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113B1 -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113B1
KR100823113B1 KR1020070025502A KR20070025502A KR100823113B1 KR 100823113 B1 KR100823113 B1 KR 100823113B1 KR 1020070025502 A KR1020070025502 A KR 1020070025502A KR 20070025502 A KR20070025502 A KR 20070025502A KR 100823113 B1 KR100823113 B1 KR 100823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a
cosmetic composition
uvb
uv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수
손성민
고형주
김범준
이홍선
박승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주)인터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주)인터리스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07002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화산부산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을 개시한다.
화산부산물, 자외선, 차단, 화장품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UV-pretectiv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산부산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이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피부암 등의 원인이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UVA(320∼400 ㎚), UVB(280∼320 ㎚) 및 UVC(240∼280 ㎚)로 분류되는데, 이 중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소실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UVA와 UVB는 피부의 진피 및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주름, 멜라닌 합성 촉진, 홍반,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한편,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화장품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컨대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유도체를 자외선 차단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대한민국 특허 제0162282호, TiO2 나노피그먼트 및/또는 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국제공개 WO97/12590, 페루릭산 및/또는 도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대한 민국 특허 제0526637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도 화산부산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표적인 화산분출물인 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과 송이 분말이 포함되지 아니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화장품 조성물이 UVA 및 UVB 차단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상기 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송이 분말이 포함되지 아니한 화장품 조성물에 비해서 월등한 UVA 및 UVB 차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술하는 바의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겠지만, 상기 송이 분말의 UVA 및 UVB에 대한 차단 효과는 일본화장품산업협회(JCIA)에 규정된 UVA 차단 효과 측정법 및 UVB 차단 효과 측정법에 따라 각각 하기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 정의되는 UVB 차단 지수(Sun Protection Factor; 이하 "SPF") 및 UVA 차단 치수(Protection Factor of UVA; 이하 "PFA")로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SPF 및 PFA의 수치가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나다.
<일반식 1>
SPF = 시료를도포한부위의MED/시료를도포하지아니한부위의MED
여기서 MED는 최소홍반량(피부에 홍반을 일으키는 최소 자외선 조사량을 )(Minimal Erythemal Dose; 이하 "MED")를 의미한다.
<일반식 2>
PFA = 시료를도포한부위의MPPD/시료를도포하지아니한부위의MPPD
여기서 MPPD는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희미한 흑화가 인식되는 최소 자외선 조사량)(Minimal Persistent Pigment darkening Dose; 이하 "MPPD")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산부산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정의된 용어는 하기에 정의된 바의 의미를 갖는다.
<1> 화산부산물
송이(스코리아, scoria), 용암구(熔岩球, lava ball), 용암수형(熔岩樹型, lava tree mold), 용암수(熔岩樹, lava tree) 용암석순(熔岩石筍, lava stalagmite) 및 용암종유(lava stalagtities)로부터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말한다.
상기에서 "송이"란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한 다공질의 현무암질 암괴를 말하는데, 화산회(火山灰, Volcanic Ash, 2mm이하), 화산자갈(火山礫, lapilli, 2~64mm), 화산암괴(火山岩塊, Volconic Block, 64mm이상), 화산탄(火山彈, Volcanic Bomb)이 여기에 포함된다. 송이는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 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그리고 제주 송이는 통상 그 내화도가 1,120~1210℃이고, 흡수율은 17.7~32.5%, 그리고 마모율은 47.25~67.22% 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송이는 특별히 제주 송이에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효과 등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제주 송이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용암구"란 고체 상태의 암괴나 준고체 상태의 암괴가 구르면서 고결되지 않은 용암을 반복해서 부착시킴으로서 형성된 것으로서 둥굴거나 타원형의 형태를 이루며, 크기는 크기는 수 센티미터(cm)의 것에서부터 수 미터(m) 이상의 것까지 다양하고, 표면은 치밀한 편이나 내부는 스코리아질(scoriaceous)을 이룬다(여기서 준고체 상태의 암괴가 구르면서 고결되지 않은 용암을 반복해서 부착시킴으로서 형성된 것을 엄밀하게는 부가용암구(附加熔岩球, accretionary lava ball)라 한다). 암괴의 앞쪽 밑에 바닥을 밀면서 흘러 내려간 흔적이 있을 때 용암구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용암수형"이란 지표면에 자라고 있던 수목(樹木)이 화구에서 흘러 내려온 용암의 흐름 속에 갇히게 되어 고온의 용암에 의해 연소되고, 수목의 흔적만이 남게 되어 파이프상의 구멍이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때때로 용암의 온도가 충분하지 않아 수목을 완전히 태우지 못해 수목이 타다 남아 탄화목으로 남기 도 한다.
또한 상기에서 "용암수"란 용암류가 수목을 둘러싸고 흐른 후 용암류의 수위가 낮아져서 용암이 수목을 코팅하여 그대로 굳어서 마치 암석이 굴뚝과 같은 형태로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에서 "용암석순"이란 용암동굴의 천장으로부터 용암이 물방울처럼 바닥면 위에 떨어져 쌓여 석순과 같이 자란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에서 "용암종유"이란 용암동굴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고온의 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있을 때, 천장이나 측벽에서 용암이 고드름처럼 흘러내리다가 식어서 고결되는 것을 말한다.
<2> 자외선
자외선은 UVA 및 UVB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정의된다. 그것은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UVA 및 UVB를 모두 차단하는 효과가 있음이 하기 실험예에서 분명하게 확인되기 때문이다.
<3> 자외선 차단
자외선 차단이란 자외선(UVA 및/또는 UVB)에 의하여 발생하거나 악화(惡化)되는 증상, 예컨대 피부암, 주름, 멜라닌 합성 촉진, 홍반, 주근깨, 부종 등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경감시킬 수 있는 효능으로서 정의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이 자외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암 예방용 조성물이나 자외선에 의하여 악화되는 피부암 경감용 조성물이라고 표현되어도 무방한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인 송이 분말은 사용자의 자외선에 대한 체질(자외선에 예민한 정도), 계절(자외선량이 계절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임) 등에 따라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99.9 중량% 범위로 포함될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송이 분말 이외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강 또는 강화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공지의 물질 또는 조성물로서는 앞서 예시한 바의 대황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0162282호), 스틸벤유도체(대한민국 특허 제0162282호), TiO2 나노피그먼트(WO97/12590), 아실아미노산(WO97/12590), 페루릭산(대한민국 특허 제0526637호), 도화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0526637호) 이외에, 기타 파바([PABA; PARA-AMINOBENZOIC ACID), 파바에스테르(PABA ester), 신남산(Cinnamate), 살리실산(Salicylate), 캠퍼(Camphor), 벤조페논(Benzophenones), 디벤졸 메탄(Dibenzole Methane), 아보벤존(Avobenzone), 안트랄산(Anthralate),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송이 분말이나 기타 공지의 자외 선 차단 유효물질 또는 조성물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제주산 송이 분말 5.0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부틸렌글리콜 4.0 중량%,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중량%, 베타글루칸 7.0 중량%, 카보머 0.1 중량%,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 1.0 중량%, 방부제
적량, 향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잔량의 정제수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는 먼저, 정제수에 글리세린 4.0 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15.0 중량%,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중량%, 베타글루칸 7.0 중량%, 카보머 0.1 중량%을 혼합하여 70℃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제주산 송이 분말 5 중량%을 첨가하여 패들 믹서로 20분간 교분한 후에,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 1.0 중량%, 적량의 방부제, 적량의 향, 적량의 색소, 및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를 첨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1,000~5,000rpm에서 15분 내지 20분 동안 고르게 분산되도록 교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비교예> 통상적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로서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은 송이 분말이 포함되지 아니한 화장품 조성물이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송이 분말 대신에 정제수가 더 첨가되었다.
<실험예> 자외선 차단 효과의 실험
<실험예 1> UVB 차단지수 측정
본 실험에서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의 화장품 조성물과 <비교예>의 화장품 조성물의 UVB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UVB 차단 효과는 자외선B의 차단지수인 SPF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자외선차단지수란 무처리된 피부상에 MED(최소홍반량)을 생성시키는데 요구되는 자외선 량에 대한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된 피부상에 MED를 생성시키는데 요구되는 자외선 량으로 정의된다(상기 <일반식 1> 참조). 따라서 SPF가 높을수록 UVB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방법은 건강한 피부를 가진 성인남녀 10명에 상기 <실시예>의 화장품 조성물과 <비교예>의 화장품 조성물 2mg/㎠로 도포하고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한 후, 5명으로 이루어진 1군의 피검자에 대한 평균 MED 값을 측정한 후 SPF값을 계산하였다.
기타의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일본화장품산업협회(JCIA) SFP 측정방법을 따랐다.
SPF 측정 결과
구분 SPF
실시예의 조성물 38
비교예의 조성물 8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비교예>의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송이 분말이 UVB 차단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2> UVA 차단지수(PFA)의 측정
본 실험에서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의 화장품 조성물과 <비교예>의 화장품 조성물의 UVA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UVA 차단 효과는 자외선A의 차단지수인 PFA로서 나타내었는데, PFA는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된 피부와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되지 아니한 피부의 MPPD(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의 비(상기 <일반식 2> 참조))를 의미하는데, PFA가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남을 의미한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유사하게 자외선을 조사한 후, <실시예>의 화장품 조성물과 <비교예>의 화장품 조성물을 도포하고 5명으로 이루어진 1군의 피검자에 대한 평균 MPPD 값을 측정한 후 PFA값을 계산하였다.
마찬가지로 기타의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일본화장품산업협회(JCIA) SFP 측정방법을 따랐다.
PFA 측정 결과
구분 PFA
실시예의 조성물 5
비교예의 조성물 1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조성물의 UBA 차단 효과가 <비교예>의 조성물의 UBA 차단 효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는 <실시예>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송이 분말이 UVA 차단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제예> 화장품 조성물의 제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의 구체적인 사용례로서 화장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기재하였다.
<제제예 1> 썬크림제의 제제예
썬크림제의 성분 및 비율
1. 정제수 To 100
2. 프로필렌글리콜 5.0
3. 부틸렌글리콜 4.0
4. 세틸옥타노에이트 5.0
5. 유동파라핀 5.0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7. 송이 분말 적량
8. 잔탄검 0.5
9. 폴리솔베이트 2.0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피브이피/에이세코인 코폴리머 1.0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제제예 2> 영양화장수(밀크스킨로숀)의 제제예
영양화장수의 성분 및 성분 비율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8.0
3. 부틸렌글리콜 4.0
4.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송이 분말 적량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9. 스쿠알란 5.0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세테아릴 알코올 1.0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트리에탄올아민 0.1
<제제예 3> 영양크림의 제제예
영양크림의 성분 및 성분 비율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3.0
4. 유동파라핀 7.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송이 분말 적량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9. 스쿠알란 5.0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폴리솔베이트 60 1.2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트리에탄올아민 0.1
<제제예 4> 맛사지크림의 제제예
맛사지크림의 성분 및 성분 비율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8.0
3. 부틸렌글리콜 4.0
4. 유동파라핀 4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송이 분말 적량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9. 밀납 4.0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11.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12. 바세린 3.0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파라핀 1.5
<제제예 5> 팩의 제제예
팩의 성분 및 성분 비율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4.0
3. 폴리비닐 알코올 15.0
4.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5. 베타글루칸 7.0
6. 알란토인 0.1
7. 송이 분말 적량
8. 노닐 페닐 에테르 0.4
9. 폴리솔베이트 60 1.2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에탄올 6.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UVA 및 UVB 모두에 대해 차단 효과를 가지며, 또한 결과적으로 UVA 및/또는 UVB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암, 주름, 멜라닌 생성 촉진, 홍반, 주근깨, 부종 등에 대한 예방 또는 경감 효과도 가진다.

Claims (1)

  1. 송이, 용암구, 용암수형, 용암수, 용암석순 및 용암종유로부터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화산부산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070025502A 2007-03-15 2007-03-15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KR10082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02A KR100823113B1 (ko) 2007-03-15 2007-03-15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02A KR100823113B1 (ko) 2007-03-15 2007-03-15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113B1 true KR100823113B1 (ko) 2008-04-18

Family

ID=3957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502A KR100823113B1 (ko) 2007-03-15 2007-03-15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65B1 (ko) * 2015-07-09 2016-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화산석 송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40A (ja) 1996-12-12 1998-06-30 Chugaku Sai 物理治療効果を有する化粧用クリーム
KR20000049528A (ko) * 2000-04-04 2000-08-05 성태규 천연화산암재를 이용한 피부맛사지용 팩의 제조방법
KR20020084793A (ko) * 2001-05-04 2002-11-11 장문환 용암석분을 이용한 미용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50565Y1 (ko) 2004-02-20 2004-05-13 (주)제주사랑농수산 송이 화산석을 이용한 송이팩
KR20060007080A (ko) * 2004-07-13 2006-01-24 이선화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40A (ja) 1996-12-12 1998-06-30 Chugaku Sai 物理治療効果を有する化粧用クリーム
KR20000049528A (ko) * 2000-04-04 2000-08-05 성태규 천연화산암재를 이용한 피부맛사지용 팩의 제조방법
KR20020084793A (ko) * 2001-05-04 2002-11-11 장문환 용암석분을 이용한 미용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50565Y1 (ko) 2004-02-20 2004-05-13 (주)제주사랑농수산 송이 화산석을 이용한 송이팩
KR20060007080A (ko) * 2004-07-13 2006-01-24 이선화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65B1 (ko) * 2015-07-09 2016-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화산석 송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190285657A1 (en) Method of selecting antioxidants for use in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s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776A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36A (ko)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789A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23113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0871911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2007262008A (ja) アルブチンカフェ酸エステルよりなる紫外線吸収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267854A (ja) 美白化粧料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H072640A (ja) 紫外線障害防御外用剤
KR20090056390A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419912B1 (ko)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172928B1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RU2297826C1 (ru) Фото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от уф-из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