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366A -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 Google Patents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366A
KR20110050366A KR1020100106553A KR20100106553A KR20110050366A KR 20110050366 A KR20110050366 A KR 20110050366A KR 1020100106553 A KR1020100106553 A KR 1020100106553A KR 20100106553 A KR20100106553 A KR 20100106553A KR 20110050366 A KR20110050366 A KR 20110050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at
sheet
inner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365B1 (ko
Inventor
아키오 코마츠
히토유키 아다치
요시아키 호리에
타케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55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948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62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6729B2/ja
Application filed by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5Emergency release to prevent damage of shutter or gui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셔터의 좌우의 시트 가이드의 부착나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고, 벗겨진 시트의 복귀를 용이하게 한다.
이를 위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는, 좌우의 지주(3, 3)의 사이에 지지된 시트 드럼(5)을 회전시켜서 시트 드럼(5) 내로부터 시트(2)를 풀어내어 승강하고, 상기 지주(3, 3) 내에 설치한 시트 가이드부(11, 11)에 시트(2)의 좌우 양단의 승강을 가이드 시키는 기구이다. 상기 시트 가이드부(11)는 좌우의 지주(3)의 수평 방향의 단면이 내측을 향하여 해방되고 전후 한 쌍의 측벽(14a)을 구비한 U자형의 단면의 아우터 레일(14)과, 상기 아우터 레일(14)의 내면에 따라 수용되고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너 레일(16)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레일(16)에는, 시트(2)의 양단에 부설된 가이드 돌기(10)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내측으로 향한 결합 가이드(21)를 마련하고 있다.

Description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SHEET GUIDE OF SHEET SHUTTER}
본 발명은, 공장이나 창고 등 건물의 출입구나 칸막이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이나 창고 등 건물의 출입구나 칸막이 부분에 설치되고, 시트 드럼에 권취와 풀어냄을 가능하게 마련한 시트를 양측의 지주에 따르게 하여 승강시키는 시트 셔터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좌우의 지주에 따라 마련된 시트 가이드부에, 시트의 양단에 부설된 가이드 돌기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수용하는 것이 이미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는,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감을 규제하는 내측으로 향한 빠짐방지 가이드와 가이드벽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가이드를, 좌우의 각 지주 내에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강풍이나 통과 물체의 충돌 등에 의해 시트가 강하게 밀려진 경우에, 결합 가이드의 빠짐방지 지지력에 대항하여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감을 허용하고, 시트를 지주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또한 지주의 상방에서 시트 드럼을 수용하는 시트 케이스 내에, 지주로부터 벗겨진 상태의 시트를, 상승시에 시트 가이드부 내로 복귀시키는 시트 복귀 가이드를 마련하고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293173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서 나타나는 시트 셔터는, 좌우의 지주 내에 마련된 결합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감을 규제하고 시트 벗겨짐을 방지한 개폐 작동을 행한다. 다른 한편, 시트가 강풍을 받거나 통과 물체가 충돌한 경우에, 결합 가이드의 지지력에 대항하여 가이드 돌기를 빠져나가게 하여 시트를 지주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또한 지주로부터 벗겨진 시트는 시트 복귀 가이드에 의해, 상승시에 시트 가이드부 내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트 가이드부는 지주에 결합 가이드를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의 구조가 복잡화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짐과 함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결합 가이드의 가이드벽이 밀어 열려지는 방향에 변형하거나 빠짐방지 가이드가 손실·마모된 경우에, 결합 가이드만의 교환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지주 전체를 교환하여야 한다. 또한 지주를 시트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행하는 유지 보수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작업비도 고비용이 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의 교환을 필요로 할 때, 교환 작업은 시트 케이스의 내부에서 행하여져야 하며,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등의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는, 제 1로, 내부에 시트(2)를 상하 방향으로 권취하고 풀어내는 시트 드럼(5)을 회전 자유롭게 횡방향으로 축지지 하는 시트 케이스(4)와, 상기 시트 케이스(4)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는 지주(3)와, 상기 지주(3)에 고정되고 시트(2)를 승강 안내하는 시트 가이드부(11)를 구비한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에 있어서, 시트 가이드부(11)를 좌우의 지주(3)의 수평 방향의 단면이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해방되고 전후 한 쌍의 측벽(14a)을 구비한 U자형의 단면의 아우터 레일(14)과, 상기 아우터 레일(14)의 내면에 따라 수용되고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너 레일(16)로 구성하고, 상기 이너 레일(16)에 시트(2)의 양단에 부설된 가이드 돌기(10)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수용하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향한 결합 가이드(21)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로, 아우터 레일(14) 내에, 전후의 측벽(24)을 구비한 중공의 이너 레일(16)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고, 또한 좌우의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견인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으로, 이너 레일(16)의 중도부(中途部)에 좌우 방향의 내측과 외측을 구획하는 중간벽(19)을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간벽(19)의 내측 위치에 결합 가이드(21)를 형성하고, 중간벽(19)의 전후 양단의 외측 위치에 좌우 방향의 측벽(24)을 마련하고, 상기 전후의 측벽(24, 24)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이너 계지부(22)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이너 계지부(22) 내에 가이드 돌기(10)를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견인하는 스프링(28)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로, 중간벽(19)에 내측 방향으로 돌설되고, 가이드 돌기(10)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측으로 향한 훅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전후 한 쌍의 가이드벽(23, 23)에 의해 결합 가이드(21)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벽(23, 23)의 외측 양측의 기단부와 중간벽(19) 사이에 오목형상의 잘록부(19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5로, 이너 레일(16)의 결합 가이드(21)로부터 벗겨진 시트(2) 단을, 상기 시트(2)의 상승시에 결합 가이드(21) 내로 안내하여 복귀시키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이너 레일(16)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6으로, 아우터 레일(14)의 전후의 측벽(14a)의 외측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저벽(14c)에 상하 방향에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착구멍(l4e)을 마련하고, 이너 레일(16)에 마련한 전후의 측벽(24)의 외측단에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훅 부(24a)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핀 홈(24b)을 형성하고, 내측단에 헤드부(26b)를 구비한 복수의 부착 핀(26)을 상기 각 부착구멍(14e)과 핀 홈(24b)에 삽통함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에 이너 레일(16)을 부착하고, 상기 이너 레일(16)의 측벽(24, 24)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이너 계지부(22) 내에는 상기 부착 핀(26)을 삽통시킨 상태에서 스프링(28)을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28)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이너 레일(16)이 탄력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7로,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내면과 스프링(28) 사이에는, 이너 레일(16)의 전후의 훅 부(24a, 24a)를 스프링(28)에 의해 상기 저벽(14c)에 탄력적으로 또한 이너 레일(16)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꽉 누르고, 적어도 상하 2개소에서 부착 핀(26)에 삽통되어 지지되는 상하 방향의 띠모양의 스프링 좌석(29)이 상하 방향의 복수 위치에 마련되고, 각 스프링 좌석(29)의 하단은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내면에 대해 휘여지는 유도면(29a)이 형성되고, 이너 레일(16)의 부착시에 상기 유도면(29a)의 안내에 의해 스프링 좌석(29)과 상기 저벽(14c)의 사이에 이너 레일(14)을 하측부터 삽입 가능한 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8로, 하단에 이너 레일(16)의 상단과 접속되는 접속편(34)을 구비하고, 결합 가이드(21)와 이너 계지부(22)를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이너 레일(16)와 공통의 단면 형상이고, 상기 접속편(34)에 의해 이너 레일(16)의 상단에 접속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마련하고, 상기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하단측에는 이너 레일(16)의 결합 가이드(21)로부터 벗겨진 상태로 상승하는 시트(2)의 가이드 돌기(10)를 결합 가이드(21) 내로 안내하여 복귀시키는 복귀 홈(31)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9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상단측에는 결합 가이드(21) 내로 노출하여 결합 가이드(21) 내를 승강하는 결합 돌기(10)에 대해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 부재(36)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0으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외측단에 이너 레일(16)의 핀 홈(24b)과 동일한 핀 홈(24b)을 마련하고, 시트 복귀 가이드(17) 내에 부착 핀(26)과 스프링(28) 및 스프링 좌석(29)을 수용하고, 상기 부착 핀(26)에 의해 이너 레일(16)을 아우터 레일(14)측에 탄력적으로 압접시키도록 부착하고, 이너 레일(16)의 부착시에 이너 레일(16)의 상단을 스프링 좌석(29)과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내면 사이에 하측부터 삽입 가능한 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에 의하면, 시트가 강풍을 받아 가압되어 가이드 돌기가 결합 가이드로부터 빠져나올려고 할 때에, 이너 레일에 형성한 결합 가이드가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감을 규제하여, 바람에 의한 시트 벗겨짐을 방지하면서 개폐 작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레일이 손실·마모된 경우에, 지주를 교환하는 일 없이 이너 레일만을 교환하면 족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터 레일 내에, 이너 레일을 시트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여 바깥쪽 방향으로 가세 지지함에 의해, 시트가 강풍을 받아 가압되어 가이드 돌기가 결합 가이드로부터 빠져나올려고 할 때에, 이너 레일을 외부를 향하는 가세력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탄력적으로 원래의 자세로 되돌리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시트를 바람의 가압력을 완충하면서 당기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 레일의 중도부에 마련한 칸막이벽의 내측과 외측에, 결합 가이드와 이너 지지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에 의해, 이너 레일의 강도를 높이고, 전체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여, 아우터 레일 내에서 이너 레일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하도록 감합하고, 바깥쪽 방향으로 탄력적인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 가이드를 서로 마주 보는 훅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벽으로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벽의 외측면 기부(基部)와 칸막이벽의 사이에 잘록부를 형성함에 의해,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벽에 의해 적정 가이드 자세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결합 안내한다. 또한 시트가 풍압 등에 의해 소정 이상의 가압 부하를 받는 경우에, 가이드벽에 집중적인 부하를 거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벽을 잘록부 및 칸막이벽 등에 의해 전후로 밀어 열게 하여, 가이드 돌기를 이탈시켜, 가이드벽이나 가이드 돌기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터 레일 내에 지지되는 이너 레일의 상부에, 시트 복귀 가이드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함에 의해, 이너 레일의 결합 가이드로부터 벗겨진 시트를 시트 복귀 가이드에 의해 상승시에 간단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를 이너 레일과 아우터 레일에 의해 안정성 좋게 지지할 수 있어서, 시트 복귀 가이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 레일을 아우터 레일 내에서 탄력적으로 좌우 슬라이드 시킴에 의해, 시트를 좌우로 충분 신전(伸展)시킨 상태에서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좌석을 아우터 레일의 좌벽 내면에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부착함에 의해, 이너 레일을 스프링 좌석과 아우터 레일의 사이에 삽입하여 가이드 레일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밖에 아우터 레일 내에 이너 레일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본 발명의 시트 가이드를, 이너 레일을 떼어낸 상태의 아우터 레일 내에, 심재(心材) 부착 시트의 시트 당김용의 횡방향의 심재의 단부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함에 의해, 가이드 돌기 부착 시트를 승강시키는 시트 셔터를, 지주 등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심재 부착 시트를 승강시키는 시트 셔터용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셔터를 일부 파단을 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시트 케이스와 시트 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좌측 정단면도.
도 4는 시트 가이드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지주와 시트 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이너 레일이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5의 가이드 돌기가 결합 가이드로부터 빠져나가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우측의 시트 가이드부와 윤활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을 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우측의 시트 가이드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을 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시트 복귀 가이드와 이너 레일이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시트 복귀 가이드와 이너 레일과의 조립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시트 복귀 가이드의 정면측의 사시도.
도 13은 시트 복귀 가이드의 배면측의 사시도.
도 14는 지주와 시트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이너 레일이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가이드 돌기가 결합 가이드로부터 빠져나가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도 5 내지 도 7의 이너 레일을 벗겨낸 아우터 레일 내에 심재 부착 시트의 심재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심재 부착 시트를 구비한 시트 셔터를 일부 파단을 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가이드를 이용한 시트 셔터의 전체 정면도이다. 부호 1은 주로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시트 셔터이고, 셔터용의 시트(2)와 그 좌우를 지지하고 상하 방향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서 구성되는 지주(3)(사이드 프레임)과, 시트(2)의 개폐기구를 내장하는 통형상의 시트 케이스(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3)는 건물의 출입구에 구성되는 기둥이나 벽에 따르게 하여 부착 고정되고, 시트 케이스(4)는 건물의 들보 또는 벽면에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지주(3)에 재치한 상태로 조립된다.
도시하는 시트 셔터(1)는 시트 케이스(4)의 양측을, 좌우의 지주(3)에 재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3)의 상부 외측에 고정되는 부착 부재(3a)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한 시트 케이스(4)의 내부에 셔터 개폐기구로서 시트 드럼(송출 장치)(5)을 내장하고 있고, 시트 드럼(5)의 정역 회전에 의해 시트(2)의 권취와 풀어냄을 한다. 시트(2)는 좌우의 지주(3)에 구성된 시트 가이드에 양측변을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승강 동작하여 출입구의 개폐를 행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시트 셔터(1)의 전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시트 케이스(4)는, 측면으로 보아 사각형 단면의 통형상의 케이스 본체(6)의 양측에, 단판(6a, 6b)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함에 의해 중공형상의 케이스실(室)을 형성한다. 케이스실 내에는 좌우의 단판(6a, 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중공 원통형상의 시트 드럼(5)이 드럼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6)의 후방 하부에는 좌우의 지주(3)의 상단과 접속되고, 시트(2)의 승강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6)의 우측의 단판(6a)에는, 내측면에 원주형상의 모터(7)의 기단부가 볼트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모터(7)를 시트 드럼(5) 내에 면하게 하여 지지하고 있다. 모터(7)는 구동축(7a)에 바퀴형상(輪體狀)의 구동체(8)를 축지지하고 있고, 상기 구동체(8)를 시트 드럼(5)의 내면에 스플라인 감합시킴에 의해 시트 드럼(5)을 정역 회전시킨다.
케이스 본체(6)의 좌측의 단판(6b)은 케이스 본체(6)의 좌단부를 폐쇄하도록 부착되고, 시트 드럼(5)의 좌단부에 부착되는 부착판(8a)의 지축(8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드럼(5)은, 시트 케이스(4) 내에 수평으로 축지지되고, 모터(7)의 정역 회전에 수반하여 시트(2)의 풀어냄 하강(진동(進動))과 권취 상승(퇴동(退動))을 행하여 건물의 출입구의 개폐를 행한다.
또한 시트(2)의 개폐 작동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제어반(9)에 설치되는 조작 스위치(9a)의 수동 조작 지령 및 통과 물체를 검지하는 검지부(9b)의 검지 지령 등에 의거한 모터(7)의 정역 회전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2는 상기 시트 셔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시트(2)는, 투광성,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직사각형의 막체(膜體)로 이루어지고, 상단(기부측)을 시트 드럼(5)의 주면(周面)에 축방향에 따라 부착된다. 도시하는 시트(2)는, 막체의 양 측연에 따라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장기 말 형상(駒狀)의 가이드 돌기(10)를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하고 있고, 각 지주(3)의 내측으로 향한 대향면측에 구성되는 시트 가이드부(11)에, 가이드 돌기(10)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수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2)는 시트 양측이 결합되어 안내되면서, 횡방향으로 당기는 상태로 지지하고 원활한 승강 작동을 행한다.
또한 시트(2)의 하단에는, 시트(2)가 최하강한 닫은 상태로 지면(地面) 또는 마루면 등(이하 마루면(床面)이라고 한다)에 기밀성을 유지하여 접지하는 스트레이트한 접지부(12)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접지부(12)는 웨이트를 내장한 웨이트부를 겸하고 있고, 시트(2)를 웨이트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당기는 상태로 신장시킨다.
시트 가이드부(11)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지주(3)는 사각형의 중공 C형 단면이다. 지주(3) 내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형 단면의 아우터 레일(14)이 수용되어 있다. 아우터 레일(14)의 개방단의 양 외측에는 지주(3)의 전후의 개방단과 서로 감합하는 홈(13)이 지주(3) 방향에 따라 형성되고, 양자의 감합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은 지주(3)에 부착 고정된다. U자형 단면의 전후의 측벽(14a, 14a) 사이에서 형성된 레일 홈(14b) 내에, 이너 레일(16)과 상기 이너 레일(16)의 상부에 접속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감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일(14) 및 이너 레일(16) 및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내마모성과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레일(16)은, 수평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레일 부재내에서 지주 방향으로 마련한 중간벽(19)의 좌우 각 측에, 시트(2)에 부설된 가이드 돌기(10)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수용하는 내측으로 향한 결합 가이드(21)와, 아우터 레일(14)에 시트의 당기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이너 계지부(22)(본체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결합 가이드(21)는 중간벽(19)의 전후 양측에서 서로 내측으로 향해 돌설한 한 쌍의 훅형상의 선단부를 구비한 가이드벽(23)에 의해 형성된다. 가이드벽(23, 23)은 선단부에 형성되는 훅 부의 사이에 시트 홈(23a)을, 내부에 가이드 홈(23b)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시트 홈(23a)은, 가이드벽(23, 23)의 선단부에 형성된 내측으로 향한 훅 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시트(2)를 수용하여 전후 방향의 흔들림을 규제하여 그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 홈(23b)은, 가이드벽(23, 23)의 시트 홈(23a)과 연결하는 내면과 중간벽(19) 사이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10)를 좌우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벽(23, 23)은 그 두께가 개략 일정하다. 이 구조에 의해 가이드벽(23, 23)은 탄력적으로 전후 양측에 개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홈(23b)은 이너 레일(16)의 부착 자세에 있어서, 시트(2)의 가이드 돌기(10)를 결합 가이드(21)의 가이드 홈(23b)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안쪽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승강 슬라이드 시킨다.
즉 시트(2)가 승강시에 풍압을 받아 가이드 돌기(10)가 시트 홈(23a)을 열어서 가이드 홈(23b)으로부터 빠져나갈려고 하여도 가이드 돌기(10)가 전후의 가이드벽(23)의 훅 형상에 의해 빠져나캄을 규제하기 때문에, 시트(2)는 원활하게 승강 안내를 할 수 있다.
이너 계지부(22)는, 중간벽(19)과 그 양측에서 외측으로 향해 평행 형상을 하고서 돌설한 측벽(24, 24)에 의해 중공부(22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측벽(24, 24)의 외측단을 내측으로 향해 굴곡시킨 훅 부(24a)를 마련함에 의해, 양자 사이에 부착 핀(26)을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는 핀 홈(24b)을 레일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이너 계지부(22)는 중공부(22a) 내에, 내측 단부에 플랜지형상의 헤드부(26b)를 구비한 외부로 향한 부착 핀(26)과, 그 부착 핀(26)의 외측에 외장된 코일형상의 스프링(28)과, 상기 스프링(28)과 부착 핀(26) 사이에 삽입되고, 스프링(28)의 압축 한계를 규제하는 스페이서(27a), 상기 스프링(28)의 외측 단부를 받아 내는 대판(帶板)형상의 스프링 좌석(29)이 수용된다. 또한 부착 핀(26)은, 그 헤드부를 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중간벽(19)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핀 단부를 핀 홈(24b) 및 부착구멍(14e)(긴 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길이를 갖는다. 부호 27b은 부착 핀(26)의 헤드부측에 감입되어 스프링(28)의 단을 받아내는 와셔이다.
상기 부착 핀(26)은, 핀 홈(24b)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에 천공되는 부착구멍(14e)에 삽입하여 돌출시키고, 상기 돌출시킨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대판상의 받이좌석(30)을 마련하고, 핀 단부에 고정 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26a)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부착 핀(26)을 내측에 탄력적으로 끌어당기면서 지지시켜서 조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28)을 외장한 부착 핀(26)은, 아우터 레일(14)에 소정의 부착 간격을 두고 레일 방향으로 복수 천공된 각 부착구멍(14e)에 삽통되고, 이너 계지부(22)도 각 부착구멍(14e)에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도 3,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이너 레일(16)은, 아우터 레일(14) 내에 부착 핀(26)에 의해 부착되고, 각 스프링(28)의 외부로 향하는 탄력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에 이너 레일(16)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등하게 압접한다. 그 결과 결합 가이드(21)는 가이드 돌기(10)를 통하여 시트(2)를 외부로 향하는 시트 당기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 핀(26)은, 그 헤드부를 이너 레일(16)의 중공부(22a) 내에서 중간벽(19)에 맞닿는 길이로 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우터 레일(14)의 적어도 전후 어느 한쪽의 측벽(14a)의 개구단에는, 시트(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실 부재(25)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면 C형의 부착 홈(14d)이 지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단이 부착 홈(14d)에 부착되는 실 부재(25)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2)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레일 홈(14b) 내에 유입하려고 하는 바람을 차폐함과 함께, 시트(2)의 전후 방향에의 흔들림을 탄력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4,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좌석(29)과 받이좌석(30)는, 서로 대향한 위치에서 인접하는 복수(도시예에서는 2 내지 3개)의 부착 핀(26)을 삽통한 상하 방향의 대판형상의 와셔로서 작용하고, 양자의 사이에서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에 대해 이너 레일(16)의 훅 부(24a)를 탄력적으로 꽉 눌러서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부착 핀(26)과 스프링(28)과 상하 방향의 스프링 좌석(29)에 의해, 이너 레일(16)이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강 균등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복수의 부착 핀(26)에 걸쳐지는 받이좌석(30)는, 시트(2) 및 가이드 돌기(10)를 통하여 내측으로 향한 방향의 인발력을 분산하여 받아, 아우터 레일(14)의 내부와 이너 레일(14)의 저벽(14c)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탄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좌석(29)과 받이좌석(30)는, 이너 레일(16)의 훅 부(24a)와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을, 넓은 띠모양면을 통하여 레일 길이에 개략 균등한 탄력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핀 홈(24b)의 양측에 있는 훅 부(24a)와 아우터 레일(14)도 상하 방향으로 균등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개략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장의 스프링 좌석(29)은, 상기 부착 상태에서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측단(도시예에서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향해 휘여지게 한 유도면(29a)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은, 스프링(28)과 규제통(28a)과 스프링 좌석(29)을 삽통시킨 부착 핀(26)을, 미리 아우터 레일(14)에 받이좌석(30) 및 고정구(26a)를 통하여 부착한 상태에 조립할 수 있고, 이후 이너 레일(16)을 레일 단부에서 삽입함에 의해, 양자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부착 핀(26)을 삽통시켜서 지지된 각 스프링 좌석(29)은, 각 유도면(29a)의 설치측을 지주(3)의 하부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정돈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레일(14) 내에 하부측부터 이너 레일(16)을 삽입하고, 상부측을 향하여 압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너 레일(16)은, 아우터 레일(14)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 1의 스프링 좌석(29)의 유도면(29a)에, 훅 부(24a)의 선단을 안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의 스프링 좌석(29)을 유도면(29a)의 유도각을 통하여, 스프링(28)의 탄력에 대항하여 이너 레일(16)을 내측으로 향해 밀어올려 이동시켜서, 스프링 좌석(29)과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레일(16)을 더욱 삽입하면, 제 1번째의 스프링 좌석(29)과 저벽(14c)의 사이를 슬라이드하여, 제 2 번째의 스프링 좌석(29)의 유도면(29a)과 저벽(14c)의 사이에 도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번째의 것과 마찬가지로 제 2번째의 스프링 좌석(29)을 유도면(29a)과 훅 부(24a)의 맞닿음을 통하여 밀어올려서 삽입하고, 다음 것에도 순차적으로 마찬가지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레일(14)의 부착구멍(14e)에 대해, 1개씩의 부착 핀(26)에 도넛 판상의 와셔(27b)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아우터 레일(14)에 대한 이너 레일(16)의 조립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27b)를 대판현상의 받이좌석(30) 대신에 마련한 경우에는, 아우터 레일(14)의 부착구멍(14e) 부분은 와셔(27b)와 접촉하여 마모시키는 결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시트 가이드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풍 등에 의해 시트(2)가 시트 면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강한 힘을 받은 경우에, 이너 레일(16)은 시트(2) 및 가이드 돌기(10)를 통하여 내측으로 향한 방향의 인장력을 받는다. 이 때 이너 레일(16)은 스프링(28)에 대항하여, 아우터 레일(14) 내에서 내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인장력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등의 통과 물체가 시트(2)에 충돌한 경우 등에, 시트(2)가 전후 방향으로 강하게 밀려져, 이너 레일(16)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핀(26)이 슬라이드의 한계가 되고, 가이드 돌기(10)는 가압 방향으로 기울어져 가이드벽(23, 23)을 그 탄력에 거슬러서 비집어 열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돌기(10)는, 가이드벽(23, 23)을 탄력적으로 밀어 열어서 그 훅 부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결합 가이드(21)의 벌려진 시트 홈(23a)으로부터 빠져나가 이너 레일(16)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이너 레일(16)로부터 이탈하고 지주(3)에 의한 지지를 잃어버린 시트(2)는, 가압력에 의한 무리한 끌어당김이 해제되기 때문에, 시트(2) 및 가이드 돌기(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는 이너 레일(16) 및 관련 부재 등에 대해서도 과부하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 도 12에서 도시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아우터 레일(14) 내에서 도 1 내지 도 4,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레일(16)의 상부에 삽입되어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시트(2)의 권취 안내라고 풀어냄 안내를 행함과 함께,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3)의 시트 가이드부(11)로부터 권취시에 벗겨진 시트(2)를,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켜서 적정 자세로 풀어낼 수 있다.
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합성 수지제이고, 이너 레일(16)과 대강 동일한 단면 형상이다. 즉, 도 8,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가이드 본체부의 중도부에 중간벽(19)을 형성하고, 그 내측과 외측에 가이드 돌기(10)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23b)을 형성하는 결합 가이드(2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10)를 외측으로 향해 가세하는 스프링(28)을 부착 핀(26)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용시키는 이너 계지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상기 결합 가이드(21)의 중도부에, 벗겨진 시트(2)를 도입하는 상하폭의 절결을 형성한 복귀 홈(31)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복귀 홈(31)의 상하에 위치하는 각 가이드벽(23, 23)은, 상하단의 입구 부분이 각각 V자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가이드벽(23, 23)의 입구 경사 단면은, 복귀 홈(31)의 상방 또는 하방부터의 시트 홈(23a) 및 가이드 홈(23b)에 대한, 시트(2) 및 가이드 돌기(10)의 도입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가이드 본체의 상부에는, 가이드벽(23)을 내측으로 향해 연장시켜서 형성하는 시트 스토퍼편(32)을 일체적으로 돌설하고 있다. 이 시트 스토퍼편(32)은, 시트(2)의 권취에 오동작이 있은 때, 접지부(12)의 양측에 부착한 스토퍼(33)를 받아냄에 의해, 시트(2)의 그 이상의 상승을 규제하여 접지부(12)의 감겨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규제 상태에서 시트 드럼(5)은, 모터(7)가 과부하 검지 수단의 검지 지령에 의해 회전 정지할 때까지 회전하기 때문에, 권취한 시트(2)를 감아 조여서 권취시의 부풀음이나 주름을 제거하고 적정한 권취 지름으로 수정하고, 시트(2)의 좌우의 권취 지름을 개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드럼(5)은 모터(7)가 과부하 검지의 지령에 의해 회전 정지하고, 이후 시트(2)의 풀어냄 회전을 할 때에, 재하강 초기가 느슨해짐을 없애고, 접지부(1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적정하게 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상기 이너 계지부(22)의 중공부(22a)의 하부를 하벽(34a)(도 9 내지 도 11 참조)에 의해 폐쇄하고, 상기 하벽(34a)부터 이너 레일(16)의 이너 계지부(22)에 감합하는 형상 및 길이를 갖는 접속편(34)을 돌설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접속편(34)을 이너 레일(16)의 이너 계지부(22) 내에 감합할 수 있고, 양자의 가이드벽(23, 23) 및 가이드 홈(23b) 및 이너 계지부(22)를 일련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이너 레일(16)의 이너 계지부(22)에 접속하는데 즈음하여, 접속편(34)는 상기 이너 계지부(22)의 중공부(22a)에 대해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갖고서 감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이너 레일(16)과의 접속부를 지점으로, 이너 계지부(22)의 상부에서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요동할 수 있고, 상기 허용치를 초과한 경우에도 이너 레일(16)의 탄력성에 의해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너 레일(16)과 같은 요령으로 상하 2개의 부착 핀(26)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에 부착된다. 이 부착 상태에서 아우터 레일(14) 내의 스프링 좌석(29)은, 부착 핀(26)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 좌석(29)의 하단은 복귀 가이드(17)의 하단측의 하벽(34a)에 근접하고 또는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다(도 9 참조). 즉 가장 상방 위치에 있는 스프링 좌석(29)은 아우터 레일(1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 가이드(17)가 윗방향의 힘을 받은 때에는 이너 레일(16)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2)가 상승하여 스토퍼(33)가 시트 스토퍼편(32)에 충돌함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가 상방으로 인발 방향의 부하를 받은 때, 복귀 가이드(17)는 스프링 좌석(29)에 의해, 이너 레일(16)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편(34)과 아우터 레일(14)을 비스 등으로 연결함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상방으로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17)에는, 가이드 돌기(10)에 접촉하여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 부재(36)가 마련되어 있고, 시트(2) 및 가이드 돌기(10)의 승강을 안내할 때에, 지주(3)의 최상부 위치에서 승강 작동하는 가이드 돌기(10)의 개략 전 범위에 걸치는 윤활이 간단하며 균질하게 행하여지는 기구로 되어 있다.
즉, 윤활 부재(36)는 도 8, 도 9, 도 12,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가이드(21)측에서 내측으로 향해 돌출시키는 전후의 시트 스토퍼편(32)의 두께 내부에, 내측의 단부에서 개구한 직사각형 단면의 윤활구멍(37)을 횡방향에 천공하고, 구멍의 단부를 가이드 홈(23b) 내에 면하게 하여 개구시키고 있다. 그리고, 윤활구멍(37)에는 시트 스토퍼편(32)의 상단부터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윤활제의 공급 구멍(38)이 천공되어 있다.
이 윤활구멍(37)에는 윤활제를 보존하는 윤활 보존재(39)를 시트 스토퍼편(32)의 내측의 단부에서 삽입함에 의해, 상기 윤활 보존재(39)의 삽입단을 가이드 홈(23b)에 노출시켜서 면하게 하고 있다. 도시하는 윤활 보존재(39)는, 오일 그 밖의 윤활제를 포함시키는 펠트 또는 스펀지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 상태에서 가이드 홈(23b) 내에 돌출시켜 있다. 그리고, 공급 구멍(38)으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는 윤활 보존재(39)에 함침시킨 상태로 가이드 홈(23b) 내로 유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윤활 부재(36)는, 가이드 홈(23b) 내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0)에 대해, 전후 양측에서 윤활 보존재(39)에 포함되는 윤활유를 도포하면서 공급하여, 복수의 가이드 돌기(10)에 대해 적정량의 윤활유를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이 반복되는 가이드 돌기(10)에 대해, 윤활유를 필요 이상으로 소비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지주(3)의 상위에 있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는, 가이드 돌기(10)의 이동을 통하여 하위의 이너 레일(16)의 가이드 홈(23b)에도 공급되기 때문에, 각 활주부의 손실·마모나 소음을 억제하면서 시트(2)의 승강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윤활 부재(36)는 시트 복귀 가이드(17)에 돌설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시트 스토퍼편(32)의 내부에 구성되기 때문에,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외에, 케이스 본체(6)의 개구부(6c)에 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넓은 공간에서 공급 구멍(38) 또는 윤활구멍(37)에 대해 간단하게 급유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6c)에 면하는 윤활구멍(37)으로부터, 윤활 보존재(39)의 교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트 가이드부(11)의 이너 레일(16)과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부착 양태 및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레일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수의 스프링(28) 및 스페이서(27a)를 감삽한 부착 핀(26)을, 앞서 기술한 조립의 형태에 의해 저벽(14c)의 부착구멍(14e)에 삽입하고, 스프링 좌석(29)과 받이좌석(30)에 의해 저벽(14c)을 끼운 상태로 조립된다.
뒤이어,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레일 홈(14b) 내에서 상방부터 2번째와 3번째의 부착 핀(26)의 사이에 삽입하여, 스프링 좌석(29)의 유도면(29a)과 저벽(14c)의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화살표 방향(상향)으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훅 부(24a)의 상단이 유도면(29a)의 사면에 따라 스프링 좌석(29)을 스프링(28)에 대항하여 밀어올려, 상기 스프링 좌석(29)의 하방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핀 홈(24b) 내에 부착 핀(26, 26)을 삽입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고, 하벽(34a)을 유도면(29a)의 선단에 맞닿게 하는 위치에서, 도 9에 도시하는 세트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지지시킨다.
다음에, 이너 레일(16)을, 상기 아우터 레일(14)의 하단에 위치한 스프링 좌석(29)의 유도면(29a)과 저벽(14c)의 사이로부터 이너 레일(16)을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이너 레일(16)은, 훅 부(24a)의 상단을 유도면(29a)의 사면을 통하여, 스프링 좌석(29)을 밀어 열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홈(24b) 내에 부착 핀(26, 26)을 수용하고, 또한 상방의 스프링 좌석(29)의 유도면(29a)의 하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이너 레일(16)의 훅 부(24a)는, 상기 스프링 좌석(29)과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끼워 넣어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더욱 상방의 다음 위치의 스프링 좌석(29)과 저벽(14c)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할 수 있고 최상단의 스프링 좌석(29)에 삽입시켜서 삽입을 완료한다. 이것에 의해 조립을 완료한 이너 레일(16)은, 이너 계지부(22)의 중공부(22a)가, 이미 세트되어 있는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접속편(34)에 삽입된다.
다음에, 이너 레일(16)을 내장한 아우터 레일(14)은, 지주(3)의 홈(13)에 삽입하고, 그 양변을 이너 레일(16)의 개방단의 양 외측에 감입하여 고정된다. 또한 필요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의 상하를 지주(3)에 나사조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지주(3)는, 시트 케이스(4)의 양측에 부착 부재(3a)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함과 함께, 지주(3)의 필요 개소를 건물측에 고정하여 부착된다.
상기 시트 가이드를 분해할 때는, 상기 조립 순서의 반대의 순서에 의해, 지주(3)로부터 아우터 레일(14)을 떼어내고, 이너 레일(16) 및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인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떼어낸다. 이 시트 가이드의 수리 등 때문에에 재차 조립하는 경우는, 새로운 이너 레일(16) 또는 시트 복귀 가이드(17) 등을 앞서 기술한 순서에 의해 조립한다.
따라서 이너 레일(16) 및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함께 레일 방향으로 인발 또는 삽입하는 등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유지 보수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너 레일(16)을 지주(3)에 조립한 종래의 시트 가이드 구조와 같이, 시트 케이스(4)로부터 벗겨낸 지주(3) 전체의 교환을 할 필요가 없고, 시트 복귀 가이드(17) 또는 이너 레일(16) 또는 지주(3)만의 교환을 할 수 있다.
다음에 시트 셔터(1)의 동작 및 사용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시트 셔터(1)는 시트(2)가 시트 드럼(5)에 권취되고,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시트 스토퍼편(32)에 스토퍼(33)가 맞닿기 직전의 위치를 최상승 위치로 하여, 시트 드럼(5)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회전 제어한다. 이 최상승 위치에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복귀 홈(31)의 상방에 접지부(12)를 정지시킨 상태가 다음 하강을 위한 대기 자세가 된다. 시트 드럼(5)이 풀어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2)가 풀어지면, 시트(2)의 양단의 가이드 돌기(10)는 좌우의 지주(3)의 이너 레일(16)에 안내되어 하강 슬라이드하고, 접지부(12)가 마루면에 접지한 위치에서 시트 드럼(5)이 자동 정지하고, 시트(2)를 폭(횡) 방향으로 당겨서 느슨해짐을 방지한 상태로 개구를 폐쇄한다.
이 시트 셔터(1)는 시트(2)가 상기 폐쇄 상태 또는 승강 동작하고 있을 때, 강풍을 받아 가압되어 가이드 돌기(10)가 결합 가이드(21)로부터 빠져나올려고 할 때에, 가이드 돌기(10)는 결합 가이드(21)의 결합력에 의해 빠져나감이 방지되고, 이 때 이너 레일(16)을 스프링(2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또한 풍압이 약해진다면 이너 레일(16)을, 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원래의 시트 당기는 자세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이너 레일(16)은 시트(2)를 바람의 변화에 대해 풍압을 완충하면서 당겨서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바람에 의한 시트 벗겨짐을 방지하면서 개폐 작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등의 통과 물체가 시트(2)에 충돌한 경우에, 시트(2)가 전(前) 또는 후방향으로 강한 외력을 받아, 이너 레일(16)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슬라이드 한계가 되고 시트(2)가 더욱 강한 가압을 받는 경우에, 가이드 돌기(10)는 가압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가이드벽(23, 23)을 비집어 열도록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0)는, 시트 홈(23a)을 벌려서 결합 가이드(21)로부터 빠져나와 이너 레일(16)로부터 이탈하고, 시트(2)는 지주(3)에 의한 지지를 잃어버려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시트(2)는 내구 한계 이상의 가압력을 회피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너 레일(16) 및 이것과 고정된 관련 부재 등도 그 이상의 부하를 받는 일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이너 레일(16)로부터 벗겨진 시트(2)는, 시트 드럼(5)의 권취 회전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데, 이 때 시트(2)는 좌우의 지주(3) 사이에서 자유롭게 휘여지면서 가이드 돌기(10)의 위치를 전후 좌우로 프리한 상태로 상승한다. 또한 시트 드럼(5)측의 시트(2)의 양측은, 상기한 바와 같이 권상시에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복귀 홈(31)에 대해, 벗겨 진측의(앞측 또는 후측의) 홈구의 어느 하나로부터 벗겨진 부분이 자동적으로 인입되고, 복귀 홈(31) 상부의 시트 홈(23a)을 통과할 때에 휘여짐이 수정되면서 시트 드럼(5)에 권취된다.
이것에 의해, 접지부(12)가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복귀 홈(31)의 상방에서 정지한 상기 최상승 위치에서, 시트(2)는 자동적으로 결합 가이드(21) 내로 복귀하고 하강을 위한 대기 자세가 되고, 시트 드럼(5)의 풀어냄 회전에 의해 재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사용에서 시트(2)의 상승시에, 드물게 어떠한 장애에 의해 시트 드럼(5)이, 예를 들면 시트(2)의 한 측변을 2중 접음 상태로 겹쳐서 권취하는 경우에는, 시트 드럼(5)은 도 3의 점선(A)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2중 접음을 한 측의 시트(2)의 권취 직경을 커지고, 좌우가 고르지 않은 형상으로 권취하는 일이 된다.
그 때문에, 시트(2)는 권취 직경을 크게 한 측(좌측)의 스토퍼(33)를, 도 3의 점선(B)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스토퍼편(32)으로 받아내여 정지시켜서, 이에 수반하여 타측(우측)의 시트측 변도 우측 스토퍼(33)도 우측 시트 스토퍼편(32)에 동시에 받아내게 한다(도 9 참조).
이 상태에서 시트 드럼(5)은, 모터(7)가 부하 검지에 의해 정지할 때까지의 약간 동안의 권취 회전에 의해, 좌우의 스토퍼(33)가 동시에 좌우의 시트 스토퍼편(32)에 계지되고, 시트(2)의 양측이 가이드 돌기(10)의 결합을 통하여,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내측으로 향해 끌어당기게 된다.
이 때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착 핀(26)에 감삽하는 스프링(28)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향해 경사하도록 요동시킨다. 뒤이어, 이에 수반하는 과부하에 의해 모터(7)의 회전은 최종적으로는 정지되고, 시트 드럼(5)은 시트(2)는 그 이상의 감기가 방지되지만, 시트(2)의 양측을 인장한 채로 하기 때문에, 시트 복귀 가이드(17)에는 내측으로 향한 인장력이 작용한 채가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33)가 시트 스토퍼편(32)에 강하게 닿아서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2개의 부착 핀(26)이 가지는 스프링(28)에 대항하여 탄력적으로 요동시키게 하면, 당해 시트 복귀 가이드(17)에 접속하고 있는 이너 레일(16)도 상방측에 있는 부착 핀(26)이 스프링(28)에 대항하여 요동하려고 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와 이너 레일(16)은, 전체로서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너 레일(16)의 하부를 지점으로 경사각(θ)만큼 경사(요동)한다.
이 때, 이너 레일(16)측의 각 스프링(28)이, 각각 경사각(θ)으로 설정된 경사에 의한 변위량만큼 압축 변형함과 함께,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스프링(28)도 마찬가지로 압축 변형하기 때문에, 복귀 가이드(17) 및 이너 레일(16) 전체가 상방의 다수의 스프링(28)의 탄력에 분산되어 지지된다.
또한 스토퍼(33)가 더욱 강하게 시트 스토퍼편(32)에 부딪히고, 2개의 부착 핀(26)이 가지는 스프링(28)에 대항하여, 스프링 좌석(29)이 규제통(28a)에 맞닿는 이동 한계가 된 때, 상기 경사각(θ)은 최대가 되고 가이드 돌기(10)를 강하게 결합 지지되고, 모터(7)도 정지한다.
따라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개개의 스프링(28)은 대형의 강력한 스프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이너 레일(16)측의 스프링(28)과 마찬가지로 소형으로 스프링 정수가 낮은 스프링(28)으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고,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시트 복귀 가이드(17) 및 이너 레일(16)의 내측으로 향한 요동의 완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접속편(34)과 이너 레일(16)의 감합부에 클리어런스를 마련하고 접속함에 의해, 상기 접속부를 지점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초기의 단계에서의 내측으로 향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향한 부하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2)의 한계 이상의 감아넣음을 방지하는 시트 셔터(1)는, 시트 드럼(5)이 재차 풀어냄 회전을 하여 시트(2)가 하강을 시작할 때, 스토퍼(33)가 시트 스토퍼편(32)으로부터 떨어져서 내측으로 향한 인장을 해제하기 때문에, 각 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시트 복귀 가이드(17) 및 이너 레일(16)의 경사각(θ)을 서서히 0도로 하여, 원래의 가이드 자세로 복귀하고 시트(2)를 원활하게 하강 안내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2)는 2중 접은 부분도 늘어나면서 하강하고 상승도 원활하게 계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시트 셔터(1)는, 이너 레일(16)과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별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으로 손실·마모도 동반하기 쉽고 부품 교환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이 많은 종래의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너 레일(16)을 내구성에 우수한 심플한 형상에 의해 상하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레일(16), 아우터 레일(14)과 함께, 압출 또는 드로잉 가공 등의 간단한 수단에 의해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28)을 구비한 복수의 부착 핀(26)을 아우터 레일(14)에 삽입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부착 핀(26)을 접속하는 상하 방향에 길다란 띠모양의 스프링 좌석(29)과 받이좌석(30)에 의해 부착함에 의해, 지주(3)에 따라 안정성 좋게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스프링(28)에 의한 외향의 가세력과 시트 가압 때 등의 내측으로 향한 가압력을 스프링 좌석(29)과 받이좌석(30)으로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레일(16) 및 아우터 레일(14)을 불필요하게 대형화하거나 두껍게 하는 일 없이, 내구성이 높은 시트 가이드부(11)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4는 이너 레일(16)의 또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시트 가이드의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고, 알서 기술한 실시 형태의 도 5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5,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의 도 6,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너 레일(16)의 결합 가이드(21)의 단면 형상이 도 5 내지 도 7의 이너 레일(16)과 다른 점과, 이너 레일(16) 방향이 상하 역방향이 되어 있는(이에 수반하여 실 부재(25)의 부착 위치와 부착 홈(14d)이 상하 역위치가 되어 있는) 점 이외는 도 5의 시트 가이드와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5의 시트 가이드와 공통의 기구부분 및 공통의 작용 부분에 관해서는 도 5의 경우와 공통의 부호로 나타내고, 이러한 공통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시트 가이드에서는, 결합 가이드(21)의 전후의 가이드벽(23, 23)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 보고 있고, 돌기 홈(23b)의 내부에 수용되고 계지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가이드 돌기(10)는, 돌기 홈(23b) 내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벽(23)은 전체로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돌기 홈(23b)의 내부 저면은 외측을 향하여 만곡하는 반원형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벽(23)의 기단부와 중간벽(19)의 상하의 외측의 경계부에는 가이드벽(23)의 원호와 칸막이 벽(19)의 평면이 교차하는 V자형 단면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잘록부(19a)(조여진)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중간벽(19)의 전후 폭 중앙의 좁은 폭으로 가이드벽(23, 23)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 가이드(21)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이드 돌기(10)는 시트(2)가 풍압 등에 의해 내측으로 향해 끌어당겨진 때는 돌기 홈(23b) 내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홈(23a)에 계지된다. 다른 쪽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때는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복귀 위치에 복귀한다.
또한 시트(2)에 더욱 강한 전후 방향의 힘이 작용한 때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0)는 시트(2)의 인장력에 의해 가이드벽(23, 23)을 전후로 밀어 넓혀 결합 가이드로부터 빠져나가 벗겨진다. 이 때 전후 양측의 잘록부(19a)에 의해, 가이드벽(23, 23)은 중간벽(19) 자체를 내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휘게한다. 또한 측벽(24, 24)을 중공부(22a)의 내부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휘게 한다. 또한 상기한 잘록부(19a)는 시트(2)가 게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강하게 끌어당겨지면 가이드벽(23, 23)을 좌우 방향에 탄력적으로 늘리면서 시트 홈(23a)을 밀어 넓히기 위해서도 작용한다.
이와 같이 이너 레일(16)의 전후 양측의 잘록부(19a)는, 시트(2)에 게이트 중심 방향으로의 강한 인장력이 작용한 때에는, 이너 레일(16) 전체를 탄력적으로 변형시켜서 레일 전체를 유연한 구조로 하여 과부하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원활한 시트의 안내를 행하게 한다. 그리고 이 구조는 시트 복귀 가이드(17)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벗겨진 시트의 결합 가이드(21)에의 복귀 작동도 보다 원활하게 행하게 한다.
도 l7, 도 18은 시트 셔터(1)의 다른 사용 양태를,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의 시트 셔터(1)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시트(2)를 심재 부착 시트(2a)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심재 부분의 수평 방향의 단면도와 전체 구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시트 가이드에서는 시트 셔터(1)는, 아우터 레일(14)로부터 이너 레일(16) 및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것 등을 분리한 좌우의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재래의 심재 부착 시트(2a)의 심재(41)의 양단을 삽입하면, 심재(41)를 승강 슬라이드시키면서 안내하고, 시트(2a)의 개폐를 행할 수가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우선 상기 고정구(26a)를 벗기고 각 부착 핀(26)을 아우터 레일(14)과의 고정을 해제하여 부착구멍(14e)으로부터 뽑아내고, 뒤이어 이너 레일(16) 및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함께 아우터 레일(14)로부터 떼어낸다. 또한 가이드 돌기(10) 부착의 시트(2)에 대신하여, 시트 드럼(5)에 심재 부착 시트(2a)를 부착하여 권취함과 함께, 상기 시트(2a)에 소정 간격마다 장착되는 복수의 심재(41) 및 접지부(12)측에 있는 심재(42)의 양단을 좌우의 아우터 레일(14)의 레일 홈(14b)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셔터(1)는, 시트(2a)를 시트 드럼(5)에 권취하고 최상승 위치에서 하강을 위한 대기 자세가 된다. 그리고, 시트 드럼(5)을 풀어냄 회전하면, 시트(2a)를 풀어내어 상기 최하위의 심재(42) 및 다음 수위의 심재(41 …)를 순차적으로 레일 홈(14b) 내에 하강 슬라이드시켜서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드럼(5)의 권취 회전에 의해 각 심재(41)를 아우터 레일(14) 내를 상승 슬라이드 시켜서 시트(2a)를 권취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심재(41, 42)는 어느 것이나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시트(2)의 심재 부착 위치에 형성된 심재 부착대(袋)(43)에 의해 삽입 지지되고, 또한 축단(軸端)에 장착한 롤러(44)를 통하여 레일 홈(14b)에 삽입하고 있다.
따라서 아우터 레일(14) 내에 이너 레일(16)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지주(3)로 이루어지는 시트 가이드는, 이너 레일(16)을 떼어냄에 의해 아우터 레일(14) 내에 시트 당김용의 횡방향의 심재(41)를, 지주(3)를 별개의 것으로 교환하는 일 없이, 간편하고 염가의 구성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상태와는 역으로 심재 부착의 시트(2a)를 구비하는 시트 셔터(1)를 가이드 돌기(10) 부착의 시트(2)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트(2a)를 시트(2)로 교환함과 함께, 아우터 레일(14)에 상기 이너 레일(16) 및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부가하는 것만의 간단한 변경 작업에 의해 행할 수 있다.
1 : 시트 셔터 2 : 시트
3 : 지주 4 : 시트 케이스
5 : 시트 드럼 10 : 가이드 돌기
11 : 시트 가이드부 14 : 아우터 레일
14a : 측벽 14c : 저벽
14d : 부착 홈 14e : 부착구멍
16 : 이너 레일 17 : 시트 복귀 가이드
19 : 중간벽 21 : 결합 가이드
22 : 이너 계지부 23 : 가이드벽
23b : 가이드 홈 24a : 훅 부
24b : 핀 홈 24 : 측벽
25 : 실 부재 26 : 부착 핀
26a : 고정구 26b : 헤드부
27a : 스페이서 27b : 와셔
28 : 스프링 29 : 스프링 좌석
29a : 유도면 30 : 받이좌석
31 : 복귀 홈 32 : 시트 스토퍼편
34 : 접속편 36 : 윤활 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시트(2)를 상하 방향으로 권취하고 풀어내는 시트 드럼(5)을 회전 자유롭게 횡방향으로 축지지하는 시트 케이스(4)와,
    상기 시트 케이스(4)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는 지주(3)와,
    상기 지주(3)에 고정되고 시트(2)를 승강 안내하는 시트 가이드부(11)를 구비한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에 있어서,
    시트 가이드부(11)를 좌우의 지주(3)의 수평 방향의 단면이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해방되어 전후 한 쌍의 측벽(14a)을 구비한 U자형의 단면의 아우터 레일(14)과,
    상기 아우터 레일(14)의 내면에 따라 수용되고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너 레일(16)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 레일(16)에 시트(2)의 양단에 부설된 가이드 돌기(10)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켜 수용하는 좌우 방향에서 내측으로 향한 결합 가이드(21)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아우터 레일(14) 내에, 전후의 측벽(24)을 구비한 중공의 이너 레일(16)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고, 또한 좌우의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견인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이너 레일(16)의 중도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과 외측을 구획하는 중간벽(19)을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간벽(19)의 내측 위치에 결합 가이드(21)를 형성하고, 중간벽(19)의 전후 양단의 외측 위치에 좌우 방향의 측벽(24)을 마련하고,
    상기 전후의 측벽(24, 24)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이너 계지부(22)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이너 계지부(22) 내에 가이드 돌기(10)를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견인하는 스프링(28)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벽(19)에 내측 방향으로 돌설되고, 가이드 돌기(10)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측으로 향한 훅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전후 한 쌍의 가이드벽(23, 23)에 의해 결합 가이드(21)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벽(23, 23)의 외측 양측의 기단부와 중간벽(19) 사이에 오목형상의 잘록부(19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너 레일(16)의 결합 가이드(21)로부터 벗겨진 시트(2)단을, 상기 시트(2)의 상승시에 결합 가이드(21) 내로 안내하여 복귀시키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이너 레일(16)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아우터 레일(14)의 전후 측벽(14a)의 외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저벽(14c)에 상하 방향에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착구멍(14e)을 마련하고,
    이너 레일(16)에 마련한 전후의 측벽(24)의 외측단에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훅 부(24a)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핀 홈(24b)을 형성하고,
    내측단에 헤드부(26b)를 구비한 복수의 부착 핀(26)을 상기 각 부착구멍(14e)과 핀 홈(24b)에 삽통함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에 이너 레일(16)을 부착하고,
    상기 이너 레일(16)의 측벽(24, 24)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이너 계지부(22) 내에는 상기 부착 핀(26)을 삽통시킨 상태에서 스프링(28)을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28)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이너 레일(16)이 탄력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7. 제 6항에 있어서,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내면과 스프링(28) 사이에는, 이너 레일(16)의 전후의 훅 부(24a, 24a)를 스프링(28)에 의해 상기 저벽(14c)에 탄력적으로 또한 이너 레일(16)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꽉 누르고, 적어도 상하 2개소에서 부착 핀(26)에 삽통되어 지지되는 상하 방향의 띠모양의 스프링 좌석(29)이 상하 방향의 복수 위치에 마련되고,
    각 스프링 좌석(29)의 하단은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내면에 대해 휘여지는 유도면(29a)이 형성되고,
    이너 레일(16)의 부착시에 상기 유도면(29a)의 안내에 의해 스프링 좌석(29)과 상기 저벽(14c)의 사이에 이너 레일(14)을 하측부터 삽입 가능한 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8. 제 6항에 있어서,
    하단에 이너 레일(16)의 상단과 접속되는 접속편(34)을 구비하고, 결합 가이드(21)와 이너 계지부(22)를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이너 레일(16)과 공통의 단면 형상이고,
    상기 접속편(34)에 의해 이너 레일(16)의 상단에 접속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를 마련하고, 상기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하단측에는 이너 레일(16)의 결합 가이드(21)로부터 벗겨진 상태로 상승하는 시트(2)의 가이드 돌기(10)를 결합 가이드(21) 내로 안내하여 복귀시키는 복귀 홈(31)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상단측에는 결합 가이드(21) 내로 노출하여 결합 가이드(21) 내를 승강하는 결합 돌기(10)에 대해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 부재(36)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10. 제 8항에 있어서,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외측단에 이너 레일(16)의 핀 홈(24b)과 동일한 핀 홈(24b)을 마련하고,
    시트 복귀 가이드(17) 내에 부착 핀(26)과 스프링(28) 및 스프링 좌석(29)을 수용하고,
    상기 부착 핀(26)에 의해 이너 레일(16)을 아우터 레일(14)측에 탄력적으로 압접되도록 부착하고, 이너 레일(16)의 부착시에 이너 레일(16)의 상단을 스프링 좌석(29)과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c)의 내면 사이에 하측부터 삽입 가능한 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KR1020100106553A 2009-11-06 2010-10-29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KR101326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5454 2009-11-06
JP2009255454A JP5394892B2 (ja) 2009-11-06 2009-11-06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
JP2010062026A JP5296729B2 (ja) 2010-03-18 2010-03-18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構造
JPJP-P-2010-062026 2010-03-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161A Division KR101363165B1 (ko) 2009-11-06 2013-07-09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66A true KR20110050366A (ko) 2011-05-13
KR101326365B1 KR101326365B1 (ko) 2013-11-11

Family

ID=439568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53A KR101326365B1 (ko) 2009-11-06 2010-10-29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KR1020130080161A KR101363165B1 (ko) 2009-11-06 2013-07-09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161A KR101363165B1 (ko) 2009-11-06 2013-07-09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62138B2 (ko)
KR (2) KR101326365B1 (ko)
CN (1) CN102052049B (ko)
TW (1) TWI49971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655A (ko) * 2016-12-29 2018-07-09 이원재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KR102540282B1 (ko) * 2022-08-26 2023-06-07 주식회사 선일기업 화재에 의한 변형에도 작동하는 가이드 레일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15318C (en) 2009-10-26 2018-03-27 Rajiva Dwarka Architectural apparatus and method
TWI499713B (zh) * 2009-11-06 2015-09-11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薄片活動遮門的薄片導引
WO2011156395A1 (en) * 2010-06-08 2011-12-15 Hunter Douglas Inc. A unitary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fenestration, providing dynamic solar heat gain control
US9347258B2 (en) 2011-05-11 2016-05-24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20130068400A1 (en) * 2011-05-11 2013-03-21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20170009524A1 (en) * 2011-05-11 2017-01-12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and enhanced stiffeners
US20160319593A1 (en) * 2011-05-11 2016-11-03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JP2013036254A (ja) * 2011-08-09 2013-02-21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
CN102364026B (zh) * 2011-10-29 2013-06-19 无锡捷阳节能科技有限公司 可自动修复的快卷门导轨、滑块结构
US9309717B2 (en) * 2011-11-03 2016-04-12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Powered safety curtains
US9388634B2 (en) * 2011-11-03 2016-07-12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Powered safety curtains
US20130255893A1 (en) * 2012-01-10 2013-10-03 Jochen Stöbich Fire and Smoke Protection System
US9249621B2 (en) 2012-01-18 2016-02-02 Rajiva A. Dwarka Coil brush curtain assembly
CA2823025C (en) * 2012-08-09 2019-12-31 Freedom Screens Of Australia Pty Ltd. Roller assembly and guide for a retractable screen
US20140262076A1 (en) * 2013-03-15 2014-09-18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Stop for guide rails on a blackout curtain or shade
US9493984B2 (en) 2013-04-12 2016-11-15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retain and refeed door curtains
US9222304B2 (en) * 2013-04-12 2015-12-29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retain and refeed door curtains
US9303448B2 (en) * 2013-10-23 2016-04-05 Zachary Dax Olkin Flood shield systems and methods
US9458666B2 (en) * 2014-02-27 2016-10-04 Michael Murray Tension adjustable retractable screen assembly
CN103867106B (zh) * 2014-03-20 2017-02-08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抗风机构
CN103850632B (zh) * 2014-03-20 2017-01-04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防脱落机构
JP6228504B2 (ja) * 2014-04-11 2017-11-08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14203018B2 (en) 2014-06-03 2019-07-18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Apparatus for retaining a blind, and blind assembly
ES2561905B1 (es) * 2014-08-29 2016-11-16 Amiserru, S.L. Cerramiento modular
AU2014268200A1 (en) 2014-11-26 2016-06-09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Mounting arrangement
KR200485910Y1 (ko) 2016-01-26 2018-03-09 비엠피코리아(주)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ES2580553B1 (es) * 2016-02-09 2017-02-13 Iaso, S.A. Cuerpo de guía para elementos deslizantes laminares
AU201616687S (en) 2016-11-30 2017-01-03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Drawbar for a screen or blind
CA3056183A1 (en) * 2017-05-31 2018-12-06 Seuster Kg Roll-up door
WO2019173880A1 (en) 2018-03-16 2019-09-19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Draw bar and brake arrangement for a draw bar
FR3087816B1 (fr) * 2018-10-28 2022-07-22 Gregoire Hilpert Dispositif de guidage de store et stores equipes d’un tel dispositif
CA3135634A1 (en) * 2019-04-03 2020-10-08 Michael Heissenberg Retractable screen with tensioning track
US11634936B2 (en) 2020-02-07 2023-04-25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Switch arrangements for powered doors
IT202000006523A1 (it) * 2020-03-27 2021-09-27 Bmpeurope S R L Telo di una porta avvolgibile a scorrimento verticale, provvisto di una tenuta d'aria laterale
USD918619S1 (en) * 2020-04-29 2021-05-11 Foshan Bestwyll Auto Accessories Co., Ltd Roller shade
CN111550170A (zh) * 2020-06-22 2020-08-18 窦晓梅 一种百叶窗的消声固定装置
IT202000015088A1 (it) * 2020-06-23 2021-12-23 Bmpeurope S R L Porta avvolgibile a scorrimento rapido comprendente una zona di ricovero superiore per accogliere un telaio flessibile nella configurazione aperta della porta
EP4182534A1 (en) * 2020-07-14 2023-05-24 Rytec Corporation Door assembly side column configuration
USD1005734S1 (en) * 2023-06-14 2023-11-28 Foshan Baitai Auto Accessories Co., Ltd Roller blind
USD1006489S1 (en) * 2023-06-16 2023-12-05 Foshan Baitai Auto Accessories Co., Ltd Roller blind
USD1006490S1 (en) * 2023-06-25 2023-12-05 Foshan Baitai Auto Accessories Co., Ltd Roller blind track
USD1026249S1 (en) * 2023-11-08 2024-05-07 Shenzhen Leiwang Technology Co., LTD. Shutter doo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8716E (en) * 1933-01-17 Plaster-channel installation for screen guides
US1786054A (en) * 1927-02-19 1930-12-23 Rolscreen Co Roller-screen structure
US1694314A (en) * 1927-02-19 1928-12-04 Rolscreen Co Guide-track for screen construction
US1779646A (en) * 1928-07-02 1930-10-28 Higgin Mfg Co Reseating device for roll closures
BE906022A (fr) * 1986-12-23 1987-04-16 Coenraets B J Dispositif a volet.
BE1004897A3 (fr) * 1991-05-24 1993-02-16 Coenraets Benoit Dispositif de fermeture, de separation ou de couverture.
FR2696498B1 (fr) * 1992-10-02 1994-11-25 Nergeco Sa Porte de manutention à rideau souple résistant au vent.
JPH0725197U (ja) * 1993-10-12 1995-05-12 小松電機産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におけるシートガイド
JP3774884B2 (ja) 2000-01-26 2006-05-17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構造
US6637160B2 (en) * 2001-07-10 2003-10-28 Bob Brooks Telescopic enclosure
BE1014506A3 (fr) * 2001-12-03 2003-11-04 Dynaco Internat Dispositif a volet avec element de reintroduction.
BE1014712A3 (fr) * 2002-03-20 2004-03-02 Dynaco Internat Dispositif a volet presentant des bords lateraux flexibles
BE1014713A3 (fr) 2002-03-20 2004-03-02 Dynaco Internat Dispositif a volet perfectionne.
JP3996538B2 (ja) 2003-03-27 2007-10-24 小松電機産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の接地部構造
JP4109573B2 (ja) * 2003-05-21 2008-07-02 セイキ販売株式会社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CA2446648C (en) * 2003-07-10 2005-03-29 Tnr Industrial Doors Inc. Roll-up flexible door and guides therefor
US6942003B2 (en) * 2003-07-25 2005-09-13 Service Door Industries Limited Roll-up door curtain and guides and bottom bar therefor
CN1580479B (zh) * 2003-08-12 2010-06-23 三和控股株式会社 薄板卷帘门装置
JP4269265B2 (ja) 2003-08-12 2009-05-27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ヤッター装置
JP2008007973A (ja) 2006-06-27 2008-01-17 Sanwa Shutter Corp シートシャッターにおける検知装置
AU2010100720B4 (en) * 2009-10-29 2011-09-08 Acmeda Pty Ltd A blind system
TWI499713B (zh) * 2009-11-06 2015-09-11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薄片活動遮門的薄片導引
US8291960B2 (en) * 2010-04-15 2012-10-23 Tnr Industrial Doors Inc. Pivoting bottom bar for roll-up door
TW201241297A (en) * 2011-04-06 2012-10-16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Sheet shu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655A (ko) * 2016-12-29 2018-07-09 이원재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KR102540282B1 (ko) * 2022-08-26 2023-06-07 주식회사 선일기업 화재에 의한 변형에도 작동하는 가이드 레일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8214A1 (en) 2011-05-12
KR101326365B1 (ko) 2013-11-11
KR101363165B1 (ko) 2014-02-13
TW201135042A (en) 2011-10-16
KR20130087458A (ko) 2013-08-06
TWI499713B (zh) 2015-09-11
CN102052049B (zh) 2014-09-17
US8662138B2 (en) 2014-03-04
CN102052049A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65B1 (ko)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KR101853499B1 (ko) 시트 셔터
US10920488B2 (en) Roll screen device
US20080005971A1 (en) Single Rail No Pulley Window Regulator
KR20060009940A (ko) 권취식 스크린 장치
US7108038B2 (en) Cord tensioner
JP2005530062A (ja) 可撓性側方縁部を有するシャッタ装置
US8028377B2 (en) Shoe support terminal connection for block and tackle balance
JP5394892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
US20190234142A1 (en) Chain for a screen device
US10563455B2 (en) Locking mechanism for cord of window covering
US8905115B2 (en) Blind cord winder integrating with stopping control
JP4250565B2 (ja)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KR20130018472A (ko) 시트 셔터
JP5296729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構造
EP3049604B1 (en) Element for moving mosquito nets, curtains and the like
US20160177624A1 (en) Low headroom curtain riser for a roll-up door, and roll-up door using the same
JP5246832B2 (ja) 手動操作式シャッターにおけるロック機構
EP1447516B1 (en) Cord tensioner
KR100636988B1 (ko) 미닫이문
JP2019060074A5 (ko)
JP4150657B2 (ja) 横引き収納式網戸
JP2008196253A (ja) 開閉装置、および開閉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EP1781886B1 (en) Improved rolling mosquito net provided with foldaway guides
KR200360453Y1 (ko) 미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