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142A -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142A
KR20110094142A KR1020117016202A KR20117016202A KR20110094142A KR 20110094142 A KR20110094142 A KR 20110094142A KR 1020117016202 A KR1020117016202 A KR 1020117016202A KR 20117016202 A KR20117016202 A KR 20117016202A KR 20110094142 A KR20110094142 A KR 2011009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roller
shaft portion
driving whee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150B1 (ko
Inventor
히토시 츠가와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1Roller driving means with frictiona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3Roller driving means comprising free-whee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축부(11)와, 구동축부(11)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12)를 가지며, 구동축부(11)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10)과, 구동축부(11)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21)를 가지며 구동축부(11)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20)과, 구동축부(11)에 설치되며 구동축부(11)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구동축부(1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30)와,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 사이에 협지되며 구동륜(20)의 회전력을 회전체(10)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40)와,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부(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Roller assembly, roller unit, and 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반송 대상물이 미치는 부하가 롤러의 반송력보다 큰 경우에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반송 대상물이 미치는 부하가 반송력보다 작은 경우에 롤러가 회전하여 반송 대상물을 반송하도록 형성된 마찰력을 이용한 롤러 조립체, 이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 및 이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 반송력(마찰력)을 임의로 조정 가능한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송 대상물을 반송하는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는 반송 대상물을 간헐적으로 반송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반송 대상물의 부하가 롤러의 반송력보다 큰 경우에는 롤러의 회전이 정지하고, 반송 대상물의 부하가 롤러의 반송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롤러가 회전하여 반송 대상물을 반송하도록 설정된 마찰력을 이용하여 공전 하중을 조정하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축부에 끼움결합된 구동 롤러와 반송 롤러 사이에 슬라이딩 베어링을 설치하고, 구동 롤러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슬라이딩 베어링부와 구동 롤러간의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부가 구동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슬라이딩 베어링부가 회전하면 슬라이딩 베어링부와 반송 롤러간의 마찰력에 의해 반송 롤러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5-31952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반송 롤러에 부하된 반송 대상물의 하중이 축부에서 지지되고, 또 반송 롤러와 구동 롤러 사이에 슬라이딩 베어링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롤러가 반송 대상물의 마찰력을 받아 흔들거리거나 장기간 사용에 의해 마모되거나 함으로써, 반송 롤러와 슬라이딩 베어링부 사이의 면압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 대상물의 하중에 의한 반송 롤러부의 변형이, 마찰 전달 성능에 주는 영향을 줄이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 사이에 협지(挾持)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으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롤러 유닛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반송 롤러부를 둘러싸는 롤러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상부를 외부에 돌출시키는 복수의 롤러 개구부를 가진 상벽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일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1 부착부를 가진 제1 측벽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타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2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2 부착부를 가진 제2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롤러 커버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분할 가능한, 상기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2 커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으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롤러 유닛은 각각의 상기 구동축부의 한쪽 단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부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한쪽 단부쪽에서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복수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롤러 유닛이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반송 롤러부를 둘러싸는 롤러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상부를 외부에 돌출시키는 복수의 롤러 개구부를 가진 상벽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일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1 부착부를 가진 제1 측벽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타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2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2 부착부를 가진 제2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롤러 커버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분할 가능한, 상기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2 커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가 복수의 상기 롤러 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륜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연장돌출부, 상기 구동륜 및 상기 마찰 전달 부재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상부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롤러 커버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복수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롤러 유닛이 각각의 상기 구동축부의 한쪽 단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부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장치가 복수의 상기 롤러 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륜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연장돌출부, 상기 구동륜 및 상기 마찰 전달 부재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상부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대상물의 하중에 의한 반송 롤러부의 변형이 마찰 전달 성능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조립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롤러 조립체(200)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롤러 조립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유닛(U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롤러 유닛(U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롤러 조립체(100)의 착탈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롤러 유닛(U2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유닛(U30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롤러 유닛(U400)의 단면도이다.
도 1O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C1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C2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각각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의하여 적절히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조립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롤러 조립체(100)는 구동축부(11) 및 이 구동축부(11)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12)를 가지며, 구동축부(11)의 축심(CL)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10)와, 구동축부(11)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21)를 가지며 구동축부(11)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20)과, 구동축부(11)에 설치되며 구동축부(11)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구동축부(1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30)와,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구동륜(20)의 회전력을 회전체(10)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40)와,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부(50)를 구비한다.
구동축부(11)는 구동축부(1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동축부(11)(축심(CL))와 동심의 내부 구멍(11a)을 가진다. 내부 구멍(11a)은 구동축부(11)의 한쪽 단부(11c)측에 개구 형성되는 구멍부(11a-1)와,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측에 개구 형성되며 구멍부(11a-1)보다 구멍직경이 작은 구멍부(11a-2)를 가진다. 구멍부(11a-1)와 구멍부(11a-2) 사이에는 구멍직경의 차이로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돌출부(14a),(1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반송 롤러부(12)를 사이에 두고 구동축(11)의 한쪽 단부(11c)측에는 단차부(312)가, 구동축(11)의 다른쪽 단부(11e)측에는 단차부(313a),(313b)가 설치된다. 구동축부(11)는 단차부(312)를 개재시켜 대직경 부분(311a)과 소직경 부분(311b)을 가지며, 단차부(313a),(313b)를 개재시켜 대직경 부분(311c), 제1 소직경 부분(311d), 제2 소직경 부분(311e)을 가진다. 단차부(313b)에 면하는 제1 소직경 부분(311d)에 키 홈(모따기부)(32)이 형성된다. 단차부(312)에 후술하는 마찰 전달 부재(40)의 플랜지부(41b)가 착좌된다. 아울러 구동축부(11) 및 반송 롤러부(1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체(10)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는데, 별개로 형성된 것을 결합함으로써 회전체(10)를 구성해도 좋다.
구동륜(20)은 반송 롤러부(12)와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륜(2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인이 감기는 스프로켓이다. 아울러 구동륜(20)은 벨트 등이 감길 경우에는 풀리여도 좋다.
원환형의 피전달부(30)는, 구동륜(20)과 마찬가지로, 반송 롤러부(12)와 구동축부(11)의 단부(11e)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롤러부(12)와 구동륜(20)의 사이에 배치된다. 피전달부(30)는 구동축부(11)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31)를 가진다. 이 구멍부(31)는 원형과는 다른 형상(예를 들면,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구동축부(11)는 구동축부(11)의 대직경부(311a)에서의 키 홈(32)에 끼워맞추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전달부(30)는 구멍부(31)가 키 홈(32)에 걸림고정됨으로써 구동축부(11)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피전달부(30)에서의 소직경 부분(311b)측 면에 후술하는 마찰 전달 부재(41)가 접촉된다.
아울러 피전달부(3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부(11)와는 별개의 부품이며, 이들을 결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하는데, 이들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마찰 전달 부재(40)는,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피전달부(30)측의 측면(22a)과의 사이에 설치된 마찰 전달 부재(41)(제1 마찰 전달 부재), 및 구동륜(20)의 후술하는 압압 부재(52)측의 측면(22b)과 압압 부재(52)와의 사이에 설치된 마찰 전달 부재(42)(제2 마찰 전달 부재)를 구비한다. 마찰 전달 부재(41),(42)는 구동륜(20)의 회전력을 회전체(10)에 마찰 전달한다.
마찰 전달 부재(41),(42)는 구동륜(20)의 구멍부(21)에 장착되는 통형부(41a),(42a)와, 통형부(41a),(42a)의 단부로부터 구동축부(11)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41b),(42b)를 가진다. 통형부(41a),(42a)는 구멍부(21)의 주벽(구동륜(20)의 내주벽)과 구동축부(11) 사이에 개재된다. 플랜지부(41b)는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과의 사이에 협지된다. 플랜지부(42b)는 압압 부재(52)와 구동륜(20)의 측면(22b)과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찰 전달 부재(41),(42)와 구동륜(20)과의 사전 조립에 의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통형부(41a),(42a)에 의한 래디얼 방향의 마찰 전달로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가압부(50)는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한다. 가압부(50)는 내부 구멍(11a)에 삽입된 축체(51)와, 축체(51)의 구멍부(11a-2)측의 단부(51a)에 연결되어 구동륜(20)을 피전달부(30)측으로 압압하는 압압 부재(52)와, 구멍부(11a-1)안에 설치되어 축체(51)를 개재시켜 압압 부재(52)에, 구동륜(20)을 피전달부(30)측으로 압압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53)를 구비한다.
축체(51)는, 축부(51d)와, 축부(51d)의 한쪽 단부(공부(11a-1)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형 헤드부(5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축부(51d)의 끝단쪽은 구멍부(11a-2)를 삽입 통과한다. 축부(51d)의 끝단 근방에 후술하는 걸림고정 핀(54)이 삽입 통과되는 구멍부(51c)가 형성된다. 구멍부(51c)는 축심(CL)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구멍부(51c)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만 설치하였으나, 반송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탄성 부재(53)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축부(51d)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해도 좋다.
압압 부재(52)는, 구동축부(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구동축부(1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에 장착된다. 즉, 압압 부재(52)는 구동축부(11)의 돌출부(14a),(14b)가 삽입 통과되는 구멍부(52a),(52b)와, 구멍부(51c)에 삽입 통과된 걸림고정 핀(54)의 양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부(52c)를 가진다. 따라서 압압 부재(52)는 구멍부(52a),(52b)에 돌출부(14a),(14b)가 삽입 통과되고, 또 걸림고정 핀(54)의 양 돌출부가 홈부(52c)에 수용됨으로써, 구동축부(1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또 걸림고정 핀(54)은, 홈부(52c)에 수용될 뿐이므로 압압 부재(52)에 고정되지는 않기 때문에 압압 부재(52)가 구동축부(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탄성 부재(5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이다. 이 코일 스프링은 축부(51d)의 헤드부(51b)측에 외삽(外揷)되어 구멍부(11a-1)에 수용되어 있다. 또 이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축체(51)의 헤드부(51b)측에 삽입 통과된 와셔(57)에 접촉되고, 타단은 구동축부(11)의 단차부(13)에 접촉된다. 와셔(57)와 단차부(13)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은 신축된다. 압압 부재(52)는 회전체(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항상 코일 스프링의 압압력이 부여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53), 축체(51)의 대략 전부를 구동축부(11)안에 배치함으로써 구동축부(11) 외부의 스페이스(반송 롤러부(12)나 구동륜(20)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또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5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체(51)의 구멍부(51c)에 걸림고정 핀(54)을 삽입함으로써 탄성 부재(53)의 가압력을 걸림고정하여 헤드부(51b)와 탄성 부재(53)의 사이에 와셔(57)를 개재시키고, 와셔(57)의 매수에 따라 가압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가압력의 조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멍부(51c)와 걸림고정 핀(54)의 조합 대신에, 축체(51d)의 끝단쪽에 볼트 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볼트 홈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이 너트를 회전 조정함으로써 탄성 부재(53)의 가압력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송 롤러부(12)와는 다른 구성인 피전달부(30) 및 압압 부재(52)에 의해 마찰 전달 부재(41),(42)를 협지하여 구동륜(20)에 대해 마찰 전달 부재(41),(42)를 눌러붙이도록 했기 때문에 반송 대상물의 하중에 의한 반송 롤러부(12)의 변형이 대략 발생하지 않고, 또 마찰 전달 성능에 부여하는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아울러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마찰 전달 부재(41),(42)의 각각이 통형부(41a),(42a)와 플랜지부(41b),(42b)를 가진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3a에 도시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a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관한 롤러 조립체(200)의 단면도이다. 마찰 전달 부재(41)는 구동륜(20)의 구멍부(21)에 장착되며 구멍부(21)의 주벽과 구동축부(1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통형부(41a)(제1 통형부)와, 피전달부(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통형부(41c)(제2 통형부)와, 통형부(41a)의 일단측(구동륜(20)의 측면(22a)측)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피전달부(30)와 구동륜(20)의 측면(22a)과의 사이에 협지됨과 동시에 통형부(41a)와 통형부(41c)를 접속하는 플랜지부(41b)를 가진다.
마찰 전달 부재(42)는 구동륜(20)의 구멍부(21)에 장착되며 구멍부(21)의 주벽과 구동축부(1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통형부(42a)와, 압압 부재(5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통형부(42c)와, 통형부(42a)의 일단측(구동륜(20)의 측면(22b)측)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압압 부재(52)와 구동륜(20)의 측면(22b)과의 사이에 협지됨과 동시에 통형부(42a)와 통형부(42c)를 접속하는 플랜지부(42b)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부(41c)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마찰 전달 부재(41)와 피전달 부재(30)와의 사전 조립에 의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형부(42c)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마찰 전달 부재(42)와 압압 부재(52)의 사전 조립에 의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통형부(41d),(42d)에 의한 래디얼 방향의 마찰 전달로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형부(41c)에 의해 플랜지부(41e)와 피전달부(30) 사이(마찰 슬라이딩면)로 오일, 분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통형부(42c)에 의해 플랜지부(42b)와 압압 부재(52) 사이(마찰 슬라이딩면)로 오일, 분진 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 전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
아울러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압 부재(52)가 구동축부(1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압압 부재(52)가 구동축부(11)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b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롤러 조립체(300)의 단면도이다.
마찰 전달 부재(4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륜(20)의 측면(22a)에 설치된 마찰 전달 부재(41)만을 가진다. 통형부(41a)는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까지 연장되어 있다.
가압부(50)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가압부(50)의 구성에 추가하여 축체(51)의 단부(51a)측에 외삽되는 스러스트 베어링(56) 및 원환형의 규제부(55)를 더 구비한다. 압압 부재(52)에서의 구동륜(20)과 반대쪽 단면(端面)에 스러스트 베어링(56)이 접촉되고, 그 스러스트 베어링(56)에서의 스러스트 베어링(56)과 반대쪽 단면에 규제부(55)가 접촉된다.
압압 부재(52)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압 부재(52)의 구멍부(52a),(52b)에 돌출부(14a),(14b)가 삽입 통과되고, 또 걸림고정 핀(54)이 홈부(52c)에 수용됨으로써 구동축부(1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되는 구성이었다. 반면 본 변형예에서는 구동축부(11)가 돌출부(14a),(14b)를 구비하지 않고, 또 압압 부재(52)가 구멍부(52a),(52b) 및 홈부(52c)를 구비하지 않는다. 압압 부재(52)에 규제부(55)로부터 스러스트 베어링(56)을 통해 압압력이 부여됨으로써 구동륜(20)이 반송 롤러부(12)측으로 압압되고, 구동륜(20)과 피전달부(30) 사이에 마찰 전달 부재(41)(플랜지부(41b))를 끼워넣는다. 규제부(55)는, 예를 들면 와셔로서, 축체(5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규제부(55)는 걸림고정 핀(54)의 양 돌출부에서 반송 롤러부(12)측으로의 압압력이 부여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륜(20)과 축체(51)가 같이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롤러 조립체(10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롤러 조립체(100)를 구비한 롤러 유닛(U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의 롤러 유닛(U100)의 롤러 조립체(100)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롤러 조립체(100)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유닛(U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롤러 유닛(U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롤러 조립체(100)의 착탈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롤러 유닛(U100)은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롤러 조립체(100)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롤러 조립체(100)는, 각각의 반송 롤러부(12)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A1)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롤러 유닛(U100)은 반송 방향(A1)으로 배열된 복수의 반송 롤러부(12)를 둘러싸는 롤러 커버 부재(U110)를 구비한다.
롤러 커버 부재(U110)는 상벽부(U111)와, 측벽부(U112)(제1 측벽부)와, 측벽부(U113)(제2 측벽부)와, 하벽부(U116)를 구비하고 반송 방향(A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구조(반 분할 구조)로 한다. 다시 말하면, 롤러 커버 부재(U110)는 단면이 대략 ㄷ자형(또는 U자형)인 좌우의 커버 부재(제1 및 제2 커버 부재)(U114),(U115)를 대향하여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커버 부재(U114),(U115)에서의 하측 대향부 사이는 이간되어 있으며 슬릿(U11lb)을 형성하였다. 이 슬릿(U11lb)으로부터 각각의 반송 롤러부(12)의 하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상벽부(U111)는 각각의 반송 롤러부(12)의 상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복수의 롤러 개구부(U111a)를 가진다. 측벽부(U112)는 구동축부(11)의 소직경 부분(311b)을 피봇지지하는 베어링부(B1)(제1 베어링부)이 장착되는(부착되는) 3개의 부착부(U112a)(제1 부착 구멍)를 가진다. 측벽부(U113)는 구동축부(11)의 제1 소직경 부분(311d)을 피봇지지하는 베어링부(B2)(제2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3개의 부착부(U113a)(제2 부착 구멍)를 가진다.
측벽부(U112)에 설치되는 부착공(U112b)은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를 돌출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측벽부(U113)에 설치되는 부착 구멍(U113b)은 축체(51) 및 탄성 부재(53)를 롤러 커버 부재(U110)안으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형성된 구멍으로서, 평상시에는 캡(U113c)으로 닫혀 있다.
베어링부(B1),(B2)는 구동축부(11)의 직경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래디얼 베어링이다. 베어링부(B1),(B2)는 반송 롤러부(12)의 양쪽 겨드랑이에서 구동축부(11)를 지지한다. 이 때 베어링부(B1),(B2)의 수량은 지지해야 할 하중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구동축부(11)는, 롤러 커버 부재(U110)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11d)(도 4 참조)를 가진다. 연장돌출부(11d)에 피전달부(30), 마찰 전달 부재(41),(42)를 조립한 구동륜(20) 및 압압 부재(52)가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롤러 커버 부재(U110)에 의해 롤러 커버 부재(U110)의 내부에서의 구동축부(11), 반송 롤러부(12)에 분진이나 기름이 들어가기 어려워지게 된다. 만일 분진이나 기름이 들어가더라도 베어링부(B1) 및 피전달부(30)에 의해, 들어간 분진이나 기름이 구동륜(2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롤러 커버 부재(U110)가 분할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캡(U113c)을 벗기고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홈부(52c)에 수용된 걸림고정 핀(54)을 뽑음으로써 롤러 커버 부재(U110)를 벗기지 않고 마찰 전달 부재(41),(42)나 구동륜(2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아울러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롤러부(12)의 양쪽 겨드랑이에 베어링부(B1),(B2)를 설치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본 변형예와 같이 구동축부(11)에서의 반송 롤러부(12)의 한쪽(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측)에만 베어링부(B1)을 설치해도 좋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롤러 유닛(U200)의 단면도이다. 롤러 유닛(U200)은 3개의 롤러 조립체(100)와, 각각의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와 각각의 반송 롤러부(1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베어링부(B1)과,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베어링부(B1)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부재(U210)를 구비한다.
베어링 지지 부재(U210)는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커버 부재(U110)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베어링 지지 부재(U210)는 측벽부(U213)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U214)와, 측벽부(U213)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U215)를 가진다. 즉, 베어링 지지 부재(U210)는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A2)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된다.
측벽부(U212)는, 각각의 회전체(10)에서의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측을 지지하는 베어링부(B1)이 장착되는 부착 구멍(U212a)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부(B2)를 설치하지 않았기(즉, 외팔보 지지이기) 때문에, 측벽부(U213)는 축체(51) 및 탄성 부재(53)를 베어링 지지 부재(U210)안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구멍부(U213a)만이 설치된다. 구멍부(U213a)는 평상시에는 캡(U213b)으로 닫혀
베어링 지지 부재(U21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부(B2)를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 롤러부(12)의 주위를 덮는 커버 부재로서의 기능도 부여하기 위해, 지지 부재(U214) 및 (U21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베어링부(B1)을 지지 가능한 구성이면 되기 때문에 구동 롤러부(12)의 주위를 덮지 않아도 좋다.
구동축부(11)가, 다른쪽 단부(11e)측에서 베어링 지지 부재(U210)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11d)를 가진다. 피전달부(30), 마찰 전달 부재(41),(42)를 조립한 구동륜(20) 및 압압 부재(52)가 연장돌출부(11d)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찰 전달 부재(41),(42)와 반송 롤러부(12) 사이에 베어링부(B1)이 개재됨으로써 반송 대상물의 하중에 의한 반송 롤러부(12)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 전달 성능에 주는 영향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베어링 지지 부재(U210)를 벗기지 않고 마찰 전달 부재(41),(42)나 구동륜(20)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 반송 롤러부(12)의 워크 안착면을 넓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력을 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및 2에 기재한 구성을 제2 실시형태에 기재하는 구성에 적용해도 좋다. 또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사용하는 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53)가 구동축부(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탄성 부재(53)를 구동축부(11)의 외부에 설치해도 좋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유닛(U300)의 단면도이다. 구동륜(20)은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측 위치에 외삽되고, 피전달부(30)는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에 접촉시켜 배치된다.
가압부(50)는 구동축부(11)의 대략 중앙부에 장착되며 협지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53)와, 구동륜(20)과 탄성 부재(53) 사이에, 구동축부(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구동축부(1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압압 부재(52)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53)는 구동륜(20)보다 반송 롤러부(12)측에 배치된다. 즉, 탄성 부재(53)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서, 커버 부재(U114)의 단부 근방에서 구동축부(11)에 형성된 단차부(11f)와 피전달부(30) 사이에 협지되어 구동축부(11)에 외삽된다. 이 단차부(11f)와 탄성 부재(53) 사이에는 가압력용의 조정용 와셔(57)가 끼워져 있다.
압압 부재(52)는 구동축부(11)에서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온 상태에서 구동축부(11)의 단부(11e)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구동륜(20)이나 마찰 전달 부재(41),(42) 등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53)가 구동축부(11)의 단부(11e)측에 피전달부(30)를 압압함으로써 마찰 전달 부재(41),(42) 및 구동륜(20)에 압압력이 부여되게 된다.
탄성 부재(53)는, 구동축부(11)의 외부이며 롤러 커버 부재(U110)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U115)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체(51) 및 탄성 부재(53)를 롤러 커버 부재(U110)안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구멍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동축부(11)의 단부(11e)측으로부터 피전달부(30), 구동륜(20), 탄성 부재(53)를 탈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2군데에서 마찰 전달함으로써 적은 가압력으로 마찰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아울러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마찰 전달 부재(41),(42)를 사용하여 회전체(10)에 구동륜(2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9에 도시한 본 변형예와 같이 하나의 마찰 전달 부재(42)만을 사용하여 회전체(10)에 구동륜(20)의 구동력을 전달해도 좋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롤러 유닛(U400)의 단면도이다.
마찰 전달 부재(42)의 통형부(42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찰 전달 부재(41)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륜(20)의 구멍부(21)의 대략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가압부(50)는 구동축부(11)의 대략 중앙부를 가지며 구동축부(11)에 장착되며 협지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53)와, 구동륜(20)과 탄성 부재(53)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축부(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축부(11)에 장착되는 압압 부재(58) 및 규제부(55)와, 압압 부재(58)와 규제부(55)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며 구동축부(11)가 삽입 통과되는 스러스트 베어링(59)을 구비한다. 압압 부재(58)가 구동륜(20)의 측, 규제부(55)가 탄성 부재(53)의 측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53)는 구동륜(20)보다 반송 롤러부(12)측에서 구동축부(11)의 연장돌출부(11d)에 외삽된다. 탄성 부재(53)의 일단은 구동축부(11)의 단차부(11f)에 와셔(57)를 개재시켜 접촉되고, 타단은 규제부(55)에 접촉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53)는 단차부(11f)와 규제부(55) 사이에서 신축하게 된다. 규제부(55)는 회전체(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항상 탄성 부재(53)의 압압력이 부여된다.
압압 부재(58)는 규제부(55)에 대해 구동축부(11)의 단부(11e)측에 설치된다. 스러스트 베어링(59)은 규제부(55)와 압압 부재(58) 사이에 삽입된다. 이로써 탄성 부재(53)가 규제부(55)를 구동축부(11)의 단부(11e)측으로 가압하면 규제부(55)가 스러스트 베어링(59)을 통해 압압 부재(58)를 단부(11e)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구동륜(20) 및 마찰 전달 부재(42)가 피전달부(30)와 압압 부재(58)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륜(20)과 탄성 부재(53)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탄성 부재(53)를 구동축부(11)의 외부에 설치하고, 또한 구동축부(11)를 베어링부(B1),(B2)의 쌍방에서 지지하였으나(양측 지지), 도 8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부분(A11)의 구성을 생략하고 베어링부(B1)으로만 지지해도 좋다(외팔보 지지).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탄성 부재(53)를 구동축부(11)의 외부에 설치하고, 또한 구동축부(11)를 베어링부(B1),(B2)의 쌍방에서 지지하였으나(양측 지지), 도 9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부분(A12)의 구성을 생략하고 베어링부(B1)로만 지지해도 좋다(외팔보 지지).
<제4 실시형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롤러 조립체(100)에 대해서, 또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롤러 조립체(100)를 구비한 롤러 유닛(U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롤러 유닛(U100)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C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롤러 유닛(U100)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C100)의 단면도이다. 컨베이어 장치(C100)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100)를 구비한 롤러 유닛(U100)을, 반송 방향(도 10 중에서는 도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 구비한다. 롤러 유닛(U100)의 수량은 반송 라인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컨베이어 장치(C100)는 복수의 롤러 유닛(U100)을 지지하는 프레임(C110)과, 구동륜(2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C120)와, 연장돌출부(11d), 구동륜(20) 및 마찰 전달 부재(40)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상부 커버 부재(C130)를 구비한다.
프레임(C110)은 롤러 유닛(U100)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C111)와, 롤러 유닛(U100)의 옆에서 지지부(C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신되는 상방 연신부(C112)를 가진다. 프레임(C110)은, 예를 들면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된다.
지지부(C111)는 롤러 유닛(U100)의 커버 부재(U114),(U115)를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좌면부(C111a)와, 반송 롤러부(1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롤러용 회피부(C111b)를 가진다. 상방 연신부(C112)는 구동축부(11)의 다른쪽 단부(11e)에 근접하여 상방으로 연신되어 있다.
구동부(C120)는 구동륜(20)에 걸쳐지는 체인(C121)과, 체인(C121)을 회전 구동하는 미도시된 구동 모터를 구비한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륜(20)이 스프로켓이기 때문에 체인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구동륜(20)이 풀리인 경우에는 벨트를 사용해도 좋다. 또 구동륜(20)을 기어로 하고 구동륜(20)에 맞물려 다른 기어를 설치하고, 그 다른 기어를 구동 모터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부 커버 부재(C130)는 커버 부재(U114) 및 프레임(C110)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 커버 부재(C13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U114)의 상벽부(U111)와 상방 연신부(C112)에 걸쳐져서, 프레임(C110)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또 상부 커버 부재(C130)는 오일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씰 부재(C131)를 개재시켜 커버 부재(U114)의 상벽부(U111)와 접촉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송 롤러부(12)의 설치 공간과 구동륜(20) 및 마찰 전달 부재(41),(42)의 설치 공간을 분리하여 서로 오일,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아울러 상술한 제4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컨베이어 장치(C100)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롤러 유닛(U10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3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이나 다른 구성을 구비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부(11)를 베어링부(B1),(B2)의 쌍방에서 지지한(양측 지지) 롤러 유닛(U100)을 사용하였으나, 도 11에 도시한 본 변형예와 같이 구동축부(11)를 베어링부(B2)로만 지지한 롤러 유닛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C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컨베이어 장치(C200)는 제4 실시형태에 비해, 커버 부재(U115) 및 베어링부(B2)가 생략되고 롤러 조립체(100)가 프레임(C110)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라 해도 반송 롤러부(12)의 설치 공간과, 구동륜(20) 및 마찰 전달 부재(41),(42)의 설치 공간을 분리하여 서로 오일,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륜의 상기 구멍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멍부의 주벽과 상기 구동축부 사이에 개재되는 통형부,
    상기 통형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부는, 상기 구동축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구동축부와 동심의 내부 구멍을 가지며,
    상기 피전달부 및 상기 구동륜은, 상기 반송 롤러부와 상기 구동축부의 한쪽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피전달부가 상기 반송 롤러부와 상기 구동륜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내부 구멍에 삽입된 축체,
    상기 구동축부의 상기 한쪽 단부측의, 상기 축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륜을 상기 피전달부쪽으로 압압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내부 구멍내에 설치되며 상기 축체를 개재시켜 상기 압압 부재에, 상기 구동륜을 상기 피전달부쪽으로 압압하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전달 부재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피전달부쪽 측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1 마찰 전달 부재이며,
    상기 구동륜의 상기 압압 부재쪽 측면과 상기 압압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제2 마찰 전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구동축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부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구동축부의 상기 한쪽 단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구동축부의 상기 한쪽 단부쪽의, 상기 축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규제부,
    상기 규제부와 상기 압압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축체가 삽입 통과한 스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달부 및 상기 구동륜은 상기 반송 롤러부와 상기 구동축부의 한쪽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피전달부가 상기 구동륜보다 상기 구동축부의 상기 한쪽 단부쪽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상기 협지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구동륜보다 상기 반송 롤러부쪽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구동륜과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축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부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압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전달 부재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피전달부쪽 측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1 마찰 전달 부재로서,
    상기 구동륜의 상기 압압 부재쪽 측면과 상기 압압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제2 마찰 전달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구동륜보다 상기 반송 롤러부쪽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구동륜과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축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된 압압 부재,
    상기 압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한 스러스트 베어링,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륜의 상기 구멍부에 장착되며 상기 구멍부의 주벽과 상기 구동축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통형부,
    상기 피전달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2 통형부,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통형부와 상기 제2 통형부를 접속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조립체.
  10.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으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롤러 유닛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반송 롤러부를 둘러싸는 롤러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상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복수의 롤러 개구부를 가진 상벽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일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1 부착부를 가진 제1 측벽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타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2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2 부착부를 가진 제2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롤러 커버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延出)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분할 가능한, 상기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2 커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11.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으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롤러 유닛은,
    각각의 상기 구동축부의 한쪽 단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한쪽 단부쪽에서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12.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복수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과의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롤러 유닛이,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반송 롤러부를 둘러싸는 롤러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상부를 외부에 돌출시키는 복수의 롤러 개구부를 가진 상벽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일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1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1 부착부를 가진 제1 측벽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의 타측쪽에서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제2 베어링부가 장착되는 제2 부착부를 가진 제2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롤러 커버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커버 부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분할 가능한, 상기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2 커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가,
    복수의 상기 롤러 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구동륜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
    상기 연장돌출부, 상기 구동륜 및 상기 마찰 전달 부재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상부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롤러 커버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3. 복수의 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롤러 유닛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복수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롤러 조립체가,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된 반송 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구동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부에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
    상기 구동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피전달부,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측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구동륜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마찰 전달하는 마찰 전달 부재,
    상기 피전달부와 상기 구동륜의 상기 측면과의 사이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롤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가 반송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롤러 유닛이,
    각각의 상기 구동축부의 한쪽 단부와 각각의 상기 반송 롤러부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부가 상기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돌출된 연장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 전달 부재 및 상기 구동륜이 상기 연장돌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가,
    복수의 상기 롤러 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구동륜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
    상기 연장돌출부, 상기 구동륜 및 상기 마찰 전달 부재의 상방을 적어도 덮는 상부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117016202A 2009-01-09 2009-01-09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KR101356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0222 WO2010079610A1 (ja) 2009-01-09 2009-01-09 ローラ組立体、ローラユニット及びコンベ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142A true KR20110094142A (ko) 2011-08-19
KR101356150B1 KR101356150B1 (ko) 2014-01-24

Family

ID=4231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202A KR101356150B1 (ko) 2009-01-09 2009-01-09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2056B2 (ko)
JP (1) JP5226811B2 (ko)
KR (1) KR101356150B1 (ko)
CN (1) CN102272021B (ko)
BR (1) BRPI0923921A2 (ko)
WO (1) WO201007961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077B1 (ko) * 2012-09-04 2013-03-11 한화테크엠주식회사 프릭션 롤러가 설치된 컨베이어
KR101305253B1 (ko) * 2013-02-22 2013-09-06 장근수 강관 이송롤러조립체
KR101383769B1 (ko) * 2012-02-21 2014-04-10 이준석 체인 컨베이어
KR101507295B1 (ko) * 2015-03-02 2015-03-30 허계용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02476073B1 (ko) * 2021-09-28 2022-12-08 박종배 컨베이어용 로울러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1884B2 (en) * 2011-12-02 2014-11-11 Michael Richard Kaminski, Jr. Rebuildable roller and roller bearing assembly for a belt line conveyor system and a method of use thereof
CN104355062A (zh) * 2014-11-12 2015-02-18 苏州泓翰成自动化系统设备有限公司 铜联轴滚轮
TWI725989B (zh) * 2015-09-18 2021-05-01 法商維蘇威法國公司 用於在高溫使用的輸送機滾輪總成及其製造方法
CN105947677B (zh) * 2016-06-29 2018-11-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传动滚轮
US10472179B2 (en) * 2017-03-09 2019-11-12 Lewco, Inc. Cartridge bearing assembly for roller conveyors
JP2018172212A (ja) * 2017-03-31 2018-11-08 平田機工株式会社 ローラ組立体、ローラユニット及びコンベア装置
CN108726095A (zh) * 2017-04-18 2018-11-02 刘国云 一种皮带输送机托辊套装驱动装置
CN108163443A (zh) * 2017-12-13 2018-06-15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自适应偏转球分拣装置
CN109095078B (zh) * 2018-10-18 2024-03-26 大连德欣新技术工程有限公司 可将辊子链转化为倍速链传送的输送模块
CN111252451A (zh) * 2019-09-20 2020-06-09 库卡柔性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积放辊道用机械阻尼器及其积放辊道
JP7284827B2 (ja) * 2019-11-01 2023-05-31 平田機工株式会社 トラバーサ、ベースユニット及び移動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7501B1 (de) * 1971-09-23 1972-08-17 Peter O Spannsatz mit konischen Elementen zur Befestigung einer Nabe auf einer Hohlwelle
US4676672A (en) * 1985-02-19 1987-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cision spindle
US4706801A (en) * 1985-10-31 1987-11-17 Excel Corporation Conveyor roller with torque overload release means
US4861173A (en) * 1987-08-17 1989-08-29 Advanced Graphics Technology, Inc. Bearing locking apparatus
US5025917A (en) * 1989-02-16 1991-06-25 Wyko, Inc. Bearing assembly for conveyors
DE4102424C3 (de) * 1991-01-28 2000-08-24 Telair Int Gmbh Antriebsrolleneinheit
JPH0647404B2 (ja) * 1991-06-03 1994-06-22 隆三 山田 ローラーコンベア
JP3226054B2 (ja) * 1992-05-18 2001-11-05 ソニー株式会社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
DE4327988A1 (de) * 1993-08-20 1995-02-23 Precismeca Gmbh Förderbandrolle
US5558206A (en) * 1994-09-26 1996-09-24 Quickdraw Design And Drafting, Inc. Conveyor technology
JPH08113334A (ja) * 1994-10-13 1996-05-07 H K K:Kk ゼロプレッシャーコンベヤー
US6082528A (en) * 1997-02-13 2000-07-04 Habberley; Alan Conveyor roller
JPH1159879A (ja) * 1997-08-20 1999-03-02 Hirata Corp アキュームレート・ローラーコンベア装置
US6385849B1 (en) * 1999-08-10 2002-05-14 Continental Conveyor & Equipment Company Idler roll bearing assembly
AU781006C (en) * 1999-11-02 2007-06-28 Rollerbrake (Pty) Ltd. Conveyor idler
US6772874B2 (en) * 2002-01-30 2004-08-10 Okamura Corporation Roller conveyor
US6868961B2 (en) * 2002-04-12 2005-03-22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Roller conveyor with clutched idler rollers
AT413027B (de) * 2002-06-14 2005-10-15 Tgw Transportgeraete Gmbh Rollenanordnung für einen staurollenförderer
KR100675357B1 (ko) * 2005-07-23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조립체
JP5137101B2 (ja) * 2006-12-13 2013-02-06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コンベヤ装置
TW200833577A (en) * 2007-02-08 2008-08-16 Hong Chuan Ind Co Ltd Highly weather-resistant rolling wheel unit of conveying apparatus
JP5091236B2 (ja) * 2007-06-14 2012-12-05 平田機工株式会社 ローラユニット及びコンベア装置
US7503450B2 (en) * 2007-08-13 2009-03-17 Magstar Technologies, Inc. Long roller slip conveyor
EP2262706B1 (en) * 2008-03-05 2014-07-09 Jean-Pierre Gagnon Roller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69B1 (ko) * 2012-02-21 2014-04-10 이준석 체인 컨베이어
KR101241077B1 (ko) * 2012-09-04 2013-03-11 한화테크엠주식회사 프릭션 롤러가 설치된 컨베이어
KR101305253B1 (ko) * 2013-02-22 2013-09-06 장근수 강관 이송롤러조립체
KR101507295B1 (ko) * 2015-03-02 2015-03-30 허계용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02476073B1 (ko) * 2021-09-28 2022-12-08 박종배 컨베이어용 로울러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3508A1 (en) 2011-10-20
CN102272021B (zh) 2013-11-06
BRPI0923921A2 (pt) 2016-01-12
WO2010079610A1 (ja) 2010-07-15
US8292056B2 (en) 2012-10-23
JPWO2010079610A1 (ja) 2012-06-21
KR101356150B1 (ko) 2014-01-24
JP5226811B2 (ja) 2013-07-03
CN102272021A (zh)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50B1 (ko)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US6520483B1 (en) Hoisting device for an elevator
JP2003521639A (ja) ベルトまたはチェーンのような引張り手段のためのテンション装置
US20120055743A1 (en) Apparatus for equalizing the tensions among elevator wire ropes
US6443295B1 (en) Motorized conveyor pulley with reduced internal loading
JP2003226103A (ja) 改良されたホイールエンド組立体
WO2013143550A1 (en) Hygienic drum motor
CA2821832C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with at least one haul cable
US20120190489A1 (en)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120127505A (ko) 수동 체인 블록
EP0548955B1 (en) Gear transmission apparatus
JP6846511B2 (ja) ケーブルドラム用ストップリングを有するウィンドウリフタ用駆動アセンブリ
US5135085A (en) Lubricating device for one-way clutch
US6599052B1 (en) Hub and shaft coupling system
US5234269A (en) Antifriction bearing with a clip-on sensor
EP3270002B1 (en) Gear device
US7021167B2 (en) Rotary joint mechanism
JP5259428B2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6325545B1 (en) Relubricatable idler bushing assembly
JP2506132B2 (ja) ウォ―ムギア式のエレベ―タ駆動機構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3875771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KR0175184B1 (ko) 탈수겸용 세탁기
JPS602368Y2 (ja) 回転軸の軸支構造
KR20230009637A (ko) 일방향 클러치
JP2010163802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及びそのケーブ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