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496A -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496A
KR20110086496A KR1020100123424A KR20100123424A KR20110086496A KR 20110086496 A KR20110086496 A KR 20110086496A KR 1020100123424 A KR1020100123424 A KR 1020100123424A KR 20100123424 A KR20100123424 A KR 20100123424A KR 20110086496 A KR20110086496 A KR 2011008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holding
circular
bear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934B1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1008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5Multi-spee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3Spool locking devices on spool shaf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for t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3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and spool shaf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보지(保持) 부재의 덜걱거림을 용이하고 확실히 방지한다.
<해결 수단> 보지 부재(70)는, 제1 보지부(72)와, 제2 보지부(73)와, 제1 보지부(72)와 제2 보지부(73)의 사이에 설치된 원판부(71)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내주부(內周部)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4)과,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notch)되고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계합(係合)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 단면부(77)를 가지고 있다. 비원형 단면부(77)는, 대향하는 2면이 평행으로 되도록 프레이즈(fraise) 가공에 의하여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前端部)가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SPINNING REEL SPOOL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스풀 지지 구조, 특히, 스풀 축에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며,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고 내주(內周)에 스풀 축이 장착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된 대경(大徑) 통상(筒狀)의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의 후단부에는, 스풀 축에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의 후방(後方)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環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환상 부재의 내주 측에는, 대략 타원형의 비원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스풀 축의 전단부(前端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드랙형의 스피닝 릴에서는, 줄 감기 몸통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드랙판으로 이루어지는 드랙 기구 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스풀은, 예를 들어 볼 베어링 등의 베어링에 의하여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종류의 베어링은, 줄 감기 몸통부의 내주에 배치되고, 스풀 축의 외주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가 원형으로 형성된 구멍부를 가지는 통상의 보지(保持) 부재에 보지되어 있다. 보지 부재는, 후단부(後端部)가 환상 부재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고 있고, 줄 감기 몸통부에 의하여 후방으로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되어 있다. 또한, 보지 부재에는 스풀 축과 교차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스풀 축에는 관통 구멍에 연통(連通)하는 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 및 암 나사에 육각 구멍붙이 멈춤 나사 등의 핀 부재를 삽통(揷通, 구멍에 통과시키는 것)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시키는 것에 의하여, 보지 부재를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보지 부재의 후단부를 환상 부재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드랙 기구를 작동하여 드랙판을 후방으로 압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에서는, 예를 들어 실제 낚시 시에 물고기 등과의 밀고 당기기를 즐기기 위하여, 드랙 기구를 느슨하게 하여 낚시를 행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드랙 기구를 느슨하게 하면, 후방으로 압압되어 있던 드랙판의 압압력이 작아진다. 드랙판의 압압력이 작아지면, 줄 감기 몸통부가 보지 부재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힘이 작아진다. 그러면, 여기에서는 보지 부재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부에 단면이 비원형의 스풀 축이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와 스풀 축의 사이의 대략 궁형(弓形)의 간극(間隙)에 의하여, 덜걱거림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보지 부재에 덜걱거림이 생기면, 스풀의 매끄러운 전후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생긴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보지 부재의 원형부와 스풀 축의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에, 단면이 간극의 형상으로 합치하는 것과 같은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장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여기에서는, 보지 부재의 원형부와 스풀 축의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에, 단면이 간극의 형상에 합치하는 것과 같은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간극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0464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03호
상기 종래의 스풀은, 보지 부재의 원형부와 스풀 축의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에, 단면이 간극의 형상으로 합치하는 것과 같은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간극을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보지 부재와 별체의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별도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스풀 전체의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것과 함께, 스풀 조립 공수(工數)가 증대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제조 코스트가 증가할 우려가 생긴다. 나아가, 보지 부재의 원형부와 스풀 축의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은 매우 작은 간극이기 때문에, 이 작은 간극에 합치하도록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매우 얇게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덜걱거림 방지 부재의 형성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용이하고 확실히 방지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는,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전단 측의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부를 가지는 스풀 축에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이고, 베어링부와, 보지 부재와,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부는, 스풀의 내주부에 배치되고,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지 부재는, 보지부와, 관통 구멍과, 비원형 단면부를 가진다. 보지부는, 외주부에 베어링부가 배치된다. 관통 구멍은, 축 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풀 축의 비원형부가 뒤쪽으로부터 삽통 가능하게 내주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비원형 단면부는, 보지부의 전단부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notch)되고, 스풀 축의 비원형부가 계합(係合, 걸어 맞춤)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고정 부재는, 보지 부재를 스풀 축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한다.
이 스풀 지지 구조에서는, 보지 부재는, 보지부의 전단부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고, 스풀 축의 비원형부가 계합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 단면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보지 부재의 비원형 단면부가 스풀 축의 비원형부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내주부와 스풀 축의 비원형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비원형 단면부는, 보지부의 전단부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부의 내경(또는 외경)을 같은 가공의 기준으로 하여 보지부의 외경(또는 내경)과 함께 비원형 단면부를 절삭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원형 단면부를 고정도(高精度)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이나 사출 성형에 의하여 비원형 단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프레스 가공이나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한 시어 드루프(shear droop)나 사출 성형에 의한 빼기 테이퍼(taper)가 발생하기 때문에, 스풀 축의 비원형부와의 계합면이 평행이 아니게 되어, 기울어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건의 비원형 단면부는,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이나 사출 성형에 의한 문제를 일으키게 하는 것 없이, 고정도로 비원형부와의 계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원형 단면부를 고정도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비원형 단면부는, 보지부의 전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절삭 공구의 사이즈를 비교적 제한하는 것 없이 비원형 단면부를 가공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원형 단면부의 비원형 단면을 고정도로 가공하는 것만으로 스풀 축의 비원형부 이외의 부분이 비원형 단면부의 비원형 단면 이외의 부분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 또는 2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비원형 단면부는, 프레이즈(fraise)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특히, 비원형 단면부를 평행한 2면으로 형성할 경우, 비원형 단면부를 고정도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비원형 단면부는, 대향하는 2면이 평행으로 되도록 노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 축의 비원형부를 평행한 2면을 가지는 대략 코반(小判, 16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중엽 에도시대까지 사용하던 타원형의 얇은 금화) 형상으로 형성하고, 비원형부의 평행한 2면에 비원형 단면부의 대향하는 2면이 평행을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용이하고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베어링부는, 제1 베어링과, 제1 베어링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을 가지고 있다. 보지부는, 전단부에 비원형 단면부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제1 베어링이 배치되는 제1 보지부와, 제1 보지부의 뒤쪽에 배치되고 외주부에 제2 베어링이 배치되는 제2 보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에 의하여, 스풀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5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보지부와 제2 보지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외주부가 제1 보지부 및 제2 보지부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된 원판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 원판부의 앞쪽에 제1 베어링이나 드랙판을 배치하고, 원판부의 뒤쪽에 제2 베어링을 배치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5 또는 6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보지부는, 고정 부재가 삽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1 보지부 측에 비원형 단면부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보지부 측에 비원형 단면부를 형성하고 또한 제2 보지부 측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관통 구멍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보지 부재는, 보지부의 전단부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고, 스풀 축의 비원형부가 계합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 단면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스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풀의 보지 부재 주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5는 상기 보지 부재 장착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상기 보지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상기 보지 부재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상기 보지 부재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9는 상기 스피닝 릴의 로터 장착 부분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10은 상기 스피닝 릴의 핸들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핸들의 핸들 암 장착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상기 핸들의 핸들 손잡이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상기 핸들 손잡이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14는 상기 핸들 손잡이의 통상부의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며,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디에도 장착 가능하다.
핸들(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85, 도 2 참조)의 선단(先端)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1b, 도 1 참조)과, 핸들 암(1b)의 선단에 고정된 막대상(狀)의 손잡이 축(1c, 도 1 참조)과, 손잡이 축(1c)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1a, 도 1 참조)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1b)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막대상 부재이고, 핸들 축(85)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는 중공(中空) 막대상의 암부(86)와, 암부(86)의 선단부에 판상(板狀)으로 설치되고 손잡이 축(1c, 도 1 참조)을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부(87)와, 암부(86)의 기단부(基端部)에 반구상(半球狀)으로 설치되고 핸들 축(85)의 선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부(88)를 가지고 있다. 암부(86)는, 선단부가 릴 본체(2) 측으로 굴곡한 크랭크(crank) 암이다. 제1 장착부(87)에는, 막대상의 손잡이 축(1c, 도 1 참조)을 삽통하고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8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부(88)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85)의 선단부를 핀 부재(89)에 의하여 핸들 암(1b)에 코킹(caluking)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장착부(88)는, 외주면이 반구상으로 형성된 반구상부(88a)와, 반구상부(88a)의 내측(릴 본체(2) 측)에 내방(內方)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2개의 제1 돌출부(88b) 및 제2 돌출부(88c)를 가지고 있다. 제1 돌출부(88b) 및 제2 돌출부(88c)의 측부(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핸들 축(85)과 교차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 관통 구멍(88d) 및 제2 관통 구멍(88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88d) 및 제2 관통 구멍(88e)은, 핸들 축(85)의 선단부의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고, 3개의 관통 구멍을 연통시킨 상태로 핀 부재(89)를 장착하여 코킹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핸들 축(85)을 핸들 암(1b)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1 돌출부(88b) 및 제2 돌출부(88c)의 내측 면(릴 본체(2) 측의 면, 반구상부(88a)의 외주면과 반대 쪽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외주면(88f) 및 제2 외주면(88g)은, 반구상부(88a)의 외주면의 구면과 동일한 구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구상부(88a)의 내주면과 릴 본체(2)와의 사이의 핸들 축(85)의 외주 측에는,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핸들 테두리부(84)가 장착되어 있다. 핸들 테두리부(84)는, 제1 돌출부(88b), 제2 돌출부(88c) 및 핀 부재(89) 전체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절삭 가공 시에 형성되는 T 슬롯 홈이나, 제1 돌출부(88b), 제2 돌출부(88c) 및 핀 부재(89) 전체가 핸들 테두리부(84)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에, 외관 의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진다.
핸들 손잡이(1a)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축(1c)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90)와, 통상부(90)의 외주 측을 덮도록 장착된 합성 수지제의 손잡이부(91)와, 손잡이부(91)의 앞쪽 또한 통상부(90)의 전단부 외주에 장착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 부재(92)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90)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통상 부재이고, 환상 부재(92)가 장착되는 선단부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가 손잡이부(91)에 인서트 성형되는 후단부가 대략 타원형으로 편평한 부재이다. 통상부(90)의 내주부의 양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2개 베어링이 배치되고, 2개 베어링에 의하여 손잡이 축(1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통상부(9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 외주에 수 나사부(90a)가 형성되어 있고, 환상 부재(92) 내주부에 형성된 암 나사부(92a)를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환상 부재(92)를 통상부(90)에 취부하고, 환상 부재(92)를 통상부(90)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환상 부재(92)를 통상부(90)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통상부(90)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 의장을 향상할 수 있다.
손잡이부(91)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이나 셉톤(septon, 등록 상표) 등의 연질인 러버(rubber) 부재이고, 통상부(90)가 인서트 성형되는 부재이다. 통상부(9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가 손잡이부(91)에 인서트 성형되는 후단부가 대략 타원형으로 편평한 부분의 양면에는, 각각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축 방향으로 나란히 놓아 형성된 제1 돌기부(90b), 제2 돌기부(90c), 제3 돌기부(90d) 및 제4 돌기부(90e)를 가지고 있다. 제1 돌기부(90b), 제2 돌기부(90c), 제3 돌기부(90d) 및 제4 돌기부(90e)는, 외주에 손잡이부(91)를 인서트 성형할 때에, 손잡이부(91)의 걸리는 곳으로 되는 부분이고, 러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91)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릴 본체(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의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 도 1 참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2)는,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를 덮는 본체 가이드(2d)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등의 경합금제의 것이며, 상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취부 다리(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공간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로터(3)로 보이지 않게 되는 앞쪽의 2개소에서 고정 볼트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함께, 로터(3)로부터 이반하는 뒤쪽의 1개소에서 고정 볼트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1)와, 이 페이스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제1 베어링(14a), 제2 베어링(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 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로터 본체(7)와, 로터 본체(7)의 후부를 덮는 제1 커버 부재(33)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외측면을 덮는 한 쌍의 제2 커버 부재(34) 및 제3 커버 부재(35)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로터 본체(7)는, 릴 본체(2)의 전부인 원통부를 내부에 배치 가능하게 후부에 형성된 요함부(凹陷部)를 가지는 통부(30)와, 통부(30)의 후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접속되고 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통부(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부 내주 측에 원판상의 벽부를 가지고, 벽부의 중심부에는, 피니언 기어(12)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환상의 보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의 중심에 피니언 기어(12)의 전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고, 피니언 기어(12)의 선단에 틀어 넣어진 너트(13)에 의하여, 로터 본체(7)가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너트(13)의 선단 내주부와 스풀 축(15)의 외주부와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베어링(58)이 설치되어 있고, 나아가, 제5 베어링(58)의 내주부와 스풀 축(15)의 외주부와의 사이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놋쇠제의 칼라(collar) 부재(59)가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되어 있다.
제5 베어링(58)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름 볼 베어링이고, 스풀 축(15)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내륜(58a)과, 너트(13)의 선단 내주부에 배치되는 외륜(58b)과, 내륜(58a)과 외륜(58b)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체(球體)로 이루어지는 전동체(轉動體, 58c)를 가지고 있다. 칼라 부재(59)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통상부(59a)와, 통상부(59a)의 기단부(도 9 우측)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제5 베어링(58)의 내륜(58a)의 기단부가 당접하는 돌출부(59b)와, 통상부(59a)에 제5 베어링(58)을 장착한 상태로 통상부(59a)의 선단부(도 9 좌측)를 제5 베어링(58)의 내륜(58a)의 선단부가 빠짐 방지되도록 직경 방향 외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하여 코킹 고정하기 위한 코킹부(59c)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5 베어링(58)에 칼라 부재(59)를 코킹 고정한 상태로, 너트(13)의 선단 내주부와 스풀 축(15)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제5 베어링(58) 및 칼라 부재(59)를 장착한다. 여기에서는, 제5 베어링(58)에 칼라 부재(59)가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5 베어링(58)과 칼라 부재(59)와의 미소한 덜걱거림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33)는, 통부(30)의 주위에서 로터 본체(7)의 후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34)는, 제1 로터 암(31)의 외방을 덮는 것이며, 제1 로터 암(31)에 틀어 넣어지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제1 로터 암(3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3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33) 및 제1 로터 암(31)과 삼차원적인 곡선으로 접합하고 있다. 제2 커버 부재(34)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배치 가능하게 대체로 반원형으로 노치된다.
제3 커버 부재(3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로터 암(32)의 외방을 덮는 것이며, 고정 볼트 및 거기에 나합하는 너트 부재에 의하여 제2 로터 암(32)에 고정된다. 제3 커버 부재(35)도 제1 커버 부재(33) 및 제2 로터 암(32)과 삼차원적인 곡선으로 접합하고 있다. 고정 볼트는, 제3 커버 부재(35)를 로터 본체(7)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후술하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 측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터 암(32)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의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베일 암(44)이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2에 도시하는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암(44)은, 도 1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44)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1)의 외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2 로터 암(32)의 외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4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연결하는 베일(43)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선단이 고정된 고정축(45)과, 고정축(45)에 지지된 라인 롤러(41)와, 고정축(45)을 덮는 고정축 커버(46)를 가지고 있다.
로터(3)의 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이 아이들링(idling)하는 롤러형의 원 웨이 클러치(51)와, 원 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4a)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방에 줄 감기 몸통부(4a)와 일체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단에 설치된 대경의 전 플랜지부(4c)와, 전 플랜지부(4c)를 줄 감기 몸통부(4a)에 고정하기 위한 전 플랜지 고정 부재(4d)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4a) 및 스커트부(4b)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단조·절삭 가공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원통형의 부재이며, 제3 베어링(56) 및 제4 베어링(57)에 의하여 스풀 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고 통상으로 형성된 통상부(16)와, 통상부(16)의 후단 내주 측에 통상부(16)와 일체 성형된 환상의 벽부(17)와, 벽부(17)의 앞쪽에 통상으로 돌출하고 내주부에 제3 베어링(56)이 배치되는 제1 돌출부(18a)와, 벽부(17)의 뒤쪽에 통상으로 돌출하고 내주부에 제4 베어링(57)이 배치되는 제2 돌출부(18b)를 가지고 있다. 제1 돌출부(18a) 및 제2 돌출부(18b)의 내측에는 제3 베어링(56) 및 제4 베어링(57)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55)가 장착되어 있고, 베어링부(55)는 통상의 보지 부재(70)를 통하여 스풀 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지 부재(7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장착된 스풀 받이부(20)가 당접하고 있다.
스풀 받이부(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금속제의 링 부재이다. 스풀 받이부(20)는 제4 베어링(57)의 후단에 당접하고 있다. 스풀 받이부(20)를 스풀 축(15)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드랙 기구(60)에 의하여 벽부(17)가 후방으로 압압되어도, 스풀(4) 전체를 받을 수 있다.
보지 부재(7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음 핀(81, 도 3 참조)이 당접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통상의 발음 부재(80, 도 3, 도 4 참조)를 통하여 후단부가 스풀 받이부(20)에 당접하고 벽부(17)에 의하여 후방으로 압압되는 통상의 부재이다. 보지 부재(70)는, 외주에 베어링부(55)가 보지되고, 내주가 스풀 축(15)의 전단 측의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부(15b)에 일체 회전 가능 장착되어 있다.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는, 외주 단면이 원주(圓柱) 부재의 양 측면을 평행한 2면으로 노치한 대략 코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지 부재(70)는, 도 4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에 제3 베어링(56)이 배치되는 제1 보지부(72)와, 제1 보지부(72)의 뒤쪽에 배치되고 외주부에 제4 베어링(57)이 배치되는 제2 보지부(73)와, 제1 보지부(72)와 제2 보지부(73)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외주부가 제1 보지부(72) 및 제2 보지부(73)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된 원판부(71)와, 축 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뒤쪽으로부터 삽통 가능하게 내주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4)과, 제1 보지부(72)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핀 부재(75)가 삽통 가능한 관통 구멍(76)과,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프레이즈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고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계합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비원형 단면부(77)를 가지고 있다. 보지 부재(70)는, 핀 부재(75)에 의하여 스풀 축(15)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보지부(72), 원판부(71) 및 제2 보지부(73)는, 도 4, 도 6,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일체 성형된 부재이고, 내주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4)을 가지고 있다. 제1 보지부(72), 원판부(71) 및 제2 보지부(73)의 외주부에는, 알루마이트(allumite) 처리가 행하여져 있다. 원판부(71)의 앞쪽의 제1 보지부(72)에는, 스풀(4)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정 와셔(63)가 원판부(71)의 앞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보지부(73)의 외경은, 제1 보지부(72)의 외경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제3 베어링(56)보다 대경의 제4 베어링(57)을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통 구멍(74)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삽통 가능한 원형의 관통 구멍이며, 관통 구멍(74)의 내경은, 스풀 축(15)의 원형부의 외경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15)에는, 도 4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에 암 나사 구멍(15c, 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보지부(72)에 형성된 관통 구멍(76, 도 5, 도 6 및 도 8 참조)과 연통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육각 구멍붙이 멈춤 나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핀 부재(75)의 수 나사부(75a, 도 4 참조)를 스풀 축(15)의 암 나사 구멍(15c)에 틀어 넣는 것에 의하여, 보지 부재(70)를 스풀 축(15)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프레이즈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고,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계합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비원형 단면부(77)를 가지고 있다.
비원형 단면부(77)는, 도 4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2면이 평행으로 되도록 프레이즈 가공에 의하여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가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 단면부(77)는, 도 5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지부(72)의 원형의 전단부의 중앙 부분이 대략 코반 형상으로 되도록 잘라 내어 형성된 것이며, 그 양측에는 대칭으로 되는 대략 궁형 부분(도 6 및 도 7 참조)이 남도록 되어 있다. 비원형 단면부(77)의 평행한 2면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의 평행한 2면에 간극없이 계합하도록, 비원형 단면부(77)의 평행한 2면의 사이의 거리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의 평행한 2면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 단면부(77)는, 제1 보지부(72)의 외경(또는 내경)을 가공의 기준으로 하여 대향하는 2면을 프레이즈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비원형 단면부(77)의 대향하는 2면과 제1 보지부(72)의 내경(또는 외경)을, 제1 보지부(72)의 외경(또는 내경)을 같은 가공의 기준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원형 단면부(77)의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와의 계합 부분을 고정도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스커트부(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통부(30)를 덮도록 통상으로 줄 감기 몸통부(4a)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커트부(4b)는, 알루미늄 합금을 드로잉(drawing) 가공하여 얻어진 금속 박판(薄板)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 플랜지부(4c)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확경 확경(擴俓, 직경을 크게 함)하도록 경사하여 형성된 금속제 또는 경질 세라믹제의 흠집 나기 어려운 환상의 부재이다. 전 플랜지부(4c)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통상부(16)의 전단 내주부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나합하는 전플랜지 고정 부재(4d)에 의하여, 줄 감기 몸통부(4a)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전 플랜지 고정 부재(4d)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 외주부에 줄 감기 몸통부(4a)의 암 나사부에 나합하는 통상의 수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 나사부의 내주 측의 공간에는, 드랙 기구(60)의 복수의 드랙판(62)을 수납 가능하다.
드랙 기구(6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며, 스풀 축(15)의 선단의 수 나사부(15a, 도 5 참조)에 나합하는 드랙 조정 손잡이(61)와, 드랙 조정 손잡이(61)에 의하여 압압되어 스풀(4)을 제동하는 드랙판(62)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채비가 착수(着水)한 후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도시하지 않는 베일 반전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하고 로터(3)의 역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의 방출이 멈춘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그 회전이 페이스 기어(11),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되고 로터(3)가 회전한다. 로터(3)가 회전하면, 라인 롤러(41)에 안내된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이와 같은 스풀(4)에서는, 보지 부재(70)는,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프레이즈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고,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계합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 단면부(77)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보지 부재(70)의 비원형 단면부(77)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에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보지부(72)의 내주부와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와의 사이의 간극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70)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비원형 단면부(77)는,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프레이즈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어 형성되고, 비원형 단면부(77)의 대향하는 2면이 평행으로 되도록 노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원형 단면부(77)의 대향하는 2면과 제1 보지부(72)의 내경(또는 외경)을, 제1 보지부(72)의 외경(또는 내경)을 같은 가공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원형 단면부(77)의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와의 계합 부분을 고정도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70)의 덜걱거림을 용이하고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얕은 홈 스풀을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스피닝 릴의 스풀에 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어링부(55)로서 2개의 제3 베어링(56) 및 제4 베어링(57)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베어링부(55)로서 예를 들어 하나의 베어링만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지 부재(70)는, 육각 구멍붙이 멈춤 나사 등의 핀 부재(7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었지만, 보지 부재(70)의 스풀 축(15)에 대한 고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받이부(20)는 금속제의 링 부재였지만, 예를 들어 주위에 요철부(凹凸部)를 형성하고 스풀(4)의 회전에 의하여 요철부에 당접하는 발음 기구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원형 단면부(77)는, 프레이즈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다른 절삭 가공에 의하여 비원형 단면부(77)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원형 단면부(77)는, 대향하는 2면이 평행으로 되도록 노치되어 있었지만, 제1 보지부(72)의 전단부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되고, 스풀 축(15)의 비원형부(15b)가 계합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핸들 1a: 핸들 손잡이
1b: 핸들 암 1c: 손잡이 축
2: 릴 본체 2a: 릴 보디
2b: 덮개 부재 2c: 장대 취부 다리
2d: 본체 가이드 3: 로터
4: 스풀 4a: 줄 감기 몸통부
4b: 스커트부 4c: 전 플랜지부
5: 로터 구동 기구 6: 오실레이팅 기구
7: 로터 본체 10: 마스터 기어축
11: 페이스 기어 12: 피니언 기어
13: 너트 14a: 제1 베어링
14b: 제2 베어링 15: 스풀 축
15a: 수 나사부 15b: 비원형부
15c: 암 나사 구멍 16: 통상부
17: 벽부 18a: 제1 돌출부
18b: 제2 돌출부 20: 스풀 받이부
21: 나축 22: 슬라이더
23: 중간 기어 30: 통부
31: 제1 로터 암 32: 제2 로터 암
33: 제1 커버 부재 34: 제2 커버 부재
35: 제3 커버 부재 40: 제1 베일 지지 부재
41: 라인 롤러 42: 제2 베일 지지 부재
43: 베일 44: 베일 암
45: 고정축 46: 고정축 커버
50: 역전 방지 기구 51: 원 웨이 클러치
52: 전환 기구 55: 베어링부
56: 제3 베어링 57: 제4 베어링
58: 제5 베어링 58a: 내륜
58b: 외륜 58c: 전동체
59: 칼라 부재 59a: 통상부
59b: 돌출부 59c: 코킹부
60: 드랙 기구 61: 드랙 조정 손잡이
62: 드랙판 63: 조정 와셔
70: 보지 부재 71: 원판부
72: 제1 보지부 73: 제2 보지부
74: 관통 구멍 75: 핀 부재
75a: 수 나사부 76: 관통 구멍
77: 비원형 단면부 80: 발음 부재
81: 발음 핀 84: 핸들 테두리부
85: 핸들 축 86: 암부
87: 제1 장착부 87a: 관통 구멍
88: 제2 장착부 88a: 반구상부
88b: 제1 돌출부 88c: 제2 돌출부
88d: 제1 관통 구멍 88e: 제2 관통 구멍
88f: 제1 외주면 88g: 제2 외주면
89: 핀 부재 90: 통상부
90a: 수 나사부 90b: 제1 돌기부
90c: 제2 돌기부 90d: 제3 돌기부
90e: 제4 돌기부 91: 손잡이부
92: 환상 부재 92a: 암 나사부

Claims (7)

  1.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전단(前端) 측의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부를 가지는 스풀 축에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이고,
    상기 스풀의 내주부(內周部)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외주부(外周部)에 상기 베어링부가 배치되는 보지부(保持部)와, 축 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풀 축의 상기 비원형부가 뒤쪽으로부터 삽통(揷通) 가능하게 내주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보지부의 전단부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노치(notch)되고 상기 스풀 축의 상기 비원형부가 계합(係合) 가능하게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 단면부를 가지는 보지 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를 상기 스풀 축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부재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단면부는, 상기 보지부의 전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단면부는, 프레이즈(fraise)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단면부는, 대향하는 2면이 평행으로 되도록 노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보지부는, 전단부에 상기 비원형 단면부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상기 제1 베어링이 배치되는 제1 보지부와, 상기 제1 보지부의 뒤쪽에 배치되고 외주부에 상기 제2 베어링이 배치되는 제2 보지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지부와 상기 제2 보지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외주부가 상기 제1 보지부 및 상기 제2 보지부보다 대경(大徑)이 되도록 형성된 원판부를 더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지부는, 상기 고정 부재가 삽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1020100123424A 2010-01-22 2010-12-06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101721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1823A JP5349348B2 (ja) 2010-01-22 2010-01-22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JP-P-2010-011823 2010-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96A true KR20110086496A (ko) 2011-07-28
KR101721934B1 KR101721934B1 (ko) 2017-03-31

Family

ID=4390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424A KR101721934B1 (ko) 2010-01-22 2010-12-06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42438B2 (ko)
EP (1) EP2347649B1 (ko)
JP (1) JP5349348B2 (ko)
KR (1) KR101721934B1 (ko)
CN (1) CN102132692B (ko)
MY (1) MY155551A (ko)
SG (1) SG173250A1 (ko)
TW (1) TWI5567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5566870B2 (ja) * 2010-12-15 2014-08-06 株式会社シマノ ハンドル組立体
JP6046481B2 (ja) * 2012-12-20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376739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JP6352618B2 (ja) * 2013-11-19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9700030B2 (en) * 2013-12-10 2017-07-11 Shimano Inc. Spinning reel
JP6291336B2 (ja) 2014-04-28 2018-03-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505405B2 (ja) * 2014-09-26 2019-04-24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ハンドル組立体
JP6968685B2 (ja) * 2017-12-20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397A (ja) * 2000-07-27 2002-02-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2204640A (ja) 2001-01-10 2002-07-2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210081A (ja) * 2002-01-22 2003-07-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2005000103A (ja) 2003-06-13 2005-01-0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12Y2 (ja) * 1987-03-27 1994-05-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装置
JPH086459Y2 (ja) * 1989-10-13 1996-02-28 島野工業株式会社 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538893Y2 (ja) * 1991-02-2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US6286772B1 (en) * 1997-11-26 2001-09-11 Robert W. Koelewyn Fly fishing reel with adjustable drag system, removable spool and selectable anti-reverse
US5988547A (en) * 1997-11-26 1999-11-23 Koelewyn; Robert W. Adjustable drag system for fishing spool with clutch members between spool-supporting bearings
TW495343B (en) * 2000-11-13 2002-07-2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TW518203B (en) * 2001-01-10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2002218870A (ja) * 2001-01-24 2002-08-06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シール構造
JP2002267028A (ja) * 2001-03-07 2002-09-18 Shimano Inc 部品組立体
TW534795B (en) * 2001-05-18 2003-06-01 Shimano Kk Spinning-reel spool
JP3854823B2 (ja) * 2001-07-02 2006-12-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235413A (ja) * 2002-02-20 2003-08-26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ギア部品
JP3934512B2 (ja) * 2002-08-28 2007-06-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981325B2 (ja)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2004000250A (ja) * 2003-07-02 2004-01-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軸受
JP4319116B2 (ja) * 2004-09-24 2009-08-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SG127795A1 (en) * 2005-05-31 2006-12-29 Shimano Kk Spinning reel
US8534583B2 (en) 2006-08-04 2013-09-17 Accurate Fishing Products Dra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4863928B2 (ja) * 2007-05-21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102128B2 (ja) 2008-07-07 2012-12-19 株式会社クボタ ブロードキャス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397A (ja) * 2000-07-27 2002-02-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2204640A (ja) 2001-01-10 2002-07-2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210081A (ja) * 2002-01-22 2003-07-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2005000103A (ja) 2003-06-13 2005-01-0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5551A (en) 2015-10-30
KR101721934B1 (ko) 2017-03-31
JP2011147396A (ja) 2011-08-04
SG173250A1 (en) 2011-08-29
US8342438B2 (en) 2013-01-01
US20110180646A1 (en) 2011-07-28
EP2347649B1 (en) 2013-07-10
CN102132692B (zh) 2014-09-17
TW201138617A (en) 2011-11-16
TWI556730B (zh) 2016-11-11
JP5349348B2 (ja) 2013-11-20
CN102132692A (zh) 2011-07-27
EP2347649A1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6496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2011147396A5 (ko)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JP2009273378A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2011019427A5 (ko)
KR20060109312A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20130033952A (ko) 듀얼 베어링 릴
TW201340866A (zh) 紡車式捲線器的釣線導引機構及紡車式捲線器
TWI415563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筒
TWI556729B (zh) 紡車式捲線器的釣線導引機構
JP493442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101188627B1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201015818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20112397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90066209A (ko) 스피닝 릴의 드랙 손잡이 조립체
US10028494B2 (en) Spinning reel rotor and spinning reel
JP200803581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2724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08730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432446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KR20040044345A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TW202316962A (zh) 釣魚用紡車式捲線器的捲筒
JP2000093053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