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530B1 -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530B1
KR102190530B1 KR1020190063306A KR20190063306A KR102190530B1 KR 102190530 B1 KR102190530 B1 KR 102190530B1 KR 1020190063306 A KR1020190063306 A KR 1020190063306A KR 20190063306 A KR20190063306 A KR 20190063306A KR 102190530 B1 KR102190530 B1 KR 10219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inorganic material
infrared
ultraviolet
blocking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257A (ko
Inventor
김수지
이준배
임형택
전용석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30B1/ko
Priority to US17/614,102 priority patent/US20220218577A1/en
Priority to JP2021569911A priority patent/JP7386263B2/ja
Priority to CN202080040055.9A priority patent/CN113924075A/zh
Priority to PCT/KR2020/004423 priority patent/WO2020242033A1/ko
Publication of KR2020013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8Zirco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적외선 자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and infrared ray}
자외선 및 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시간 경과에 의한 내인성 노화 및 장기간 태양광 노출에 의한 광노화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불가피한 노화 현상인 반면, 광노화는 장시간 태양광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탄력 감소, 깊은 주름,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변화를 유발한다. 또한, 광노화는 내인성 노화에 비해 그 속도가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피부 노화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와 그 위험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유/무기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자외선뿐만 아니라 적외선, 그 중에서도 표피와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 노화를 일으키는 근적외선(760 ~ 1400 nm) 또한 피부 노화의 주요 인자 중 하나로 인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적외선과 피부 노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맞추어 적외선 차단 제품 개발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 소재는 유기소재와 무기소재로 분류될 수 있다. 유기소재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제형에 적용 가능하나 변색, 피부 자극, 해양 생태계 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무기소재는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피부에 흡수되지 않아 알러지와 같은 부작용이 없어 피부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무기소재의 특성상 응집성이 강하기 때문에 크기 증가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차단 효과 증가를 위해 과량 사용시 백탁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적외선 차단 소재는 무기소재 위주로 개발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개발된 적외선 차단 소재는 크기가 큰 입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와 함께 물리적 혼합하거나, 큰 입자에 작은 입자를 코팅시켜 사용하여 자외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다만, 크기가 다른 무기소재 간의 응집으로 인해 다중산란에 의한 백탁 현상 또는 코팅 과정에서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해, 오히려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효과를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과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의 응집을 방지하여, 자외선 및 적외선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양상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100 내지 500 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화장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모든 종류의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제로서 100 내지 500 nm 크기의 이산화티탄은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1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8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6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3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12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적외선 영역, 특히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500 내지 1500 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화장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모든 종류의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무기소재는 금, 은,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Fe2O3), 산화구리(CuO, CuO2), 산화세륨(CeO2, Ce2O3), 지르코늄 디옥사이드(ZrO2)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로서 500 내지 1500 nm 크기의 이산화티탄은 높은 적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1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8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6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3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12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분산제"는 고체 입자가 액체 속에 균일하게 혼합된 분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크기가 큰 입자와 크기가 작은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모든 종류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씨드(polyhydroxystearic acid),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lic and capric triglyceride), 아이소스테아릭 애씨드(isostearic acid), 레시틴,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씨드,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아이소스테아릭 애씨드, 레시틴,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조합을 포함할 경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의 응집을 방지하여 뻑뻑한 사용감, 백탁 현상 등의 문제를 개선하고, 높은 자외선 차단 및 적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를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3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2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8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7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7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의 중량비는 3 내지 7: 3 내지 7: 1 내지 5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5: 1.5: 1 내지 3: 3: 1, 예를 들어, 2: 2: 1 내지 3: 3: 1, 예를 들어, 1.5: 1.5: 1 내지 4: 4: 1, 예를 들어, 2: 2: 1 내지 4: 4: 1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의 중량비를 5: 5: 3으로 포함할 경우,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 효과, 낮은 백탁도, 높은 분산성, 개선된 사용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 효과가 미미하거나, 무기소재 간의 응집으로 인해 백탁 현상, 뻑뻑한 사용감 등과 같은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정화제, 향료, 산화방지제, 점증제, 보습제, 유연제, 고흡유능 분체, 점도하강제, pH 조절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천연향, 화장품향, 또는 식물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를 적절한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자외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유의미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광노화로 인한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왼쪽)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오른쪽)의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내지 3, 및 실험예 1 및 2의 조성물의 분산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의 포함 여부를 달리하여,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유상 라우릴피이지-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피이지-10디메치콘 3.00 3.00 3.00 3.00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0 5.00 5.00 5.00 5.0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00 3.00 3.00 3.00 3.00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0 5.00 5.00 5.00 5.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00 5.00 5.00 5.00 5.00
디메치콘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0 0.50 0.50 0.50 0.50
무기
소재
티타늄디옥사이드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5.00 - 5.00 5.00 10.00
티타늄디옥사이드
(근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 5.00 5.00 5.00 10.00
분산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카프릴/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아이소스테아릭애씨드/레시틴/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 - - 3.00 6.00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폴리올 5.00 5.00 5.00 5.00 5.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무기소재를 유상부와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분산제에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분산시킨 후, 이를 유상부에 혼합하여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또는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중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것이고,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단순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이와 달리,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분산제를 더 포함하고,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실험예 1. 무기소재의 입자 크기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의 입자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투과전자 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100 nm 내지 500 nm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며(왼쪽 사진), 이와 달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500 nm 내지 1500 nm의 입자 크기를 나타냄(오른쪽 사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자외선 차단 효과 확인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 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Labsphere UV-2000S 인 비트로 선스크린 분석기(in vitro Sunscreen Analyser)를 이용하여 인 비트로 SPF를 측정하였다. 인 비트로 SPF 측정을 위해 UV 투과율 측정에 적합한 광학용 PMMA 플레이트에 균일하게 각 샘플을 도포한 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자외선(290 nm 내지 400 nm)을 조사하여 인 비트로 SPF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각의 샘플은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자외선 차단 지수 (SPF) 40.65 16.69 31.00 41.89 48.39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은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는 반면,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낮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단순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두 가지의 무기소재 간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자외선 차단 지수가 떨어지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이와 달리,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두 가지의 무기소재를 포함하더라도, 분산제를 적절한 비율로 더 포함함으로써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며, 무기소재의 함량 증가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수도 증가하였다.
실험예 3. 적외선 차단 효과 확인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적외선 차단 지수(IPF: Infrared Protection Factor)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적외선 차단 지수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아래의 임상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적외선 차단 효과는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에서 분광반사율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는 근적외선 분광광도계(NIR Spectrophotometer, ASD Inc., USA)이다. 결과는 각 샘플당 5명에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근적외선 차단 효과 평가방법]
1) 사람 팔 안쪽 피부에 3.5 X 3.5 cm 크기로 준비
2) 샘플 도포 전의 분광반사율 측정(control)
3) 샘플 2 μL/cm2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
4) 15분간 방치
5) 샘플이 도포 된 곳의 분광반사율 측정(sample)
6) 샘플 도포 전후의 분광반사율을 아래 수학식(IPF: Infrared Protection Factor)에 대입하여 적외선 차단 효과 측정
Figure 112019055290511-pat00001
IPF가 높을수록 피부에 도달하는 근적외선을 반사시키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근적외선 차단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의미이며, 이에 따라, 샘플을 도포 하기 전보다 도포 후의 분광반사율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비교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적외선 차단 지수 (IPF) 12.17 16.30 18.27 20.80 24.90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에 비해, 낮은 적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었다.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모두 포함하는 비교예 3의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에 비해 증가된 적외선 차단지수를 나타내었다. 다만, 비교예 3의 조성물과 같이 2가지의 무기소재를 단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 아닌, 분산제를 적절한 비율로 더 포함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보다 증가된 적외선 차단지수를 나타내며, 무기소재의 함량 증가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수도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2가지의 무기소재를 모두 포함하여도 제형 내에 안정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한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 평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whiteness)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 값(L 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검정색 인조가죽 2 X 2 cm2의 직사각형에 도포한 후, 분광 측색계(Minolta CM-2600d)를 이용하여 L값을 측정하였다. 각 샘플은 8 μL씩 도포하였으며, 손가락으로 10번씩 문지른 후 2분 뒤 분광 측색계로 각 샘플의 L값을 상대 비교하였다. L값은 작을수록 백탁 정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백탁도 (L 값) 43.02 33.84 50.77 32.50 36.62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은 높은 백탁도를 나타내었으나,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낮은 백탁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단순 혼합한 비교예 3의 조성물은 무기소재 간의 응집으로 인해 백탁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와 달리, 2가지의 무기소재뿐만 아니라, 적절한 비율로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비교예 3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백탁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모두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무기소재 간의 응집현상을 방지하여 낮은 백탁도를 나타내므로,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성 평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성을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가 응집되어 있거나 고르게 분포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고, 특히 비교예 3의 조성물은 무기소재 간의 응집으로 인해 입자가 가장 크게 응집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달리,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적절한 비율로 분산제를 더 포함하여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간의 응집을 방지하여, 입자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모두 포함하는 비교예 3,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얼굴, 볼 부위에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였다. 무기소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뻑뻑한 사용감이나 피부에 도포시 백탁 정도가 심한 문제가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뻑뻑함), 백탁 정도,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15명 이상이 만족한 경우 ◎, 10명 이상이 만족한 경우 ○, 5명 이상이 만족한 경우 △로 표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발림성(뻑뻑함)
백탁
전반적인 만족도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비교예 3의 조성물은 매끈하지 못한 제형 외관뿐만 아니라, 뻑뻑한 발림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달리,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분산제를 사용하여 혼합한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뻑뻑한 발림성 및 백탁 정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전반적인 사용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를 적절히 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상기 2가지 무기소재 간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탁 현상, 뻑뻑한 사용감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및 적외선 동시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 및 분산제의 중량비는 1.5:1.5:1 내지 3:3:1이고,
    상기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100 nm 내지 500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이산화티탄이고,
    상기 적외선 차단 무기소재는 500 nm 내지 1500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이산화티탄이고,
    상기 분산제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씨드(polyhydroxystearic acid),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lic and capric triglyceride), 아이소스테아릭 애씨드(isostearic acid), 레시틴,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3306A 2019-05-29 2019-05-29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0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306A KR102190530B1 (ko) 2019-05-29 2019-05-29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17/614,102 US20220218577A1 (en) 2019-05-29 2020-03-31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and infrared rays
JP2021569911A JP7386263B2 (ja) 2019-05-29 2020-03-31 紫外線及び赤外線の遮断用化粧料組成物
CN202080040055.9A CN113924075A (zh) 2019-05-29 2020-03-31 一种用于阻挡紫外线和红外线的化妆品组合物
PCT/KR2020/004423 WO2020242033A1 (ko) 2019-05-29 2020-03-31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306A KR102190530B1 (ko) 2019-05-29 2019-05-29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57A KR20200137257A (ko) 2020-12-09
KR102190530B1 true KR102190530B1 (ko) 2020-12-14

Family

ID=7355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306A KR102190530B1 (ko) 2019-05-29 2019-05-29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18577A1 (ko)
JP (1) JP7386263B2 (ko)
KR (1) KR102190530B1 (ko)
CN (1) CN113924075A (ko)
WO (1) WO202024203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89B1 (ko) * 2009-11-20 2011-08-31 (주)아모레퍼시픽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94041A (ja) * 2012-03-22 2013-09-30 Septem Soken:Kk 遮熱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0792A1 (en) * 2008-12-10 2011-06-23 Yun Shao Zinc oxide aqueous and non-aqueous dispersions
WO2011010798A2 (ko) * 2009-07-24 2011-01-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적외선 및 자외선 동시차단용 복합분체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5770492B2 (ja) * 2011-03-03 2015-08-26 株式会社コーセー 微粒子金属酸化物分散組成物
KR102142462B1 (ko) * 2014-06-30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컬링유지력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27527B1 (ko) * 2015-06-09 2017-04-17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171655A (ja) * 2016-03-17 2017-09-28 大塚製薬株式会社 近赤外線遮蔽用皮膚外用組成物
JP2018104401A (ja) * 2016-12-22 2018-07-05 大東化成工業株式会社 油性分散体及び当該油性分散体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194600B1 (ko) * 2017-08-23 2020-12-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크기 선택적인, 근적외선 차단 또는 근적외선과 자외선 동시 차단용 고분자-무기 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89B1 (ko) * 2009-11-20 2011-08-31 (주)아모레퍼시픽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94041A (ja) * 2012-03-22 2013-09-30 Septem Soken:Kk 遮熱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3797A (ja) 2022-07-25
JP7386263B2 (ja) 2023-11-24
US20220218577A1 (en) 2022-07-14
WO2020242033A1 (ko) 2020-12-03
KR20200137257A (ko) 2020-12-09
CN113924075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3087B2 (en) Zinc oxide powder blends, their production and use
US20120263661A1 (en) Broad Spectrum UVA Stable, Non-Toxic, Zinc Oxide Based Complex
CN109908004B (zh) 一种多重乳液防晒化妆品及其制备方法
TWI386227B (zh) 化粧料
JPH0723294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60144779A (ko)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053202B (zh) 一种防晒组合物及防晒剂
KR101006343B1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20210050957A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1985B1 (ko)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5976510A (en) Cosmetic tanning and sunscreen agent
KR102190530B1 (ko)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7791B1 (ko) pH에 안정한 징크옥사이드 수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JP3964780B2 (ja) 紫外線防御化粧料
KR20150122820A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6850A (ko) 수분산된 세륨옥사이드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0786706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자외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60185A1 (ja) 近赤外線遮断剤及び近赤外線遮断性皮膚外用剤
KR102633795B1 (ko) 유해 광 차단용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CN117598932B (zh) 防晒增效组合物、油包水型高倍防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64885B1 (ko) 자수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60370A (ko)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21100914A (ja) 化粧料
KR20210037592A (ko)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KR20210036668A (ko) 수분산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