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551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551A
KR20110071551A KR1020090128159A KR20090128159A KR20110071551A KR 20110071551 A KR20110071551 A KR 20110071551A KR 1020090128159 A KR1020090128159 A KR 1020090128159A KR 20090128159 A KR20090128159 A KR 20090128159A KR 20110071551 A KR20110071551 A KR 2011007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trol signal
actuator
camera modu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954B1 (ko
Inventor
김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54B1/ko
Priority to US12/974,675 priority patent/US8543159B2/en
Publication of KR2011007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551A/ko
Priority to US13/974,622 priority patent/US8792938B2/en
Priority to US14/329,610 priority patent/US95782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54B1/ko
Priority to US15/418,076 priority patent/US10469717B2/en
Priority to US16/584,258 priority patent/US11082546B2/en
Priority to US17/363,989 priority patent/US11689650B2/en
Priority to US18/317,339 priority patent/US202302837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여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키고,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상기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 순방향 전류, 역방향 전류, 진동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여 사물의 동화상, 정지화상을 찍어 보관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카메라 기능이 병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사물을 찍는 기능에 머물지 않고, 찍고자 하는 사물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기능과, 먼 곳에 있는 사물을 가깝게 보이게 하거나 가까운 사물을 멀리 보이게 하는 줌 기능과 같은 부가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에 의해 광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카메라 모듈은 사물의 초점을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할 수 있다.
이때, 렌즈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판 형상의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렌즈부에 인가되는 힘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클 경우 렌즈부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렌즈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은 진동 모드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흔들릴 때 같이 흔들릴 수 있다.
렌즈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이 흔들리면 렌즈부도 흔들리게 되고, 이로 인해 렌즈부가 바닥면에 닿아 진동 모드에서는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여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키고, 역방향 전 류가 인가되면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상기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동작되기 전에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렌즈부를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에 최대한 밀착시킴으로써,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00)와 본체(200)의 설정 위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0)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케이스(10), 상부 탄성 부재(2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하부 탄성 부재(50), 프레임(60), IR 필터(70), 이미지 센서(80) 및 인쇄회로기판(90)을 포함한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해서 렌즈 배럴(30)을 광축 방향(O)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부인 액추에이터(Actuator)(40)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40) 중에서도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이다.
액추에이터(40)는 보빈(41), 코일(42), 영구 자석(43), 요크(44)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중심부에는 광투과홀(1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하부는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스(10)는 프레임(60)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공간에는 상부 탄성 부재(2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IR 필터(50)가 포함된다.
케이스(10)는 그 내부와 외부의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탄성 부재(20)는 판 스프링으로서 케이스(10)의 상부에 삽입되며, 외측부는 액추에이터(40)의 요크(44)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부는 액추에이터(40)의 보빈(41)과 맞닿아 보빈(41)의 상측을 가압한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판 스프링으로서 액추에이터(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보빈(41)의 하측을 가압한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보빈(41)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본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렌즈 배럴(30)은 복수의 렌즈를 고정, 보호하는 수단으로, 렌즈 배럴(30)의 내측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 방향(O)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렌즈 배럴(30)의 둘레면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31)은 보빈(4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보빈(4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렌즈 배럴(30)의 나사산(31)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 배럴(30)을 보빈(4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원거리 포커싱을 맞출 수 있다.
보빈(41)의 둘레면에는 영구 자석(43)과 상호 작용하는 코일(42)이 자속과 수직인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코일(42)과 영구 자석(43) 사이의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크(44)가 삽입되며, 영구 자석(43)은 보빈(4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요크(44)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요크(44)는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된다.
코일(42)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 자석(43)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플레밍의 왼손법칙)하여, 보빈(41)은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코일(42)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클수록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난다.
이어, 코일(42)에 인가되던 전압이 차단되면, 상부 탄성 부재(20) 및 하부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인쇄회로기판(90)에는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80)가 장착되어 있으며, 프레임(60)은 이미지 센서(80)로 광 이미지를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ㅁ자 형상으로, 프레임(60)은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IR 필터(70)가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80)는 렌즈 배럴(30)의 하부 및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인쇄회로기판(90)은 평탄도가 좋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며, FPCB 중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배럴(30)은 상부 탄성 부재(20)와 하부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300) 및 액추에이터(4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3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310)와, 진동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 모드로 구동하는 진동 모터부(320)와,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40)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진동 제어부(3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동작해야 된다고 판단되면 진동 모터부(320)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진동 모터부(320)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하도록 모터를 구동한다.
진동 제어부(310)는 전화가 착신 시 진동 모드일 경우나 사용자가 키패드를 조작하여 벨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변환할 경우와 같이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진동 모터부(320) 및 액추에이터 구동부(330)로 진동 모드 개시를 알리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액추에이터 구동부(330)는 오토 포커싱 동작 시 액추에이터(40)의 코일(42)에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나, 진동 제어부(310)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 면 액추에이터(40)의 코일(42)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한다.
코일(42)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액추에이터(40)의 보빈(41)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광축 방향의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면, 보빈(41)과 연결된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에 최대한 밀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에 순방향 전류 및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회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진동 제어부(310)는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으나,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진동 제어부(310)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사이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둠으로써,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에 최대한 밀착된 이후에 진동 모드를 개시하여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간격은 진동 모드 개시 전에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에 밀착될 수 있는 시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 및 액추에이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Claims (4)

  1.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여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키고,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부, 및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상기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 이후에 상기 제1 제어 신 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는 오토 포커싱 모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로 상기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90128159A 2009-12-21 2009-12-21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9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59A KR101591954B1 (ko) 2009-12-21 2009-12-21 이동통신 단말기
US12/974,675 US8543159B2 (en) 2009-12-21 2010-12-21 Mobile phone
US13/974,622 US8792938B2 (en) 2009-12-21 2013-08-23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14/329,610 US9578216B2 (en) 2009-12-21 2014-07-11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15/418,076 US10469717B2 (en) 2009-12-21 2017-01-27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16/584,258 US11082546B2 (en) 2009-12-21 2019-09-26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17/363,989 US11689650B2 (en) 2009-12-21 2021-06-30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18/317,339 US20230283700A1 (en) 2009-12-21 2023-05-15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59A KR101591954B1 (ko) 2009-12-21 2009-12-21 이동통신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630A Division KR101703246B1 (ko) 2016-01-28 2016-01-2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51A true KR20110071551A (ko) 2011-06-29
KR101591954B1 KR101591954B1 (ko) 2016-02-04

Family

ID=4418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159A KR101591954B1 (ko) 2009-12-21 2009-12-21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7) US8543159B2 (ko)
KR (1) KR101591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54B1 (ko) 2009-12-21 2016-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30067A (ko) * 2011-09-16 2013-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
WO2013073822A1 (en) * 2011-11-18 2013-05-2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2001621B1 (ko) * 2011-11-30 2019-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EP2605507B1 (en) * 2011-12-15 2021-02-17 BlackBerry Limited Camera module having protruding lens barrel
KR102258611B1 (ko) * 2012-12-13 2021-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08520B1 (ko) * 2012-12-13 2020-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621774B2 (en) * 2013-03-25 2017-04-1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13625415A (zh) * 2013-07-29 2021-11-09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机模块
KR102117094B1 (ko) * 2013-09-06 2020-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54494A (ko) * 2013-11-12 2015-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300774B2 (en) * 2014-01-03 2016-03-29 Choon-Teak Oh Mobile terminal and its case with hall IC driving shield magnet
US9225887B1 (en) * 2014-08-11 2015-12-29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module for reducing assembly tilt
USD827605S1 (en) 2014-12-19 2018-09-04 Lenovo (Beijing) Co., Ltd. Smart phone
KR102400658B1 (ko) * 2015-07-27 2022-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42645B1 (ko) 2015-08-18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896962B1 (ko) * 2016-02-04 2018-09-12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카메라 렌즈 조립체
WO2017181668A1 (zh) * 2016-04-21 2017-10-26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基于一体封装工艺的摄像模组和阵列摄像模组
US10670943B2 (en) 2016-07-15 2020-06-02 Apple Inc. Autonomous low-power voice coil motor parking
US10015378B2 (en) 2016-09-15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inematic mount for split camera
CN107508938B (zh) 2017-09-06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相机模组及电子装置
CN107483798B (zh) * 2017-09-26 2020-07-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终端设备的摄像头镜片组件以及终端
CN109917605B (zh) * 2017-12-13 2021-06-01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CN108391038B (zh) 2018-04-24 2019-06-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摄像头组件
CN109729198B (zh) * 2018-12-28 2021-10-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9951702B (zh) 2019-03-29 2024-04-05 荣耀终端有限公司 位置检测机构、移动终端及位置检测方法
CN113050477B (zh) * 2019-04-26 2022-05-03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升降系统、控制方法、电子设备
WO2021258302A1 (zh) * 2020-06-23 2021-12-30 宏启胜精密电子(秦皇岛)有限公司 镜头模组及其制作方法
KR102245305B1 (ko) * 2020-10-29 2021-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71211B1 (ko) * 2021-04-21 2022-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17917B1 (ko) * 2020-10-29 2021-10-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4719A (en) * 1992-12-11 1998-12-01 Canon Kabushiki Kaisha Light deflection apparatus
US5932984A (en) * 1995-09-04 1999-08-03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US6577343B2 (en) * 1996-12-03 2003-06-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with lens control apparatus and focusing lens control
US20040157612A1 (en) * 1997-04-25 2004-08-12 Minerva Industries, Inc. Mobile communication and stethoscope system
JP3787760B2 (ja) * 2001-07-31 2006-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KR100865776B1 (ko) * 2002-05-24 2008-10-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장치
US7113351B2 (en) * 2003-01-02 2006-09-26 Cov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lens assemblies
US20040240650A1 (en) * 2003-05-05 2004-12-02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use with a personal computer system
JP5323305B2 (ja) * 2003-10-14 2013-10-2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用情報端末装置
JP2005128116A (ja) * 2003-10-22 2005-05-19 Seiko Precision Inc 光学モジュール
JP4587437B2 (ja) * 2003-11-25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影装置
US7202905B2 (en) * 2003-12-05 2007-04-1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tor providing vibration and camera adjustment functionality
JP4497970B2 (ja) * 2004-03-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
US7468753B2 (en) * 2004-08-05 2008-12-23 Aptina Imaging Corporation Use of telephone-specific components to provide refocusing in a camera-ready device
KR200376032Y1 (ko) 2004-11-17 2005-03-09 한봉희 카메라 렌즈 작동구조
US7565070B1 (en) * 2005-02-28 2009-07-21 Siimpel Corporation Telephone vibrator
JP4626346B2 (ja) * 2005-03-10 2011-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用アクチュエータ
WO2007010813A1 (ja) * 2005-07-1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EP1914422A1 (en) * 2005-08-11 2008-04-23 Konica Minolta Opto, Inc. Drive device, lens barrel, imaging device, lens drive method, and method of producing shape memory alloy
US20070086769A1 (en) * 2005-10-14 2007-04-19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taking apparatus
JP2007127926A (ja) * 2005-11-07 2007-05-24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KR100836776B1 (ko) * 2005-12-02 2008-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터용 탄성부재 및 렌즈 구동용 모터
JP2007248964A (ja) 2006-03-17 2007-09-27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7274542A (ja) * 2006-03-31 2007-10-1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TWI317202B (en) * 2006-07-28 2009-11-11 Ind Tech Res Inst Actuator
JP4986551B2 (ja) * 2006-09-06 2012-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制御装置
JP4495741B2 (ja) * 2006-10-04 2010-07-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1181117B1 (ko) * 2006-11-23 2012-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EP3699663B1 (en) * 2006-12-13 2024-04-0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JP5004579B2 (ja) * 2006-12-28 2012-08-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GB0702835D0 (en) * 2007-02-14 2007-03-28 Johnson Electric Sa Lens module
GB0702897D0 (en) * 2007-02-15 2007-03-28 Johnson Electric Sa Voice coil motor
KR100849580B1 (ko) * 2007-04-10 200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90000428A (ko) 2007-06-28 2009-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448815B1 (ko) 2007-07-07 2014-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KR100880672B1 (ko) * 2007-07-18 2009-02-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349793A (zh) * 2007-07-20 2009-0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US7725014B2 (en) * 2007-08-29 2010-05-25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ctuator for linear motion and tilting motion
JP2009282090A (ja) 2008-05-20 2009-12-03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4706935B2 (ja) * 2008-06-20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4639260B2 (ja) * 2008-08-28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517431B2 (ja) * 2008-09-29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295875B2 (ja) * 2008-11-06 2013-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レンズ位置決め方法
JP2010156955A (ja) * 2008-12-02 2010-07-15 Minebea Co Ltd レンズ駆動装置用アクチュエータ
JP4883078B2 (ja) * 2008-12-22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070058B1 (ko) * 2008-12-24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10013966A (ko) 2009-08-04 2011-02-10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
KR101591954B1 (ko) * 2009-12-21 2016-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79498B1 (ko) * 2010-11-16 2017-09-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197796B2 (en) * 2011-11-23 2015-11-2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54B1 (ko) 2016-02-04
US10469717B2 (en) 2019-11-05
US20140320738A1 (en) 2014-10-30
US20230283700A1 (en) 2023-09-07
US11689650B2 (en) 2023-06-27
US20130344915A1 (en) 2013-12-26
US11082546B2 (en) 2021-08-03
US20210329113A1 (en) 2021-10-21
US8792938B2 (en) 2014-07-29
US20200021724A1 (en) 2020-01-16
US20170142307A1 (en) 2017-05-18
US8543159B2 (en) 2013-09-24
US9578216B2 (en) 2017-02-21
US20110159919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7203011B2 (en) Lens device,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cell-phone with camera using the same
KR100919118B1 (ko) 자체 체결 수단을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갖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JP4706899B2 (ja) レンズ駆動制御装置及びレンズ駆動制御方法、撮像装置
JP2011160067A (ja) 手振れ補正装置及び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機
KR100951293B1 (ko) 카메라 모듈
JP201115855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JP201115855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7032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4504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20004095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123883A (ko) 카메라 모듈
KR100919116B1 (ko) 구동력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201501241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KR20120032353A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1659563B1 (ko) 카메라 모듈
JP4659418B2 (ja) 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光学装置
KR20140089780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64307A (ko) 카메라 모듈
KR20090014467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082045B1 (ko) 카메라 모듈
JP2021196537A (ja) 撮像装置
KR20190128144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