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570B1 - 차량지붕용프레임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지붕용프레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570B1
KR100307570B1 KR1019940001006A KR19940001006A KR100307570B1 KR 100307570 B1 KR100307570 B1 KR 100307570B1 KR 1019940001006 A KR1019940001006 A KR 1019940001006A KR 19940001006 A KR19940001006 A KR 19940001006A KR 100307570 B1 KR100307570 B1 KR 10030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frame
cable guide
guide member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259A (ko
Inventor
만프레트쾨브
볼프강에틀
발터쉬츨러
Original Assignee
핸들러 에리히
베바스토 카로서리시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들러 에리히, 베바스토 카로서리시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핸들러 에리히
Publication of KR94001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5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가능하거나 이동 및 기울어짐이 가능한 덮개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지붕 개구부를 구비한 차량지붕용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프레임 구조물에는 적어도 전방 및 양 측면에서 지붕 개구부를 맞물게 되는 지붕프레임이 설치되며, 지붕 프레임은 전방 및 양 측면에 집수 물받이를 형성하고 적어도 전방 및 양 측면에서 집수 물받이에 대해 전방 내지 외측으로 떨어져서 집수 물받이의 바닥부 보다 높게 놓여지는 조립 플랜지를 구비한다. 지붕 프레임의 측면부를 따라 안내로가 연장되며, 안내로를 따라 덮개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각각의 안내부재가 각각의 구동 케이블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구동 케이블은 교차됨이 없이 연장된 케이블 안내채널에서 안내되고 구동장치에 구동 결합된다. 케이블 안내채널은 그 길이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지붕 프레임과 이에 고정된 케이블 안내부의 공동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 안내부는 그 길이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지붕 프레임의 조립 플랜지상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차량 지붕용 프레임 유닛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유닛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조립된 상태의 제1도의 케이블 안내 부재의 좌측 절반부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케이블 안내 부재의 절반부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른 프레임 유닛을 장착한 차량 지붕의 제2도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Ⅴ-Ⅴ를 따라 취한 차량 지붕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차량 지붕의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2도의 선 Ⅶ-Ⅶ을 따라 취한 차량 지붕의 부분 단면도.
제8도는 제2도의 Ⅷ 영역의 확대 평면도.
제9도는 제2도의 선 Ⅸ-Ⅸ를 따라 취한 케이블 안내 부재의 단면도.
제10도는 제2도의 선 Ⅹ-Ⅹ를 따라 취한 케이블 안내 부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유닛
2 : 지붕 프레임
3 : 케이블 안내 부재
4 : 보강 프레임
5 : 지붕 외판
6 : 지붕 개구부
7 : 덮개
9 : 집수통
11, 26 : 조립 플랜지
12 : 저면
14 : 안내 레일
15 : 안내로
16 : 측면 가장자리
17 : 안내 부재
18 : 구동 케이블
20 : 구동장치
21a, 21b : 케이블 안내 채널
23a, 23b : 케이블 안내 부재의 절반부
27a, 27b, 28 : 케이블 안내 채널 단면부
30 : 종방향 안내부
31 : 구동 부재
32, 33 : 스토퍼
34 : 프레임 고정 요소
36 : 스페이서
39, 40 : 밀봉체
42 : 디플렉터
43 : 베어링 개구부
46 : 연결 기구
본 발명은 활주 가능하거나, 활주 및 선회 가능한 덮개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지붕 개구부를 갖는 차량 지붕의 프레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지붕 개구부의 적어도 전방 및 양측변을 하측에서 덮고, 지붕 개구부의 전방 및 양측변에 집수통을 형성하고, 집수통에 대해 전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고 집수통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조립 상태에서 고정 지붕 외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립 플랜지를 적어도 전방 및 양측변에 구비하는 지붕 프레임과, 지붕 프레임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고, 덮개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를 각 구동 케이블에 의해 종방향으로 활주 자유롭도록 안내하는 안내로를 포함하며, 구동 케이블을 교차가 없는 케이블 안내 채널에 안내하고 구동 장치에 구동 결합시켜 지붕 프레임에 고정된 케이블 안내 부재와 지붕 프레임과의 협력에 의해 케이블 안내 채널의 종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차량 지붕용 프레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공지된 프레임 유닛(DE 37 27 720 A1)에 있어서, 지붕 개구부의 아래쪽에 있는 루프 프레임의 전방부 및 측부는 확장되며, 집수통의 내측 경계벽으로 계속되는 상기 확장부에는 케이블 안내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시야(視野)를 위해 제공되는 프레임 개구부는 지붕 개구부 및 덮개보다 본질적으로 작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의 구조의 경우, 지붕 개구부의 일부만을 시야 개구부를 얻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시야 개구부의 크기가 미리 주어질 경우, 공지의 프레임 유닛은 고정 지붕 외판에서 본질적으로 보다 큰 지붕 개구부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에 대처하기 위해, 또 다른 공지된 차량 지붕(DE 38 18 476 C1)에서는 고정 지붕 외판 하부에 있어서, 차량 지붕의 위에서 볼 때 U자형으로 만곡되고 케이블 안내 채널을 형성하는 안내 레일을 지붕 외판에 고정 결합된 보강 프레임의 하면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의 지붕 개구부의 반대측에는, 전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조립 플랜지가 마련되며, 이 조립 플랜지에 대해 집수통을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의 조립 플랜지가 아래로부터 접하게 된다. 이 경우, 보강 프레임과 지붕 프레임은 각각의 조립 플랜지의 영역에서 특히 접착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특히 지붕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시야 개구부는 지붕 개구부에 비해 본질적으로 작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지붕 프레임, 안내 레일, 구동 케이블 및 덮개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구조 그룹을 미리 조립한 후, 조립 라인에서 미리 지붕 외판에 고정한 보강 프레임에 결합(예컨대, 보강 프레임에 나사체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제조업체에서의 조립에 있어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개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 면적과 지붕 개구부의 면적과의 적절한 비율을 달성할 수 있고, 지붕 제조업체에서 미리 조립할 수 있고 차량메이커에 있어서의 특히 간단한 장착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두에 기재한 형태의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출발하여, 케이블 안내 부재를 그 종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넘어서 지붕 프레임의 돌출하는 조립 플랜지상에 장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유닛의 경우, 케이블 안내 부재는 지붕 개구부의 모서리를 한정하는 지붕 외판의 부분의 아래쪽으로 놓이게 되고, 따라서 케이블 안내 부재가 시야를 방해할 염려가 없다. 케이블 안내 부재를 지붕 프레임의 조립 플랜지상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안내 부재를 구동 케이블 및 덮개의 조절 기구와 동시에 결합하여 미리 조립되는 유닛을 형성할 수 있고, 차량 제조 업체에서 이러한 유닛을 차량에 설치하여, 예컨대 미리 지붕 외판 아래쪽에 설치된 보강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그 이외에, 프레임 유닛 구조의 높이도 비교적 낮게 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에 여유가 있는 헤드부의 높이가 주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하였다.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안내 부재의 적어도 대부분이 많은 차량 지붕에서 지붕 프레임 및 관련된 지붕 부분의 설치를 위해 지붕 외판의 보강 프레임에 설치한 범위에서 양호하게 보호되어 있다. 합성 수지로 제작된 케이블 안내 부재의 채널에서 구동 케이블을 안내함으로써 구동 케이블의 미끄럼 이동의 발생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합성 수지 사출 성형 부재로서 구성되는 케이블 안내 부재는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은 지붕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 사이의 임계적 반경 범위내에서 고정되므로, 극히 높은 부하에서도 케이블은 이탈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4항 및 제5항에 따른 내압성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지붕 프레임 및 케이블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유닛을 지붕 외판에 고정된 보강 프레임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안내 채널의 압착 파쇄는 없고, 따라서 구동 케이블의 이동이 방해 또는 저지되는 일은 없다.
확보 부재에 의해 차량 제조 업체에서 미리 조립한 유닛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프레임 고정 요소(예컨대, 나사)를 같이 미리 조립하여 최종 조립까지 분실할 염려 없이 유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 및 제7항에 따른 밀봉체는 지붕 프레임의 물을 안내하는 영역과 그 상측의 공간에 대하여 차량의 내부를 간단히 또한 조밀히 더욱이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조립하는 것이 더욱 간단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프레임 유닛은 지붕 프레임(2), 케이블 안내 부재(3) 및 보강 프레임(4)을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4)은 차량의 지붕 외판(5)에 고정 결합되어, 지붕 외판(5)에 형성된 지붕 개구부(6)를 둘러싼다. 지붕 프레임(2)과 보강 프레임(4)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 개구부(6)는 활주 가능하고 적합하게는 선회도 가능한 덮개(7)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덮개(7)의 하부에는 미끄럼 천장(8)이 도시되어 있다. 지붕 프레임(2)은 지붕 개구부(6)의 전방의 모서리 영역 및 지붕 프레임의 양변에 집수통(9)을 형성한다. 집수통(9)의 저면(12)보다 높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조립 플랜지(11)는 집수통(9)의 전방 또는 외측 경계벽(10)으로부터 전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집수통(9)의 내측 경계벽(13)에는 지붕의 양측으로 각각 안내 레일(14)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 레일(14)은 지붕 프레임(2)의 측부(16)를 따라 연장되는 안내로(15)를 형성한다. 덮개(7)에 결합되어 덮개 조절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며, 도면 부호 17로 표시되어 있는 안내 부재가 이러한 안내로(15)를 따라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각각의 구동 케이블(18)은 지붕의 양측에서 안내 부재(17)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 케이블(18)은 구동 장치(20)의 구동 피니언(19)에 맞물리는 나사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구동 장치(20)는 전동기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장치, 특히 수동 크랭크 형태의 구동 장치도 설치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차량 지붕 및 이에 부속된 프레임 유닛(1)은 종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면대칭적으로 형성되며, 구동 피니언(19)은 종방향의 대칭축에 적어도 합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기본적으로, 덮개(7) 및 미끄럼 천장(8)을 위한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조절기구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활주 가능한 틸트(tilted) 지붕에 이용되는 적절한 조절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 DE 34 42 599 C2, DE 34 42 601 C2, DE 34 42 615 C12 및 DE 34 42 631 C2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지, 상기 특허에서는 이송 브릿지에 작용하는 단일의 구동 케이블을 구비하는 중앙의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반면에, 본 발명은 지붕의 양측에서 조절 기구에 작용하는 2개의 구동 케이블이 사용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구동 케이블(18)은 교차됨이 없이 연장되는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교차가 없는 채널 구성은 예컨대 DE 35 32 103 A1의 제6도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의 종방향 길이의 일부는 지붕 프레임(2)과 케이블 안내 부재(3)와의 협동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차량 지붕의 위에서 바라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로부터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차량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거의 면대칭이며 또한 차량 지붕 위에서 바라볼 때 L자형의 2개의 절반부(23a, 23b)로 구성되며, 2개의 절반부는 각각 지붕 프레임(2)의 각 측부(16)를 따라 지붕 개구부(6)의 전방 모서리의 영역에서 대략 지붕 프레임(2)의 종방향 대칭축까지 연장된다. 보강 프레임(4)은 지붕 개구부(6)의 윤곽을 따라 설치된 고정 플랜지(24)를 구비하며, 이 고정 플랜지(24)의 둘레에는 지붕 개구부를 향한 지붕 외판(5)의 모서리를 설치할 수 있다. 지붕 개구부(6)의 모서리의 반대쪽을 향한 고정 플랜지(24)의 단부로부터 다리부(25)가 아래로 돌출된다. 조립 플랜지(26)는 다리부(25)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다. 보강 프레임(4)의 조립 플랜지(26)는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 위에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붕 개구부(6)의 전방 모서리의 전방에 연장되는 케이블 안내 부재(3)의 부분 및 케이블 안내 부재(3)의 전방 측부는 지붕 개구부(6)의 측면 모서리에 대해 외측으로 틀어져 있고,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 상에 설치되어 지붕 프레임(2) 및 보강 프레임(4)의 조립 플랜지(11, 26) 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지붕 외판(5)의 아래쪽에 있게 된다. 즉, 지붕 개구부(6)를 통한 시야 면적을 제한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된다. 또한, 케이블 안내 부재(3)는 프레임 유닛(1)의 물이 흐르는 부분보다 높은 공간에서 충분히 보호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지붕 개구부(6)의 전방 모서리 영역 및 전방 측부 영역에서 하방으로 개방된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7a, 27b)을 구비하며, 이 경우에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의 상면은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의 저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구동 케이블(18)의 구동측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 즉 제2도에 따른 케이블 안내 부재의 절반부(23a)의 경우는,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7a)에는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와 협동하지 않고 케이블 안내 부재(3)만으로 형성되는 후방 측부의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8)이 결합된다(제7도 참조).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8)은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의 잔여 부분과 똑같이 집수통(9)의 저면(12)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을 곧바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집수통(9)의 외측 경게벽(10)은 전방 측부의 케이블 안내 채널부분(27a, 27b)의 영역에서보다도 후방의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8)의 영역에서 지붕 개구부(6)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보다 멀리 떨어져 있다. 이것은 제5도 및 제6도를 제7도와 비교함으로써 명확히 알 수 있다. 특히, 제작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케이블 안내 부재(3)의 배후 측부의 영역은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케이블 안내 부재의 절반부(23a 또는 23b)에는 케이블 안내 부분(29)이, 예컨대 리벳 고정식으로 설치된다(제7도 참조). 양 구동 케이블(18)의 각각의 구동축 단부에는 구동 부재(31)가 고정되어 있다(제1도 참조). 구도 부재(31)는 해당 구동 케이블(18)에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부재(31) 자체는 덮개 조절 기구, 즉 각각의 안내 부재(17)에 결합된다. 특히 제2도 및 제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안내 부재(3)의 배후 측부의 영역은 종방향 안내 부재(30)를 형성하며, 구동 부재는 관련 구동 케이블(18)의 작용에 의해 상기 종방향 안내 부재(30)를 따라 덮개(7)의 활주 방향, 즉 차량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케이블 안내 부재(3)에는 지붕의 양측으로 전방 스토퍼(32) 및 후방 스토퍼(33)(제2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2, 33)는 구동 부재(31)와 연동하여 해당 구동 케이블(18) 및 안내 부재(17)의 조절 운동을 제한한다.
지붕 프레임(2), 케이블 안내 부재(3), 구동 케이블(18) 및 덮개의 조절 기구는 납품업체에서 미리 조립할 수 있어, 차량 제조업체의 조립 라인에서 보강 프레임(4)과 결합하여 차량 지붕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고정 요소(34)가 나사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 고정 요소(34)는 조립 플랜지(11, 26) 및 케이블 안내 부재(3)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 플랜지(26)의 상면에 고정된 너트(35)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에,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이 압착 파쇄되어 구동 케이블(18)이 안내 채널에 고정 결합되거나 통과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안내 부재(3)는 내압성(耐壓性) 스페이서(36)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유닛의 조립시에 프레임 고정 요소(34)가 조여지게 되면, 스페이서(36)는 조립 플랜지(11, 26) 사이에 미리 주어진 수직 거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시된 프레임 유닛(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36)로서 금속 부싱, 특히 소결 재료로 구성된 금속 부싱이 제공되며, 이러한 금속 부싱은 케이블 안내 부재(3)에 일체로 형성되고 적합하게는 압입된다. 제6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6)는 동시에 프레임 고정 요소(34)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 안내 부재(3)에는 스페이서(36)를 수용하는 관통구의 하단의 영역에서 관통구의 축선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 예컨대 4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제8도 참조), 이러한 돌출부는 미리 조립된 프레임 고정 요소(34)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 부재(37)를 형성한다. 스페이서(36)의 하단부에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36)는 케이블 안내 부재(3)에 압입되기 때문에, 보호 부재(37)를 형성하는 돌출부는 절결부(38)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를 향한 케이블 안내 부재(3)의 하면 및 보강 프레임(4)의 조립 플랜지(26)를 향한 케이블 안내 부재(3)의 상면에는 각각 밀봉체(39, 40)가 매립되어 있다. 밀봉체(39, 40)는 케이블 안내 부재(3)보다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프레임 유닛(1)을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해 밀폐한다. 밀봉체(39, 40)는 케이블 안내 부재(3)에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케이블 안내 부재(3) 및 밀봉체(39, 40)는 하나의 사출 성형 공구에서 제작될 수 있게 구성되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블 안내 부재(3)의 제작시, 우선 케이블 안내 부재(3) 자체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 공구로 도입하고 사출 성형 공구에 배치된 댐퍼가 밀봉체(39, 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유지한다. 그 후, 댐퍼를 인출하고 밀봉체(39, 40)를 형성하는 재료를 사출한다.
전방 및 후방의 측부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7a, 27b, 28) 사이의 이행 영역에서 구동 케이블(18)은 제9도와 상응하게 밀봉체(41)를 관통하여 안내되며, 이는 수분이 구동 케이블의 구동측 단부에서 구동 케이블을 따라 차량 내부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안내 부재(3)의 양측에는 각각 개폐용 연결 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용 연결 기구(46)는 동시에 차량 지붕의 위에서 바라볼 때 U자형으로 되는 디플렉터(42)의 샤프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개폐용 연결 기구(46)에는 디플렉터 승강 아암(45)의 후방 단부의 영역에서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핀(44)이 맞물리는 측부 베어링 개구(43)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예컨대 개폐용 연결 링크(46)를 케이블 안내 부재(3)와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베어링 개구부(43)는 케이블 안내 부재(3)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테두리 안에서는 다수의 설계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시된 금속판 덮개(7) 대신에 유리 덮개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 안내 부재의 절반부(23a, 23b)는 경우에 따라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통상의 조립 플랜지(26) 대신에 외측으로 돌출된 면을 보강 프레임(4)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도 케이블 안내 채널의 형성을 위해 협동하는 부분만을 연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차량 지붕은 활주 틸트 지붕, 스포일러(spoiler) 지붕, 환기 지붕 또는 간단한 미끄럼식 지붕이라도 좋다.

Claims (7)

  1. 활주 가능하거나, 활주 및 선회 가능한 덮개(7)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지붕 개구부(6)를 갖는 차량 지붕의 프레임 유닛(1)으로서, 지붕 개구부(6)의 적어도 전방 및 양측변을 하측에서 덮고, 지붕 개구부의 전방 및 양측변에 집수통을 형성(9)을 형성하고, 집수통에 대해 전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고 집수통의 저면(12)보다 높게 위치하며 조립 상태에서 고정 지붕 외판(5)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립 플랜지(11)를 적어도 전방 및 양측변에 구비하는 지붕 프레임(2)과, 지붕 프레임의 측부(16)에 마련되어 있고, 덮개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17)를 각 구동 케이블(18)에 의해 종방향으로 활주 자유롭도록 안내하는 안내로(15)를 포함하며, 구동 케이블(18)을 교차가 없는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에 안내하고 구동 장치(20)에 구동 결합시켜 지붕 프레임에 고정된 케이블 안내 부재(3)와 지붕 프레임과의 협력에 의해 케이블 안내 채널의 종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차량 지붕용 프레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 부재(3)는 그 종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지붕 프레임(2)의 돌출하는 조립 플랜지(11)상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안내 부재(3)는 합성 수지로 제작되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차량 종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면대칭이고 차량 지붕에서 보았을 때 L자형의 2개의 절반부(23a, 23b)로 구성되며, 각 절반부가 지붕 프레임(2)의 각 측부(16)를 따라 지붕 개구부(6)의 전방 모서리의 범위에서 지붕 프레임(2)의 종방향 대칭축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붕용 프레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2)은 지붕 개구부(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지붕 외판(5)에 고정되는 보강 프레임(4)에 조립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4)은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와 일렬로 배치된 조립 플랜지(26)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안내 부재(3)는 그 종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지붕 프레임(2)과 보강 프레임(4)의 조립 플랜지 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케이블 안내 부재(3)를 지붕 프레임(2) 및 보강 프레임(4)의 조립 플랜지(11, 26) 사이에 고정할 때 케이블 안내 채널(21a, 21b)의 압착 파쇄를 저지하는 내압성 스페이서(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스페이서(36)로서 금속 부싱이 설치되며, 이 스페이서(36)는 케이블 안내 부재(3)에 압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프레임 고정 요소(34)의 안내에 도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를 향하는 케이블 안내 부재(3)의 측면에는 상기 조립 플랜지에 맞대어 부착된 하나 이상의 밀봉체(39)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4)의 조립 플랜지(26)를 향하는 케이블 안내 부재(3)의 측면에는 조립 플랜지에 맞대어 부착된 하나 이상의 밀봉체(40)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블 안내 부재(3)는 지붕 개구부(6)의 전방 모서리 영역 및 전방 측부 영역에서 아래쪽으로 개방한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7a, 27b)을 구비하며, 지붕 프레임(2)의 조립 플랜지(11)의 상면은 상기 케이블 안내 채널 부분(27a, 27b)의 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유닛.
KR1019940001006A 1993-01-22 1994-01-20 차량지붕용프레임유닛 Expired - Fee Related KR100307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01635A DE4301635C1 (de) 1993-01-22 1993-01-22 Rahmen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DEP4301635.9 1993-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259A KR940018259A (ko) 1994-08-16
KR100307570B1 true KR100307570B1 (ko) 2001-11-30

Family

ID=647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0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7570B1 (ko) 1993-01-22 1994-01-20 차량지붕용프레임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78323B2 (ko)
KR (1) KR100307570B1 (ko)
DE (1) DE430163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2700B4 (de) * 1997-07-30 2005-07-14 Webasto Ag Rahmenanordnung für ein Deckelteil eines Fahrzeugdaches
DE10053531B4 (de) * 1999-10-29 2005-05-25 Aisin Seiki K.K., Kariya Schiebedach
DE19958523C1 (de) * 1999-12-04 2001-01-11 Daimler Chrysler Ag Kraftwagendach
DE102004002039C5 (de) * 2004-01-15 2012-10-18 Daimler Ag Schiebedach eines Kraftfahrzeugs mit außen liegender Öffnungsstellung
EP1902885B1 (de) 2006-09-25 2010-07-14 ArvinMeritor GmbH Schiebedachsystem
JP5331025B2 (ja) * 2010-02-18 2013-10-3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のガイドパイプの保持構造
US10086681B1 (en) 2017-03-09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on roof/sunroof water intrusion diver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7720C2 (de) * 1987-08-20 1994-11-17 Webasto Ag Fahrzeugtechnik Rahmen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DE3818476C1 (ko) * 1988-05-31 1989-09-21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78323B2 (ja) 2003-02-17
KR940018259A (ko) 1994-08-16
DE4301635C1 (de) 1994-01-13
JPH06219158A (ja) 199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499B1 (ko) 차량 도어용 유닛 서포트
US4969295A (en) Door structure of vehicle
US6820919B2 (en) Motor vehicle door
US5664827A (en) Sun-roof device
CN106467010B (zh) 用于机动车的车顶系统
US7661710B2 (en) Blind member for vehicle, and gap-closing structure including blind member
US20060196122A1 (en) Structural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KR100307570B1 (ko) 차량지붕용프레임유닛
US4968090A (en) Frame arrangement for a vehicle roof
EP3868586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KR100520594B1 (ko) 차량용 도어
US5647631A (en) Vehicle door
US7472943B2 (en) Window pane assembly and bodywork element for a vehicle
JP5077763B2 (ja) 車両用ドア構造
CN1676361A (zh) 机动车滑动顶篷
KR19980012782U (ko) 자동차의 도어유리용 런채널(runchanel) 구조
KR100325727B1 (ko) 차량의 선루프보강구조
GB2384512A (en) Vehicle door
KR100384753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런 장착구조
KR100298741B1 (ko) 차량의리어도어델타커버장착구조
KR200142548Y1 (ko) 차량용 도어 글래스 안내구조
GB2212846A (en) A window for a vehicle
JPH09202144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ケーブルパイプ取付構造
CN115701392A (zh) 用于更好的气动声学效果的接触车顶纵梁的倾斜面板
KR0115708Y1 (ko) 차량의 도어 몸체 상부에 설치되는 창틀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