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592A -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592A
KR20210037592A KR1020200125526A KR20200125526A KR20210037592A KR 20210037592 A KR20210037592 A KR 20210037592A KR 1020200125526 A KR1020200125526 A KR 1020200125526A KR 20200125526 A KR20200125526 A KR 20200125526A KR 20210037592 A KR20210037592 A KR 2021003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dispersion
dispersion composition
independent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847B1 (ko
Inventor
이범주
정순규
강경규
이슬해
김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미랜드
Publication of KR2021003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오일을 포함한다.
[화학식1]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1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6-C20의 아릴이고, 상기 Ar1 및 Ar2의 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이고;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연결기이고;
w, x, y 및 z는 몰분율로 0<w<1, 0<x<1, 0<y<1, 0<z<1을 만족하는 실수이고, w+x+y+z=1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Dispersion Composition For UV Blocking}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향상된 분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원리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된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우 분자 결합에 의한 화학적인 원리로 자외선을 흡수하며, 투명한 외관과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지만 피부 표면에서 화학적 차단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에 따라 피부자극이나 눈시림을 유발하는 등의 유해성이 보고됨에 따라 현 시장에서는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산화티탄과 산화아연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물리적으로 반사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술이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산화아연이나 산화티탄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나 자외선 차단제의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굴절률이 높아 제형상 투명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에서는 100 nm 미만의 평균입도를 가지는 미립자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제안한다. 그러나, 100 nm 미만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분산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제형상의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잔류하여 모공을 막아 피부트러블을 유발한다. 따라서, 나노 사이즈를 지양하여 피부 잔류 및 침투의 위험성이 없으면서도 자외선 차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다.
또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내 배합량이 많으면 백탁현상이 생겨 미관상 좋지 않고, 뻑뻑한 사용감으로 인해 미용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제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나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을 개질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니즈에 부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안으로 자외선 차단 부스터(Booster)가 요구되고 있다.
KR 10-1158806 B1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분산성으로 기존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혼용 시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보완하여 시너지 효과를 구현하고,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에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더라도 백탁 현상을 수반하지 않으며, 인체 무해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6-C20의 아릴이고, 상기 Ar1 및 Ar2의 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이고;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연결기이고;
w, x, y 및 z는 몰분율로 0<w<1, 0<x<1, 0<y<1, 0<z<1을 만족하는 실수이고, w+x+y+z=1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상기 Ar1은 C1-C7의 알콕시 치환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Ar2는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7의 알콕시이고; 상기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7의 알킬이고;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마이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에스테르계 오일 및 식물계 오일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20 내지 70 중량% 및 상기 오일 2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내에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10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히드록시지방산계 화합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실록산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는 400 내지 10000 cps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UV-A 및 UV-B를 동시에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부스팅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상승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향상된 분산성을 가져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분산질이 침강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저장 안정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370 ㎚이상의 임계파장(critical wavelength)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자외선 차단제가 최대로 차단할 수 있는 UV-A 파장값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UV-B는 물론 UV-A영역대까지 차단할 수 있어,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을 위한 자외선 차단 부스터 소재로 유효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종래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혼용 시, 현저하게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인체에 침투하지 않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향상된 안전성을 갖는다.
도 1은 실시예 1의 분산성을 보여주는 디지털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알킬", "알콕시" 및 그외 "알킬"부분을 포함하는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고리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구체적으로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환 또는 다환 고리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상술한 배경기술 하,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능을 부스팅 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가 안정적인 분산상을 형성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370 ㎚이상의 임계파장(critical wavelength)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체 조성물이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와 더불어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목할 점은 현재까지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를 통한 이와 같은 효과에 대한 검증이 전혀 보고된바 없었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오일을 포함한다.
[화학식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1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6-C20의 아릴이고, 상기 Ar1 및 Ar2의 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이고;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연결기이고;
w, x, y 및 z는 몰분율로 0<w<1, 0<x<1, 0<y<1, 0<z<1을 만족하는 실수이고, w+x+y+z=1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상기 Ar1은 C1-C7의 알콕시 치환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Ar2는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7의 알콕시이고; 상기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7의 알킬이고;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마이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상기 Ar1은 C1-C3의 알콕시 치환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Ar2는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콕시이고; 상기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이고;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마이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Ar1은 C1-C3의 알콕시 치환 페닐 또는 C1-C3의 알콕시 치환 나프틸일 수 있으며, 상기 Ar2는 페닐 또는 나프틸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상기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마이드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일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작용기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2에서,
R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n은 1 내지 5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은 상기 화학식1의 Si와 결합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2에서,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는 평균입도가 100 ㎚이상의 수불용성의 입자이지만, 오일과 혼합된 분산체 조성물 내에서는 1 ㎛이상의 평균입도를 가지기 때문에 경피 흡수의 가능성이 매우 적어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나노입자의 유해성을 배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인체에 침투되지 않는 물질임에 따라,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는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어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는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조합 시 부스팅 효과가 탁월하다.
방향족고리기와 실리콘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과의 상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제공하기 어려운 실키하고 매트한 사용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보다 향상된 분산성을 구현하기 위한 측면에서, 에스테르계 오일 및 식물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에칠헥실팔미테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계 오일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스쿠알란, 피마자 오일, 코코넛 오일, 팜 오일, 타마누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올리브 오일, 달맞이 꽃 오일, 아르간 오일, 살구씨 오일, 베르가못 오일, 동백 오일, 티트리 오일, 호호바 오일 및 유자씨 오일 등;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알칸 또는 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가용화능을 갖는 상기 식물계 오일의 알칸 또는 에스테르인 코코넛 알칸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카보네이트계 오일, 알코올계 오일, 불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오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 분산상을 형성함에 따라,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분산질(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이 침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저장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통상의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혼용 시에도 현저하게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차단 지수 부스터 조성물과 등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20 내지 70 중량% 및 상기 오일 2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의 함량범위를 만족한다면 다양한 함량으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25 내지 60중량%, 또는 30 내지 50중량%, 또는 35 내지 45중량%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35 내지 45중량%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량 대비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가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매우 미세한 크기의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을 포함하더라도 향상된 분산성을 가져, 분산체 조성물 내에서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내에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10 ㎛, 구체적으로 3 내지 7 ㎛, 보다 구체적으로 4 내지 6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자외선A(320 내지 400 nm)와 자외선B(280 내지 320 nm)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320 ㎚이하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파장을 가져, 이의 주 흡수 영역대는 UV-B 영역이며, 370 ㎚이상의 임계파장을 가져 UV-A 영역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40중량%를 만족하는 경우, UV-B 영역의 자외선 차단 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는 30 내지 80일 수 있고, 좋게는 40 내지 75, 보다 좋게는 45 내지 7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나아가, UV-A 영역의 자외선 차단 지수(Protection grade of UV-A, PA, UVA-PF)는 트리플 플러스(PA+++)일 수 있다. 허나, 국내에서는 UV-A 영역의 자외선 차단 지수 16이상부터는 모두 트리플 플러스(PA+++)로 표시하므로 후술되는 UV-A 영역의 자외선 차단 지수는 수치로 표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향상된 분산 안정성을 구현함에 따라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부스팅 효과에 시너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분산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히드록시지방산계 화합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실록산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분산체 조성물 내에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간의 입체 또는 정전기적 반발력을 일으킴으로써 응집된 입자를 해리시킴에 따라 최종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히드록시지방산계 화합물은 분산제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으며, 탄소수 10 내지 50의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된 실록산계 화합물은 상안정제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에틸렌글리콜이 5 내지 50몰 부가된 PEG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시클로펜타실록산/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및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0.1 내지 3.0중량%, 또한 0.5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상기 상안정제를 0.5 내지 2.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0 내지 2.0중량%, 또한 1.5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와 상안정제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된 함량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 1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중량부의 상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이 상기 수치범위 내의 첨가제를 포함할 경우, 분산체 조성물에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지지 않아 분산체 조성물 내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가 침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틱소트로피(thixotropic) 반응이 수반되다 하더라도 분산체 조성물의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가 급격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는 400 내지 10000 cps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1000 내지 7500 cps, 또한 3000 내지 7000 cps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범위는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가 30 내지 50중량%로 포함된 경우일 때, 상술된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3000 내지 7000 cps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좋으며, 이와같은 점도범위를 만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분산제 및 상안정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침강을 억제할 수 있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차단 지수 부스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5 내지 30%, 또한 8 내지 20%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만으로는 자외선 차단 지수(SPF) 50이상을 만족함과 동시에 피부 발림성 등의 사용감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이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함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혼합만으로는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나노입자면 제한되지 않으며, 티탄, 아연, 구리, 알루미늄, 세슘, 철 및 지르코늄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TiO2, ZnO, ZnO2, CuO, CuO2, Al2O3, Al(OH)3, CeO2, Ce2O3, Fe2O3, ZrO2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5 내지 25중량%, 또한 8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가 100:20 내지 100:65 중량비로 포함되는 경우, 보다 향상된 자외선 차단 지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술된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지수 부스팅 효과에 시너지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에서 보다 좋게는 100:35 내지 100:65 중량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UV-B 영역을 주로 차단하기에, UV-A 영역을 차단하는 산화아연의 농도를 10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초미립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3.50% 및 10.56%의 농도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 (SPF)는 대조군(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시료) 대비 최대 195%이상 향상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지수 (UVA-PF) 역시 향상된 값을 구현하여 더블 플러스(PA++) 또는 트리플 플러스(PA+++)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액상 또는 고상 파운데이션, 컨실러, 립스틱, 립글로스, 파우더, 립 라이너,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블러셔, 트윈케익, 자외선 차단제, 로션, 크림 또는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를 이용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화학식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3에서,
w, x, y 및 z는 몰분율로 0<w<1, 0<x<1, 0<y<1, 0<z<1을 만족하는 실수이고, w+x+y+z=1이다.]
(실시예1) 분산매 선정
분산질인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평균입도 = 2 ㎛)를 분산매인 오일에 분산시켜 용해시켰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매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코코넛 알칸(Coconut Alkanes);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피마자 오일(Castor oil); 및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을 이용하였다. 상기 분산매의 종류에 따라 분산액A(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분산액B(코코넛 알칸), 분산액C(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액D(피마자유) 및 분산액E(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얻었다. 시료의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Polysilicone-24, PS-24)의 농도는 모두 50%였고, 별도의 분산제는 첨가하지 않았다.
분산매에 따른 형상, 즉 분산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1에 도시하였다. 하기 도1에 따르면, 실시예1에서 제조된 분산액A 및 분산액B는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계 오일의 경우,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와 마찬가지로 방향족 고리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두 성분 간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으로 예상되며, 코코넛 알칸 등과 같은 식물성 오일의 경우 가용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상기 두 오일(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코코넛 알칸)은 모두 분산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이중 화장료 조성물에 보다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를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에 대한 분산매로 선정하였다.
(실시예2) 분산질 농도 선정
하기 표1의 조성을 만족하도록, 분산질로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분산매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분산제로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Polyhydroxystearic Acid) 및 상안정제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을 혼합한 뒤 교반기로 교반하여 1차 분산액을 제조한 뒤, 1차 분산액을 비드밀(Bead Mill)에 투입하고 분산을 완료하여 2차 분산액(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5
분산질인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최적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2의 1차 분산액 및 2차 분산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2의 2차 분산액과 C12-15 알킬 벤조에이트에 30% 희석시킨 희석액(2차 분산액의 희석액)의 UV-A 및 B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하였으며,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ser)를 이용하여 각 분산액의 평균입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2-1의 경우, 가장 낮은 UV-A 및 B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보였다. 이는 첨가된 분산질의 농도가 가장 낮았기 때문이다. 실시예 2-2의 경우, 가장 작은 평균입도를 가져, 분산질의 응집이 가장 적게 일어났다. 그러나, 실시예2-2의 경우 실시예2-1과 마찬가지로 낮은 점도를 나타냈다. 실시예2-3 내지 실시예2-5의 경우, 1차 및 2차 분산액의 점도는 모두 1,000 cps 이상을 보였다. 특히, 실시예2-3의 경우, 2차 분산액의 원액 및 30% 희석액에 대한 SPF가 실험을 진행한 5개 시료 중 가장 높은 범위를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2-4 내지 실시예2-5의 경우, 실시예2-3에 비해 더 높은 분산질 농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실시예2-3 보다 낮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분산질 농도가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 설비를 통한 분산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C12-15 알킬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분산질의 최적의 농도는 40중량%(실시예 2-3)임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6
(실시예3) 분산제 농도 선정
하기 표3의 조성을 만족하도록, 분산질로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분산매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분산제로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Polyhydroxystearic Acid) 및 상안정제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을 혼합한 뒤 교반기로 교반하여 1차 분산액을 제조한 뒤, 1차 분산액을 비드밀(Bead Mill)에 투입하고 분산을 완료하여 2차 분산액(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7
분산제인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최적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3의 1차 분산액 및 2차 분산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4에 도시하였다. 1차 분산액의 경우, 분산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2차 분산액의 경우, 분산제가 1.5 중량% 일 때는 분산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하고, 분산제가 1.5 중량%를 초과될 때는 분산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2차 분산액의 분산 안정성을 위해, 이의 점도를 3,000 cps 이상으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C12-15 알킬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분산제의 최적농도는 1.0 중량%(실시예3-1)임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8
(실시예4) 상안정제 농도 선정
하기 표5의 조성을 만족하도록, 분산질로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분산매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분산제로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Polyhydroxystearic Acid) 및 상안정제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을 혼합한 뒤 교반기로 교반하여 1차 분산액을 제조한 뒤, 1차 분산액을 비드밀(Bead Mill)에 투입하고 분산을 완료하여 2차 분산액(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9
상안정제인 PEG-10 디메치콘의 최적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4의 1차 분산액 및 2차 분산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6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상안정제의 농도와 비례하여, 1차 및 2차 분산액의 점도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1차 분산액 보다 2차 분산액의 증가폭이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차 분산액의 점도가 8000 cps 이상으로 매우 높을 경우, 틱소트로피(thixotropic) 반응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가 급격히 높아질 가능성 있다. 따라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C12-15 알킬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상안정제의 최적농도는 1.5 중량%(실시예4-2)임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10
(실시예5)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 확인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결과를 바탕으로, 57.5 중량%의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40.0 중량%의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1.0 중량%의 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Polyhydroxystearic Acid) 및 1.5 중량%의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을 혼합한 뒤 교반기로 교반하여 1차 분산액을 제조한 뒤, 1차 분산액을 비드밀(Bead Mill)에 투입하고 분산을 완료하여 2차 분산액(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5의 1차 분산액 및 2차 분산액의 점도를 확인하고, 실시예5의 2차 분산액의 원액과 C12-15 알킬 벤조에이트에 30% 희석시킨 2차 분산액의 희석액의 UV-A 및 B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7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5의 1차 분산액 및 2차 분산액의 점도의 점도는 각각 1,720 및 3,700 cps로, 2차 분산액의 점도가 1차 분산액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차 분산액을 분산액 제조 설비장비를 통해 분산을 더 수행할 경우 분산제보다 상안정제의 활성이 더 증가하여 점도가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차 분산액의 점도가 3,000 cps 이상으로 확인됨에 따라 장기 보관 시 가장 이상적인 분산액의 물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5의 2차 분산액에 대한 자외선 A 차단 지수와 자외선 B 차단 지수가 60~80의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과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여 사용 시, 자외선 차단 지수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pat00011
(실시예6)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경시변화 확인-1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1차 분산액 제조, 이후 기계적 분산 처리를 통한 2차 분산액의 점도 변화를 총 6주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분산액의 점도는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변화값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표8에 도시하였다. 경시변화 확인 중 실시예5의 최저점도는 약 2,700 cps, 최고점도는 약 3,500 cps 로 확인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틱소트로피(thixotropy)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틱소트로피(Thixotropy) 현상이란, 입자간 결합력이 강한 액상에서 초기에는 졸(sol)을 만들지만 이것을 방치할 경우 겔(gel)로 전환되는 현상을 말한다. 바꿔 말하면, 상승된 점도의 액체를 강한 힘으로 분산시키면 이전의 점도로 되돌아오며, 추가의 힘으로 분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정치하면 다시 점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초미립 이산화티탄을 분산시킨 분산액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인데, 실시예5의 경우에서는 틱소트로피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7)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경시변화 확인-2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1차 분산액 제조, 이후 기계적 분산 처리를 통한 2차 분산액의 입도변화를 총 6주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분산액의 입도변화는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입도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표8에 도시하였다. 총 6주간 실시예5의 평균입도는 6.06 ㎛ 이었다. 최저 평균입도는 측정 3주 경과 후인 5.90 ㎛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는 6.06 ± 0.08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평균입도 역시 측정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2
(실시예8)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경시변화 확인-3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1차 분산액 제조, 이후 기계적 분산 처리를 통한 2차 분산액의 자외선 차단 지수 변화를 총 7주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분산액의 자외선 차단 지수는 1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값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표9에 도시하였다. 총 7주간 실시예5에 대한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한 결과 SPF는 62, UVA PF는 71의 평균값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UV-B 차단지수인 SPF보다 UV-A 차단 지수인 UVA PF가 더 높게 나온 것은 분산된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40%가 적지 않은 고농도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고농도의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들이 분산액에 존재하여, 자체만으로도 자외선 차단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3
실시예9)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1차 분산액 제조, 이후 기계적 분산 처리를 통한 2차 분산액의 자외선 차단 부스터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만 구성된 자외선 차단 화장품 개발에 꼭 필요한 항목이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만으로는 SPF 50 이상의 자외선 차단능을 가짐과 동시에 피부 발림성 등의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먼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확인하였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초미립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대상으로 적정농도를 선정한 후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하였다. 이후,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적용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조합으로는 초미립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이며, 각각의 농도는 3.50%, 10.56% 였다. 자외선 차단 부스터 효과를 알아보기 전 각각의 농도 및 두 차단제를 혼합한 농도에서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하기 표10의 농도로 희석한 후,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10에 도시하였다. 하기 표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에 비례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도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Figure pat00014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도출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조합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서로 다른 농도로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1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15
상기 표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최종 1% 농도로 첨가했을 시의 실측 SPF는 이론 SPF에 비해 낮은 음의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3% 내지 9%까지는 양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9% 적용한 시료의 실측 SPF는 이론 SPF 대비 195%이상의 SPF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적용시 UV-B 영역에 대한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앞선 SPF 부스팅 효과 확인 시의 시료를 대상으로, UV-A PF의 자외선 차단 지수 부스팅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2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16
상기 표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3% 농도까지는 이론 UV-A PF 대비 실측 UV-A PF가 음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5% 증가시부터 양의 증가율을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9% 첨가시에는 약 50% 이상 양의 증가율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처리농도 증가에 따라 높은 부스팅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적용시 UV-A 영역에 대한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10)임상시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시료는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10%의 고형분 농도로 희석한 후 사용하였다. 일반인 32명의 시험부위인 등에 첩포시험 후 확대경 (SK101-3X, Seki optical, Korea) 아래서 피부 반응을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 평가 기준은 하기 표13과 같고, 이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기 식1을 통해 피부 자극도를 평가하였다(0.00~0.87 저자극; 0.88 ~ 2.42 경자극; 2.43 ~ 3.44 중자극; 3.45이상 강자극).
Figure pat00017
(식1)
Figure pat00018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아무런 피부 반응도가 관찰되지 않아, 피부 자극을 수반하지 않는 제품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 지수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5의 조성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에 초미립 이산화티탄 8.0% 및 산화아연 9.62%를 추가 투입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A 차단 지수 (UVA PF) 평가는 화장품법 제9조에 규정된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47호)의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 에 따라 수행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A 차단 지수는 9.15±0.99, 자외선 차단 지수는 51.4±3.0으로 판명, 이는 SPF 50+, PA+++ 의 자외선 차단력을 가지는 제품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및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1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6-C20의 아릴이고, 상기 Ar1 및 Ar2의 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콕시이고;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연결기이고;
    w, x, y 및 z는 몰분율로 0<w<1, 0<x<1, 0<y<1, 0<z<1을 만족하는 실수이고, w+x+y+z=1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상기 Ar1은 C1-C7의 알콕시 치환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Ar2는 C6-C12의 아릴이고; 상기 R1, R2, R3, R5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7의 알콕시이고; 상기 R4,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7의 알킬이고;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마이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계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 20 내지 70 중량% 및 상기 오일 2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내에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체 입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10 ㎛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히드록시지방산계 화합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실록산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의 점도는,
    400 내지 10000 cps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UV-A 및 UV-B를 동시에 차단하는 것인, 자외선 분산체 차단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은,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부스팅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상승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25526A 2019-09-27 2020-09-28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KR102424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79 2019-09-27
KR20190119779 201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592A true KR20210037592A (ko) 2021-04-06
KR102424847B1 KR102424847B1 (ko) 2022-07-27

Family

ID=7547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526A KR102424847B1 (ko) 2019-09-27 2020-09-28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847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65653A (zh) * 2002-06-25 2004-01-07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液晶定向膜及其制备和用途
WO2005029605A1 (en) * 2003-09-19 2005-03-31 Canon Kabushiki Kaisha Field effect type organic transist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050105545A (ko) * 2004-04-30 2005-11-04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자외선 흡수기를 가진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 및 그제조방법
WO2006045713A1 (en) * 2004-10-25 2006-05-04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unctionalized nanoparticles
WO2009003981A2 (de) * 2007-07-02 2009-01-08 Basf Se Hybride nanopartikel
WO2009101016A2 (de) * 2008-02-12 2009-08-20 Basf Se Modifizierte hybride nanopartikel
KR20120007922A (ko) * 2010-07-15 2012-01-25 주식회사 엔엔엠테크놀러지 개선된 자외선 안정성을 가지는 자외선 흡수 폴리유기산화실리콘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8806B1 (ko) 2009-09-25 2012-06-26 김영인 자외선차단용 산화아연 분산졸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산화아연 분산졸 제조방법
KR101235399B1 (ko) * 2005-12-14 2013-02-2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미립자 산화티탄 분산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30109653A (ko) * 2012-03-28 2013-10-08 주식회사 엔엔엠테크놀러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551370B1 (ko) * 2013-07-23 2015-09-09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KR101781571B1 (ko) * 2010-11-30 2017-10-24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04292A1 (ko) * 2016-06-30 2018-01-04 (주)엔엔엠테크놀러지 Uv a와 uv b를 모두 흡수하는 가교된 폴리실세스퀴옥산 랜덤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65653A (zh) * 2002-06-25 2004-01-07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液晶定向膜及其制备和用途
WO2005029605A1 (en) * 2003-09-19 2005-03-31 Canon Kabushiki Kaisha Field effect type organic transist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050105545A (ko) * 2004-04-30 2005-11-04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자외선 흡수기를 가진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 및 그제조방법
WO2005105028A1 (en) * 2004-04-30 2005-11-10 Saimdang Cosmetics Co., Ltd. Poly(silsesquioxane) spherical particle containing ultraviolet light-absorbing grou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6045713A1 (en) * 2004-10-25 2006-05-04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unctionalized nanoparticles
KR101235399B1 (ko) * 2005-12-14 2013-02-2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미립자 산화티탄 분산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WO2009003981A2 (de) * 2007-07-02 2009-01-08 Basf Se Hybride nanopartikel
WO2009101016A2 (de) * 2008-02-12 2009-08-20 Basf Se Modifizierte hybride nanopartikel
KR101158806B1 (ko) 2009-09-25 2012-06-26 김영인 자외선차단용 산화아연 분산졸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산화아연 분산졸 제조방법
KR20120007922A (ko) * 2010-07-15 2012-01-25 주식회사 엔엔엠테크놀러지 개선된 자외선 안정성을 가지는 자외선 흡수 폴리유기산화실리콘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1571B1 (ko) * 2010-11-30 2017-10-24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9653A (ko) * 2012-03-28 2013-10-08 주식회사 엔엔엠테크놀러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551370B1 (ko) * 2013-07-23 2015-09-09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WO2018004292A1 (ko) * 2016-06-30 2018-01-04 (주)엔엔엠테크놀러지 Uv a와 uv b를 모두 흡수하는 가교된 폴리실세스퀴옥산 랜덤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14176B1 (ko) * 2016-06-30 2018-01-30 베로니카 김 Uv a와 uv b를 모두 흡수하는 가교된 폴리실세스퀴옥산 랜덤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847B1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483B1 (ko) 산화티탄 분산체와 이를 배합한 화장료
EP1974717B1 (en) Dispersion of fine titanium oxide particles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JP4863411B2 (ja)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TWI386227B (zh) 化粧料
CN108289812B (zh) 防晒化妆品
CN108135817B (zh) 防晒化妆品
KR20170038739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179628A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料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0556396C (zh) 用作防晒产品的硅油包水乳液
JP3843627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06444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101006343B1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102424847B1 (ko)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JP5230954B2 (ja) 油中水乳化型日焼け止め料
KR20210036835A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806106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20220080162A (ko) 피부 외용제
US20230381072A1 (en) Broad-spectrum, mineral,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WO2022210145A1 (ja) 化粧料
BR112015014450B1 (pt) Composição de filtro solar, métodos para proteger substrato queratinoso de radiação ultravioleta e para absorver luz ultravioleta e uso de composição
KR20210036849A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20200137257A (ko)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12203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5% by weight of titanium oxides, an a-cyanodiphenylacrylate derivative and a 4-hydroxybenzylidenemalonate or 4-hydroxycinnamate deriva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