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95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095A
KR20120004095A KR1020100064758A KR20100064758A KR20120004095A KR 20120004095 A KR20120004095 A KR 20120004095A KR 1020100064758 A KR1020100064758 A KR 1020100064758A KR 20100064758 A KR20100064758 A KR 20100064758A KR 20120004095 A KR20120004095 A KR 2012000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trol signal
camera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095A/ko
Publication of KR2012000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설정된 기준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여 사물의 동화상, 정지화상을 찍어 보관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카메라 기능이 병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사물을 찍는 기능에 머물지 않고, 찍고자 하는 사물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기능과, 먼 곳에 있는 사물을 가깝게 보이게 하거나 가까운 사물을 멀리 보이게 하는 줌 기능과 같은 부가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에 의해 광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카메라 모듈은 사물의 초점을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할 수 있다.
이때, 렌즈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판 형상의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렌즈부에 인가되는 힘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클 경우 렌즈부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렌즈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은 진동 모드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흔들릴 때 같이 흔들릴 수 있다.
렌즈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이 흔들리면 렌즈부도 흔들리게 되고, 이로 인해 렌즈부가 바닥면에 닿아 진동 모드에서는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설정된 기준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동작하기 전에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렌즈부를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로부터 기준 거리만큼 이격시킴으로써,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 및 액추에이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00)와 본체(200)의 설정 위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은 케이스(10), 상부 탄성 부재(2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하부 탄성 부재(50), 프레임(60), IR 필터(70), 이미지 센서(80) 및 인쇄회로기판(90)을 포함한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해서 렌즈 배럴(30)을 광축 방향(O)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부인 액추에이터(Actuator)(40)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40) 중에서도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이다.
액추에이터(40)는 보빈(41), 코일(42), 영구 자석(43), 요크(44)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중심부에는 광투과홀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하부는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스(10)는 프레임(60)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공간에는 상부 탄성 부재(2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IR 필터(50)가 포함된다.
케이스(10)는 그 내부와 외부의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탄성 부재(20)는 판 스프링으로서 케이스(10)의 상부에 삽입되며, 외측부는 액추에이터(40)의 요크(44)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부는 액추에이터(40)의 보빈(41)과 맞닿아 보빈(41)의 상측을 가압한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판 스프링으로서 액추에이터(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보빈(41)의 하측을 가압한다.
하부 탄성 부재(50)는 보빈(41)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본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렌즈 배럴(30)은 복수의 렌즈를 고정, 보호하는 수단으로, 렌즈 배럴(30)의 내측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 방향(O)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렌즈 배럴(30)의 둘레면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31)은 보빈(4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보빈(4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렌즈 배럴(30)의 나사산(31)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 배럴(30)을 보빈(4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원거리 포커싱을 맞출 수 있다.
보빈(41)의 둘레면에는 영구 자석(43)과 상호 작용하는 코일(42)이 자속과 수직인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코일(42)과 영구 자석(43) 사이의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크(44)가 삽입되며, 영구 자석(43)은 보빈(4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요크(44)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요크(44)는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된다.
코일(42)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 자석(43)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플레밍의 왼손법칙)하여, 보빈(41)은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코일(42)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클수록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난다.
이어, 코일(42)에 인가되던 전압이 차단되면, 상부 탄성 부재(20) 및 하부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인쇄회로기판(90)에는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80)가 장착되어 있으며, 프레임(60)은 이미지 센서(80)로 광 이미지를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ㅁ자 형상으로, 프레임(60)은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IR 필터(70)가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80)는 렌즈 배럴(30)의 하부 및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인쇄회로기판(90)은 평탄도가 좋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며, FPCB 중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배럴(30)은 상부 탄성 부재(20)와 하부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300) 및 액추에이터(4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 제어부(3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310)와, 진동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 모드로 구동하는 진동 모터부(320)와,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330)를 포함한다.
진동 제어부(3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동작해야 된다고 판단되면 진동 모터부(320)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진동 모터부(320)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하도록 모터를 구동한다.
진동 제어부(310)는 전화가 착신 시 진동 모드일 경우나 사용자가 키패드를 조작하여 벨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변환할 경우와 같이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진동 모터부(320) 및 전류 인가부(330)로 진동 모드 개시를 알리는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전류 인가부(330)는 액추에이터(40)의 코일(42)과 연결되어 진동 모드 동작 시 액추에이터(40)의 코일(42)에 설정된 "기준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보빈(41)과 연결된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에서 기준 전류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만큼 이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거리는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로부터 이격된 거리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서 렌즈부가 흔들리는 이동 거리보다 긴 거리이다.
액추에이터(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330)는 다양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기준 전류는 전류 인가부(330)에 미리 저장된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값일 수도 있다.
진동 제어부(310)는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으나,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진동 제어부(310)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사이에 기준 시간만큼 시간 간격을 둠으로써,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로부터 이격된 이후에 진동 모드를 개시하여 렌즈부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시간은 진동 모드 개시 전에 렌즈 배럴(30)이 하부 탄성 부재(5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40: 액추에이터
100: 카메라 모듈
200: 본체
300: 중앙 제어부

Claims (5)

  1.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위치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모드로 동작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제어부,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부, 및
    상기 진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설정된 기준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는 상기 렌즈의 바닥면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부와 기준 거리를 만큼 이격되게 하는 전류값인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진동 모드에서 상기 렌즈가 흔들리는 이동 거리보다 긴 거리인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 이후에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00064758A 2010-07-06 2010-07-06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04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58A KR20120004095A (ko) 2010-07-06 2010-07-0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58A KR20120004095A (ko) 2010-07-06 2010-07-0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95A true KR20120004095A (ko) 2012-01-12

Family

ID=4561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58A KR20120004095A (ko) 2010-07-06 2010-07-0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0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7203011B2 (en) Lens device,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cell-phone with camera using the same
JP2005148109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KR2013005528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1160067A (ja) 手振れ補正装置及び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機
JP2006227101A (ja) レンズ駆動制御装置及びレンズ駆動制御方法、撮像装置
KR100951293B1 (ko) 카메라 모듈
JP201115855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JP201115855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7032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4504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00124135A (ko)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JP2007121852A (ja) 撮像装置
KR20120004095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123883A (ko) 카메라 모듈
KR100919116B1 (ko) 구동력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20140089780A (ko) 카메라 모듈
KR201501241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KR101659563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032353A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JP6317207B2 (ja) 電子機器
KR20110064307A (ko) 카메라 모듈
KR101082045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