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88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883A
KR20120123883A KR1020110041491A KR20110041491A KR20120123883A KR 20120123883 A KR20120123883 A KR 20120123883A KR 1020110041491 A KR1020110041491 A KR 1020110041491A KR 20110041491 A KR20110041491 A KR 20110041491A KR 20120123883 A KR20120123883 A KR 2012012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mera module
shock absorbing
presen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293B1 (ko
Inventor
김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8Camera cases, e.g. of ever-ready type

Landscapes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사각 기둥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부품과;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의 향상이나 데이터 통신량의 확대가 실현되고,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계의 전자기기에 CCD 이미지센서나 CMOS 이미지센서 등의 촬상소자가 실장되는 것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소자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으며,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이 상용화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중요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어, 외부의 충격에 내장된 부품들이 파손되어 고장 및 동작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중요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 영역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부품과;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케이스에 코팅되어 있다.
또,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오목부에 충격 흡수제가 충진되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충격 흡수부의 표면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케이스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충격 흡수층이 더 개재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충격 흡수층은 상기 케이스 전체 표면에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충격 흡수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낙하 하중이 집중시켜 낙하에 따른 충격을 충격 흡수부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및 엑츄에이터 등의 중요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충격 흡수부를 형성함으로써, 충격 흡수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일례의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 영역을 갖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부품(미도시)과; 상기 케이스(10)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300)를 포함한다.
통상, 카메라 모듈은 낙하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부품을 파손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케이스(10)의 모서리 영역에 낙하 하중이 집중시켜 상기 충격 흡수부(300)에서 낙하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및 엑츄에이터와 같은 중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카메라 모듈은 사각 기둥 형상을 적용할 수 있고, 사각 기둥 형상의 카메라 모듈은 8개의 모서리 영역들을 구비함으로, 각각의 모서리 영역들 모두 및 일부에 상기 충격 흡수부(30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일례의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케이스(10), 상부 탄성 부재(2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하부 탄성 부재(50), 프레임(60), IR 필터(70), 이미지 센서(80) 및 인쇄회로기판(90)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해서 렌즈 배럴(30)을 광축 방향(O)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부인 액추에이터(Actuator)(40)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40) 중에서도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이다.
액추에이터(40)는 보빈(41), 코일(42), 영구 자석(43), 요크(44)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중심부에는 광투과홀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하부는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스(10)는 프레임(60)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공간에는 상부 탄성 부재(2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IR 필터(70)가 포함된다.
케이스(10)는 그 내부와 외부의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탄성 부재(20)는 판 스프링으로서 케이스(10)의 상부에 삽입되며, 외측부는 액추에이터(40)의 요크(44)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부는 액추에이터(40)의 보빈(41)과 맞닿아 보빈(41)의 상측을 가압한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판 스프링으로서 액추에이터(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보빈(41)의 하측을 가압한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보빈(41)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본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렌즈 배럴(30)은 복수의 렌즈를 고정, 보호하는 수단으로, 렌즈 배럴(30)의 내측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 방향(O)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렌즈 배럴(30)의 둘레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은 보빈(4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보빈(4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렌즈 배럴(3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 배럴(30)을 보빈(4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원거리 포커싱을 맞출 수 있다.
보빈(41)의 둘레면에는 영구 자석(43)과 상호 작용하는 코일(42)이 자속과 수직인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코일(42)과 영구 자석(43) 사이의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크(44)가 삽입되며, 영구 자석(43)은 보빈(4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요크(44)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요크(44)는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된다.
코일(42)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 자석(43)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플레밍의 왼손법칙)하여, 보빈(41)은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코일(42)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클수록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난다.
이어, 코일(42)에 인가되던 전압이 차단되면, 상부 탄성 부재(20) 및 하부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인쇄회로기판(90)에는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80)가 장착되어 있으며, 프레임(60)은 이미지 센서(80)로 광 이미지를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ㅁ자 형상으로, 프레임(60)은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IR 필터(70)가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80)는 렌즈 배럴(30)의 하부 및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인쇄회로기판(90)은 평탄도가 좋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며, FPCB 중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배럴(30)은 상부 탄성 부재(20)와 하부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10)의 모서리 영역에 충격 흡수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구조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충격 흡수부(310)가 케이스(10)에 코팅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부(310)는 상기 케이스(10)의 표면(11)으로 돌출되어 있어, 낙하시 상기 케이스(10)의 표면(11)에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충격 흡수부(310)는 상기 케이스(10)의 표면(11)으로부터 두께 't'로 돌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와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케이스(10)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2)에 충격 흡수제를 충진하여 충격 흡수부(3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격 흡수부(320)는 상기 케이스(10)의 표면(11)에서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충격 흡수부(320)의 표면(321)이 카메라 모듈의 미관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표면(11)과 동일 수평선상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케이스(10)의 모서리 영역의 오목부(12)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320)는 상기 충격 흡수부(3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오목부(12)는 상기 케이스(10)의 표면(11)과 단차가 형성되거나, 도 5와 같이, 곡면(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케이스(10)에 1차 충격 흡수층(170)을 형성하고, 1차 충격 흡수층(170)에 2차 충격 흡수부(340)을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10)와 충격 흡수부(340) 사이에는 충격 흡수층(170)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1차의 충격 흡수층(170) 및 2차의 충격 흡수부(340)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낙하시에도 카메라 모듈 내부의 부품 파손을 감소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 흡수층(170)은 상기 케이스(10) 전체 표면에 도포된 것이고, 상기 충격 흡수부(340)는 상기 케이스(10)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전술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에 적용된 충격 흡수부는 충격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충격 흡수부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충격 흡수부를 관통하는 공기 유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 영역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부품과;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케이스에 코팅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오목부에 충격 흡수제가 충진되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의 표면과 상기 케이스의 표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있는 카메라 모듈.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카메라 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충격 흡수층이 더 개재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층은,
    상기 케이스 전체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41491A 2011-05-02 2011-05-02 카메라 모듈 KR10189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91A KR101892293B1 (ko) 2011-05-02 2011-05-02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91A KR101892293B1 (ko) 2011-05-02 2011-05-0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883A true KR20120123883A (ko) 2012-11-12
KR101892293B1 KR101892293B1 (ko) 2018-08-27

Family

ID=4750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491A KR101892293B1 (ko) 2011-05-02 2011-05-0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1458B2 (en) 2014-05-30 2018-03-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O2021010652A1 (ko) * 2019-07-17 2021-01-21 자화전자 주식회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034B1 (ko) * 2019-07-30 2021-08-17 자화전자(주) 다방향 댐퍼가 구비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393A (ja) * 1998-01-08 1999-07-30 Asahi Optical Co Ltd 精密機器外装の衝撃吸収構造
KR20070064696A (ko) * 2005-12-19 2007-06-22 주식회사 파워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의 내충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393A (ja) * 1998-01-08 1999-07-30 Asahi Optical Co Ltd 精密機器外装の衝撃吸収構造
KR20070064696A (ko) * 2005-12-19 2007-06-22 주식회사 파워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의 내충격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1458B2 (en) 2014-05-30 2018-03-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O2021010652A1 (ko) * 2019-07-17 2021-01-21 자화전자 주식회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CN114080797A (zh) * 2019-07-17 2022-02-22 磁化电子株式会社 阻尼器和包括该阻尼器的相机用致动器
CN114080797B (zh) * 2019-07-17 2022-10-28 磁化电子株式会社 阻尼器和包括该阻尼器的相机用致动器
US11630322B2 (en) 2019-07-17 2023-04-18 Jahwa Electronics Co., Ltd. Damper and actuator for camera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93B1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0848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KR102485459B1 (ko) 카메라 모듈
CN210136352U (zh) 驱动系统
US20190094565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1281299B1 (ko) 카메라 모듈
KR101753444B1 (ko) 카메라 모듈
KR10261474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42008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120052594A (ko) 카메라 모듈
KR101862391B1 (ko) 카메라 모듈
KR10258030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42007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30106547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20123883A (ko) 카메라 모듈
KR2017003464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100673642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438669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444963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305045B1 (ko) 카메라 모듈
CN113574852B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KR20180086590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506545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901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