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045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045B1
KR101082045B1 KR1020090120831A KR20090120831A KR101082045B1 KR 101082045 B1 KR101082045 B1 KR 101082045B1 KR 1020090120831 A KR1020090120831 A KR 1020090120831A KR 20090120831 A KR20090120831 A KR 20090120831A KR 101082045 B1 KR101082045 B1 KR 10108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urrent
camera module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308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0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9Circuitry for control of the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6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comprising control or output lines used for a plurality of functions, e.g. for pixel output, driving, reset or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셔터의 동작 딜레이 타임을 줄이도록 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셔터구동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셔터의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온 동작하여 전원을 셔터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셔터에 정전류가 인가되도록 동작하는 정전류 모듈, 및 상기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를 상기 셔터에 제공하는 오프셋 전류제공부를 포함한다.
카메라, 셔터, 딜레이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셔터의 동작 딜레이 타임을 줄이도록 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 PDA 및 스마트폰 등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를 통해 피사체의 빛이 통과하도록 하는 셔터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구동원이 설치하여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와 IR필터, 이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보빈과 결합된 렌즈 배럴 내부에 부착 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위치되며, 구동원으로 음성코일모터(VCM)가 설치되어 상기 렌즈배럴과 이미지 센서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셔터구동을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셔터입력(1)이 이루어지면, 제어부(3)에서는 스위치(4)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2)이 셔터코일(5)측으로 입력되도록 하고, 정전류 모듈(6)은 셔터코일(5)에 정전류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셔터의 구동시 시간에 따른 전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사용자의 셔터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셔터코일(5)에 동작을 위한 전류가 입력되기까지의 딜레이 타임을 갖게 된다. 즉, 이는 셔터코일(5)의 인덕턴스 성분 및 저항과 같은 임피던스에 의해 지수함수를 나타내며 상승하게 되고 셔터코일(5)에 인가되는 전류가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에 도달하기까지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셔터입력이 있는 경우, 셔터 입력 시점으로부터 실제적으로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는 시간 차가 나게 되며, 이러한 시간 차는 피사체의 촬영환경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시간 차를 셔터 딜레이(shutter delay)이라 한다. 이러한 셔터 딜레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서 셔터를 릴리즈 하더라도 촬상영상에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잔상이 존재하는 등의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셔터 딜레이를 방지하여 고 품질의 촬상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셔터구동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셔터의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온 동작하여 전원을 셔터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셔터에 정전류가 인가되도록 동작하는 정전류 모듈, 및 상기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를 상기 셔터에 제공하는 오프셋 전류제공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는, 그 출력이 정전류 모듈에 전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는, 상기 정전류 모듈의 출력을 입력받아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를 셔터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셔터의 동작을 위한 구동전류까지 상 승을 빠르게 진행되도록 미리 설정값 이상의 옵셋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구동전류의 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셔터의 동작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셔터 딜레이가 방지되므로 고품질의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 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셔터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셔터의 구동시 시간에 따른 전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의 셔터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셔터입력(10)과, 상기 셔터입력(10)으로부터의 셔터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온동작 하여 전원(20)을 셔터측의 셔터코일(50)에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4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셔터코일(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모듈(70)과, 상기 셔터코일(70)에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이하 "설정값 이상의 전류"라 함)를 미리 제공하기 위한 오프셋 전류제공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60)는 제어부(30)와 정전류 모듈(70)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부(30)의 온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값 이상의 전류를 정전류 모듈(70)에 제공하고, 정전류 모듈(70)은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60)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정전류의 형태로 상기 셔터측의 셔터코일(50)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정전류 모듈(70)과 셔터코일(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설정값 이상의 정전류가 셔터코일(50)에 인가되도록 함도 당업자에게는 당연하게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60)는 통상의 전류발생수단으로서, 설정값 이상의 전류를 상기 셔터코일(50)에 미리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전류제공부(60)가 적용되면 셔터의 딜레이 타임은 줄어들게 되는데, 최초 외부로부터 셔터 조작신호에 의해 셔터입력(10)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셔터코일(50)의 구동전류에 도달하기 까지 딜레이 타임이 존재하는바, 오프셋 전류제공부(60)를 통해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미리 셔터코일(50)에 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셔터입력(10)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전류로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즉, 도 2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종래의 오프셋 전류제공부(60)가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t1 시점의 시각에 구동전류로서 작용하여 셔터가 동작하게 되는데, 오프셋 전류제공부(60)에 의해 미리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셔터 온 신호가 발생하면, t0 시점의 시각에 구동전류로서 작용하여 셔터가 동작하게 되어, t1 - t0 만큼의 셔터 딜레이 타임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60)의 출력 전류값은 셔터코일(50)의 설정 구동전류값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셔터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셔터의 구동시 시간에 따른 전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셔터구동을 위한 블럭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셔터의 구동시 시간에 따른 전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Claims (4)

  1. 외부로부터 셔터구동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셔터의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온 동작하여 전원을 셔터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셔터에 정전류가 인가되도록 동작하는 정전류 모듈; 및
    상기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를 상기 셔터에 제공하는 오프셋 전류제공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는,
    상기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가 상기 정전류 모듈에 전달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전류제공부는,
    상기 정전류 모듈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셔터의 구동전류보다 낮은 전류값을 갖는 전류가 상기 셔터에 전달되도록 배치된 카메라 모듈.
KR1020090120831A 2009-12-07 2009-12-07 카메라 모듈 KR10108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31A KR101082045B1 (ko) 2009-12-07 2009-12-0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31A KR101082045B1 (ko) 2009-12-07 2009-12-0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08A KR20110064308A (ko) 2011-06-15
KR101082045B1 true KR101082045B1 (ko) 2011-11-10

Family

ID=443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31A KR101082045B1 (ko) 2009-12-07 2009-12-0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0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08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5834576B2 (ja) 撮像装置
KR102371009B1 (ko) 복수의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697080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ing thereof
KR20110071550A (ko) 카메라 모듈
US10942425B2 (en) Accessory device, camera, and storage medium
KR20060091097A (ko) 자동초점조절 카메라 모듈
KR20190075292A (ko) 다른 노출값을 갖는 복수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082049B1 (ko) 카메라 모듈
KR101082045B1 (ko) 카메라 모듈
KR101624233B1 (ko) 카메라 모듈
US20130155263A1 (en)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system
KR100956211B1 (ko) 카메라 모듈
KR101698917B1 (ko) 폐쇄회로텔레비젼 카메라의 팬/틸트/줌/포커싱 통합 제어방법
JP4806957B2 (ja) 撮像装置
KR20110016153A (ko) 카메라 모듈
KR1007758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17032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19041886U (zh) 相机模块
JP2019009571A (ja) ログ装置
JP6119826B2 (ja) 撮像装置
KR102157902B1 (ko) 카메라모듈의 오토포커싱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
KR101509756B1 (ko) 카메라 모듈
JP2013125159A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20110028843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