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184B1 - 탈수겸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탈수겸용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5184B1 KR0175184B1 KR1019950000238A KR19950000238A KR0175184B1 KR 0175184 B1 KR0175184 B1 KR 0175184B1 KR 1019950000238 A KR1019950000238 A KR 1019950000238A KR 19950000238 A KR19950000238 A KR 19950000238A KR 0175184 B1 KR0175184 B1 KR 0175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haft bearing
- unidirectional clutch
- shaft
- c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조(13)가 탈수시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롤러식의 단방향 클러치(43)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원통형상부(48a)내에 탈수축(24)을 지지하는 축베어링(32)의 외주부를 압입해서 회전고정상태에서 걸어맞춤과 동시에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각통부(48c)내에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를 회전고정상태에서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을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에 의해 축베어링(323)에 일체화해서 회전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단부착 볼트가 불필요하게 되며 제조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동기구부의 종단면도.
제2도는 세탁기본체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단방향 클러치 및 축베어링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단방향 클러치 및 축베어링 주변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방향 클러치 및 축베어링 주변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제5도 상당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상당도.
제8도는 제4도 상당도.
제9도는 단방향 클러치 하우징의 종단면도.
제10도는 단방향 클러치 하우징의 상면도.
제11도는 단방향 클러치의 종단면도.
제12도는 하부케이스의 부분파단 하측면도.
제13도는 종래 구성을 나타낸 제1도 상당도.
제14도는 단부착 볼트주변의 확대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외부상자 12 : 물받침조
13 : 회전조 14 : 교반체
15 : 모터 16 : 구동기구부
18 : 케이스 19 : 상부케이스
20 : 하부케이스 24 : 탈수축(용기축)
27 : 브레이크드럼 31,32 : 축베어링
43,61 : 단방향 클러치 44,51,54,63 : 하우징
45 : 외륜 46 : 롤러
47,52,55 : 칼날형상부 48,53,56 : 회전고정용 축베어링케이스
48a : 원통형상부 48b : 단면벽부
48c : 각통(角筒)부 48d,53a : 관통구멍
48e : 단면벽부(유지부) 52a,56c,65 : 볼록부
53b : 단면벽구(유지부) 53c,55a : 걸어맞춤 구멍(오목부)
56b : 단면벽부(유지부) 62 : 하부케이스(축베어링 케이스)
62a : 축베어링 유지부 62b : 돌출부(유지부)
62c : 절개부 64 : 칼날형상부(피협지부)
본 발명은 탈수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방향 클러치에 의해 회전조가 탈수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탈수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회전조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를 갖춤과 동시에 세탁시 소용돌이 물흐름에 기인하는 회전조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장치는 밴드브레이크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역회전 방지장치는 롤러식의 단방향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방향 클러치를 사용한 구성의 한 예를 제13도에 의거해 설명한다. 상기 제13도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1)는브레이크 드럼(3)보다 아랫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륜(3) 및 탈수축(4)의 하부 중공축(5)과의 사이에 개장된 복수의 롤러(6)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륜(3)은 대략 원통형상의 부착부재(7)내에 걸어맞춤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부재(7)가 단방향 클러치(1)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부착부재(7)의 하단부에는 고정판부(7a)가 칼날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판부(7a)를 하부케이스(8)에 단부착 볼트(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단부착볼트(9)는 고정판부(7a)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성에서는 제조시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1)를 부착할 경우 그 외륜(3)을 부착부재(7)내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상기 부착부재(7)의 고정판부(7a)를 하부케이스(8)에 단부착 볼트(9)로 조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볼트(9)를 죄는 작업이 번거로움과 동시에 부착부재(7) 및 단부착볼트(9)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많고 비용이 상승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축베어링(10)을 지지하는 하부케이스(8)내에 단부착 볼트(9)를 설치하기 위한 격납케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하부 케이스(8)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케이스(8)를 압축가공할 때의 가공작업이 상당히 어렵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부착부재(7)는 원통부에 큰 칼날형상의 고정판부(7a)를 일체로 형성한다는 복잡한 형상이기 때문에 금형등의 비용이 높게 되고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탈수겸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전조의 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조가 탈수시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롤러식의 단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 축의 베어링을 고정하는 베어링 케이스에 유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단방향 클러치를 유지하는 하우징에 피협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 및 베어링 케이스의 유지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피협지부를 회전고정 상태로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 구성의 경우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상기 피협지부로서의 칼날형상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칼날형상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축베어링의 외주부와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에 각각 회전고정용 상태에서 걸어맞추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와, 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를 끼워맞춰 지지하는 케이스로 구성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한단부에 비원형형상의 끼워맞춤 구멍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상기 끼워맞춤 구멍부에 회전고정상태에서 끼워맞추는 비원형형상의 끼워맞춤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일단면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칼날형상부를 설치하고 이 칼날형상부에 상기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용기축의 축베어링을 지지하는 축베어링 케이스에 단방향 클러치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단방향 클러치를 고정 유지하기 위한 단부착 볼트를 필요없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부착 볼트의 조임작업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부착 볼트가 불필요하게 되어 단부착 볼트용의 격납공간을 설정할 필요도 없어지고 축베어링을 지지하는 하부케이스의 형상이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케이스를 압축가공할 때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그 제조비용이 싸게 된다. 또한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단부착 볼트용의 큰 칼날형상부를 일체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하게 되고 그 제조비용이 싸게 된다.
이 경우구체적으로는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피협지부를 설치하고 이 피협지부를 축베어링과 축베어링 케이스의 유지부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하면 단방향 클러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피협지부로서의 칼날형상부를 설치하고 이 칼날형상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협지기능과 회전고정기능을 동일개소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베어링 케이스를 축베어링의 외주부와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각각 회전고정상태에서 걸어맞추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와, 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를 걸어맞춰 지지하는 케이스로 구성해도 마찬가지로 제조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일단부에 비원형형상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단방향의 타단부에 상기 걸어맞춤 구멍부에 회전고정 상태에서 걸어맞추는 비원형형상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단방향 클러치를 확실하게 회전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일단면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칼날형상부를 설치하고 이 칼날형상부에 상기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오목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단방향 클러치를 확실하게 회전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탈수겸용 세탁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제2도에 있어서 외부상자(11)의 내부에는 물받침조(12)가 요동이 자유롭게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 물받침조(12)내에는 세탁조 및 탈수조를 겸용하는 회전조(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조(13)의 내부 바닥부에는 세탁 및 탈수 회전용의 모터(15) 및 구동기구부(16)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터(15)의 회전력은 벨트전달기구(17)를 지나 상기 구동기구부(16)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구부(16)의 케이스(18)는 상부케이스(19) 및 하부케이스(20)로 구성되어 있고 물받침조(12)의 외부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기구부(16)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장치(21), 클러치기구(22) 및 브레이크장치(23) 등을 내장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기구부(16)는, 모터(15)의 회전력을, 세탁 및 헹굼시에는 교반체(14)에만 감속해서 전달하고 탈수시에는 회전조(13) 및 교반체(14)에 전달해서 쌍방을 일체적으로 고속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회전조(13)를 구동하기 위한 용기축인 탈수축(24)은 상부 중공축(25)과 하부중공축(26)을 브레이크 드럼(27)에 의해 연결 일체화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드럼(27)은 드럼본체(28)와 이들 하면개구부를 닫는 덮개체(29)가 결합해서 이루어지고 드럼본체(28)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한 슬립(30)은 상기한 상부 중공축(25)에 연결되고 덮개축(29)의 하부에 상기한 하부중공축(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수축(24) 중의 상부 중공축(25)은 상기 상부케이스(19)에 축베어링(31)을 통해 지지되고 하부 중공축(26)은 상기 하부케이스(20)에 축베어링(32)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드럼(27)은 상기 감속장치(21)의 케이싱을 겸용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드럼(27)내에는 감속을 위한 유성 톱니바퀴 기구(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성 톱니바퀴기구(33)의 입력축이 구동축(34)이고 상기 구동축(34)은 모터(15)로부터의 회전력을 벨트 전달기구(17) 및 연결축(35)을 통해 받고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성 톱니바퀴 기구(33)이 출력축이 교반축(36)이고 이 교반축(36)의 상단에 상기 교반체(14)가 연결고정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기구(22)에 있어서 클러치 스프링(37)을 수용하는 클러치 스프링(38)이 후술하는 브레이크 레버(39)와 함께 도시하지 않은 전자석에 의해 이동제어되는 크래치 레버(40)에 걸려져 있을 때(세탁 또는 헹굼시)에는 구동축(34)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연결축(35)에서 상기 탈수축(24)의 일부인 하부 중공축(26)으로의 회전력 전달을 중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탁시에는 모터(15)에 의해 구동축(34)측만이 회전되고 이 결과 교반체(14)가 감속장치(21)에 의해 감소된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40)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었을 때 (탈수시)에는 해당 연결축(35)과 하부 중공축(26)을 연결상태로서 회전력을 탈수축(24)에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탈수시에는 구동축(34), 탈수축(24), 브레이크 드럼(27) 및 교반축(36)이 일체로 회전되고 그 결과 회전조(13)가 교반체(14)와 함께 고속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장치(23)에 대해 설명하면 브레이크 드럼(27)의 외주면에는 해당 브레이크 드럼(27)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밴드(41)가 장착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밴드(41)는 그 일단부가 하부 케이스(20)에 고정된 회전지지축(4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20)에 상기 회전지지축(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브레이크 레버(39)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밴드(41)중의 브레이크 드럼(27)에 접촉하는 면에는 브레이크슈가 부착되어있다.
또한, 브레이크 레버(39)는 도시하지 않은 인장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항상 브레이크 레버(41)를 브레이크 드럼(27)에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하고 이 브레이크 밴드(41)의 조임방향은 탈수시의 회전조(13)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레버(39)는 전자석이나 모터 등에 의해 브레이크 밴드(41)의 느슨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수축(24) 하부의 축베어링(32) 윗방향에는 회전조(13)의 역운전 방지장치인 롤러식의 단방향 클러치(43)가 설치되어 있고 이하, 이것에 대해 제1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단방향 클러치(43)는 거의 원통형상의 하우징(44), 이 하우징(44)의 내부에 회전고정상태가 되도록 압입된 외륜(45), 이 외륜(45)의 내주면부와 상기 탈수축(24)의 하부 중공축(26)과의 사이에 끼워 장착된 복수의 롤러(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4)의 타단부인 하단부에는 제3도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인 예를들면 칼날형상부(47)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칼날형상부(47)의 외주부의 형상은 비원형상인 다각형상(이 경우 예를들면 정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과 축베어링(32)과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케이스(48)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는 구체적으로는 제3도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48a)와, 이 원통형상부(48a)의 일단부인 상단부에 내측을 향해 연장 설치된 단면벽부(48b)와, 이 단면벽부(48b)에 윗방향을 향해 돌출설치된 단면 정육각 형상의 각통부(48c)와 이 각통부(48c)의 상단부에 내측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관통구멍(48d)을 가지는 단면벽부(48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원통형상부(48a)내에 축베어링(32)의 외주부인 외륜을 압입하고 회전고정상태에서 걸어맞추고 있음과 동시에 각통부(48c)내에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를 회전고정상태에서 걸어맞추고 있다. 이 경우 회전고정 축베어링 케이스(48)의 각통부(48c)가 비원형형상의 걸어맞춤 구멍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베어링(32)은 하부케이스(20) 축베어링 지지용의 걸어맞춤 오목부내에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원통형상부(48a)를 통해 압입고정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상부(48a)는 하부 케이스(20)에 회전고정상태가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베이스(48)와 하부 케이스(20)(케이스(18))로 본 발명의 축베어링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단면벽부(48a)가 단방향 스위치(43)(하우징(44))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에 의해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과 축베어링(32)을 일체화하는 것(즉,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을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단면벽부(48e)에 의해 유지하는 것)에 의해 단방향 클러치(43)는 탈수축(24) 즉, 회전조(13)의 탈수시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탈수시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각통부(48c)와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단면벽부(48e)의 관통구멍(48d)과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의 외주부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간격(직경방향의 간격)에 의해 단방향 클러치(43) 중심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방향 클러치(43)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단면벽부(48e)의 하면과 축베어링(32)의 상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 상태에서 상하방향 즉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즉 단면벽부(48e)와 칼날형상부(47)와의 사이 및 칼날형상부(47)와 축베어링(32)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간격에 의해 동작시에 단방향 클러치(43)가 받는 힘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 또는 헹굼시(세탁시)에는 브레이크 밴드(41)가 브레이크 드럼(27)에 조여져 있고 회전조(13)가 제어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교반체(14)가 모터(15)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교반체(14)가 정,역회전하면 회전조(13)내에 소용돌이 물흐름이 생성되고 세탁물이 세탁되지만 회전조(13)는 이 소용돌이 물흐름으로부터 혹은 소용돌이 물흐름에 편승해서 유동하는 세탁물로부터 정,역방향의 회전력을 받는다. 현재 회전조(13)가 탈수시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의 회전력을 받았다고 하면 이 회전방향은 브레이크 밴드(41)에서 조이는 방향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밴드(41)가 보다 강하게 브레이크 드럼(27)에 조이게 됨으로써 탈수축(24)에 큰 제어력이 작용하고 회전조(13)의 동일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회전조(13)가 탈수시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받으면 이 회전방향은 브레이크 밴드(41)에서 완만한 측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밴드(41)에 의한 탈수축(24)의 제어력이 감소하고 회전조(13)가 상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회전조(13)가 약간 상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은 단방향 스위치(43)에서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탈수축(24) 나아가서는 회전조(13)의 회전이 저지되고 그 이상의 회전이 확실하게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를, 탈수축(24)을 지지하는 축베어링(32)의 외주부와 단방향 클러치(43)의 외주부인 하우징(44)에 각각 회전고정상태에서 걸어맞춤으로써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 나아가서는 외륜(45)을 회전고정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조립작업은 각 부품을 위에서 차례로 걸어맞추는 정도의 간단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종래구성(제13도 참조)과는 다르고 단방향 클러치(43)의 외주부(하우징(44) 및 외륜(45))를 고정하기 위한 단부착 볼트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부착 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부착 볼트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단부착 볼트용의 격납 공간을 설치할 필요도 없어지고 축베어링(32)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20)의 형상을 종래구성(제6도 참조)에 비해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그 만큼 하부 케이스(20)를 압축 가공할 때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에 단부착 볼트용의 큰 칼날형상부를 일체로 형상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의 형상이 간단하기 때문에 금형 등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종래구성에 비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을 회전고정하기 위한 구체적 구조는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의 외주부를 다각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각통부(48c)를 단면 다각형상으로 하고 양자를 걸어맞추는 구성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성이다. 또한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의 외주부와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각통부(48c)의 내주부와의 사이에 중심조절용의 간격(직경방향의 간격)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각 구성부품의 치수오차 및 조립오차에 기인해서 단방향 클러치(43)의 중심조절이 저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에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의 칼날형상부(47)와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의 단면벽부(48e)와의 사이 또는 상기 칼날형상부(47)와 축베어링(32)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축방향의 간격)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44)을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구성했기 때문에 단방향 클러치(43)가 동작할 때 단방향 클러치(43)가 받는 힘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구성에 있어서도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착 볼트(9)의 부착부위에 직경방향의 간격(a)을 설정함과 동시에 축방향의 간격(b)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구성에서는 각 간격(a,b)을 정밀도 있게 관리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했다. 이것에 대해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 및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가 각각 가공용이한 구성이기 때문에 각 간격의 관리가 간단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의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44)대신 하우징(51)의 하단부에는 칼날형상부(52)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칼날형상부(52)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볼록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대신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53)의 상단부에는 관통구멍(53a)을 가지는 단면벽부(53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면벽부(53b)에 상기 볼록부(52a)를 걸어맞추는 오목부인 예를들면 걸어맞춤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51)의 볼록부(52a)와,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53)의 걸어맞춤 구멍(53c)을 걸어맞춤으로써 하우징(51) 및 외륜(45)의 회전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52a)와 걸어맞춤 구멍(53c)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중심조절용)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볼록부와 오목부의 배치관계를 역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제6도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의 단방향 클러치(43)의 하우징(51)대신 하우징(54)의 하단부에는 칼날형상부(55)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칼날형상부(55)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오목부인 예를들면 걸어맞춤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53)대신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56)의 상단부에는 관통구멍(56a)을 가지는 단면벽부(56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면벽부(56b)에 상기 걸어맞춤 구멍(55a)에 걸어맞추는 볼록부(5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외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우선 제4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방향 클러치(61)를 축베어링(32)의 아랫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축베어링(32)을 하부 케이스(20)대신 하부 케이스(62)에 일체로 형성된 축베어링 유지부(62a)내에 직접 걸어맞춰 유지하고 있고 이 하부 케이스(62)가 축베어링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 클러치(61)는 제8도 및 제11도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하우징(63), 이 하우징(63)의 내부에 회전고정상태가 되도록 압입된 외륜(45), 이 외륜(45)의 내주면부와 상기 탈수축(24)의 하부 중공축(26)과의 사이에 끼워 장착된 복수의 롤러(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3)의 상단부에는 제9도 및 제10도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피협지부인 예를들면 칼날형상부(6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칼날형상부(64)에는 회전고정부로서 예를들면 3개의 회전고정용의 볼록부(65)가 둘레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제10도 참조). 이 경우 각 볼록부(65)의 양측 변부에는 각각 홈부(64a,6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볼록부(65)는 돌출부를 단면 U자형상으로 아랫방향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62)의 축베어링 유지부(62a)의 하단부에는 안쪽방향으로 직각으로 접어 구부린 고리형상의 돌출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62b)와 축베어링(32)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하우징(63)의 칼날형상부(64)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하우징(63) 나아가서는 단방향 클러치(61)가 하부 케이스(62)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62b)가 유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62b)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63)의 3개의 볼록부(65)가 끼워맞춰지기 위한 오목부로서 3개의 절개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3개의 절개부(62c)에 하우징(63)의 3개의 볼록부(65)가 끼워맞춰짐으로써 하우징(63)이 회전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방향 클러치(61)는 탈수축(24) 즉 회전조(13)의 탈수시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탈수시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2)의 절개부(62c)와, 단방향 클러치(61)의 하우징(63)의 볼록부(65)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직경방향의 간격(a))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과 함께 하우징(63)의 칼날형상부(64)의 상면과 축베어링(32)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축방향의 간격(b))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간격(a,b)에 의해 단방향 클러치(61)의 중심을 용이하게 맞춤으로서 실행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작시에 단방향 클러치(61)가 받는 힘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4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62)에 단방향 클러치(61)의 하우징(63)을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돌출부(62b)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 비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48)를 불필요하게 하는 만큼 부품갯수를 적게할 수 있고 조립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싸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61) 및 축베어링(32)을 조립하는 경우 하부 케이스(62)내에 단방향 클러치(61)의 하우징(63)을 삽입하고 하부 케이스(62)의 절개부(62c)와 하우징(63)의 볼록부(65)를 끼워맞춘 후 축베어링(32)을 하부케이스(62)의 축베어링 유지부(62a)내에 압입해서 끼워맞춰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품을 위에서 차례로 조립해가면 되기 때문에 종래구성에 비해 조립작업성이 대폭으로 향상한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서는 단방향 클러치(61)의 하우징(63)의 칼날형상부(64) 및 하부 케이스(62)의 돌출부(62b)가 각각 가공용이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한 각 간격(a,b)을 정밀도 있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서는 단방향 클러치(61)의 하우징(63)의 칼날형상부(64)에 회전고정부인 볼록부(65)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62)의 돌출부(62b)에 상기 볼록부(65)가 끼워맞추어지는 절개부(62c)(피회전 고정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그 대신 칼날형상부(64)에 회전고정부인 오목부로서 예를들면 구멍이나 절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돌출부(62b)에 상기 구멍이나 절개부에 끼워맞추는 볼록부(피회전 고정부)를 예를들면 아랫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에서도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축의 축베어링을 지지하는 축베어링 케이스에 단방향 클러치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단부착 볼트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제조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를 압축가공할 때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하게 되고 총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피협지부를 설정하고 이 피협지부를 축베어링과 축베어링 케이스의 유지부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단방향 클러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피협지부로서의 칼날형상부를 설치하고 이 칼날형상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끼우는 기능과 회전고정기능을 동일개소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베어링 케이스를 축베어링의 외주부와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를 각각 회전고정상태에서 끼워맞추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와, 이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를 끼워맞춰 지지하는 케이스로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조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를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에 회전고정할 때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일단부에 비원형형상의 끼워맞춤 구멍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상기 끼워맞춤 구멍부에 회전고정상태에서 끼워맞추는 비원형 형상의 끼워맞춤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성이 된다. 또한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 한쪽의 단면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칼날형상부를 설치하고 이 칼날형상부에 상기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성이 된다.
Claims (6)
- 회전조의 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조가 탈수시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롤러식의 단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 축의 베어링을 고정하는 베어링 케이스에 유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단방향 클러치를 유지하는 하우징에 피협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 및 베어링 케이스의 유지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피협지부를 회전고정 상태로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하우징에 상기 피협지로부서 칼날형상부를 설치하고, 상기 칼날형상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축베어링의 외주부와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에 각각 회전고정상태에서 끼워맞추는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와, 상기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를 끼워맞춰 지지하는 케이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일단부에 비원형형상의 끼워맞춤 구멍부를 설치하고,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상기 끼워맞춤 구멍부에 회전고정상태에서 끼워맞추는 비원형 형상의 끼워맞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용 축베어링 케이스의 일단면부에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단방향 클러치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타단부에 칼날형상부를 설치하며 상기 칼날형상부에 상기 회전고정용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피협지부는 상기 회전조 축의 축선 및 반직경 방향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겸용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0073894A JP3290278B2 (ja) | 1993-06-22 | 1994-01-10 | 脱水兼用洗濯機 |
JP94-000738 | 1994-0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3782A KR950023782A (ko) | 1995-08-18 |
KR0175184B1 true KR0175184B1 (ko) | 1999-05-01 |
Family
ID=1148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0238A KR0175184B1 (ko) | 1994-01-10 | 1995-01-09 | 탈수겸용 세탁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0175184B1 (ko) |
CN (1) | CN1077171C (ko) |
TW (1) | TW25050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80581B2 (ja) * | 1997-10-09 | 1999-11-22 | 三星電子株式会社 | 洗濯機用シャフトアセンブリ |
DE102018221829A1 (de) * | 2018-12-14 | 2020-06-18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 Elektromo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71659U (zh) * | 1990-06-27 | 1991-02-20 | 广州汽轮机厂 | 带隔声层的全自动洗衣机减速离合器 |
CN2155384Y (zh) * | 1993-06-07 | 1994-02-09 | 赖吉洪 | 全自动洗衣机的内外轴离合装置 |
-
1994
- 1994-12-02 TW TW083111240A patent/TW250508B/zh active
-
1995
- 1995-01-09 KR KR1019950000238A patent/KR01751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1-10 CN CN95101138A patent/CN107717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3782A (ko) | 1995-08-18 |
TW250508B (en) | 1995-07-01 |
CN1077171C (zh) | 2002-01-02 |
CN1112173A (zh) | 1995-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0403A (en) | Pivotal support structure for oscillating member | |
KR20030088638A (ko) | 세탁기 구동부의 방진구조 | |
KR0175184B1 (ko) | 탈수겸용 세탁기 | |
JP3290278B2 (ja) | 脱水兼用洗濯機 | |
JP3103207B2 (ja) | 脱水兼用洗濯機 | |
KR100247762B1 (ko) | 세탁기용 클러치의 역회전 방지 장치 | |
JP3516320B2 (ja) | 電気洗濯機の回転駆動機構 | |
KR970000641B1 (ko) | 단일레버를 이용한 클러치스프링 양단제어장치 | |
KR200358054Y1 (ko) | 편물기 씨실 시트의 전동 기구 | |
CN220581653U (zh) | 用于驱动器的传动装置以及驱动器 | |
JPH0314480B2 (ko) | ||
KR960015481B1 (ko) | 전자동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 |
JPH0323182Y2 (ko) | ||
ITPN980017U1 (it) | Dispositivo di azionamento per un asciugabiancheria domestico | |
JPH0558358B2 (ko) | ||
JP2000296290A (ja) | 洗濯機の動力伝達装置 | |
JPH11244576A (ja) | 洗濯機 | |
JPH0659357B2 (ja) | 洗濯機の減速装置 | |
KR0124600Y1 (ko) | 브러쉬레스 직류모우터를 이용한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 |
JPH07156B2 (ja) | 脱水兼用洗濯機 | |
JPH0337592Y2 (ko) | ||
KR200232025Y1 (ko) | 세탁기 | |
KR0132196Y1 (ko) | 세탁기용 클러치의 기어 감속장치부 지지구조 | |
JP2656528B2 (ja) | 洗濯機の駆動装置 | |
KR100291773B1 (ko) | 세탁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