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467A - 보이스 코일 모터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467A
KR20090014467A KR1020070078438A KR20070078438A KR20090014467A KR 20090014467 A KR20090014467 A KR 20090014467A KR 1020070078438 A KR1020070078438 A KR 1020070078438A KR 20070078438 A KR20070078438 A KR 20070078438A KR 20090014467 A KR20090014467 A KR 2009001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urrent
actuator
driver
voice coil
coi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039B1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0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2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 G03B17/425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motor driv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7Doubly fed machines receiving two supplies both on the stator only wherein the power supply is fed to different sets of stator windings or to rotor and stator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드라이버 IC를 사용하여 상/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하,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상/하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드라이버 IC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좌/우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드라이버 IC와, 상기 상/하 구동전류, 좌/우 구동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한다.
카메라, VCM, 코일, 모터, 포커싱, 렌즈, 바렐, 액츄에이터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도 1은 카메라 촛점거리의 조절을 위해 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동되는 일반적인 카메라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가진 VCM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도 3은 VCM의 드라이버 IC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카메라모듈이 VCM의 액츄에이터로 구동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VCM의 인터페이스 패드에 2개의 드라이버 IC에서 각각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1드라이버 IC의 회로도이다.
도 6(b)는 제2드라이버 IC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인터페이스 패드 51: 액츄에이터
52: 제1드라이버 IC 53: 제2드라이버 IC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다수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자동초점 조절장치, 접사장치 및 광학 줌 장치 등을 구비한 카메라모듈을 휴대전화에 탑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도 1은 카메라 촛점거리의 조절을 위해 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동되는 일반적인 카메라모듈의 단면도로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다수의 렌즈로 된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렌즈홀더를 가지는 렌즈모듈(10), 적외선 빛을 필터링하는 IR필터(12), 이미지 센싱을 수행하는 이미지 센서부(13), 그리고, 카메라의 자동촛점을 위하여 렌즈모듈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VCM(11; Voice Coil Motor)로서 구현된다.
상기 VCM(11)은 자계의 통로를 형성하는 요크어셈블리(york assembly)와, 구동전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는 보빈어셈블리(bobbin assembly)를 구비하고 있어 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동한다. 상기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가진 VCM의 외관을 도 2에 도시하였는데, 종래의 카메라모듈에서 VCM은 하나의 드라이버 IC(22)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21)를 상하 이동시켜 오토포커싱(AF)을 구현한다. 즉, 도 3과 같은 하나의 드라이버 IC(22)를 통해 두 개의 구동전류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패드(20)의 두 단자(CON1,CON2)에 입력하여 액츄에이터를 상하 이동시키 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하 이동을 통해 오토포커싱(AF)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렌즈 편심에 의해 디포커싱(defocusing)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낙하나 충격에 의해 VCM이 손상되어 한쪽 부분만 편심이 발생하여 디포커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토 포커싱 동작 시 디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VCM의 구동 모습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구동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하,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상/하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드라이버 IC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좌/우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드라이버 IC와, 상기 상/하 구동전류, 좌/우 구동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상/하 구동전류 및 좌/우 구동전류를 동시에 인가받아 상/하, 좌/우 이동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패드는 4개의 구동전류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패드의 2개의 구동전류 입력단자에 각 드라이버 IC의 구동전류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카메라모듈이 VCM의 액츄에이터로 구동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VCM은 카메라모듈의 경통에 구비되어, 렌즈모듈의 상하 정지 및 운동 제한을 위한 하측 판 스프링, 상측 판 스프링, 하측 스프링 몰드, 상측 스프링 몰드, 투명필름이 구비되며, 이밖에 자계의 통로를 형성하는 요크어셈블리(43; york assembly), 구동전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는 보빈어셈블리(42; bobbin assembly)가 구비된다.
따라서 VCM은, 자성 발생체인 보빈어셈블리(42)에 의해 발생된 자성과 요크어셈블리(43)에 의한 자계 통로를 따라 렌즈모듈의 포커스 숫나사선(40)과 렌즈모듈의 포커스 암나사선(41)의 체결체가 VCM 구동을 위한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인터페이스 패드(44; interface pad)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상/하, 좌/우 구동되는 모습을 가진다.
상기 상/하, 좌/우 구동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구동전류에 의하여 자장을 발생시켜 액츄에이터를 상/하, 좌/우로 구동시키는 것인데,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2개의 드라이버 IC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로 구동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VCM의 인터페이스 패드에 2개의 드라이버 IC에서 각각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VCM의 인터페이스 패드는 제1드라이버 IC(52), 제2드라이버 IC(53)라는 2개의 드라이버 IC로부터 구동전류를 제공받는다. 상기 드라이버 IC의 각 회로도를 도 6에 도시하였는데, 도 6(a)는 제1드라이버 IC(52)를, 도 6(b)는 제2드라이버 IC(53)의 회로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1드라이버 IC(52)는 VCM의 액츄에이터(5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상/하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며, 제2드라이버 IC(53)는 VCM의 액츄에이터(5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좌/우 구동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드라이버 IC(52) 및 제2드라이버 IC(53)로부터의 상/하 구동전류 및 좌/우 구동전류는 인터페이스 패드(50)를 거쳐 VCM의 액츄에이터(51)로 공급된다. 액츄에이터는 구동전류에 의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하, 좌/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하 구동전류 및 좌/우 구동전류는 동시에 각 드라이버 IC(52,53)에서 인가되어 액츄에이터의 상/하, 좌/우 이동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패드(50)는 각 드라이버 IC(52,53)로부터 구동전류를 입력받는 구동전류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다. 도 5에서는 실시 예로서 구동전류 입력단자를 4개로 구현하고, 상/하 이동 제어를 위한 제1드라이버 IC(52)의 구동전류가 구동전류 제1입력단자(CON1) 및 구동전류 제2입력단자(CON2)로 입력되고, 좌/우 이동 제어를 위한 제2드라이버 IC(53)의 구동전류가 구동전류 제3입력단자(CON3) 및 구동전류 제4입력단자(CON4)에 입력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 로서 VCM의 내부 코일 형태에 따라 그 입력되는 입력단자 핀이 서로 달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드라이버 IC(52)의 구동전류가 구동전류 제1입력단자(CON1) 및 구동전류 제3입력단자(CON3)로, 제2드라이버 IC(53)의 구동전류가 구동전류 제2입력단자(CON2) 및 구동전류 제4입력단자(CON4)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VCM의 상/하 움직임만의 제한에서 벗어나 좌/우 움직임도 가능해짐으로써, 디포커싱(defocusing)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포커싱 현상으로 인한 카메라모듈의 불량률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구동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하,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상/하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드라이버 IC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어전류인 좌/우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드라이버 IC와,
    상기 상/하 구동전류, 좌/우 구동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패드
    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상/하 구동전류 및 좌/우 구동전류를 동시에 인가받아 상/하, 좌/우 이동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보이스 코일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패드는 4개의 구동전류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는 보이스 코일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패드의 2개의 구동전류 입력단자에 각 드 라이버 IC의 구동전류가 공급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070078438A 2007-08-06 2007-08-06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428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38A KR101428039B1 (ko) 2007-08-06 2007-08-06 보이스 코일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38A KR101428039B1 (ko) 2007-08-06 2007-08-06 보이스 코일 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555A Division KR20140068823A (ko) 2014-04-23 2014-04-23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67A true KR20090014467A (ko) 2009-02-11
KR101428039B1 KR101428039B1 (ko) 2014-08-07

Family

ID=4068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438A KR101428039B1 (ko) 2007-08-06 2007-08-06 보이스 코일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923A (ko) * 2010-05-20 2011-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22A (ko) 2015-09-07 2017-03-16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61B1 (ko) * 2004-07-01 2006-08-08 주식회사 하이소닉 손떨림 방지기능을 갖는 렌즈모듈 및 영상 촬영 장치
KR100490253B1 (ko) * 2004-10-15 2005-05-18 주식회사 모비너스 소형 광학렌즈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923A (ko) * 2010-05-20 2011-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039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548B2 (en) Camera module
US10469717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JP4986551B2 (ja) レンズ駆動制御装置
US8014091B2 (en) Camera module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626510B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632806B (zh) 致动器及相机模块
KR2015002264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243102B (zh) 相机模块
US20220357543A1 (en) Optical system
CN114747201A (zh) 相机致动器及包括其的相机模组
KR100919117B1 (ko)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US20210397017A1 (en) A camera actuato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10074412A (ko) 리니어 구동 led 발광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US11624968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14467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7644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TW202125082A (zh) 雙鏡頭成像模組及其擷取方法
KR201501241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KR20140068823A (ko) 카메라모듈
US20080225413A1 (en) Lens device
KR101387691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92665A (ko) 손떨림 보정과 자동초점 기능을 일체화한 영상촬영장치
KR20150072877A (ko) 양방향 구동 카메라 모듈
KR2021012945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