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485A -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 - Google Patents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485A
KR20110055485A KR1020107027540A KR20107027540A KR20110055485A KR 20110055485 A KR20110055485 A KR 20110055485A KR 1020107027540 A KR1020107027540 A KR 1020107027540A KR 20107027540 A KR20107027540 A KR 20107027540A KR 20110055485 A KR20110055485 A KR 2011005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ite
cable
bearing site
redi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374B1 (ko
Inventor
클라우스 데쉬너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1005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모터 차량의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에서의 특히 케이블 풀리 또는 편향 피스와 같은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로서, 전향 요소는 부품에 대한 연결축을 따라서 베어링 사이트 상에서 배치되며, 축은 전향 요소로부터 부품으로 연정하며, 전향 요소는 모터 차량의 윈오두 판유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사이트는, 적어도 연결축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전향 요소의 에지를 따라서 있는, 외측에서 전향 요소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BEARING SITE FOR A REDIRECTING ELEMENT}
본 발명은, 특히 케이블 풀리(cable pulley) 또는 편향 피스(deflecting piece)와 같은 전향 요소(redirecting element)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bearing sit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어링 사이트가 모터 차량의 윈도우 승강 조립체(window lift assembly)의 부품(component) 상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의 일반적인 부분에 따른 베이링 사이트 및 그러한 베어링 사이트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청구항 제34항의 일반적인 부분에 따른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유도 레일(guide rail)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 도어(door)의 윈도우 판유리(window pane)를 조절(adjust)하기 위한 구동력(driving force)을 전향시키기 위해서, 케이블 풀리 또는 편향 피스 또는 편향 슬라이드(slide)와 같은 전향 요소는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으로서 자주 사용된다. 주로, 바우덴(Bowden) 케이블이 사용되고 편향된다. 모터 차량 도어 내의 윈도우 판유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드라이브(drive)로부터 윈도우 판유리 및 이에 연결된 캐리어(carrier)들로 전송(transmit)한다. 바람직하게는, 전향은 원도우 판유리의 유도 레일들 상에 제공되는 케이블 풀리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이는 유도 레일들에 부착(attach)되어 회전축 주위에서(about) 회전될수 있다. 회전가능한 부착을 위해서, 스크류(screw)들이나 스텝 핀(stepped pin)들과 같은 다양한 체결 요소(fastening element)들이 사용되어, 케이블 풀리를 통하여 중앙적으로(centrally) 유도되고 그 중심축의 주위에서 케이블 풀리가 회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편향 피스들이 자주 사용되어, 그를 통하여 바우덴 케이블이 유도된다.
케이블 풀리 또는 편향 피스 상에 작용하는 상대적으로 큰 힘(force)들로 인해서, 예컨대 윈도우 판유리의 이동에 따른 또는 구동력에 따른 굴곡 모멘트(bending moment)로 인해서, 이는 체결 요소에 의해서 안전하게 흡수(absorb)되어야 하고 또한 모터 차량 도어에 연결된 모터의 조립체 캐리어 또는 유도 레일 내에 도입(introduce)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체결 요소들은 보통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설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립체 캐리어 또는 유도 레일 상의 체결 요소를 위해서 대응하여 강화된 리셉터클(reinforced receptacle) 또는 체결 포인트(point)가 제공된다.
그러나, 원하는 또는 필요한 강도(strength)들을 얻기 달성하기 위하여, 리셉터클 또는 체결 포인트는 비교적 큰 지름(diameter)이 요구되고, 이는 재료의 소모를 가져온다. 특히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인 케이블 풀리의 증가된 굴곡 부하를 가지는 경우, 이 것은 고장이 없는 지속적인(lasting) 기능이 매우 안정된 체결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체결 요소의 영역 내에서 대응하는 물질 두께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보장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이것은 또한 전향 요소를 구비하는 윈도우 승강 조립체와 같은 조립 및 제조를 위해서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며, 또한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 상에 전향 요소를 장착하는 것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케이블 풀리 또는 편향 피스와 같은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로서, 모터 차량의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A, FS1, FS2, FS3, FS4)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향 요소(2, 2*)는 상기 전향 요소(2, 2*)로부터 상기 부품(A, FS1, FS2, FS3, FS4)로 향하는(pointing) 연결축(Y)를 따라서의 상기 부품 옆의(beside)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에 배열(arrange)되며, 상기 전향 요소(2, 2*)는 상기 모터 차량의 윈도우 판유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FA)을 전향하며, 적어도 상기 연결축(Y)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S1, S2, X, -X, Z, -Z)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rimming) 외곽 표면(outer surface)(21, 21*, 23, 23*) 상에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가 상기 전향 요소(2, 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가 제공된다.
전향 요소로서 케이블 풀리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예컨대 케이블 풀리가 그 원주(circumference) 상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서 베이링 사이트에 의해 방사상으로 지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예컨대 스크류,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추가적인 체결 요소가 전향 요소의 부착을 위해서 제공된다면, 연결축의 방향 내에서 잠그기(locking)만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전향 요소의 베어링 또는 지지부(support)는 각각, 구동력의 전향에 따른 전향 요소 상에 작용(act)하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서, 베어링 사이트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수용(accommodate)될 수 있다. 이에 해당하여, 부품 상에 체결 요소를 위한 가능한 체결 포인트가 적은 힘들에 대해서 설계되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전향 요소의 원주 영역 상에 제공되거나 존재하는 베어링 사이트는 실질적으로 전향 요소만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단지 하나의 추가적인 잠금(locking) 수단이 연결축의 방향 내에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축은 부품 상의 전향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또는 체결 요소를 설계할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연결축은 부품에 대한 베어링 사이트 상에 또는 내에 전향 요소의 장착 방향을 기본적으로 나타낸다. 사용되는 전향 요소에 따라서, 부품 상의 전향 요소의 교대부(abutment) 또는 "지지부"가 또한 연결축의 방향 내에서 제공된다. 이것과는 별도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는 이 연결축에 수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에 있어서, 전향 요소의 표면들과 조립 후의 각 마주보는(facing) 부품의 표면들이 연결축에 대해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지 여부는 무관하며, 중요한 것은 연결축에 대해서 수직인 전향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외곽 표면 상의 지지이다.
베어링 사이트 상에 또는 내에 전향 요소의 지지 또는 최적화된 수용을 위해서, 전향 요소의 대향하는(opposing) 영역 상에서 전향 요소를 베어링 사이트가 지지하는 것이 좋다고 간주된다. 그 결과, 베어링 사이트가 여러 방향에서 전향 요소를 지지할 때 전향 요소에 작용하는 서로 다른 힘들 또는 복수의 부하 케이스(case)들에 대해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대향하는 영역들 상의 지지부가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protruding) 지지 포션(portion)들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사이트는, 그로부터 또는 내에서 전향 요소가 구동력을 전향하는, 구동력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방향에서 전향 요소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구동력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바우덴 케이블을 구비하는 전향 요소로서의 케이블 풀리 내에서, 케이블 풀리의 방사상 지지가 케이블 또는 바우덴 케이블의 방향 내에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베어링 사이트는, 적어도, 구동력의 전향에 따라서 전향 요소 상에 작용하는 결과력(resultant force)이 작용하는 방향에서 전향 요소를 지지한다.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편향 피스 또는 케이블 풀리 내에서, 구동력은 이상적으로는, 예컨대 케이블 풀리의 회전축에 수직에 대해서, 하나의 평면(plane) 내에서만 작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이러한 힘 성분 중의 하나가 작용하고, 전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사이트에 의해서 지지된다. 구동랙의 전향이 90°보다 작은 각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우, 제1 작용 방향으로부터 제2 작용 방향으로의 전향 및 제2 작용 방향으로부터 제1 작용 방향으로의 전향 모두에 의해서 해당하는 방향 내의 결과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향에서, 베어링 사이트에 의한 지지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향 요소가 그 상에 장착되는 유도 레일의 길이 연장(longitudinal extension)의 방향일 수 있다.
예컨대 전향 요소를 위한 피트(fit)를, 특히 이동 불가능한 편행 피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베어링 사이트 상 또는 내에 전향 요소의 개선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베어링 사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향 요소를 둘러싸는(surround) 리셉터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컨대 연결축을 따라서, 부품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전향 요소가 내부에 도입되는, 완전 케이싱(complete casing)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향 요소가 리셉터클을 둘러싸는 모든 표면 상에서 지지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지 포션들이 리셉터클의 개별적인 지점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전향 요소가 클램핑(clamping) 연결에 의해서 베어링 사이트 내에서 유지(retain)되도록, 베어링 사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 상에 전향 요소가 장착된 후, 전향 요소를 에워싸거나(enclose) 맞물리는(engage), 예컨대 탄성(resilient) 래칭(latching)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풀리의 경우, 이러한 클램핑 연결은 따라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한 잠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케이블 풀리가 이러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잠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향 요소를 안전하고 단순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베어링 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부품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포션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상에서 또는 그에 의해서 전향 요소가 지지된다. 공간 내의 여러 방향에 대해서 전향 요소가 베어링 사이트에 의해서 지지될 때, 전향 요소를 둘러싸는 복수의 돌출 지지 포션들 또는 하나의 연속적인 지지 포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은 부품으로부터 예컨대 수직으로 돌출하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에서 전향 요소 각각이 특정한 지점들에서만 지지된다. 베어링 사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 상에, 적어도 하나의 교대부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에서 전향 요소가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향 요소로부터 지지 베어링 사이트로의 최적화된 힘의 도입이 가능하다.
이 연결을 위해서, 교대부 표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지지 포션이, 전향 요소의 외곽 표면의 일부인 영역의 윤곽(contour)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교대부 표면 또는 돌출 지지 포션은 따라서 이러한 경로(course) 또는 해당하는 외곽 표면에 대해서 적합하게 되고, 예컨대 곡선형(curved)으로 되어 있다.
베어링 사이트의 교대부 표면 내에서 도입되는 힘을 부품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베어링 사이트가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 구조는 교대부 표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지지 포션에 인접(adjoin)하고 또한 전향 요소로부터 마주보는(face away)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를 위해서, 지지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 또는 교대부 표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그로부터 분리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지지 구조가 전향 요소로부터 교대부 표면 또는 돌출 포션으로의 구동력의 전환의 결과에 따라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힘을 흡수한다는 것이다. 힘의 플럭스(flux) 측면에서 최적화된 지지 구조를 위해서, 개발시 특히 지지 구조가 교대부 표면으로부터 원뿔 모양으로 테이퍼(taper)하는 것이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측면은, 연결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제공되는 베어링 사이트의 지지부와 전향 요소 사이에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션에서, 베어링 사이트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요소(base element)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 결과로서, 예컨대 부품으로부터 돌출하는 베어링 사이트의 지지 포션과 전향 요소 사이에서, 베이스 요소의 포션이 배치(locate)된다. 따라서, 베이스 요소는 예컨대 리셉터클 또는 부싱(bushing)을 제공하여, 초기에 전향 요소의 베어링 및/또는 지지, 그리고 이후의 베어링 사이트 상의 자체 지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물질 특성을 가지는 베이스 요소 및 전향 요소가 견합될 때, 샌드위치 구성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리 베이스 요소와 조립된 전향 요소는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전향 요소로서 특히 케이블 풀리에 대해서, 베이스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또한 방사상 및 축상(axial) 베어링이 베이스 요소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온다. 베이스 요소는 따라서 예컨대 피봇, 저널핀(journal pin)을 형성하며, 그 상으로 케이블 풀리가 인가되고(put) 가공되어(machined) 보다 마찰-없는(friction-free) 케이블 풀리의 회전이 가능하다 예컨대 체결 포인트 또는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 상에서, 윈도우 승강 조립체 자체의 성분 상에서의 유도 또는 접촉 표면에 대해서 별도의 그리고 고가인 가공 또는 조절이 따라서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전향 요소는 연결축에 수직인 베이스 요소를 통하여 베어링 사이트 상에서 지지한다. 베이스 요소 및 전향 요소로서의 케이블 풀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또한 베이스 요소의 일부 포션들만이 직접적으로 전술한 지지 포션들 또는 교대부 표면에 대해서 받쳐져(rest)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지는 이후 베어링 사이트의 지지 포션들과의 조합에서 베이스 요소에 의해서 방사상으로 영향을 받는다.
변형예로서, 연결축에 대해서 평행인 방향 내에서 전향 요소 및/또는 베이스 요소의 틸팅(tilt)을 방지(prevent)하거나 제한하도록 베어링 사이트가 전향 요소 및/또는 베이스 요소를 지지할 수 있게, 베이링 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구성된다. 다른 말로 하면, 부품 상에 장착된 이후에, 전향 요소가 부품에 대해서 틸팅되지 않거나 또는 제한된 양만큼만 틸팅되도록, 예컨대 전향 요소를 에워싸는 돌출 지지 포션은 보장한다. 베어링 사이트는 따라서 전향 요소 및/또는 베이스 요소를 위한 틸팅-방지(anti-tilting) 보호부(protection)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둘러싸는 지지 포션은, 그에 의해서 전향 요소 및/또는 베이스 요소의 틸팅이 방지되는, 정지 표면(stop surface)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요소 또는 전향 요소 단독 또는 베이스 요소와 전향 요소 모두가, 용인 가능한(tolerable) 틸팅 이후에 교대부 표면에 대해서 받쳐질 수 있고 더 이상의 틸팅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틸팅은 전향 요소가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여전히 보장되는 경우에는 용인 가능하다. 이것은 베이스 요소를 통하여 베어링 사이트에 장착된 때, 전향 요소로서의 케이블 풀리의 용인 가능한 정도의 한정된 저-마찰(low-friction) 및 저-소음(low-noise) 회전에 의해서 틸팅이 가능한 경우이다.
전술한 베어링 사이트의 틸팅-방지 보호부에 대응하여, 또한 베이스 요소가 그러한 틸팅-방지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사하게, 틸팅-방지 보호부는, 구동력에 대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베이스 요소에 대해서 전향 요소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케이블 풀리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전향 요소에서, 틸팅-방지 보호부가 전향 요소의 원활한(smoothing) 작동(running)을 손상(impair)하지 않도록, 전술한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부분의 정지 표면에 대한 관심(care)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윤활제(lubrication)가 예컨대 정지 표면과 전향 요소 사이에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회전 가능한 전향 요소가 베이스 요소를 통하여 연결되고 베이스 요소만이 더 이상의 틸팅을 방지하는 경우, 이러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통해서 또는 그 상에서 바우덴 케이블이 전향을 위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slidingly) 유도되는 소위 편향 슬라이드와 같은 견고한(rigid) 전향 요소의 경우, 전술한 틸팅-방지 보호부들은 전향 요소를 직접 맞물리거나 받칠 수 있다.
전술하듯이, 베이스 요소가 베어링 사이트와는 다른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조립체 캐리어 또는 유도 레일들과 같은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중요한 요소들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예컨대 강철 칼라 소켓(steel collar socket)과 같은 금속으로 베이스 요소가 제조되는 것이 따라서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 또는 베어링 사이트와 전향 요소 사이의 직접 클램핑 연결에 대한 전술한 바에 이어서, 그러한 또는 유사한 클램핑 연결이 물론 베이스 요소 및 베어링 사이트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조립체는 따라서 더욱 단순화된다.
특히 바람직하다고 간주되는, 베이스 요소에 대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 요소는 회전-방지(anti-rotation)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한다. 회전-방지 디바이스에 의해서, 구동력의 전향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향 요소 내에서, 베이스 요소가 전향 요소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회전 방지 디바이스로서, 베이스 요소는, 전향 요소의 회전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베이스 요소에서 연장하고 베어링 사이트의 영역 내에서 고정되는, 일체로(integrally) 몰딩된 웹(we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미리 조립된 케이블 풀리 및 베이스 요소의 조립체를 신속하고 단순하게 장착하는 것이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베이스 요소가 케이블 풀리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joint) 회전은, 원하지 않는 소음 생성 또는 심지어 결정적인 기능상의 손상 또는 마찰 증가 측면에서 회피되어야 한다.
전술한 구성 변형예에 조합하여, 웹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의 리세스 내에 분명하게(positively)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의 기능적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조립 후에 바우덴 케이블이 전향 요소로서의 케이블 풀리로부터 구동력에 대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제거되는 것을 베어링 사이트 및/또는 베이스 요소가 방지하도록, 베어링 사이트 및/또는 베이스 요소는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케이블 보호부"는 또한, 그 외곽 표면 상에서 예컨대 그루브 내에서 바우덴 케이블이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편향 피스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베어링 사이트 자체 및/또는 베이스 요소는, 바우덴 케이블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서 바우덴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해서 케이블 풀리를 따라서 연장하는 그루브를 덮을(cover) 수 있고, 케이블 풀리의 회전축에 대해서 평행한 바우덴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케이블 풀리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지지 포션은, 케이블 풀리의 원주 그루브를 덮는, 케이블 잠금(securing) 탭(tab)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 변형예에서는, 베어링 사이트가 연장하여, 전향 요소를 향하여 또는 전향 요소로부터 멀어지도록 바우덴 케이블을 한정되게 유도하도록 형성된,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이 변형예에서의 베어링 사이트는, 전향 요소를 향하여 또는 전향 요소로부터 멀어지도록 바우덴 케이블을 한정되게 유도하는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웹 또는 스트립(strip)이 베어링 사이트에 대해서 또는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에 대해서 몰딩된다.
대안적으로, 개별적으로 장착 가능한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에 대해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공되는 베어링 사이트의 영역에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가 부착될 수 있도록, 베어링 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판유리의 조절 도중에, 베어링 사이트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힘들을 흡수할 수 있기 위해서, 그리고 돌출 지지 포션 자체가 너무 거대하게(massive) 설계되지 않기 위해서, 강화 리브(reinforcing rib)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베어링 사이트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 리브들은 돌출 지지 포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몰딩될 수 있고, 및/또는 구동력의 작용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강화 리브들이 제공된다.
또한, 개별적인 강화 리브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는, 전향 요소로부터 강화 리브들에게로 구동력을 전향하는 것에 따른 강화 리브들 상에서 작용하는 힘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강화 리브는, 일반적으로 큰 힘이 작용할 때에는, 보다 양호한 힘 소멸(dissipation)을 위해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비록 전술한 구성 변형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가 또한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었지만, 비용 및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베어링 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유도 레일에 대해서 또는 조립체 캐리어에 대해서 몰딩될 수도 있다.
모터 차량의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유도 레일은 일반적으로는 캐리어가 그를 따라서 전환(shift)될 수 있는 트랙(track)을 포함하여, 윈도우 판유리가 캐리어에 연결되도록 조절한다. 그러한 유도 레일 상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에 있어서,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표면 또는 교대부 표면에 인접하는 지지 구조가 바람직하다. 지지 구조는 트랙의 일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공간의 사용을 개선할 수 있고 기능 통합(integration)을 개선할 수 있다.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 통합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유도레일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를 포함하고 또한 조립체 캐리어에 통합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말로하면, 해당 유도 레일은, 일체로 베어링 사이트와 함께 조립체 캐리어에 대해서 몰딩되며, 각각 마찬가지로 성형(shape)된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과 연계하면, 매우 저렴한 제조가 가능하다. 전환 요소, 예컨대 케이블 풀리 또는 편향 피스를 부착하는 것은, 예컨대 금속 부싱 또는 금속 리셉터클과 같은 전술한 베이스 요소에 바람직하기는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를 제공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며, 또한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 상에 전향 요소를 장착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유도 레일을 구비하는 모터 차량 도어의 조립체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도 레일의 하부 단부(lower end)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도 레일의 상부 단부(upper end)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베어링 사이트, 베이스 요소, 케이블 풀리, 와셔 및 체결 스크류(fastening screw)를 구비하는 제2 유도 레일의 상부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유도 레일을 제외한 도 4의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조립된 상태에서 도 5a 내지 도 5b의 부품들에 해당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유도 레일의 상부 단부의 측면 사시도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단면 상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회전-방지 디바이스를 가지는 베이스 요소를 구비하는 케이블 풀리의 측면도이다.
도 1은, 한편으로는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으로서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기능적 부품을 전달(carry)하도록 형성되는, 모터 차량 도어의 평판 조립체 캐리어(flat assembly carrier)(A)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예컨대 도어의 연결을 위한 측면(latterally) 몰딩된 영역(S)이나 대용량 스피커 개구부(L)을 포함한다. 조립체 캐리어(A)는, 일반적으로 그 원주(circumference) 영역 내에서 배열되는 체결 구경들(fastening bores)(B)을 통하여, 모터 차량 도어에 장착된다. 조립체 캐리어(A)의 주위에서 그 측면 에지를 따라서 연장(extend)되는 실링(seal)(D)은 모터 차량 도어 상에 조립체 캐리어(A)를 장착한 후 밀봉된 연결을 보장한다.
도시된 조립체 캐리어(A)는 또한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지향된(oriented) 두 개의 유도 레일들(FS1, FS2)을 더 포함한다. 조립체 캐리어(A) 상에서, 유도 레일들(FS1, FS2)은, 하부 단부로부터 상부 단부로 수직(Z)에 대해서 약간 경사지도록, 즉,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저부(bottom)로부터 차량의 최상부(top)를 향하는 수직축에 대해서 약간 경사지도록, 연장한다. 유도 레일들(FS1, FS2)은, 실질적으로 수직(Z)의 방향에서 평판 조립체 캐리어(A)의 전체 폭(width)에 걸쳐서(across) 연장하고, 서로에 대해서 이격(space)되고, 조립체 캐리어(A)를 측면으로 한정하며 수직(Z)에 대해서 거의 평행한 에지로부터 이격된다.
그 단부(end)들에서, 유도 레일들(FS1, FS2) 각각은, 도시되지 않은 바우덴 케이블을 위한 전향 요소로서 작용하는, 케이블 풀리(2)를 포함한다. 케이블 풀리(2)를 통하여, 바우덴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transmit)되는 구동력은 드라이브(drive)로부터 윈도우 판유리로 전향된다. 결과적으로, 윈도우 판유리는 드라이브에 의해서 모터 차량 도어 내에서 조절, 즉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4개의 케이블 풀리들(2)은, 전향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서로가 베어링 사이트(1a, 1b) 내의 유도 레일들(FS1, FS2)의 단부에서 배열되고 방사상(radial)으로 지지된다. 케이블 풀리(2)는 따라서 케이블 풀리들(2)로부터 조립체 캐리어(A) 또는 유도 레일(FS1, FS2)을 향하는 연결축(Y)를 따라서 배열된다. 다른 말로 하면, 케이블 풀리들(2)을 장착하는 것은, 평판 조립체 캐리어(A)에 대해서 수직인 그 회전축을 따라서 ZX-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영향을 준다(effect).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 풀리들(2) 각각을 지지하는 것은 케이블 풀리들(2)의 원주에서의 영역 상에서 유도 레일들(FS1, FS2)로부터 지지 포션(13)이 돌출되도록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지 포션(13)은, 실질적으로 대각선 방향에서, 즉 유도 레일(FS1, FS2)의 케이블 풀리들(2)로부터 다른 유도 레일(FS2, FS1)의 정반대의(diametricallly) 대향하는(opposed) 케이블 풀리(2)를 향하는 방향에서, 케이블 풀리(2)를 방사상으로 지지한다.
지지 포션(13) 상에는, 케이블 풀리(2) 상에 작용하는 조절력(adjustment force)의 힘 흡수(force absorption)를 개선하기 위해서, 강화 리브들(130)이 일체로 몰딩된다. 강화 리브들(130)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유도 레일들(FS1, FS2)의 정반대의 대향하는 케이블 풀리(2)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거리를 두고 평행하도록, 연장한다. 바우덴 케이블이 주로 십자형으로(crosswise) 유도되고 따라서 예컨대 하나의 유도 레일(FS1)의 상부 단부로부터 다른 유도 레일(FS2)의 하부 단부로 유도되기 때문에, 윈도우 판유리의 조절 도중에, 이 방향으로 가장 큰 힘이 또한 작용한다.
재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강화 리브들(130)은 서로 다른 길이로 설계된다. 중앙 강화 리브(130a)는, 다른 강화 리브들(130)에 의해서 (대칭적으로) 인접하고, 직선을 따라서 연장하고, 정반대의 대향하는 케이블 풀리들(2)의 중심들을 연결하고, 가장 큰 길이를 가진다. 여기서, 가장 큰 힘이 각각 케이블 풀리(2)로부터 베어링 사이트(1)의 돌출한 지지 포션(13)으로 전송된다. 다른 강화 리브들(130)은, 양 측면들(both sides) 상에서 중앙 강화 리브(130a)에 인접하고, 해당하는 더 짧은 길이로 설계되고, 각 길이는 흡수되거나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 사이트들(1a, 1b)이 바우덴 케이블 또는 제어 케이블 지지부(19)를 가지는 것이, 도 1에서 이미 도시된다.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는, 케이블 풀리(2)로부터 떨어져서(away from), 케이블 풀리(2)의 회전 운동(movement)의 전향의 경우, 케이블 풀리(2)를 향하여 바우덴 케이블의 한정된 유도 역할을(serve)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는, 그 안에서 바우덴 또는 제어 케이블이 유도되는, 채널 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는 제1 유도 레일(FS1)의 하부 단부 및 제2 유도 레일(FS2)의 상부 단부에서 각각 배열된다. 여기서,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 및 그의 (유도) 채널들은, 유도 레일(FS2)의 다른 하부 단부의 방향 및 유도 레일(FS1)의 다른 상부 단부의 방향을 각각 지시한다. 케이블 풀리들(2)에 대한 바우덴 케이블의 최적화된 공급이 도시된 바우덴 케이블에 의해서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풀리들은, 유도 레일(FS1)의 하부 단부의 아래쪽 그리고 유도 레일(FS2)의 상부 단부의 위쪽으로 각각, 베어링 사이트(1b, 1a)의 작은 포션을 따라서 연장한다.
도 2의 유도 레일(FS2)의 하부 단부의 상세도를 참조하면, (하부) 베어링 사이트(1b)의 적합(adapt)한 형상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여기에서, 케이블 풀리(2)를 위한 지지 영역으로서 형성되는, 베어링 사이트(1b)의 지지 포션(13)이, 유도 레일(FS2)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케이블 풀리(2)의 원주를 마주보는(face) 그의 (교대부) 표면은 부분적으로 케이블 풀리(2)의 윤곽(contour)을 따라서 있고, 따라서 지지 영역 내에서 곡선을 이룬다(curved).
지지 포션(13)의 반대 편에는(opposite), 유도 레일(FS2)에 대해서 몰딩된 다른 지지 포션(11)이 도시된다. 지지 영역(11)은, 예컨대 케이블 풀리(2)의 영역(21)이 지지 영역(11)에 대해서 받쳐져(rest)인 경우, 지지 포션(13)의 반대 편에서, 그 원주의 영역(21) 상에서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작은 마찰로 케이블 풀리(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해당하는 힘을 회전 및 연결축(Y)에 대해서 수직으로 전송하기 위한 베이스 요소가 케이블 풀리(2) 및 베어링 사이트(1a, 1b) 사이에서 배열된다. 케이블 풀리(2)와 지지 포션들(11, 13) 중 어느 하나와의 직접 접촉은 따라서 필요하지 않다.
이하에서는, 연장 방향에 대해서 가로지르는(transverse) 유도 레일(FS)를 한정하는 종단(terminal) 에지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지지 포션(11)은 또한 구별을 위해서 "외곽(outer) 지지 포션"이라고 지칭된다. 도 2에서, 이는 하부 종단 에지(7b)이다. 베어링 사이트(1a, 1b)의 지지 포션(13)은 또한 대응하여 "내곽(inner) 지지 포션"이라고도 지칭된다.
외곽 지지 포션(11)은 마찬가지로 유도 레일(FS2)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고 케이블 보호부 탭으로서 구성된다. 이것은 케이블 풀리(2)를 조립한 후, 외곽 지지 포션(11)이, 그 안에서 바우덴 케이블이 유도되는, 케이블 풀리(2)의 원주 그루브를 덮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 후에, 바우덴 케이블이 방사상 및/또는 축 방향으로 케이플 풀리(2)의 유도 그루브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Y-방향으로, 즉 구동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케이블이 미끄러지거나, 고착(stuck)되거나, 또는 심지어 베어링 사이트(1a, 1b)의 영역 내의 케이블 풀리(2)로부터 분리(detach)되는 것을 따라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요소(3)가 제공되고, 케이블 풀리(2)와 베어링 사이트(1b) 또는 유도 레일(FS2)의 사이에 각각 배열되는 것이 도시된다. 베이스 요소(3)는, 케이블 풀리(2)의 하부 표면과 유도 레일(FS2)의 사이에서, 케이블 풀리(2)의 회전축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표면(32)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요소(3)는 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포션(33)을 구비하고, 포션(33)은 내곽 지지 포션(13)과 케이블 풀리(2)의 영역(21)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블 풀리(2)는 베이스 요소(3)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따라서 베이스 요소(3)를 통하여 베어링 사이트(1b) 상에서 지지할 수 있다.
케이블 풀리(2)가 따라서 방사상으로 지지되고, 방사상 방향에서 베어링 사이트(1b)에 의해서 힘이 흡수되기 때문에, 유도 레일(FS2) 상에 케이블 풀리(2)를 축방향으로 잠그기 위해서, 와셔(5)와 함께 케이블 풀리(2)의 회전축을 따라서 도입되는 스크류(4)만이 필요하다. 또한, 예컨대 잠금 탭, 즉 외곽 지지 포션(11)은 탄성(resilient) 래칭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어서, 케이블 풀리(2) 또는 다른 대안적인 전향 요소가 클램핑 연결을 통하여 베어링 사이트(1b)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가능한 케이블 풀리(2)를 보다 안정적으로 축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제공하고 또한 볼트 또는 스크류(4)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잠그는 것에 의해서 마찰을 보다 용이하게 최소화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시된 구성에 대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로부터의 유도 레일(FS2)의 상부 단부가 상세하게 확대되어 도시된다. 여기서는 또한, 샌드위치(sandwich)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베이스 요소(3)가 사용된다. 유도 레일(FS2)로부터 돌출하는 그의 포션(33)과 함께, 베이스 요소(3)는, 유도 레일(FS2)에 대해서 일체로 몰딩된, (상부) 베어링 사이트(1a)의 내곽 지지 포션(13)과 이 지지 포션(13)을 마주보는 케이블 풀리(2)의 에지 영역(23) 사이에 배열된다.
하부 베어링 사이트(1b)에 대조적으로, 도시된 베이스 요소(3)는, 유도 레일(FS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외곽 에지들(7a, 7c) 아래로 연장하는, 연장부(extension)(311)를 포함한다. 외곽 에지(7c)는 유도 레일(FS2)의 연장 방향에 평행인 가장자리(rim)를 나타내며, 외곽 에지(7a)는 유도 레일(FS2)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영역 또는 연장부(311)에서, 그루브가 구현되어, 정사각 베이스 표면을 가지고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가 부착되도록 한다. 베이스 요소(3)를 참조하면,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는 보다 작게 설계되고, 여기서는 케이블 풀리(2)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는 용이하게 부가적인 요소로 장착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유연성 플라스틱 물질로 될 수 있고, 베이스 요소(3) 및 케이블 풀리(2)와 함께 미리 조립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베어링 사이트(1a) 자체는 물론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를 제공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는 조립체 캐리어(A) 또는 유도 레일(FS2)에 대해서 몰딩될 수도 있다.
도 4의 분해도에서,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이를 위해서, 유도 레일(FS1)의 상부 베어링 사이트(1a)가 도시되며, 여기서는 통합되어, 즉 조립체 캐리어(A)에 일체로 몰딩되어 있다. 유도 레일(FS1)에 대해서 수직이고 연결축(Y)에 대해서 평행하게 각각 형성된 평판 강화 리브들(130, 130a)과, 베어링 사이트(1a)의 교대부 표면(12)이 마찬가지로 도시된다. 조립 후에, 베이스 요소(3)는, 유도 레일(FS1, FS2)의 방향으로 베이스 표면(32)의 저부 측면에 의해서, 교대부 표면(12)에 대해서 받쳐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 베어링 사이트(1a)는 중앙에 돌출 공동(hollow) 베이링 또는 체결 핀(14)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베이스 요소(3)에서의 아이렛(eyelet)은 동일하게 유도되어서, 베이스 요소(3)가 단순화되고 한정된 위치 지정(positioning)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3) 또는 케이블 풀리(2)의 본 발명의 방사상 지지에 의해서, 슬리브-형상(sleeve-shaped) 베어링 핀(14)이 케이블 풀리(2) 상에 작용하는 방사력(radial forces)을 흡수하며, 베이스 요소(3)는 베어링 사이트(1a, 1b) 의 지지 포션들(11, 13) 상에 방사상으로 지지된다. 베어링 핀의 해당하는 얇은-벽(thin-walled) 설계를 허용하기 위해서, 치수적으로(dimensionally) 안정적인 금속으로 베이스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링 사이트들(1a, 1b)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내부에는, 내부 스레드(internal thread)가 제공되어서, 그 위에 원형(circular) 아이렛(34)을 배치한 후에, 베이스 요소(3) 및 케이블 풀리(2)는, 와셔(5) 및 스크류(4)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잠겨진(고정된) 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도 레일(FS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와셔(5) 및 스크류(4)에 의해서 축방향 잠금을 제공한다. 그 구경(bore)(24)의 내곽 표면을 통하여, 그리고 베어링 사이트(1a)의 내곽 지지 포션(13) 상의 돌출 포션(33) 또는 그 돌출을 통해서, 케이블 풀리(2)는 베이스 요소(3)의 아이렛(34)의 외곽 표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지지된다. 베이스 요소(3)의 아이렛(34)을 통하여 케이블 풀리(2)는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 사이트(1a) 또는 유도 레일(FS1) 상에 케이블 풀리(2) 및 베이스 요소(3)를 장착하는 것은, 함께 또는 교대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정적인 것은 케이블 풀리(2), 베이스 요소(3) 및 베어링 사이트(1a)로 구성된 기능적 부품들을 모듈화(modular) 구성하는 것이다.
도 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 풀리(2)를 따라서 베이스 요소(3)의 회전이 어떻게 방지되는 지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 요소(3)는, 베이스 요소(3)가 베어링 사이트(1a) 내로 특정한 방식으로 도입되었을 때 외곽 지지 포션(11)을 분명하게(positively) 에워싸는, 컷아웃(cutout) 또는 리세스(recess)(31a)를 포함한다. 또한, 인접하는 양 측면 상에 연장부(33a)를 구비하도록, 베이스 요소(3)의 곡선형(curved) 포션(33)이 제공되며, 베이스 요소(3)를 회전 운동하려고 시도할 때의 교대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연장부(33a)는 케이블 풀리(2)의 윤곽을 따라서의 곡률(curvature)과는 반대의(opposite) 곡률을 가지고, 이를 통하여 연장부(33a)는 베어링 사이트(1a)의 외곽 지지 포션(13)에 적합(인용발명)하도록 되고 추가적으로 베이스 요소(3)의 회전을 방지한다. 반대의 곡률 대신에, 물론 구부러진(bent) 연장부(33a) 또는 케이블 풀리(2)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a)에 의해서 구현되어도 좋다.
만약 베어링 사이트(1a)가 케이블 풀리(2)를 둘러싸는 리셉터클로서 구성된다면,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하도록 사용되지 않지만 케이블 풀리(2)를 둘러싸는 영역들은 또한 물론 베이스 요소(3)를 잠그도록(locking)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베이스 요소(3), 바우덴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한 원주 그루브(circumferential groove)를 구비하는 케이블 풀리(2), 와셔(5) 및 스크류(4)의, 서로간의 조립 및 서로간의 관계(engagement)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관점(view)으로 도시한다.
도 5a의 사시도에서, 케이블 풀리(2)의 저부 측면을 따라서 형성된 리세스(26)가 도시된다. 케이블 풀리(2)의 저부 측면은 베이스 요소(3)의 베이스 표면을 마주보아서, 베이스 요소(3)의 원주 환형 비드(circumferential annular bead)(36)가 리세스(26)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요소(3) 및 베이스 요소(3)의 강화부(reinforcement)에 대한 케이블 풀리(2)의 한정된 교대부가 달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의 요소들의 조립된 구성을 해당 관점에서 도시한다. 베이스 요소(3), 케이블 풀리(2) 및 스크류(4)가 서로를 통해서 인가되어 구성된 사전조립된 조립체에 의해서, 유도 레일(FS1, FS2) 또는 조립체 캐리어(A)에 신속하고 에러가 거의 없도록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류(4) 상에 작용하는 굴곡 모멘트(bending moments)를 흡수하고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하도록 거대하게 설계된 베어링 핀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해당되는 베어링 사이트(1a, 1b)와 함께, 케이블 풀리(2)의 안정적인 원주 지지가 보장된다.
도 7에서는 베어링 사이트(1*)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대응하여,
조립체 캐리어(A)를 따라서 연장하는 유도 레일(FS3) 상에 케이블 풀리(2*)를 위하여 베어링 사이트(1*)가 초기에 제공된다. 전술한 설명들과 대비하면, 베어링 사이트(1*)는 이제 부분적으로 유도 레일(FS3)에 의해서 "에워싸인다(enclosed)". 이것은 최상부(top)에 대해서, 즉 그 연장 방향에 대해서 가로지르는(transverse), 유도 레일(FS3)을 한정하는 종단 에지(7a)는 동시에 케이블 풀리(2*)의 방사상 지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종단 에지(7a)는 연결축(Y)에 대해서 또는 회전축에 대해서 평행하게 돌출하는 지지 포션(11*)을 형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연결축(Y)에 대해서 수직인 Z 방향에서의 그 외곽 원주의 영역(21*) 내에서 베이스 요소(3*)를 대안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을 형성한다. 도 7에서, 마찬가지로 Z-방향은 유도 레일(FS3)의 연장 방향이다.
또한 지지 포션(11*)에 대향하는 유도 레일(FS3)은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하는 베어링 사이트 포션(13*)을 마찬가지로 형성한다. 베어링 사이트(1*)의 마찬가지의 돌출 지지 포션(13*)은, 영역(21*)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풀리(2*)의 외측 또는 원주 상의 영역(23*) 내에서,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한다.
두 개의 포션들(11*, 13*)은 각각 케이블 풀리(2*)의 원형 윤곽을 따라서 곡선의 교대부 표면들을 형성하고, 이는 케이블 풀리(2*)의 전체 두께를 넘어서 각각 연장한다. 다른 말로 하면, 도 1-도4의 지지 포션들(11*, 13*)을 지지하는 교대부 표면들은, 조립체 캐리어(A)로부터 마주보는(face away) 적어도 케이블 풀리(2* 또는 2)의 상부 측면(upper side)(25)까지, 축방향으로[연결축(Y)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지지 포션들(11*, 13*)이 케이블 풀리(2*)의 원주의 적어도 1/4을 각각 덮는 것에 의해서, 지지 포션들(11*, 13*)은 또한 유도 레일(FS3)의 연장 방향(Z 또는 -Z)에 대해서 수직이고 연결축(Y)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X 및 -X)에 작용하는 힘 성분에 대해서 지지를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곽" 지지 포션(13*)을 지지하는 것은 임의의 강화 리브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지 구조(10)에 의해서 인접(adjoin)한다. 이러한 지지 구조(10)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포션(13*)의 교대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일체형으로 몰딩된 공동(hollow) 섹션이다. 이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Z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포션(13*) 상에 작용하는 힘은 유도 레일(FS3) 및 스크류(4)에게로 선택적으로 도입(introduce)되고 전송되며, 연결축(Y)의 방향 내에서 케이블 풀리(2*)를 축방향으로 잠그는(locking) 역할만을 위해서 다시 케이블 풀리(2*) 내로 중앙으로(centrally) 도입된다. 개선된 기능적 통합을 위해서, 지지 구조(10)는 유로 레일(FS3)의 트랙의 일부분이 될 수 있으며, 그를 따라서 캐리어가 전환될 수 있어서, 캐리어에 연결된 윈도우 판유리(도시되지 않음)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풀리(2*)의 그루브(20) 내에서 유도되며 바우덴 케이블을 통한 케이블 풀리(2*) 상에 실질적으로 작용하는 이러한 힘들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조절되어야 할 드라이브로부터 윈도우 판유리에로 전송되는 구동력(FA)(도시되지 않음)을 전송하기 위해서, 케이블 풀리(2*)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다른 작용 방향(S1) 또는 반대로, 구동력(FA) 또는 바우덴 케이블(9)을 전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윈도우 판유리의 포션 또는 그에 연결된 캐리어는 바우덴 케이블에 의해서 S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S2-방향에서 작용하는 구동력(FA)이 케이블 풀리(2*)를 통하여 전향된다.
도 7에 도시되듯이, 하나의 작용 방향(S1)은 연장 방향(Z)에 대해서 거의 평행하도록 연장하고 다른 작용 방향(S2)는 단지 방향 -X 및 -Z 내의 성분들을 포함하고, 지지 포션들(11* 및 13*)에 의한 케이블 풀리(2*)의 지지는 또한 그러한 방향들에서 케이블 풀리(2*) 상에 작용하는 힘들의 안정적인 흡수를 보장한다. 대안적으로, 분리된 지지 포션이 각각의 방향[또는 최대 부하(load)](S1, S2 및 -Z) 내에서 각각 분리된 지지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베이스 요소(3*)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케이블 풀리(2*) 및 두 개의 포션들(11* 및 13*) 사이의 베이스 표면(32)으로부터 돌출되는 두 개의 포션들(31 및 33*)이 배열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션들(31 및 33*)은 따라서 바우덴 케이블 보호부(protection)를 형성하고, 바우덴 케이블(9)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서 바우덴 케이블(9)을 유도하기 위해서 케이블 풀리(2*)를 따라서 연장하는 그루브(20)를 덮는다. 조립 후에, 바우덴 케이블은 따라서 더 이상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그루브(2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베이스 요소(3*)의 포션(31)은 케이블 풀리(2*)의 중심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좁은) 에지 또는 돌출부(39)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풀리(2*)의 상부 측면(25)을 마주보는 정지 표면(39a)을 형성하여, 예컨대 Y-방향에 평행한, 구동력(FA)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케이블 풀리(2*)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회전축 또는 연결축(Y)에 수직인 축에 대해서 케이블 풀리(2*)의 틸팅이 방지되거나 또는 최소한 돌출부(39)의 정지 표면(39a)에 대한 상부 측면(25)의 거리에 따른 정도로 용인(permit)된다. 일체로 몰딩된 돌출부(39)는 대응하여 좁게(narrowly) 설계되고, 따라서, 케이블 풀리(2*)는 여전히 부착을 위한 각도에서 베이스 요소(3*)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 8의 단면 측면도에서는, 선행 실시예에서 베이스 요소(3*)의 돌출부(39)가 없는 경우가 도시된다. 스크류(4)를 위한 유도 레일(FS3)에서의 체결 보어(fastening bore)(6)는 도면에서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8은 일체로 몰딩된 지지 구조(10)가, 케이블 풀리(2*) 또는 지지 포션(13)으로부터 방향 -Z에 대해서 원뿔 모양으로(conically) 테이퍼(taper)하고, 따라서 힘의 플럭스(flux)에 적합한 형태를 가진다. 도 7의 개요로부터, 케이블 풀리(2*) 또는 스크류(4)에 대한 구동력(FA)의 전향의 결과에 의해서, 결과력(F)은 항상 방향 -Z 내에서 작용한다. 스크류(4)를 통한 케이블 풀리(2*)의 단독적인 중앙 지지에 의해서, 방향 -Z 내에서 케이블 풀리(2*)에 작용하는 힘(성분)(F)은 따라서 높은 굴곡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가지게 되고, 이는 대응하는 거대한 플라스틱 돔(dome)에 의해서 흡수되어야만 한다. 지지 포션들(11* 및 13*)은, 다른 한편으로, 케이블 풀리(2*)의 원주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하는(responsible for) 결과력(F)을 흡수한다. 지지 구조(10)를 통하여, 힘(F)는 지지 포션들(11* 및 13*)로부터 유도 레일(FS3) 내로 도입된다. 지지 구조(10)의 원뿔 모양 코스(course) 때문에, 유도 레일(FS3) 내에서 힘이 보다 최적으로 도입되고 분배되도록 영향을 미친다.
도 9에서, 유도 레일(FS4)이 도시되며, 마찬가지로 베이링 사이트(1**)가 대응하여 배열되는 지지 포션들(11** 및 13**)과 지지 구조(10)와 함께 도시된다. 여기서 주로 대안적으로 구성된 부분은, 지지 포션(13**) 및 지지 포션(11**)에 인접하는 바우덴 케이블 유도를 위한 영역(111*)이다. 이를 위해서, 바우덴 케이블 유도를 위한 영역(111*)은 두 개의 좁은 웹들에 의해서 제한되고, 이는 케이블 풀리(2*)를 향해서 좁아지는 실질적으로 V-형상의 영역을 한정한다. 특히 유도 레일(FS4)을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 이러한 웹들은 비싸지 않은 방식으로 지지 포션들(11** 및 13**)의 연장으로서 일체로 몰딩될 수 있고, 케이블 풀리(2*)에 대한 바우덴 케이블의 보다 한정된 공급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베어링 사이트(1**) 내에서 구현되는 베이스 요소(3**)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베이스 요소(3**)는 단지 페이스 표면(32)로부터 돌출하는 포션(33**)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방향 -Z 내에서 케이블 풀리(2*)를 지지하기 위해서, 돌출 포션(33**)은 베어링 사이트(1**)의 지지 구조(10)와 케이블 풀리(2*)의 원주 영역 사이에서 배열된다. 단순한 방식으로 베이스 요소(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케이블 풀리(2*)를 따라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이스 요소(3**)는 일체로 몰딩된 웹(35)을 회전-방지 디바이스로서 포함한다. 베이스 요소(3**) 상에 또는 베이스 요소(3**)의 포션(33**) 상에 [케이블 풀리(2*)의 방사상으로] 케이블 풀리(2*)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 웹(35)은 연장하고, 또한 베어링 사이트(1**)의 영역 내에서 고정(fix)된다. 도 9에 도시되듯이, 웹(35)은 지지 구조(10)의 리세스 내에서 분명하게(positively) 수용(accommodate)된다.
도시된 구성의 변형에 대조해서, 베이스 요소(3 또는 3**) 또는 베어링 사이트의 지지 포션들에 대한 케이블 풀리(2 또는 2*)의 영역(21, 23 또는 21*, 23*)의 직접 교대부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해당되는 영역들이 케이블 풀리를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베어링 포션들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비록 케이블 풀리의 영역들이 지지 포션들에 대해서 "받쳐져(rest)" 있지만, 케이블 풀리의 낮은 마찰을 가지는 회전이 따라서 용인된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케이블 풀리(2 또는 2*) 각각이 전향 요소로서 나타내졌지만, 대안적인 전향 요소도 물론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이 모터 차량 도어의 윈도우 승강 조립체로서 채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또한 예컨대 그를 통하여 바우덴 케이불이 유도되는 (견고한) 편향 피스 또는 편향 슬라이드일 수 있다. 그러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전향 요소에서, 편향 피스의 영역들은, 연결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요소 및 베어링 사이트의 지지 포션들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받쳐져 있다.
또한 그러한 부품들(유도 레일, 조립체 캐리어, 베어링 사이트, 베이스 요소, 케이블 풀리 등)을 서로 다른 재료 또는 동일한 재료로,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도시된 구성에 대해서 서로에 대한 변형예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어링 사이트: 1a, 1b, 1*, 1**
지지 구조, 유도 레일의 트랙: 10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외측): 11, 11*, 1**
제어 케이블/바우덴 케이블 유도를 위한 영역: 111*
베어링 사이트의 교대부 표면: 12
베어링 사이트의 돌출 지지 포션(내측): 13, 13*, 13**
베어링 핀: 14
강화 리브들: 130, 130a
바우덴 케이블/제어 지지부: 19
케이블 풀리: 2, 2*
원주 그루브: 20
케이블 풀리의 외곽 포션: 21, 21*
보어의 내곽 표면: 22
케이블 풀리의 외곽 포션: 23, 23*
보어: 24
케이블 풀리의 상부 측면: 25
원주 리세스: 26
베이스 요소(리셉터클/베어링 부시): 3, 3*, 3**
베이스 요소의 지지 포션(외측): 31
컷아웃/리세스: 31a
베이스 요소 상의 제어 케이블/바우덴 케이블을 위한 영역: 311
베이스 요소의 저부 측면: 32
베이스 요소의 지지 포션(내측): 33, 33*, 33**
지지 포션의 연장부: 33a
베이스 요소 상의 아이렛, 베어링 핀: 34
회전-방지 디바이스: 35
환형 비드: 36
돌출부: 39
돌출부(39) 상의 정지 표면: 39a
연결 요소(스크류/볼트/리벳): 4, 4a
와셔: 5
체결 보어: 6
유도 레일의 종단 에지: 7a, 7b
바우덴 케이블: 9
조립체 캐리어: A
체결 포인트: B
실링: D
힘 성분: F
구동력: FA
유도 레일: FS1, FS2, FS3, FS4
라우드스피커 개구부: L
도어 록을 장착하기 위한 영역: S
바우덴 케이블의 작용 방향: S1, S2
공간 내의 방향: X, -X, Y, -Y, Z, -Z

Claims (35)

  1. 특히 케이블 풀리(pulley) 또는 편향 피스(deflecting piece)와 같은 전향 요소(redirecting element)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bearing site)로서,
    모터 차량의 윈도우 승강 조립체(window lift assembly)의 부품(component)(A, FS1, FS2, FS3, FS4)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향 요소(2, 2*)는 상기 전향 요소(2, 2*)로부터 상기 부품(A, FS1, FS2, FS3, FS4)로 향하는(pointing) 연결축(Y)를 따라서의 상기 부품 옆의(beside)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에 배열(arrange)되며,
    상기 전향 요소(2, 2*)는 상기 모터 차량의 윈도우 판유리(window pane)를 조절(adjust)하기 위한 구동력(driving force)(FA)을 전향하며,
    적어도 상기 연결축(Y)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S1, S2, X, -X, Z, -Z)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rimming) 외곽 표면(outer surface)(21, 21*, 23, 23*) 상에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가 상기 전향 요소(2, 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상기 전향 요소(2, 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외곽 표면의 대향 영역(opposed regions)(21, 23; 21*, 23*) 상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그로부터 또는 내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가 상기 구동력(FA)을 전향하는, 상기 구동력(FA)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방향(S1, S2)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적어도, 상기 구동력(FA)의 상기 전향에 따라서 상기 전향 요소(2, 2*) 상에 작용하는 결과력(resultant force, F)이 작용하는 방향(-Z)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향 요소(2, 2*)를 둘러싸는(surround)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요소(2, 2*)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상기 부품(A, FS1, FS2, FS3, FS4)으로부터 돌출하는(protruding)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portion)(11, 11*, 13, 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11, 11*, 13, 13*) 상에, 그 위에 상기 전향 요소(2, 2*)가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대부 표면(abutment surfac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제6항 또는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요소(2, 2*)로부터 멀어지는(points away) 방향(-Z)으로, 상기 교대부 표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11, 11*, 13, 13*)으로부터 연장(extend)하는 지지 구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0)는 상기 교대부 표면(13)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11, 11*, 13, 13*)으로부터 원뿔 모양으로 테이퍼(taper)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Y)은, 상기 전향 요소(2, 2*)를 마주보는(face), 실질적으로 상기 부품(A, FS1, FS2, FS3, FS4)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Y)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mounted) 상기 전향 요소(2, 2*)를 위한 회전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Y)은 상기 전향 요소(2, 2*)를 장착하기 위한 물리축(physical axi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에 개별적으로(separately) 장착될 베이스 요소(base element)(3, 3*, 3**)는, 적어도 하나의 포션(31, 33, 33*, 33**)이, 상기 전향 요소(2, 2*) 및 상기 연결축(Y)에 대해서 수직으로 제공되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에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요소(2, 2*)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를 통하여(via)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가 상기 연결축(Y)에 대해서 평행인 방향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의 틸팅(tilt)을 방지(prevent)하거나 제한하도록,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상기 전향 요소(2, 2*)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6. 제6항 내지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11, 11*, 13, 13*)은 상기 전향 요소(2, 2*)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를 에워싸는(enclose)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요소(2, 2*)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를 에워싸는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의 포션(11)은, 상기 구동력(FA)에 대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상기 전향 요소(2, 2*)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표면(stop surfac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요소(2, 2*)를 에워싸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의 포션(31)은, 상기 구동력(FA)에 대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상기 전향 요소(2, 2*)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정지 표면(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는 상기 전향 요소(2, 2*)와 함께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에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는 클램핑(clamping) 연결을 통하여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 내에 고정(fix)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는 회전-방지 디바이스(31a, 33a, 35)를 포함하는 것이고, 그에 의해서, 구동력(FA)을 전향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전향 요소(2, 2*) 내에서, 상기 전향 요소(2, 2*)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 요소(3, 3*, 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3, 3*, 3**)는 회전-방지 디바이스(35)로서, 상기 전향 요소(2, 2*)의 회전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요소(3, 3*, 3**)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의 상기 영역 내에서 고정되는, 일체로(integrally) 몰딩(mold)된 웹(we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요소(2, 2*)는, 그를 통하여 구동력(FA)이 작용하는, 유연성 풀링(pulling) 수단(9)을 전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풀링 수단은 바우덴(Bowden) 케이블(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가 상기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조립후에 상기 구동력(FA)에 대해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상기 바우덴 케이블(6)이 상기 전향 요소로서의 케이블 풀리(2, 2*)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 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 및/또는 상기 베이스 요소(3, 3*)는, 상기 바우덴 케이블(9)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서 상기 바우덴 케이블(9)을 유도하기 위한 케이블 풀리(2, 2*)의 원주 그루브(circumferential groove)(20)를 덮고(cover), 및/또는 상기 풀리(2, 2*)의 회전축에 대해서 평행한 상기 바우덴 케이블(9)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기 케이블 풀리(2, 2*)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protrusion)(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A, FS1, FS2, FS3, FS4)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의 포션(11)은, 상기 케이블 풀리(2, 2*)의 원주 그루브(20)를 덮는, 케이블 잠금(securing) 탭(tab)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는, 상기 전향 요소(2, 2*)를 향하거나 상기 전향 요소(2, 2*)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바우덴 케이블(9)을 유도(guide)하는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support)(19, 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덴 케이블 지지부(19)는 이 목적을 위해서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 요소(3) 또는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의 영역(311)에 부착(attach)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a, 1b)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리브(reinforcing rib)(130, 130a)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31. 제6항, 제7항 내지 제29항, 제6항에 관련된 항,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리브(130, 13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포션(11, 13)에 대해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리브(130, 130a) 또는 복수의 상기 강화 리브(130, 130a)는 상기 구동력(FA)의 작용 방향(S1, S2)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33. 제8항, 제9항 내지 제32항, 제8항에 관련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사이트(1*, 1**)의 상기 지지 구조(10)는, 유도 레일(FS3)의 트랙(track)의 부분이고, 캐리어(carrier)에 연결된 윈도우 판유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트랙을 따라서 상기 캐리어가 전환(shift)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사이트.
  34. 모터 차량을 위한 윈도우 승강 조립체의 부품으로서의 유도 레일로서,
    상기 유도 레일은, 상기 모터 차량의 윈도우 판유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바우덴 케이블을 통하여 작용하는 구동력을 전향하는 전향 요소를 포함하며,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어링 사이트(1a, 1b, 1*, 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레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레일(FS1, FS2)은 모터 차량 도어(door)의 조립체 캐리어(A)에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레일.
KR1020107027540A 2008-05-21 2009-05-20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 KR101263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4742A DE102008024742A1 (de) 2008-05-21 2008-05-21 Lagerstelle für ein Umlenkelement
DE102008024742.1 2008-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485A true KR20110055485A (ko) 2011-05-25
KR101263374B1 KR101263374B1 (ko) 2013-05-16

Family

ID=4101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40A KR101263374B1 (ko) 2008-05-21 2009-05-20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39566B2 (ko)
EP (1) EP2307647B1 (ko)
JP (1) JP5518848B2 (ko)
KR (1) KR101263374B1 (ko)
DE (1) DE102008024742A1 (ko)
RU (1) RU2445428C1 (ko)
WO (1) WO20091414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8742A1 (en) * 2019-03-21 2020-09-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Carrier with a fastening area made of a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with at least one support element locking a fastening element
KR20220019462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2223U1 (de) 2010-02-04 2011-06-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96103 Verstellvorrichtung mit einer Umlenkbaugruppe
FR2964347B1 (fr) * 2010-09-02 2012-09-28 Faurecia Interieur Ind Modul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systeme leve-vitre
DE102011085742B4 (de) * 2011-11-04 2017-0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Bahngesteuerte Verstellvorrichtung mit einer mehrteiligen Trägerbaugruppe
DE102011056233A1 (de) * 2011-12-09 2013-06-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Trägerbauteil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mit Versteifungsstruktur
JP2014020005A (ja) * 2012-07-12 2014-02-03 Shiroki Corp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ガイドプーリ支持構造
WO2014069199A1 (ja) * 2012-10-29 2014-05-0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並びに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サブアッシ及びその組立方法
JP5681164B2 (ja) * 2012-12-12 2015-03-04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014205134A1 (de) 2014-03-19 2015-09-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stellvorrichtung mit einer Umlenkbaugruppe
DE102014019911B3 (de) 2014-03-19 2019-08-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stellvorrichtung mit einer Umlenkbaugruppe
EP2952667B1 (en) 2014-06-02 2018-07-25 Grupo Antolin-Ingenieria, S.A. Fixing assembly of a window regulator pulley
DE102014215608B3 (de) * 2014-08-06 2015-11-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mit unterschiedlichen Befestigungsstellen für eine Führungsschiene
JP2016145460A (ja) * 2015-02-06 2016-08-12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015217346A1 (de) 2015-05-05 2016-11-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s Türmoduls an einer Türstruktur
ES2654516T3 (es) * 2015-07-06 2018-02-14 Grupo Antolín-Ingeniería, S.A. Elevalunas de cable estructural para puertas de vehículos
FR3041676B1 (fr) * 2015-09-24 2019-07-19 Inteva Products France Sas Appareil et procédé pour un renfort de poulie dans un leve vitre
US9580953B1 (en) 2016-02-03 2017-02-28 Hi-Lex Controls, Inc. Pulley joint assembly
US10287814B2 (en) * 2016-05-25 2019-05-14 Magna Closures Inc. Pulley rivet for installation of pulleys for window regulator systems
GB2568121A (en) * 2017-11-01 2019-05-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Window lift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501978B2 (en) * 2017-12-20 2019-12-10 Hi-Lex Controls, Inc.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10550926B2 (en) * 2018-06-22 2020-02-04 Hi-Lex Controls, Inc. Pulley assembly with module plate
US11203254B2 (en) 2018-08-28 2021-12-21 Magna Closures Inc. Frameless window regulator rail with over-molded functional edge
CN111894382A (zh) * 2019-05-06 2020-11-06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摇窗器及车辆
JP7157210B1 (ja) 2021-06-16 2022-10-19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車両用ドア
IT202200004244A1 (it) * 2022-03-07 2023-09-07 Hi Lex Italy S P A Rotaia di guida per lo scorrimento di un cursore di un alzacristalli azionato mediante un cavo avvolto su un tamburo motorizzat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427A (ja) * 1993-12-22 1995-07-18 Mitsubishi Gas Chem Co Inc 自動車用窓ガラス昇降装置
JPH084412A (ja) * 1994-06-08 1996-01-09 Nippon Cable Syst Inc ウインドレギュレ−タ用ジョイント部材
US6227993B1 (en) * 1998-12-21 2001-05-08 Kuster & Co. Gmbh Cable reversing system for an automatic window lift
DE19915151A1 (de) 1999-03-26 2000-09-28 Brose Fahrzeugteile Türmodulträger mit einem metallischen Grundkörper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r Fahrzeugtür
FR2799493B1 (fr) 1999-10-07 2001-11-23 Sai Automotive Sal Gmbh Ensemble comprenant une doublure interieure de portiere de vehicule et un mecanisme leve-vitre fixe a cette doublure
US6758013B2 (en) * 2002-01-25 2004-07-06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roller cable assembly
ES2288187T3 (es) * 2002-04-03 2008-01-01 Grupo Antolin-Ingenieria, S.A. Elevalunas ligero para vehiculos.
DE20210370U1 (de) 2002-07-01 2002-08-29 Sai Automotive Sal Gmbh Umlenkrolleneinrichtung
DE20213813U1 (de) * 2002-09-06 2003-10-16 Brose Fahrzeugteile Führungsschienen-Anordnung für Seilfensterheber
DE10315805A1 (de) 2003-03-31 2004-10-28 Sai Automotive Sal Gmbh Kraftfahrzeugtür sowie Modulträger
ES2313262T3 (es) * 2005-03-01 2009-03-01 Grupo Antolin-Ingenieria, S.A. Modulo de soporte estructural para puertas de vehiculo.
JP4649370B2 (ja) * 2006-05-26 2011-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ヤ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DE202006018071U1 (de) 2006-11-24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fensterheber zum Verstellen ein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EP2132054B1 (en) * 2007-03-13 2018-12-26 Inteva Products, LLC. Cable regulator rail and carrier with snap-in pulley
CN106014069B (zh) * 2007-05-09 2017-11-17 马格纳·克劳祖雷斯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窗调节器组件
US20090051193A1 (en) * 2007-08-22 2009-02-26 Hernandez Everardo A Window regulator system for a vehicle door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8742A1 (en) * 2019-03-21 2020-09-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Carrier with a fastening area made of a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with at least one support element locking a fastening element
US11712991B2 (en) * 2019-03-21 2023-08-0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Carrier with a fastening area made of a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with at least one support element locking a fastening element
KR20220019462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8957A1 (en) 2011-04-07
JP5518848B2 (ja) 2014-06-11
JP2011521132A (ja) 2011-07-21
DE102008024742A1 (de) 2009-11-26
RU2445428C1 (ru) 2012-03-20
EP2307647B1 (de) 2015-05-20
EP2307647A1 (de) 2011-04-13
KR101263374B1 (ko) 2013-05-16
WO2009141401A1 (de) 2009-11-26
US8839566B2 (en)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374B1 (ko) 전향 요소를 위한 베어링 사이트
JP2011521132A5 (ko)
US7144344B2 (en) Tensioner for a traction drive
US5505022A (en) Window regulator
EP2292947A1 (en) Belt tensioner with damping member
KR20060050517A (ko) 윈도우 리프터 레일
US11248408B2 (en) Window lift assembly having a securing element and a securing section for securing a traction means
KR20010063467A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유격 조정장치
US11662000B2 (en) Chain guide
EP3480403A1 (en) Window lift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519573B1 (ko) 라인 안내 장치
US20040083654A1 (en) Guide system for guiding window glass of vehicle
KR100307570B1 (ko) 차량지붕용프레임유닛
KR101975376B1 (ko) 모듈 판넬의 마운팅부 구조
KR100802962B1 (ko) 차량용 도어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
JP3199094B2 (ja) 車両用ドアガラス昇降装置
KR102291150B1 (ko) 시트용 레일의 리드 너트 보강구조
KR0185345B1 (ko) 엔진롤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CN210760259U (zh) 转轴支撑结构及自行走设备
CN220518052U (zh) 一种轨道端部遮蔽构件
KR19980013187U (ko) 자동차 헤드 램프의 에이밍구조
JPH0538225Y2 (ko)
KR200178093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254419Y1 (ko) 버스의 포울딩 도어의 실린더 마운팅 구조
JP2633758B2 (ja) 車両用ドアの昇降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