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253A -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253A
KR20110056253A KR1020100115782A KR20100115782A KR20110056253A KR 20110056253 A KR20110056253 A KR 20110056253A KR 1020100115782 A KR1020100115782 A KR 1020100115782A KR 20100115782 A KR20100115782 A KR 20100115782A KR 20110056253 A KR20110056253 A KR 2011005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ox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289B1 (ko
Inventor
이승환
심민경
최영진
오택진
한진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PCT/KR2010/0082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62449A2/ko
Priority to CN201080056639.1A priority patent/CN102753136B/zh
Priority to US13/510,747 priority patent/US20120231058A1/en
Priority to JP2012539817A priority patent/JP2013511515A/ja
Publication of KR2011005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289B1/ko
Priority to US14/454,690 priority patent/US948063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질화붕소; 및 (ii) 산화세륨, 산화티탄, 탈크,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아연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 도포시 자외선 A, B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본 발명은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자외선 A, B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선보다도 파장이 짧은 자외선 A(320~400nm) 및 자외선 B(280~320nm)가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 A 및 자외선 B를 차단하기 위한 유기, 무기 차단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적외선(infrared ray)은 태양광 중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해 대기중의 미립자로 반사하거나 흩어지는 것이 적으며, 대기중의 산소나 질소 등의 분자에 방해받지 않고 공기 중을 투과하여 지상으로 도달한다. 몸에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온열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적외선의 피부 유해성,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생성 촉진 등이 최근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적외선을 파장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면 780~3000nm 파장의 적외선을 근적외선(Near-IR), 3000~25000nm의 파장을 적외선, 25000nm이상의 것을 원적외선(Far-IR)이라 하는데, 이 중 근적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생성 기전은 기존에 알려졌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생성 기전과 다르기 때문에, 자외선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햇빛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를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도, 피부 노화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광범위한 파장에 대한 차단 제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피부에 도포시, 자외선 A, B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i) 질화붕소; 및 (ii) 산화세륨, 산화티탄, 탈크,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아연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자외선 A, B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여,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외선 A, B 및 근적외선으로부터 유래되는 피부 노화의 가속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들의 FT-IR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하기 시험예들을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320~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A, 280~32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B 및 770~1140nm의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근적외선의 경우, 미토콘드리아를 통해 활성 산소를 생성시키고, 이에 의해 피부 속 항산화제가 감소하게 되며, 이후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주름이 생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뿐 아니라 주름 생성을 유발하는 근적외선을 피부로부터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로의 근적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생성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질화붕소 분말과 함께 산화세륨, 산화티탄, 탈크,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아연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질화붕소 분말 및 산화세륨, 산화티탄, 탈크,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아연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2, 3, 4, 5, 6 또는 7개의 성분과 조합을 이루어 근적외선과 자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특히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산화세륨(cerium oxide)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하기 시험예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우수한 자외선(UV-A, B) 및 근적외선(Near-IR) 차단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질화붕소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4 내지 6㎛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질화붕소 분말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질화붕소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5 내지 30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화붕소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산화세륨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0.1 내지 4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산화세륨 분말은 자외선 A 및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산화세륨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위 범위 내에서 3 내지 3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세륨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자외선 A 및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조성물 제조가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산화티탄(titanium oxide)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탄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1 내지 5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 내지 30nm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산화티탄은 자외선 B 및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산화티탄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30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탄 분말의 양이 5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B 및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25 중량% 초과이면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58, 59호 기능성 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별표 4에 의거하여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탈크(talc)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탈크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0.1 내지 4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8 내지 15㎛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탈크 분말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탈크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탈크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마이카(mica)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마이카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0.1 내지 4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7 내지 25㎛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마이카 분말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이카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2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이카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0.1 내지 4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5 내지 1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산화알루미늄 분말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2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산화아연(Zinc Oxide)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0.1 내지 40㎛일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0.3 내지 1.5㎛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산화아연 분말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i) 질화붕소(Boron nitride) 분말; 및 (ii) 산화철(iron oxide)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화철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어 0.1 내지 4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0.2 내지 7㎛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산화철 분말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철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01 내지 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철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한 제한 없이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썬크림, 파운데이션 또는 메이크업베이스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에 있어서 필수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실시예 1~7]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예 및 실시예 1~7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하기 유상성분 및 하기 착색제를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2) 하기 수상성분을 모두 혼합하였다.
3) 상기 1)에서 얻은 혼합물에 상기 2)에서 얻은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 후, 완전 탈기시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원료명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유상성분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계면활성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다이스테아르모니움헥토라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제 질화붕소(Boron nitrite) - 5.00 5.00 5.00 5.00 5.00 5.00 5.00
산화알루미늄
(Aluminum oxide)
- 5.00 - - - - - -
산화아연
(Zinc Oxide)
- - 5.00 - - - - -
산화티탄(Titanium oxide) - - 5.00 -
산화세륨(Cerium oxide) - - - - 5.00 - - -
산화철
(iron oxide)
- - - - - 5.00 - -
탈크(talc) - - - - - 5.00 -
마이카(mica) - - - - - - 5.00
수상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소듐클로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시험예 1] 근적외선 ( Near - IR ) 차단능력 시험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근적외선 차단능력에 대한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근적외선(Near-IR) 차단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성 대조군인 비교예와 실시예 1~7의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퓨리에 변환 근적외선 분광기(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meter. MB100, ABB社)를 통해 근적외선 차단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근적외선은 770~1400nm 범위의 파장으로서 이 범위의 파장을 적게 투과할수록 근적외선(Near-IR) 차단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질화붕소 및 산화티탄(실시예 3), 질화붕소 및 산화세륨(실시예 4), 질화붕소 및 탈크(실시예 6)가 근적외선 파장영역의 빛을 가장 우수하게 차단 및 회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2] 자외선 차단능력 시험
비교예 및 실시예 1~7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차단지수(SPF(Sun Protection Factor), PFA(Protection of UVA))는 SPF분석기(SPF Analyzer;Optometrics USA, SPF290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PF(Sun Protection Factor)는 자외선 B의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PFA(Protection of UVA)는 자외선 A의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구분 시험관내(In-vitro) SPF 시험관내(In-vitro) PFA
비교예 10.1 2.1
실시예 1 11.2 2.2
실시예 2 13.0 3.7
실시예 3 16.8 2.6
실시예 4 16.6 3.0
실시예 5 11.7 2.9
실시예 6 13.6 2.7
실시예 7 11.4 2.6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및 실시예 1~7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높은 SPF 수치 및 PFA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질화붕소와 산화티탄(실시예 3), 질화붕소와 산화세륨(실시예 4), 질화붕소와 탈크(실시예 6)의 SPF 수치가 가장 높았으며, 질화붕소와 산화아연(실시예 2)은 PFA 수치가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예 1 및 2의 시험 결과를 기초로, (i) 질화붕소(Boron nitride); (ii) 산화세륨(Cerium oxide), 산화티탄(Titanium oxide) 및 탈크(Talc)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UV-A, B)과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3 5.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2
글리세린 5
부틸렌글리콜 3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 3
에탄올 5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
0.4
메틸파라벤 0.1
방향제(fragrance)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의 표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4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3 5.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60 1.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푸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4 5.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60 1.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5] 팩
하기의 표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3 5.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i) 질화붕소 분말; 및
    (ii) 산화세륨, 산화티탄, 탈크,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아연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붕소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세륨, 탈크,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아연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티탄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세륨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티탄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철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카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5782A 2009-11-20 2010-11-19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8215 WO2011062449A2 (ko) 2009-11-20 2010-11-19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080056639.1A CN102753136B (zh) 2009-11-20 2010-11-19 包含无机粉末的化妆组合物
US13/510,747 US20120231058A1 (en) 2009-11-20 2010-11-19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JP2012539817A JP2013511515A (ja) 2009-11-20 2010-11-19 無機粉末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14/454,690 US9480632B2 (en) 2009-11-20 2014-08-07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2396 2009-11-20
KR1020090112396 2009-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253A true KR20110056253A (ko) 2011-05-26
KR101061289B1 KR101061289B1 (ko) 2011-08-31

Family

ID=4436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5782A KR101061289B1 (ko) 2009-11-20 2010-11-19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20231058A1 (ko)
JP (1) JP2013511515A (ko)
KR (1) KR101061289B1 (ko)
CN (1) CN10275313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340A (ko) * 2017-08-23 2019-03-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크기 선택적인, 근적외선 차단 또는 근적외선과 자외선 동시 차단용 고분자-무기 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6077B1 (ko) * 2020-04-10 2021-02-16 최미영 광원을 이용한 광 테라피 기능을 갖는 마스크 팩
KR20230051975A (ko) * 2021-10-12 2023-04-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무기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7674B2 (ja) 2013-06-06 2016-12-21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反射性組成物
JP6305727B2 (ja) * 2013-10-31 2018-04-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光老化防止用組成物
TWI645230B (zh) 2014-08-03 2018-12-21 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穿戴式照相機系統與用於將照相機系統或其他電子裝置附接至穿戴式製品之設備及方法
FR3028753B1 (fr) * 2014-11-24 2018-01-05 L'oreal Gel aqueux ou hydroalcoolique de phyllosilicates synthetiques a titre d'agent viscosant, matifiant et/ou homogeneisant d'application
JP6782420B2 (ja) * 2015-01-22 2020-11-11 株式会社ツツミプランニング 近赤外線防護剤、及び同近赤外線防護剤の製造方法、並びに近赤外線反射効果の調整方法
JP2016204368A (ja) * 2015-04-14 2016-12-08 株式会社Applause 酸化セリウム微粒子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700940B1 (ko) * 2015-11-03 2017-02-02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근적외선 차단용 분체 제조방법
EP3638194A4 (en) * 2017-06-16 2021-03-10 Kobo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ITANIUM DIOXIDE PARTICLES FOR IR PROTECTION
JP7328480B2 (ja) * 2018-09-14 2023-08-17 株式会社applause Pharma チロシン-チロシナーゼ反応阻害剤
WO2020138431A1 (ja) * 2018-12-27 2020-07-02 花王株式会社 外用剤
KR102190530B1 (ko) * 2019-05-29 2020-12-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21054729A (ja) 2019-09-27 2021-04-08 東洋ビューティ株式会社 近赤外線遮断剤及び近赤外線遮断性皮膚外用剤
CN115887248A (zh) * 2022-12-26 2023-04-04 广州联锴粉体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改性六方氮化硼的防晒产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325B2 (ja) * 1985-12-24 1995-04-19 マックス・ファクター株式会社 赤外線遮断物質入り化粧料
JPH0774142B2 (ja) * 1986-07-17 1995-08-0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ークアップ化粧料
IL115693A (en) * 1994-10-25 2000-08-13 Revlon Consumer Prod Corp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transfer resistance
JPH11228135A (ja) * 1998-02-17 1999-08-24 Toray Ind Inc 酸化セリウム粉末とそれを含む化粧料、塗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
JP2000086210A (ja) * 1998-07-09 2000-03-28 Kinya Adachi 窒化ホウ素・酸化物複合粒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紫外線遮断剤
DE19939139A1 (de) * 1999-08-18 2001-02-22 Beiersdorf Ag Emulgatorfreie feindisperse Systeme vom Typ Wasser-in-Öl
DE19939836A1 (de) * 1999-08-21 2001-02-22 Beiersdorf Ag Wasserhaltig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Stifte
US7037512B2 (en) * 2002-10-11 2006-05-02 Perricone Nicholas V Topical use of microfine calcined alumina
JP2004331509A (ja) * 2003-04-30 2004-11-25 Catalysts & Chem Ind Co Ltd 化粧料
TWI329024B (en) 2003-06-26 2010-08-21 Suntory Holdings Ltd Composition for skin, kit for skin and skin permeation enhancer
JP4491305B2 (ja) 2003-09-10 2010-06-3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
CN1867313A (zh) * 2003-10-17 2006-11-22 西巴特殊化学制品控股公司 包含二酮二苯基吡咯并吡咯颜料的化妆品制剂
CN1867315A (zh) * 2003-10-17 2006-11-22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包含二酮基二苯基吡咯并吡咯颜料的化妆品配制物
US20050147571A1 (en) * 2003-11-05 2005-07-07 Loyd Dennis D. Ultraviolet absorption
JP2005162695A (ja) * 2003-12-04 2005-06-23 Lion Corp 赤外線遮断物質含有化粧料
JP2006151917A (ja) * 2004-12-01 2006-06-15 Pola Chem Ind Inc 赤外線防護用の化粧料
FR2886300B1 (fr) * 2005-05-25 2007-06-29 Seppic Sa Nouveau latex inverse de copolymeres d'amps et de nn-dimethyl acrylamide; utilisation en cosmetique
JP4734034B2 (ja) * 2005-05-31 2011-07-2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4741905B2 (ja) * 2005-08-25 2011-08-10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紫外線遮蔽用の複合粒子を配合した化粧料
CN101028228A (zh) * 2006-03-01 2007-09-05 通用电气公司 含有亚微粒氮化硼颗粒的化妆品组合物
US20080175805A1 (en) * 2007-01-19 2008-07-24 Guthy-Renker Corporation Cosmetic foundation
JP4960740B2 (ja) * 2007-03-29 2012-06-27 株式会社コーセー 粉体化粧料
JP4406040B2 (ja) * 2007-07-30 2010-01-27 洋平 田中 生体組織の近赤外線損傷の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
KR101135252B1 (ko) * 2007-11-21 2012-04-12 (주)아모레퍼시픽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레진을 함유하는 케이크 타입의 습식성형 팩트 조성물
CN102365074A (zh) * 2009-03-27 2012-02-29 莱雅公司 用于化妆品用途的含纺锤状颗粒的粉末组合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340A (ko) * 2017-08-23 2019-03-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크기 선택적인, 근적외선 차단 또는 근적외선과 자외선 동시 차단용 고분자-무기 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6077B1 (ko) * 2020-04-10 2021-02-16 최미영 광원을 이용한 광 테라피 기능을 갖는 마스크 팩
KR20230051975A (ko) * 2021-10-12 2023-04-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무기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289B1 (ko) 2011-08-31
JP2013511515A (ja) 2013-04-04
US20140348888A1 (en) 2014-11-27
US20120231058A1 (en) 2012-09-13
CN102753136A (zh) 2012-10-24
CN102753136B (zh) 2016-08-03
US9480632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EP3315116B1 (en) Topical sunscree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101941881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2434A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1573A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07666900B (zh) 光保护性个人护理组合物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3719A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100684367B1 (ko) 자외선차단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694460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1212A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RU2359657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е фильтры
EA024835B1 (ru) Стабильная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CN108434054A (zh) 一种清爽防晒喷雾及其制备方法
KR102419912B1 (ko)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23113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KR20190101197A (ko) 나노 재료 및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선 케어 조성물
KR102172928B1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WO2011062449A2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9653A (ko)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