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103A - 레버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103A
KR20110066103A KR1020100125652A KR20100125652A KR20110066103A KR 20110066103 A KR20110066103 A KR 20110066103A KR 1020100125652 A KR1020100125652 A KR 1020100125652A KR 20100125652 A KR20100125652 A KR 20100125652A KR 20110066103 A KR20110066103 A KR 2011006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hood
connecto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후카마치
다카토시 가츠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66Comprising two pivoting levers
    • H01R13/62972Wherein the pivoting levers are two lever plat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레버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는, 상호 결합 가능한 암형 하우징과 수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수형 하우징에는 초기 위치와 부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레버가 설치된다. 캠 홈이 레버에 형성되고, 캠 팔로워가 암형 하우징에 형성된다.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두 하우징의 부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캠 홈의 입구가 정렬되고, 암형 하우징은 상기 정렬 방향을 따라 후드에 조립된다.

Description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8-27787호에는, 서로 결합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종래의 레버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에는 초기 위치와 부착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레버가 장착되어 있다. 캠 홈이 레버에 형성되어 있고, 캠 팔로워가 제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레버를 초기 위치에 유지시킨 채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약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캠 팔로워가 캠 홈에 도입된다. 그 후에, 레버는 부착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그 결과, 레버와 제2 하우징 사이에 캠 작용이 가해지도록, 캠 팔로워가 캠 홈의 표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조작력으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레버 커넥터에서는,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캠 홈의 입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부착 방향인 제1 하우징의 전방을 향해 있고,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후드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러나, 제1 하우징의 전방의 부분과 같이 공간의 제약이 있다면, 제2 하우징은 전방으로부터 조립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은 공간 효율성이 우수한 레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호 결합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레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 하우징에는 초기 위치와 부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레버가 장착된다. 캠 홈이 레버에 형성되고, 캠 팔로워가 제2 하우징에 형성된다. 레버를 초기 위치에 유지시킨 채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약하게 부착 결합시킴으로써, 캠 팔로워가 캠 홈의 입구로부터 캠 홈에 도입된다. 레버를 부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캠 팔로워가 캠 홈의 홈 표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캠 팔로워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캠 작용으로 인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정상 부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부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캠 홈의 입구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조립 방향은, 하우징의 부착 방향에 교차한다. 따라서, 하우징의 부착 방향에서 큰 조립 공간이 불필요해져, 공간 효율성이 향상된다.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는 후드를 구비한다. 후드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는 제2 하우징의 조립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제2 하우징을 접촉 수용하는 수용부가. 후드에 있어서, 후드의 절결부의 개방면에 면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부착 방향으로 작을 수 있다.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이 후드 안으로 돌출하고, 구속체가 제2 하우징에서 돌출하며, 간섭부가 절결부에 형성된다. 제2 하우징이 정상 조립 자세로부터 기울어져 있을 때, 구속체가 간섭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기울어진 자세의 제2 하우징을 후드의 내부에 결합하는 것이 제한받는다.
후드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이 후드 안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기울어진 제2 하우징이 탭을 파괴 혹은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구속체가 간섭부와 접촉하여, 기울어진 제2 하우징의 후드에의 삽입을 제한하고, 탭의 파괴 혹은 손상을 방지한다.
후드에 있어서 간섭부에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부착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속체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부착 결합시에 가이드 홈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원활한 부착 결합이 보장된다. 또한, 전용 가이드 수단이 구속체에 더하여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제2 하우징이 간단해진다.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레버는 제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세워져 배치되고, 캠 홈의 입구는 레버 돌출측을 향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레버 돌출측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커넥터는 우수한 공간 효율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커넥터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해진다.
도 1은 두 하우징이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두 하우징이 조립 초기에 있을 때의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두 하우징이 부착 위치를 향하고 있는 도중일 때의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두 하우징이 부착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수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두 하우징이 부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수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전방 리테이너가 암형 커넥터에 장착되기 이전의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기울어진 자세의 암형 하우징이 수형 하우징과 간섭하는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구비한다. 암형 커넥터는 암형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수형 커넥터는 수형 하우징(30) 및 레버(60)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호 결합되는 두 커넥터의 단부를 전방 단부라 한다.
암형 하우징(10)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블럭 형상의 암형 하우징 본체(11)를 포함한다. 캐비티(12)가 암형 하우징 본체(11)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요성의 랜스(13)가 각 캐비티(12)에서 전방으로 돌출한다. 휨 공간(14)이 각 랜스(13)의 아래에 형성되고,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앞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단자 피팅(80)이 각 캐비티(12)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랜스(13)는 제대로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80)의 분리를 방지한다.
암형 단자 피팅(80)은, 사각 슬리브형 본체(81)와 이 본체(81)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배럴(82)을 형성하도록 단일의 도전성 금속판을 굽힘 가공 혹은 그 밖의 성형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배럴(82)은 코킹(caulking)에 의해 전선(W1)의 단부에 접속되고, 전선(W1)은 캐비티(12)의 후방 단부의 개구로부터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외측으로 안내된다. 암형 단자 피팅(80)과 수형 단자 피팅(90)이 접속되도록 하우징(10, 30)이 서로 끼워 맞춰진 경우, 수형 단자 피팅(90)의 탭(93)이 사각 슬리브형 본체(81)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좌우의 캠 팔로워(15)가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캠 팔로워(15)는 실질적으로 기둥 형상을 갖고,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측면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앙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의 중심의 약간 위에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리테이너(16)가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리테이너(16)는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앞면을 덮는 전방벽(17)을 포함한다. 삽입 구멍(18)이 전방벽(17)에 형성되어 있고, 각 캐비티(12)와 연통되어 있다. 탭(93)은 각 삽입 구멍(18)에 정렬되어 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전방벽(17)에서의 각 삽입 구멍(18)의 사이 그리고 암형 단자 피팅(11)에서의 각 캐비티(12)의 사이에서, 끼움 홈(19)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구속체(20)가 전방벽(17)의 상측 코너에서 돌출되어 있다. 구속체(20)는 실질적으로 기둥 형상이고, 캠 팔로워(15)보다 작다. 각 랜스(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벽(17)의 뒷면으로부터 휨 규제 부재(21)가 돌출되어, 휨 공간(14)에 들어갈 수 있다. 전방 리테이너(16)는, 전방벽(17)이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앞면의 앞쪽에 위치해 있는 가결합 위치와, 전방벽(17)이 암형 하우징 본체(11)의 앞면에 접촉해 있는 진결합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암형 단자 피팅(80)이 캐비티(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결합 위치에서 휨 규제 부재(21)는 휨 공간(14)으로부터 물러나 있다. 그러나, 진결합 위치에서는 암형 단자 피팅(80)의 분리를 이중으로 방지하도록, 휨 규제 부재(21)가 휨 공간(14)에 들어가 랜스(13)의 휨을 제한한다.
수형 하우징(30)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블럭 형상의 수형 하우징 본체(31)를 구비한다. 사각 후드(32)가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3)가 수형 하우징 본체(31)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요성 랜스(34)가 각 캐비티(33)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각 랜스(34)의 아래에는 전방 개방형 휨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90)이 캐비티(33)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랜스(34)는 제대로 삽입된 수형 단자 피팅(90)의 분리를 방지한다.
수형 단자 피팅(90)은 단일의 도전성 금속판을 굽힘 가공 혹은 그 밖의 성형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수형 단자 피팅(90)은, 사각 슬리브형 본체(91)와, 이 본체(91)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배럴(92), 그리고 상기 본체(91)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탭(93)을 포함한다. 배럴(92)은 코킹에 의해 전선(W2)의 단부에 접속되고, 전선(W2)은 캐비티(33)의 후방 단부의 개구로부터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외측으로 안내된다. 사각 슬리브형 본체(91)에는 랜스 구멍(94)이 형성되고, 이 랜스 구멍은 랜스(34)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랜스 구멍(94)의 전방 단부에 랜스(34)가 맞물리면, 캐비티(33)로부터의 수형 단자 피팅(90)의 분리가 규제된다. 탭(93)이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앞면으로부터 사각 후드(32)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한다.
전방 리테이너(36)가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앞면에 앞쪽으로부터 설치된다. 전방 리테이너(36)는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앞면을 덮는 전방벽(37)을 포함한다. 각 캐비티(33)에 연통되는 관통 구멍(38)이 전방벽(37)에 개구로서 형성되고, 탭(93)은 각 관통 구멍(38)에 정렬되어 뒷쪽으로부터 삽입된다.
각 랜스(3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벽(37)의 뒷면으로부터 휨 규제 부재(39)가 돌출되어, 휨 공간(35)에 들어갈 수 있다. 전방 리테이너(36)는, 전방벽(37)이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는 가결합 위치와, 전방벽(37)이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앞면에 접촉해 있는 진결합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수형 단자 피팅(90)이 캐비티(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결합 위치에서 휨 규제 부재(39)는 휨 공간(35)으로부터 물러나 있다. 그러나, 진결합 위치에서는 수형 단자 피팅(90)의 분리를 이중으로 방지하도록, 휨 규제 부재(39)가 휨 공간(35)에 들어가 랜스(34)의 휨을 제한한다. 모든 전방 리테이너(36)는 가결합 위치와 진결합 위치에서 사각 후드(32)의 내측에 있다. 수형 하우징 본체(31)의 폭방향 중심부의 후방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로크 수용부(40)가, 레버(60)를 유지시킬 수 있다. 로크 폴(lock pawl)(41)이 로크 수용부(4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사각 후드(32)는 수형 하우징 본체(31)보다 크고, 사각 후드(32)와 수형 하우징 본체(31) 사이에는 단차(42)가 있다. 사각 후드(32)는 바닥판(43)과, 바닥판(43)의 위에 있는 상판(44), 그리고 바닥판(43)과 상판(44)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해 있는 좌우의 측판(45)을 포함한다.
사각 후드(32)의 상부에는 절결부(46)가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결부(46)는 상판(44)의 실질적인 전반부(前半部)에서 전체 폭에 걸쳐 절결되어 있고, 또한 측판(45)의 실질적인 전방의 상반부에서 거의 L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상판(44)에 형성된 절결부(46)는 탭(93)의 선단보다 약간 앞에 배치된다. 절결부(46)의 개방면을 통해 암형 하우징(10)을 후드(32)에 위에서부터 끼워 넣으면, 암형 하우징(10)이 바닥판(43)의 내면에 접촉하여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단자 피팅(80)과 수형 단자 피팅(90)이 서로 면하는 조립 위치에서, 암형 하우징(10)이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그 후에, 레버(60)의 이동으로 인해 암형 하우징(10)이 후드(32)에 깊숙이 들어가서, 암형 단자 피팅(80)과 수형 단자 피팅(90)이 정상 접속되는 부착 위치에 도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4)의 외면의 전방 단부에서 절결부(46)에 면하는 위치로부터 좌우의 가이드(48)가 돌출한다. 각 가이드(48)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47)을 포함한다. 암형 하우징(10)은 조립 중에 상판(44)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암형 하우징(10)은 가이드(48)의 경사면(47)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후드(32)에 들어간다. 끼움 부재(49)가 상판(44)의 내면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끼움 부재는 두 하우징(10, 30)의 부착 결합 단계에서 끼움 홈(19)에 들어간다. 끼움 부재(49)는 상판(4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판(44)에 형성된다.
좌우의 간섭부(50)가 좌우의 측판(45)의 절결부(46) 상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각 간섭부(50)는,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고 각 측판(45)의 두께 내로 형성되는 간섭면(51)을 갖는다. 암형 하우징(10)이 약간 기울어진 자세로 조립될 때, 구속체(20)가 간섭부(50)의 간섭면(51)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조립이 제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측판(45)의 내면에는 하부 가이드 홈(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하부 가이드 홈은 간섭부(50)의 간섭면(51)으로부터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0)이 조립 위치로부터 부착 위치로 이동할 때, 구속체(20)는 가이드 홈(52)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좌우의 지지 축(53)이, 좌우의 측판(45)의 절결부(46)의 코너 근방에서 좌우의 측판(45)으로부터 돌출한다. 지지 축(53)은 기둥 형상을 갖고, 레버(60)를 피벗 지지할 수 있다. 좌우의 스토퍼(54)가 좌우의 측판(45)에서 절결부(46)의 아래에 형성된다. 스토퍼(54)는,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리브(rib)이며, 레버(60)와 간섭할 수 있다.
레버(60)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61)를 구비한다. 레버(60)가 U자형으로 형성되도록, 좌우의 평행 아암(62)이 조작부(61)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한다. 가요성 로크(63)가 조작부(61)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외팔보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가요성 로크(63)의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가요성 로크(63)의 전방부가 조작부(61)의 상면으로 덮여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베어링(64)이 평행 아암(62)을 관통한다. 지지 축(53)은 베어링(64)을 관통하고, 베어링(64)에 의해 지지된다. 좌우의 하부 캠 홈(65)이 평행 아암(62)의 내면에 형성된다. 각 캠 홈(65)은 그 입구측에 가이드부(66)를 구비하고, 평행 아암(62)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점점 넓어진다. 작용 영역(67)이 가이드부(66)의 단부로부터 베어링(64)측을 향해 연장된다. 암형 하우징(10)의 조립시에, 캠 팔로워(15)가 캠 홈(65)의 가이드부(66)를 통해 삽입된다.
레버(60)는 지지 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위치와 부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평행 아암(62)의 외측 가장자리가 스토퍼(54)에 접촉하여 레버(60)의 전방으로의 기울어짐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조작부(61)가 절결부(46)의 위에 있도록, 레버(60)는 초기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초기 위치에서, 캠 홈(65)의 가이드부(66)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가이드부(66)의 후방 에지가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부착 위치에서는 가요성 로크(63)가 로크 수용부(40)의 로크 폴(41)에 맞물리고 조작부(61)가 수형 하우징(30)의 후방 단부의 뒤에 있도록, 레버(60)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암형 단자 피팅(80)이 암형 하우징 본체(11)에 삽입된 후, 전방 리테이너(16)는 진결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형 단자 피팅(90)이 수형 하우징 본체(31)에 삽입된 후, 전방 리테이너(36)는 진결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초기 위치에서는, 절결부(46)의 개방면이 수직 방향으로 개방되고 캠 홈(65)의 가이드부(66)의 입구도 또한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레버(6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30)에 대해 유지된다. 그 후에, 암형 하우징(10)은 부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후드(32)에 대해 내려져, 도 2에 도시된 조립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에서, 캠 팔로워(15)는 위에서부터 느슨하게 끼워진 상태로 캠 홈(65)의 가이드부(66)에 들어간다. 가이드부(66)의 홈 면과 캠 팔로워(15) 사이의 간극은 조립 위치를 향해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상기 간극은 가이드부(66)의 입구에서 크고 끝단에서 작다. 암형 하우징(10)이 도 2의 조립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암형 하우징(10)의 하면이 바닥판(43)의 내면에 접촉하여, 암형 하우징의 추가적인 하향 이동을 방지한다. 캠 팔로워(15)는 가이드부(66)의 끝단에 도달하고, 수형 단자 피팅(90)의 탭(93)은 암형 단자 피팅(80)의 앞에 배치되며, 구속체(20)는 간섭부(50) 상에 지지되면서 가이드 홈(52)에 면한다.
그 후에, 레버(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그 결과, 레버(60)와 암형 하우징(10) 사이에 캠 작용이 가해져 두 하우징(10, 30)이 서로를 향하게 강제되도록, 캠 팔로워(15)가 캠 홈(65)의 작용 영역(67)의 홈 표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하우징 본체(11)는 수형 하우징 본체(31)에 접근한다. 이러한 부착 결합 작업 동안에, 구속체(20)가 캠 홈(52)을 따라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암형 하우징(10)의 부착 결합 작업을 안내하도록, 끼움 부재(49)가 끼움 홈(19)을 따라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0)와 암형 하우징(10)이 부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가요성 로크(63)는 로크 수용부(40)와 맞물린다. 따라서, 레버(60)의 회전 작동이 제한되고, 두 하우징(10, 30)은 분리 제한 상태로 유지된다. 캠 팔로워(15)는 캠 홈(65)의 작용 영역(67)의 끝단에 도달하고, 구속체(20)는 가이드 홈(52)의 끝단에 도달한다.
암형 하우징(10)은 조립 중에 정상 조립 자세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후드(32)에 절결부(46)를 형성한 것으로 인하여, 탭(93)의 선단이 암형 하우징(10)의 전방 단부의 상부와 간섭하고 탭(93)이 파괴 혹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기울어진 자세로 암형 하우징(10)을 조립하려고 시도할 때, 암형 하우징(10)이 탭(93)의 선단과 간섭하지 못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체(20)가 간섭부(50)와 접촉한다. 그 후에, 구속체(20)와 간섭부(50)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암형 하우징(10)의 자세를 조정하여, 암형 하우징(10)을 조립 위치로 안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60)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캠 홈(65)의 가이드부(66)의 입구는 두 하우징(10, 30)의 부착 방향에 수직하게 상방을 향해 있고, 후드(32)에 대한 암형 하우징(10)의 조립 방향도 또한 두 하우징(10, 30)의 부착 방향에 수직하다. 따라서, 두 하우징(10, 30)의 부착 방향으로 수형 하우징(30)의 전방에서 큰 조립 공간이 불필요해져, 공간 효율성이 향상된다.
암형 하우징(10)의 조립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절결부(46)가 후드(32)에 형성되어 있고, 암형 하우징(10)을 접촉 수용하는 바닥판(43)이 후드(32)에 있어서 후드(32)의 절결부(46)의 개방면에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가 부착 방향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는 우수한 공간 절약 특성을 나타낸다.
암형 하우징(10)이 기울어진 자세로 후드(32)에 부착 결합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속체(20)가 간섭부(50)와 접촉하고, 이를 통해 탭(93)의 손상을 방지한다.
두 하우징(10, 30)을 서로 끼워 맞추는 동안 구속체(20)가 가이드 홈(52) 상에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원활한 부착 결합 작업이 보장된다. 따라서, 전용 가이드 수단이 구속체(20)에 더하여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암형 하우징(10)이 간단해진다.
레버(6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레버(60)는 암형 하우징(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세워져 배치되고, 캠 홈(65)의 입구는 레버(60)의 돌출 방향에서 위쪽을 향해 있다. 따라서, 레버(60)의 돌출측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캠 홈의 가이드부의 입구는, 부착 방향 또는 부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버는 초기 위치와 부착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제1 하우징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버일 수 있고, 이 슬라이드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 레버의 캠 홈의 입구는 두 하우징의 부착 방향과 교차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후드의 상판 전체를 절결하여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드의 양 측판 전체를 절결하여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드의 상판만을 절결하여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레버 커넥터로서,
    부착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 가능한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10); 및
    초기 위치와 부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1 하우징(30)에 설치된 레버(60)와, 레버(60)에 형성된 캠 홈(65)과, 제2 하우징(10)에 형성된 캠 팔로워(15)
    를 포함하고,
    레버(60)를 초기 위치에 유지시킨 채로,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10)을 약하게 부착 결합시킴으로써, 캠 팔로워(15)가 캠 홈(65)의 입구(66)로부터 캠 홈(65)에 도입되며, 캠 팔로워(15)가 캠 홈(65)에 도입된 상태에서 레버(60)를 부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캠 팔로워(15)가 캠 홈(65)의 홈 표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어, 캠 팔로워(15)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캠 작용으로 인하여,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10)이 정상 부착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레버(6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10)의 부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캠 홈(65)의 입구(66)가 정렬되는 것인 레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30)은 제2 하우징(10)의 삽입을 허용하는 후드(32)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10)의 조립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절결부(46)가 후드(32)에 형성되며, 제2 하우징(10)을 접촉 수용하는 수용부가, 후드(32)에 있어서 후드(32)의 절결부(46)의 개방면에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레버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수형 단자 피팅(90)의 탭(93)이 후드(32) 안으로 돌출하고, 구속체(20)가 제2 하우징(10)에서 돌출하며, 간섭부(50)가 절결부(46)에 형성되어, 제2 하우징(10)이 정상 조립 자세로부터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하우징(10)을 상기 기울어진 자세로 후드(32)의 내부에 부착 결합하는 것이 제한받도록, 구속체(20)가 간섭부(50)와 접촉하는 것인 레버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후드(32)에는 간섭부(50)에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 홈(52)이 형성되어 부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10)의 부착 결합 과정에서는, 구속체(20)가 가이드 홈(52)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인 레버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레버(6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레버(60)는 제1 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세워져 배치되고, 캠 홈(65)의 입구(66)는 레버 돌출측을 향해 정렬되는 것인 레버 커넥터.
KR1020100125652A 2009-12-10 2010-12-09 레버 커넥터 KR20110066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0102A JP5347936B2 (ja) 2009-12-10 2009-12-10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09-280102 2009-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103A true KR20110066103A (ko) 2011-06-16

Family

ID=4414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652A KR20110066103A (ko) 2009-12-10 2010-12-09 레버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03697B2 (ko)
JP (1) JP5347936B2 (ko)
KR (1) KR20110066103A (ko)
CN (1) CN1021578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139B2 (ja) * 2011-07-01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30408B2 (ja) * 2012-02-20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979498B2 (ja) * 2013-10-29 2016-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3225512B4 (de) * 2013-12-10 2022-02-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ebel
JP2016051633A (ja) * 2014-09-01 2016-04-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537805B2 (ja) * 2014-10-29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498080B2 (ja) * 2015-08-28 2019-04-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10952B2 (ja) * 2016-03-18 2019-11-2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9091609A (ja) * 2017-11-14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24386B2 (ja) * 2018-01-25 2021-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210399457A1 (en) * 2018-10-15 2021-12-23 Hirschmann Automotive Gmbh Plug connector foor high data rate
DE102020105589A1 (de) 2020-03-03 2021-09-0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elbstschließender Verriegelungsbüge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180A (ja) * 1989-05-15 1990-12-11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2500247Y2 (ja) * 1991-06-03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付コネクタ
JP2598412Y2 (ja) * 1992-04-03 1999-08-09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299624B2 (ja) * 1994-02-24 2002-07-08 菱星電装株式会社 レバー付コネクタ
JP4087198B2 (ja) * 2002-09-13 2008-05-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8198B2 (ja) * 2005-04-22 2010-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42502B2 (ja) * 2005-04-22 2010-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7396240B2 (en) * 2006-04-05 2008-07-08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JP4826376B2 (ja) 2006-07-24 2011-11-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4057A (ja) 2011-06-23
US8403697B2 (en) 2013-03-26
CN102157852A (zh) 2011-08-17
CN102157852B (zh) 2013-12-11
US20110143571A1 (en) 2011-06-16
JP5347936B2 (ja)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103A (ko) 레버 커넥터
JP4752606B2 (ja) コネクタ
US20060205264A1 (en) Connector
JP2004319155A (ja) コネクタ
KR101595657B1 (ko) 커넥터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US7267569B2 (en) Connector with a shorting terminal
JP2008288125A (ja) コネクタ
JP5510346B2 (ja) コネクタ
JP2002305052A (ja) コネクタ
JP568805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8784133B2 (en) Connector
US20210288439A1 (en) Connector
JP2010067469A (ja) コネクタ
KR101048462B1 (ko) 커넥터
CN111448719A (zh) 连接器
JP7480716B2 (ja) コネクタ
JP200718416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005490A (ja) コネクタ
JP576787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755433B2 (ja) コネクタ
JP4089168B2 (ja) コネクタ
JP2006120417A (ja) コネクタ
WO2023157613A1 (ja) コネクタ
JP391555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