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15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153A
KR20110016153A KR1020090073716A KR20090073716A KR20110016153A KR 20110016153 A KR20110016153 A KR 20110016153A KR 1020090073716 A KR1020090073716 A KR 1020090073716A KR 20090073716 A KR20090073716 A KR 20090073716A KR 20110016153 A KR20110016153 A KR 20110016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zoom
camera module
optical zoom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469B1 (ko
Inventor
권영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469B1/ko
Priority to US12/854,471 priority patent/US20110037879A1/en
Publication of KR2011001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7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or depth of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줌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줌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의 배치를 변화시켜 배율을 변화시키는 광학 줌 렌즈부 및 상기 광학 줌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되,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한다.
줌, 카메라 모듈, 배율, EDOF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줌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제품이 다수 선보이고 있으며,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일반 디지털 카메라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 버금가는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뿐만 아니라, 줌(zoom) 기능이나 접사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렌즈 구동기술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소형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그 크기가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소형이어야 하므로, 일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광학 줌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는 공간적 제약이 많고, CCD나 CMOS 촬상소자에 맺힌 이미지를 확대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의 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방식의 줌은 촬상소자에 맺힌 이미지를 프로그램에 의해 확대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보다 나은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광학 줌 기 능을 채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카메라, 캠코더, 컴팩트 줌 카메라, 감시카메라, 마이크로 비행체 등 여러 광학기기에는 줌(zoom) 기능을 위하여 렌즈가 전후진을 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광학 줌을 위한 렌즈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를 크게 하고, 카메라 모듈의 휴대 전화 채용에 대한 자유도를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광학계의 전체 렌즈 수가 줄어든, 광학 줌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zoom)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의 배치를 변화시켜 배율을 변화시키는 광학 줌 렌즈부 및
상기 광학 줌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되,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한다.
줌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는데 있어, 광학계 전체 렌즈 수가 줄어든다. 동영상 촬영시 물체 거리에 따른 렌즈의 이동으로의 초점 조절이 필요 없어지고 배율 변화(Zooming)만으로 광학줌 실현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광학 줌 렌즈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 4군의 렌즈군으로 구성된 줌 렌즈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광각단(wide단)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고, 도 1(b)는 망원단(tele단)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학 줌 렌즈부는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로 구성된다. 광학 줌 렌즈부에서는 줌부(110) 및 초점조절부(130)를 포함하고, 줌부(110)는 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한 주밍(zooming)렌즈군과 주밍 렌즈군의 이동에 따라 변화된 상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정(compensator)렌즈군이 필요하다.
도 1에서 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한 주밍(zooming)렌즈군은 제2렌즈(L2)로서, 제2렌즈(L2)가 이동하면서 줌 렌즈의 배율을 변화시킨다. 도 1(a)에서는 광각단일 때 제2렌즈(L2)가 제1렌즈(L1)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1(b)에서는 망원단일 때 제2렌즈(L2)가 제3렌즈(L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정 렌즈군은 제1렌즈(L1) 및 제3렌즈(L3)이다.
초점조절부(130)는 제4렌즈(L4)로서 렌즈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렌즈의 이동 궤적은 광학적 계산을 통해 광학 배율 및 모터의 이동량에 크게 제약을 받는다. 또한, 줌부(110) 및 초점조절부(130)를 위한 모터가 각각 두 개 필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피에조(piezo) 모터 또는 스텝핑(stepping)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자동 초점(auto focus) 조절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럴(220)에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210)가 삽입되어 렌즈부(210)는 배럴(220)에 의해 보호되며, 이러한 배럴(220)에는 VCM(Voice Coil Motor) 또는 피에조 모터 등이 연결되어 렌즈부(210)의 물체 거리에 따른 상 면 위치를 변화시켜 이러한 렌즈부(210)의 이동을 통해 초점 조절한다. 렌즈부(210)를 통과한 광이미지는 이미지 센서(230)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이미지 센서(230)의 후면에는 에폭시(epoxy) 등의 접착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40)이 부착된다.
최근에는 자동 초점(auto focus) 조절기능을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다르게 렌즈의 이동이 없이 카메라 모듈의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를 확장하는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근거리와 원거리의 물체 모두 초점 조절된 영상을 한 화면에서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줌 렌즈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광각단(wide단)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고, 도 3(b)는 망원단(tele단)에서의 줌 렌즈의 모습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줌 렌즈부(310)는 제1렌즈(L1), 제2렌즈(L2) 및 제3렌즈(L3)로 구성되며, 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한 렌즈는 제2렌즈(L2)로서, 제2렌즈(L2)가 이동하면서 줌 렌즈의 배율을 변화시키고 광각단일 때와 망원단일 때의 제2렌즈(L2)의 위치는 도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광학 줌 렌즈부(310)는 피에조(piezo) 모터 또는 스텝핑(stepping) 모터를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광학 줌 렌즈부(310)의 렌즈 수는 상기 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미지 센서(320)는 이러한 광학 줌 렌즈부(310)를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서(320)의 후면에는 에폭시(epoxy) 등의 접착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30)이 부착된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 ISP)(도시되지 않음)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EDOF 기술로 피사체의 초점이 조절되게 전기적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 초점(auto focus) 조절기능은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근거리와 원거리의 물체 모두 초점 조절된 영상을 한 화면에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EDOF 기술은 초점 심도(depth of focus)가 확장된 전용 광학계를 설계하는 방법, 특수한 광학 위상 마스크를 렌즈에 부착해 피사체의 거리에 상관없이 센서 면에서 얻어지는 카메라 모듈의 응답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 화소값을 보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 ISP)(도시되지 않음)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EDOF 기술이 수행되어 초점이 조절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길이 방향으로 축소시키고, 실시간으로 물체 거리별 자동 초점 조절하기 위해 렌즈가 이동될 필요없이 전영역에서 실시간으로 근거리와 원거리의 물체 모두 초점 조절된 영상을 한 화면에서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광학 줌 렌즈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자동 초점(auto focus) 조절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줌 렌즈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광학 줌 렌즈부 320: 이미지 센서
330: 인쇄회로기판

Claims (6)

  1.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의 배치를 변화시켜 배율을 변화시키는 광학 줌 렌즈부 및
    상기 광학 줌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되,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줌(zoom)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초점이 조절된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줌(zoom)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초점이 조절된 영상으로의 변환은 화소값의 보정을 통해 수행하는 줌(zoom)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EDOF(Extended Depth of Field)기술의 이용을 위한 광학 위상 마스크를 상기 광학 줌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부착하는 줌(zoom)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어도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를 포함하고,
    광각단일 때는 상기 제2렌즈가 상기 제1렌즈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망원단일 때는 상기 제2렌즈가 상기 제3렌즈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광학 줌 렌즈부의 배율을 변화시키는 줌(zoom)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줌 렌즈부는 피에조(piezo) 모터 또는 스텝핑(stepping)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의 배치를 변화시키는 줌(zoom) 카메라 모듈.
KR1020090073716A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KR10163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16A KR101636469B1 (ko)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US12/854,471 US20110037879A1 (en) 2009-08-11 2010-08-11 Zoom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16A KR101636469B1 (ko)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53A true KR20110016153A (ko) 2011-02-17
KR101636469B1 KR101636469B1 (ko) 2016-07-05

Family

ID=4358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16A KR101636469B1 (ko) 2009-08-11 2009-08-1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37879A1 (ko)
KR (1) KR101636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44327A (zh) * 2012-04-23 2013-11-01 Hon Hai Prec Ind Co Ltd 自動對焦裝置及自動對焦方法
US10362223B2 (en) 2016-11-29 2019-07-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0806569A (zh) * 2019-10-14 2020-02-18 北醒(北京)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雷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28B1 (ko) * 2005-12-30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5259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소형 줌 렌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2135B2 (ja) * 2007-03-28 2012-08-29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超深度画像生成装置
JP5040430B2 (ja) * 2007-05-14 2012-10-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変倍光学系、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JP2012521673A (ja) * 2009-03-19 2012-09-13 フレクストロニクス エイピー エルエルシー デュアルセンサ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28B1 (ko) * 2005-12-30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5259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소형 줌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7879A1 (en) 2011-02-17
KR101636469B1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1879B (zh) 成像装置模块及其操作方法、以及包括该模块的终端设备
JP502080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3146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7219289A (ja) 撮像装置
JP6749724B2 (ja) 像ブレ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43522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86242B1 (ko) 자동초점 장치와 손떨림 보정장치가 분리된 카메라 모듈
US20090040317A1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JP5509805B2 (ja) コンバータ、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
KR101636469B1 (ko) 카메라 모듈
JP7341844B2 (ja) レンズ制御装置、光学機器およびレンズ制御方法
JP2007005912A (ja) 電子撮像装置
CN117555191A (zh) 遮光结构与成像镜头模块
CN112153276A (zh) 摄像装置
JP2006308999A (ja) 撮像レンズ、カメラ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US20150168739A1 (en) Image stabilizer, camera system, and imaging method
CN108429872B (zh) 用于校正图像渐晕的方法、成像装置及成像系统
KR20090086755A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장치
JP4323925B2 (ja) 光学機器
CN219041886U (zh) 相机模块
JP201027305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5622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TWI829423B (zh) 成像鏡頭與電子裝置
JP6924306B2 (ja) 像ブレ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7497161B2 (ja) 制御装置、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