혀진 구이물에 접촉되어 상기 가열로 인해 건조되는 구이물에 수분을 공급해줘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구이물의 수분보충은 본 발명과 같이 구이물의 상방에 배기공이 형성될 경우에 작용하는 효과로써, 종래와 같이 겅그레의 하방 즉, 본체에 배기공이 형성될 경우, 가열로 인해 증발하는 수증기가 구이물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투시부(132)는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투명의 유리(1322)와, 상기 유리(1322)의 체결공을 통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볼트(1324)와, 상기 투시부(132)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볼트(1324)에 일단이 삽입되는 화기유도판(1326), 및 상기 체결볼트(1324)에 체결되어 상기 화기유도판(1326)을 체결 고정시키는 나비너트(1328)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투시부(132)의 유리(1322)는 강화유리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기유도판(1326)은 제1 및 제2융기부(112)(122) 및 통공(124)을 통해 상승하는 직화열을 겅그레(120) 측으로 순환시키도록 화기를 유도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화기유도판(1326)에 의해 투시부(132)에 마련된 유리(1322)에는 직화열의 전도가 쉽게 일어나지않으므로, 상기 유리(1322)는 내열유리보다 내열성이 약하나 강도를 유지하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나비너트(1328)는 체결볼트(1324)에 체결되어 화기유도판(1326)을 고정하는 수단이며, 특히 직화구이기(100)의 사용 후 세척할 때 파지가 용이한 나비너트(1328)를 풀어서 뚜껑(130)에서 화기유도판(1326)을 분리시켜 상기 뚜껑(130)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4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140)는 뚜껑(130)을 세웠을 때 세워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화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10)의 담수공간(114)에 물을 채우며, 이때의 물의 양은 제1융기부(112)의 높이를 넘지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겅그레안착부(116)에 겅그레(120)를 올려놓고 그 위에 구이물 들을 올려놓으며, 뚜껑(130)을 상기 본체(110)의 뚜껑안착부(118)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110)를 덮는다.
이렇게 구성된 직화구이기(100)를 가스레인지의 받침대에 올려놓고, 일정시간 동안 직화로 가열함에 따라 구이물들을 익힌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종래와 같이 직화열을 배기하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직화구이기의 본체에 비해 그 높이를 낮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직화구이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10)의 담수공간에 물을 대신하여, 찌개와 같은 국물을 끊이는 대용 또는 제빵이나 피자 등을 조리하는 조리기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직화구이기의 제품한계성을 극복한 제품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화기집중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화기집중부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으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직화구이기(100)에는 휴대용 버너(또는 '부탄가스버너',1)에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버너(1)와 직화구이기(100) 사이를 연결하는 휴대용화기집중부(150)를 더 구성한다.
상기 휴대용화기집중부(150)의 하단에는 상기 휴대용버너(1)에 구성된 받침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홈(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에는 본체(110)의 제1융기부(112)에 위치되어 휴대용버너(1)의 직화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제3융기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휴대용화기집중부(150)의 하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버너(1)의 받침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어, 외부의 바람의 영향으로 휴대용버너(1)의 화기가 바람 등에 의해 유실됨을 방지하는 즉, 바람막이역할을 함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10a)의 뚜껑안착부(118a)는 뚜껑(130)에 형성된 배기공(134)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형성된다.
이는 직화의 열이 상기 뚜껑(130)의 배기공(134)을 통해 직접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리자 또는 불특정인이 직화열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제4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조화기분기구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130a)의 투시부(132)에 사용되는 유리(1322a)는 내열유리 또는 세라믹유리(또는 결정화 유리), 내열세라믹유리이다.
즉, 제1실시 예의 유리(1322)는 강화유리로, 강도는 강하나 내열성이 약해 화기유도판(1326)을 필히 구성하여야 했지만, 내열유리(1322a)로 구성함에 따라 체결볼트(1324)와, 화기유도판(1326), 및 나비너트(1328)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내열유리(1322a)로 형성될 경우에는 별도의 화기유도판(1326)을 구성하지 않고, 겅그레(120)의 제2융기부(122)에 안착되는 보조화기분기구(160)를 더 구성한다.
상기 보조화기분기구(160)는 하방에 제2융기부(122)에 안착지지되도록 안착부(162)가 형성되며, 상방에는 상기 제2융기부(122)를 통해 배기되는 화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화기배출공(164)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162)는 단턱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융기부(122)를 통해 배출되는 화기는 상기 보조화기분기구(160)의 화기배출공(164)을 통해 겅그레(120)에 안착된 구이물에 화기가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5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보조화기분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제4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조화기분기구(160)의 안착부(162a)는 테이퍼 형성으로, 일정각도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테이퍼된 부분이 제2융기부(122)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휴대용버너 100: 직화구이기
110, 110a: 본체 112: 제1융기부
113: 걸림부 114: 담수공간
116: 겅그레안착부 118, 118a: 뚜껑안착부
120: 겅그레 122: 제2융기부
124: 통공 130, 130a: 뚜껑
132: 투시부 1322, 1322a: 유리
1324: 체결볼트 1326: 화기유도판
1328: 나비너트 134: 배기공
140: 손잡이 150: 휴대용화기집중부
152: 삽입홈 154: 제3융기부
160: 보조화기분기구 162: 안착부
164, 164a: 화기배출공

Claims (8)

  1. 바닥에 물을 담수할 수 있는 담수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융기부가 형성되며 외주벽에 겅그레 및 뚜껑안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되고 구이물을 올려놓는 겅그레 및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직화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연에는 직화열이 상기 본체와 뚜껑사이를 순화하면서 구이물을 익히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배기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화구이기에는 휴대용버너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버너와 직화구이기 사이에 마련되어 화기를 상기 직화구이기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며 상방에 제3융기부가 형성되고 하방에는 휴대용버너의 받침대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휴대용화기집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화기집중부의 하방은
    바람에 의해 휴대용버너의 화기가 유실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휴대용버너의 받침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본체의 내부를 투시하여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는
    투명하면 강화유리로 형성된 유리;와
    상기 유리의 중앙에 마련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볼트;
    상기 뚜껑의 내측에 마련되고 중앙이 상기 체결볼트에 삽입되는 화기유도판; 및
    상기 체결볼트의 끝단 체결 고정되어 상기 화기유도판을 고정하며 필요에 따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너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유리;
    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유리이며;
    상기 겅그레의 제2융기부에 하방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방에는 화기를 배출하도록 복수의 화기배출공이 형성된 보조화기분기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뚜껑안착부는 뚜껑에 형성된 배기공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KR1020100014159A 2010-02-17 2010-02-17 직화구이기 KR10118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59A KR101182111B1 (ko) 2010-02-17 2010-02-17 직화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59A KR101182111B1 (ko) 2010-02-17 2010-02-17 직화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23A true KR20110094623A (ko) 2011-08-24
KR101182111B1 KR101182111B1 (ko) 2012-09-12

Family

ID=4493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159A KR101182111B1 (ko) 2010-02-17 2010-02-17 직화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0512A (zh) * 2015-10-21 2016-02-10 常州市武进南夏墅苏南锻造有限公司 防沸型蒸架
CN107684355A (zh) * 2017-09-19 2018-02-13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一种炊具及餐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21B1 (ko) * 2019-04-09 2020-10-07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기능성 구이용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831B1 (ko) 2005-02-28 2005-08-03 유상근 휴대용 조리기구
KR100931277B1 (ko) * 2009-07-14 2009-12-09 서선자 직화 오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0512A (zh) * 2015-10-21 2016-02-10 常州市武进南夏墅苏南锻造有限公司 防沸型蒸架
CN107684355A (zh) * 2017-09-19 2018-02-13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一种炊具及餐桌
CN107684355B (zh) * 2017-09-19 2023-10-20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一种炊具及餐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111B1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US20190365146A1 (en) Food cooker
US9433322B2 (en) Portable, smokeless, indoor/outdoor grill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210000287U (ko) 한국형 건강 그릴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20210060775A (ko) 난로형 구이기
KR102537581B1 (ko) 중탕조리기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150047847A (ko) 육류 구이기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101254132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20130005414U (ko) 직화 구이기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