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472A - 시트 셔터 - Google Patents

시트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472A
KR20130018472A KR1020120003735A KR20120003735A KR20130018472A KR 20130018472 A KR20130018472 A KR 20130018472A KR 1020120003735 A KR1020120003735 A KR 1020120003735A KR 20120003735 A KR20120003735 A KR 20120003735A KR 20130018472 A KR20130018472 A KR 20130018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ail
core
guid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641B1 (ko
Inventor
아키오 코마츠
히토유키 아다치
요시아키 호리에
타케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마츠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4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셔터의 시트의 외력에 의한 시트 벗겨짐과, 벗겨진 시트의 시트 가이드로의 복귀를 무리 없이 원활히 행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시트 셔터는, 가로방향의 복수의 심재(10)를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시트(2)와, 그 시트(2)를 상하 방향으로 권취하며 풀어내는 시트 드럼(5)을 수용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가로방향의 시트 케이스(4)와, 그 시트 케이스(4)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는 지주(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의 지주(3)의 내측에 있으며 시트 가이드부(12)를 구성하는 이너 레일(16) 내에서, 상기 심재(10)의 좌우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시트 셔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너 레일(16) 내의 레일 홈(16c)의 전후의 측벽(16a, 16a)의 좌우 방향의 중도부에, 홈 내로 돌출하고 탄력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변형이동 가능한 규제부(16e)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일 홈(16c) 내에 삽입되는 심재(10)의 좌우 양단에 돌설한 가이드 돌기(11)를 상기 레일 홈(16c)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1)가, 상기 규제부(16)에 계지되어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가이드 돌기(11)에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한 때에 상기 가이드 돌기(11)의 계지가, 탄력적으로 벗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셔터{SHEET SHUTTER}
본 발명은, 공장이나 창고 등 건물의 출입구나 칸막이 부분 및 각종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시트 셔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이나 창고 등 건물의 출입구나 칸막이 부분에 설치되고, 시트 폭방향의 직선성을 갖는 복수의 심재(心材)를 설치한 시트를 권취와 함께, 시트를 조출하는 시트 드럼을 내장하는 시트 케이스와, 그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고 좌우 내측 개소에 가이드 레일(이너 레일)을 구성한 지주를 마련하고, 상기 각 심재의 양단을 가이드 레일(이너 레일)에 삽입하여 승강 가이드를 하는 게이트형상의 시트 셔터는 주지이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에 심재를 삽입할 때에, 심재의 양단에 롤러(가이드 돌기)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한 심재 지지구를 부착하고, 그 심재 지지구 및 롤러를 통하여 심재를 승강 가이드하여, 시트를 승강하는 시트 셔터도 이미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시트 셔터는, 시트의 좌우 이동을 규제함과 함께, 시트가 바람을 받을 때 심재가 쉽게 벗겨지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를 갖는 심재 지지구를 가이드 레일 내에 깊게 삽입하여 내풍압 성능을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시트가 강풍 등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강한 가압 부하를 받는 경우에, 심재 자신의 휨을 억제하면서 심재 지지구를 크게 휘도록 함에 의해, 심재를 가이드 레일로부터 벗겨지게 하여 이탈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특개2008-190255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서 나타나는 시트 셔터는, 심재 양단을 가이드 레일에 직접 삽입하는 일 없이 롤러를 통하여 삽입하기 때문에, 심재의 활주 저항을 억제하고 권취 조출(繰出)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심재는 롤러를 축지지하는 파단 강도가 약한 심재 지지구를 가이드 레일에 깊게 삽입하고 있어서,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강한 부하를 받은 경우에, 오로지 심재 지지구를 크게 휘게 하여 가이드 레일로부터 벗겨져 이탈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심재 지지구가 구부림 변형이 생긴다. 그래서, 심재 지지구가 변형된 경우에는, 전후 방향의 밀어 움직임 부하의 변동에 대해 적정하게 휠 수가 없어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심재의 이탈을 방해하는 결과, 심재 및 가이드 레일과 고정된 관련 부재 등이 손상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은, 가로방향의 복수의 심재(10)를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시트(2)와, 그 시트(2)를 상하 방향에 권취하며 풀어내는 시트 드럼(5)을 수용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가로방향의 시트 케이스(4)와, 그 시트 케이스(4)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는 지주(3)를 구비하고, 좌우의 지주(3)의 내측에 있으며 시트 가이드부(12)를 구성하는 이너 레일(16) 내에서, 상기 심재(10)의 좌우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시트 셔터에 있어서, 상기 이너 레일(16) 내의 레일 홈(16c)의 전후의 측벽(16a, 16a)의 좌우 방향의 중도부에, 홈 내로 돌출하고 탄력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변형이동 가능한 규제부(16e)를 마련하고, 레일 홈(16c) 내에 삽입되는 심재(10)의 좌우 양단에 돌설한 가이드 돌기(11)를 상기 레일 홈(16c)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1)가, 상기 규제부(16).에 계지되어 안으로 향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가이드 돌기(11)에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한 때에 상기 가이드 돌기(11)의 계지가, 탄력적으로 벗겨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는, 전후의 측벽(16a, 16a)의 안으로 향하는 개구단부터 규제부(16e)를 향하여 레일 홈(16c)의 전후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사면형상(斜面狀)의 안내벽(16f, 16f)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은, 이너 레일(16)을, 지주(3)측에 마련된 아우터 레일(14) 내에 삽입하여 부착하고, 이너 레일(16)의 전후의 측벽(16a, 16a)을, 규제부(16e)의 외측단측(外側端側)에서 저벽(16b)에 의해 접속함에 의해 이너 레일(16)을 안으로 향하는 ㄷ자형상의 단면(斷面)으로 형성하고,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이너 레일(16)을 측벽(16a, 16a)의 개구단에 형성한 계합부(16d, 16d)와, 저벽(16b)으로 지지시켜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는, 심재(10)를 전후 방향으로 탄력성을 갖게 하는 세로로 기다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함과 함께, 가이드 돌기(11)를 심재(10)의 전후폭보다 전후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5는, 심재(10)의 좌우단에 심재(10)와 같은 방향의 축심을 갖는 롤러형상의 가이드 돌기(11)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함과 함께, 그 가이드 돌기(11)의 내측 가까이의 코너부에 소반경(小半徑)의 아르형상의 모따기부(11a)와, 외측 가까이의 코너부에 대반경(大半徑)의 아르형상의 모따기부(11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6은, 심재(10)의 양단에, 가이드 돌기(11)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축지지 볼트(25)에 의해 와셔(26)를 통하여 체결장착하고, 심재(10)의 단면 중심부에 원형의 통과구멍(24)을 형성하고, 심재(10)의 단면의 통과구멍(24)의 상하에 시트(2)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홈(22, 22)을 형성하고, 와셔(26)의 외형을 심재(10)의 단면 형상과 개략 같은 형상으로 하고, 심재의 중심부에 축지지 볼트(25)의 나사부를 삽입하는 볼트구멍(26a)을, 그 볼트구멍(26a)의 상하에 시트 부착 홈(22, 22) 내에 삽입되는 돌기(26b, 26b)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심재(10) 단면의 시트 부착 홈(22, 22) 내에 와셔(26)의 돌기(26b, 26b)를 계합시키고, 통과구멍(24)에 축지지 볼트(25)를 비틀어 넣어 와셔(26)를 체결장착함에 의해, 심재(10)의 단면에 가이드 돌기(11)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의 승강에 수반하여 심재가 크게 휘는 일 없이 가이드 돌기를 안으로 향하여 이동시킬 때, 가이드 돌기를 규제부에 맞닿게 함에 의해 안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여 승강 가이드를 하기 때문에, 시트의 통상 승강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심재가 전후 방향의(시트 가이드에 대해서는 안으로 향하는) 과대한 부하에 의해 크게 휠 때, 심재는 가이드 돌기를 기울어지게 하면서 규제부를 탄력적으로 밀어 열어서 넘게 함에 의해, 이너 레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하기 때문에, 심재 및 이너 레일과 고정된 관련 부재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갈 때에 있어서, 안내벽이 개구부측을 향하여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감 방향의 저항을 작게 하여 안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함께, 가이드 돌기의 역향(逆向)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이너 레일에 대한 가이드 돌기의 빠져나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항의 발명에 의하면, 이너 레일을 아우터 레일에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측벽의 중도부에 일체적으로 돌설시키는 규제부의 전후 방향의 탄력적인 변형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에 의하면, 전후 방향의 큰 부하를 받을 때 심재는, 세로로 기다란 형상의 단면 형상에 의해 상하 방향의 휨을 억제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돌출한 가이드 돌기를 지점(支點)으로 전후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과대 부하에 대한 완충 작용을 행하여 시트의 승강을 원활하게 한다.
청구항 제 5항의 발명에 의하면, 롤러형상의 가이드 돌기는, 시트의 승강시에 이너 레일의 레일 홈 내에서 측벽에 맞닿아서 회전하기 때문에 승강 가이드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심재가 전후 방향으로 휠 때, 규제부에 대해 가이드 돌기의 작은 모따기부가 계합하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의 쉬운 빠져나감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승강 가이드를 행한다. 또한 심재가 크게 휘어져 가이드 돌기가 기울어질 때, 큰 모따기부에 의해 측벽과의 강한 접촉을 회피하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 및 측벽 등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심재의 이탈 및 리셋을 하기 쉽게 한다.
청구항 제 6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기와 시트 부착 홈과의 계합에 의해, 심재의 단면에 대한 와셔의 위치 결정과 회전 멈춤을 행하고, 축지지 볼트에 의한 가이드 돌기의 부착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제 등의 심재에 대해 가이드 돌기를 축지지 볼트에 의해 부착할 때에, 와셔에 의해 심재 단면을 보호하기 때문에 심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발명이 적용된 시트 셔터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시트 셔터의 지주에 제어반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아우터 레일과 이너 레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심재와 가이드 돌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심재와 가이드 돌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심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이너 레일에 심재를 수납하는 작업의 상태를 도시하는 작업 정면도.
도 11은 이너 레일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셔터의 전체 정면도이다. 부호 1은 주로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형상의 시트 셔터이고, 셔터용의 시트(2)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여 상하 방향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로서 구성되는 지주(사이드 프레임)(3)와, 시트(2)의 개폐기구를 내장하는 통형상의 시트 케이스(4) 등에 의해 게이트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3)는 건물의 출입구에 구성되는 기둥이나 벽에 따르게 하여 부착 고정된다. 시트 케이스(4)는 건물의 들보 또는 벽면 등의 설치부에 따라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지주(3)에 재치한 상태로 맞붙여진다.
도시하는 시트 셔터(1)는, 시트 케이스(4)의 양측을, 그 지주(3)의 상부 외측의 부착 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좌우의 지주(3, 3)에 재치하여 부착된다. 또한 시트 케이스(4)의 내부에 셔터 개폐기구로서 시트 드럼(조출 장치)(5)를 내부에 갖고 있고, 시트 드럼(5)의 정역 회전에 의해 시트(2)의 권취 및 조출을 행한다. 시트(2)는, 좌우의 지주(3)에 마련된 시트 가이드에 좌우 양측변을 승강 슬라이드 하도록 안내되고, 이 시트(2)의 승강 동작에 의해 출입구의 개폐를 행한다.
우선 시트 셔터(1)의 전체 구성에 관해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시트 케이스(4)는, 측단면으로 보아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성형된 케이스 본체(6)의 양측에, 단판(端板)(6a, 6b)을 착탈 자유롭게 부착함에 의해 중공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한다. 케이스 내에는, 좌우의 단판(6a, 6b)에 의해 자신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중공 원통상의 시트 드럼(5)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6)의 하면 뒷부분에는, 좌우의 지주(3)의 상단측이 임하는 개구부(6c)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6c)를 통하여, 시트 케이스(4)로부터의 시트(2)의 출입이 가능해진다.
케이스 본체(6)의 좌우 일방측(도시한 예에서는 우측)의 단판(6a)의 내측면에는, 시트 케이스(4) 내에 수용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원주 형상의 모터(7)의 일단측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모터(7)는 구동축에 바퀴형상의 구동체(8)를 축지지하고 있고, 그 구동체(8)를 시트 드럼(5)의 내면에 스플라인 감합(嵌合)시킴에 의해 시트 드럼(5)을 정역 회전시킨다.
케이스 본체(6)의 좌우 타방측(도시한 예에서는 좌측)의 단판(6b)은, 케이스 본체(6)의 그 타방측의 개방단을 폐쇄하도록 부착되고, 시트 드럼(5)의 그 타방측 단부에 부착되는 부착판(8a)의 지축(8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트 드럼(5)은, 시트 케이스(4) 내에 수평으로 축지지되고, 모터(7)의 정역 회전에 수반하여 시트(2)의 조출 하강과, 권취 상승에 의해 건물의 출입구의 개폐를 행한다.
또한 시트(2)의 개폐 작동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제어반(셔터 전장품)(9)이 구비하는 각종 조작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부(9a)의 수동 조작 지령, 및 통과체를 검지하는 검지부(9b)의 검지 지령 등에 의거한 모터(7)의 정역 회전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제어반(9)은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지주(3)의 내부에 취출 가능하게 수납하여 설치되어 있다.
시트(2)는, 투광성 및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장방형의 막체(幕體)로 이루어지고, 조출측의 상단이 시트 드럼(5)의 둘레면에 풀어냄 가능하게 휘감겨진다. 도시한 시트(2)는, 시트 폭방향의 직선성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심재(10)를 재래의 것과 마찬가지의 심재 설치 간격을 갖고서 시트 조출 방향으로 구비하고 있고, 그 심재(10)의 양단에 가이드 돌기(11)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2)는, 좌우의 지주(3, 3)에 서로 대향하는 면(대향면)측에 마련되는 시트 가이드부(12)에, 심재(10)를 통하여 좌우의 가이드 돌기(11)를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시켜서 수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트(2)는, 좌우의 지주(3, 3)의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로 원활하게 승강된다.
이 시트 셔터(1)는 지면 또는 바닥면 등의 접지면에 접지하는데, 시트(2)를 바닥면에 착지할 때까지 최 하강시켜서 시트 셔터(1)를 닫을 때, 기밀성을 유지하여 그 접지면에 접지시키는 접지부(13)가, 시트(2)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접지부(13)는 중량 구조의 심재부로 함에 의해 웨이트부를 겸하고 있고, 시트(2)를 웨이트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긴장 상태로 늘려 전개 시킨다.
지주(3)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내측단의 벽인 내측벽(3a)과, 좌우 외측단의 벽인 외측벽(3b)과, 양자를 전후에서 접속하는 접속벽인 정면측벽(3c)과 배면측벽(3d)에 의해, 수평 단면으로 4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각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지주(3)의 내측벽(3a)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벽(3b)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수평 단면이 U자 형상으로, 상하 방향의 아우터 레일(1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우터 레일(14)이, 전후의 측벽(14a, 14a)과, 이 전후의 측벽(14a, 14a)의 좌우 외측단끼리를 연접(連接)하는 저벽(14b)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각 지주(3)의 대향면측에는, 좌우 내측이 개방된 상하 방향의 레일 홈(14c)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전후의 측면(14a, 14a)의 서로 대향하는 면(홈 내면)과, 저벽(14b)의 좌우 내측면(저면)에 의해, 평단면으로 보아 좌우 외측이 닫혀져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레일 홈(1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일 홈(14c) 내에는, 후술하는 레일 홈(16c)을 갖는 이너 레일(16)과, 그 이너 레일(16)의 상부에 접속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일 홈(14c)의 상하 방향 단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측벽(14a, 14a)의 좌우 내측 단부로부터는, 서로 전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 단면으로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하 방향의 내측 홈벽(대향벽)(14d)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아우터 레일(14)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내측 홈벽(14d, 14d)의 사이에, 레일 홈(14c)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레일 홈(14c)의 개방측에 전후 한 쌍의 내측 홈벽(14d, 14d)이 마주 보고 있다.
측벽(14a, 14a)은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홈벽(14d, 14d)의 지주(3)의 중심측으로의 돌출에 의해 상하 방향의 훅 벽(14f)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훅 벽(14f)을 통하여, 이너 레일(16)을 계합시키는 계합 홈벽(14g, 14g)과, 이너 레일(16)의 측벽(16a, 16a)의 전후 방향으로의 벌어짐 작동을 허용하는 중간벽(14h, 14h)과, 이너 레일(16)을 측벽(16a, 16a)에 접촉시켜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유동)을 규제하는 규제벽(14j, 14j)이 일련(一連)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홈벽(14d, 14d)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홈 폭(개구부 폭)에 대해, 중간벽(14h, 14h)의 사이의 홈 폭과 규제벽(14j, 14j)의 사이의 홈 폭을 순차적으로 작게 하여, 규제벽(14j, 14j)의 외측 단부를 저벽(14b)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 레일(14)은 레일 홈(14c) 내에의 삽입 및 위치 결정을 행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내측 홈벽(14d, 14d)과 중간벽(14h, 14h)의 사이에서, 계합 홈벽(14g, 14g)의 사이에 형성된 계합 홈(14k)은 가장 큰 홈 폭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그 계합 홈(14k)을 통한 이너 레일(16)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또한 레일 홈(14c)의 전후의 측벽(14a)은, 수평 단면으로 지주(3)의 중심측으로 늘어나는 연결벽(3e)에 의해, 전후의 접속벽(3c, 3d)과 각각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즉, 지주(3)의 전후의 내측벽(3a, 3a)과, 지주(3) 내의 전후의 연결벽(3e, 3e)이, 아우터 레일(14)에 의해 접속되도록, 그 아우터 레일(14)이 내측벽(3a) 및 연결벽(3e)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정의 굵기 이하로 설치할 것이 요구되는 지주(3)에 대해, 그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큰 부하를 받는 아우터 레일(14)을 특별히 두껍게 하는 일 없이, 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우터 레일(14) 및 연결벽(3e)의 단면 형상을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함에 의해 기둥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지주(3)의 굵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경량화와 제조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일(14)은, 지주(3) 내의 좌우 내측 가까이에 위치하여, 그 지주(3) 내의 수평 단면내의 2분의 1 이내의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수평 단면의 크기가 제약된 지주(3) 내에, 제어반(9) 및 조작부(9a) 등의 전장품이나 다른 부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하는 다목적의 지주 내 스페이스(수납 스페이스)를 확보한다.
또한,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3)의 외측벽(3b)과 지주(3) 내의 연결벽(3e, 3e) 및 저벽(14b)으로 싸여진 공간은, 배선 스페이스(3g)로서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저벽(14b)의 전후단과 접속벽(3c, 3d)의 내면에는 서로 마주대향하도록 상하 방향의 리브형상의 돌기부(14m, 3f)가 돌설하여 형성된다. 이 한 쌍의 돌기부(14m, 3f)에 의해, 하니스 등이 배선 스페이스(3g) 내에 위치 결정 수납할 수 있는 외에, 그 리브 구조에 의해 지주(3)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주(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배선 스페이스(3g)의 앞측면의 접속벽(3c)의 일부를 개구시켜서 상하 방향의 지주 개구부(3h)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지주 개구부(3h)는, 지주(3)의 전체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주 스페이스(31)의 다목적 이용을 행하기 쉽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벽(3c)에서의 지주 개구부(3h)의 좌우 양단측에, 지주(3) 내로 돌출하는 리브형상의 개구연(3j)을 각각 일체 형성한다. 그리고 두께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지고 또한 지주(3) 방향으로 띠모양으로 늘어나는 판형상 부재인 덮개 커버(15)의 좌우 양단부에, 지주(3) 내로 돌출한 계지편(15a, 15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한 쌍의 계지편(15a, 15a)을, 상기한 한 쌍의 개구연(3j, 3j)에 각각 결합 이탈 자유롭게 계합시킨다. 이 구조에 의해, 덮개 커버(15)를 지주 개구부(3h) 감입(嵌入)하여, 지주 개구부(3h)를 폐색한다. 상기 양자의 계합을 해제함에 의해, 지주 개구부(3h)를 개방시킨다.
또한 지주(3)는 배면측벽(3d)의 좌우 중도부에,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용의 볼트(18)를 삽입하는 볼트구멍(18a)이, 지주(3)의 전체 길이 방향에 따라서, 복수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커버(15)가 벗겨져서 개방된 지주 개구부(3h)로부터, 볼트(18)를 지주(3) 내에 넣고, 그 볼트(18)를, 볼트구멍(18a) 및 본 시트 셔터(1)를 설치하는 건축물 등에 삽입하고, 체결장착시킴에 의해, 지주(3)의 고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주(3)는, 재래의 알루미늄제의 지주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재의 인발 또는 압출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덮개 커버(15)는 합성 수지제의 띠모양 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후술하는 조작부(9a)가 기둥 중도에 설치된 상하의 지주 개구부(3h)의 길이에 응한 치수로 절단하여 외관 좋게 덮개를 씌울 수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너 레일(16)에 관해 설명한다.
이너 레일(16)은, 아우터 레일(14)의 레일 홈(14c)의 전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너 레일(16)은 수평 단면으로 레일 홈(14c) 내에 감삽(嵌揷)되도록, 전후의 측벽(16a, 16a)과 홈 속측에서 측벽(16a, 16a)의 c) 좌우 외측단끼리를 연접하는 저벽(14b)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이너 레일(16)에는, 좌우 내측이 개방된 상하 방향의 레일 홈(16c)이 형성되어 있다. 즉 레일 홈(16c)은, 전후의 측면(16a, 16a)의 서로 대향하는 면(홈 측면)과, 저벽(16b)의 홈 저면에 의해, 수평 단면으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ㄷ자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한 이너 레일(16)은, 내마모성과, 어느 정도의 탄력성·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너 레일(16)의 측벽(16a, 16a)은, 그 개방단에 아우터 레일(14)의 내측 홈벽(14d, 14d)에 감합하는 수평 단면으로 ㄷ자형상의 계합부(16d, 16d)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레일 홈(16c)을 형성하는 전후의 측벽(16a, 16a)에는, 홈 깊이의 중간 위치에, 홈 내에 산형(山形)으로 돌출하는 규제부(16e)를 마련하고, 홈 속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1)를 결합 이탈할 수 있도록 계합하고, 그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16a, 16a)은 상기 내측 단(개구부)으로부터 규제부(16e)를 향하여 레일 홈(16c)을 서서히 수속시키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벽(16f, 16f)과, 규제부(16e)의 인접부로부터 서로 평행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늘어나고 저벽(16b)과 접속한 레일벽(16g, 16g)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이너 레일(16)은 아우터 레일(14) 내에 그 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맞붙여진다. 즉, 아우터 레일(14)의 규제벽(14j, 14j)의 사이에 이너 레일(16)의 레일벽(16g, 16g)을 수용함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흔들림)을 규제하고, 저벽(16b)을 아우터 레일(14)의 저벽(14b)에 맞대임 또는 근접시킬 때까지 감입한다. 이 때 이너 레일(16)의 개구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삽입한 계합부(16d, 16d)의 가압을 해제함에 의해 내측 홈벽(14d, 14d)에 감입하여 계합시킨다. 상기 맞붙임에 의해 이너 레일(16)은, 아우터 레일(14)을 통하여 계합부(16d, 16d)의 계합에 의해 개구부의 지지와 좌우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또한 저벽(16b)측의 전후 방향의 이동(흔들림)을 규제한 상태로 시트 가이드부(1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일(14)의 전후 양 벽의 내측과 이너 레일(16)의 전후 양 벽과의 사이에는, 규제부(16e, 16e)의 전후 방향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여 측벽(16a, 16a)을 휘게 하기 위한 홈 공간(16h)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규제부(16e)와 저벽(16b)과의 사이에 형성된 레일벽(16g, 16g)은,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내삽되는 가이드 돌기(11)를, 규제부(16e)로부터 5밀리 정도의 간격을 마련함과 함께, 저벽(16b)으로부터 10밀리 정도 떨어진 위치를 표준 위치로 하고 있고, 가이드 돌기(11)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너 레일(16) 내에는, 시트(2)의 심재(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 돌기(11)를 가공 및 맞붙임 오차 등의 범위에서 좌우 이동이 허용되고, 또한 전후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수납된다. 그리고, 이너 레일(16)에 가이드 돌기(11) 및 심재(10)를 통하여 지지된 시트(2)는, 좌우 및 전후의 흔들림이 규제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시트 가이드 기구는, 심재(10)가 전후 방향의 큰 부하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휘고, 또한 가이드 돌기(11)가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기울어져서, 규제부(16e)를 밀어 움직이면서 넘어서 레일 홈(16c)으로부터 지주(3)의 내측방향에 빠져나갈 때에는, 심재(10) 및 가이드 돌기(11) 및 이너 레일(16)에 대해 과대한 부하를 주는 일 없고, 가이드 돌기(11)의 빠져나감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심재(10)의 휨에 의해 가이드 돌기(11)가 크게 기울어지면서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가이드 돌기(11)가 규제부(16e)를 타고 넘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측벽(16a, 16a)은 전후 양측으로 밀려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한다. 이 때 측벽(16a, 16a)은, 그 양측에 상기 홈 공간(16h)이 있기 때문에 아우터 레일(14)에 의해 방해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탄성 변형한다. 또한, 측벽(16a, 16a)은, 전체에 걸쳐서 두께가 개략 일정이고, 서로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만곡 또는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변형에 의해, 규제부(16e, 16e)의 홈 간격을 탄력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 레일(16)에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6a, 16a)의 개구부(홈구 측)에 실(seal;19)을 설치한 개미 홈형상의 부착 홈(21)이 상하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19)은, 재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내마모성과 어느 정도의 탄력성과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19, 19)은, 시트(2)를 전후에서 협지하도록 탄력적으로 접하고, 빗물이나 바람의 침입을 규제한다.
한편, 상기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이미 알려진 이너 레일(16)과 동형의 단면 구조의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역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복귀 가이드(17)는, 아우터 레일(14) 내에서 이너 레일(16)의 상부에, 그 레일 홈끼리가 맞겹치도록 접속되는 연직 방향의 복귀 레일부(17a)와, 그 복귀 레일부(17a)의 상부로부터 안으로 향하여 절곡하는 시트 스토퍼편(17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복귀 레일부(17a) 내의 중도에는, 벗겨진 상태의 시트(2)를 권취하면서 레일 홈 내로 도입하여 복귀시키는 복귀 가이드부(17c)를 개구하고 있다. 시트 스토퍼편(17b)은, 시트 드럼(5)에 권취되는 시트(2)가 오버런하는 경우에, 시트(2)의 하부에 돌설한 스토퍼(13a)를 맞닿게 하여 오버런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 4,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시트(2) 및 심재(10) 등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시트(2)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심재(10, 10)의 간격마다 분할 형성한 시트편(2a)을, 인접한 심재(10)의 상하변에 따라서 형성한 시트 부착 홈(22)을 통하여 접속함에 의해, 단일한 시트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재(10)는, 측면으로 보아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사각형 또는 타원형상에 의한 세로로 기다란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전후 방향의 탄성을 크게 하여 휘기 쉽게 하고, 또한 상하 방향의 휨을 억제한다. 그리고, 시트(2)의 승강을 원활하게 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가하여지는 과대 부하에 대해서는 탄력적인 휨에 의해 이를 받아 낸다. 이를 위해 도시하는 심재(10)는, 후술하는 각종의 구멍을 심재 방향으로 마련함과 함께, 알루미늄제의 지주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재의 인발 또는 압출 가공에 의해, 보다 경량화와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심재(10)는 알루미늄재 외에 합성 수지재에 의해서도 제작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소형의 시트 셔터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심재(1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변에 따라서 개미 홈 형상 단면의 시트 부착 홈(22, 22)을 형성하고, 또한 시트 부착 홈(22, 22)의 사이에서 상하에 이형(異形)의 중공구멍(23, 23)와, 단면 중심부에 원형의 통과구멍(2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1)의 설치는, 심재(10)의 통과구멍(24)을 이용하여 그 양단에 축지지 볼트(25)의 나사부를 비틀어 넣음으로서, 그 축지지 볼트(25)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가이드 돌기(11)를 부착한다.
이 때에, 심재(10)의 양단에는 그 심재(10)의 단면 외형과 같은 형상의 와셔(26)를 개장(介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와셔(26)에는, 그 중심부에서 축지지 볼트(25)의 나사부를 삽입하는 볼트구멍(26a)의 상하에, 상기 시트 부착 홈(22, 22)의 양단에 삽입하는 돌기(26b, 2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한 와셔(26)는, 돌기(26b, 26b)를 시트 부착 홈(22, 22)의 단부에 삽입하여 계합시킬 수 있고, 각 돌기(26b)은 심재(10)의 단면에 대한 위치 결정과 회전 멈춤을 행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1)의 부착 상태에서, 돌기(26b, 26b)는 시트 부착 홈(22, 22) 내에 수용되는 시트편(2a)의 부착 바(29)의 빠짐방지용의 스토퍼도 된다.
또한 와셔(26)는, 심재(10)의 단면에서 축지지 볼트(25)를 단단히 조임에 의해 축지지부(25a)로 가압 고정되기 때문에, 소모품인 가이드 돌기(11)나 알루미늄제 등의 연질의 심재 단면을 보호하면서 내구성을 유지한다.
실시 형태의 가이드 돌기(11)는, 심재(10)의 전후 폭(두께)보다 큰 직경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그 좌우면에 와셔(27)를 배치한 상태로 차양이 있는 축지지 볼트(25)의 축지지부(25a)에 삽입 지지된다. 이에 의해 롤러(가이드 돌기)(11)는, 시트 개폐시에 이너 레일(16)의 레일 홈(16c) 내에서 측벽(16a, 16a)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고, 승강 가이드를 원활하게 행한다.
또한 상기 축지지 볼트(25)의 두부에는, 6각 스패너 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구멍(2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1)의 구조는, 상기 회전하는 롤러로 한정되지 않고, 심재(10)의 양측에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심재(10)에 대한 시트편(2a)의 부착은, 각 시트 부착 홈(22)에 대해 시트편(2a)의 상변 또는 하변을 환봉형상의 부착 바(29)에 휘감아 삽입하는 공지의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개구가 넓은 대형 시트 셔터에 사용하는 경우의 심재(1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에 의해, 전후 방향의 심재폭을 크게 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체(單體)의 막체(幕體)로 형성된 시트(2)에 대해서는, 재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시트(2)의 상하 방향에, 소정의 심재 설치 간격을 갖고서 장착되는 튜브형상의 심재 부착 부재를 마련하고, 그 내부에 심재(10)를 삽입하여 부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지주(3)에 설치되는 시트 셔터 제어용 전장품의 부착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시트 드럼(5)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반(9)은, 지주 스페이스(31) 내에 들어가는 소정 길이와 전후 폭으로 형성되는 전장 베이스(32)와, 그 전장 베이스(32)에 부착 시트를 통하여 부착되는 기판(33)과, 그 기판(33)에 마련하는 제어 부품부, 변환 기기 및 설정 기기 등의 전장 부품류(34)를 유닛화 함에 의해 구성된다.
전장 베이스(32)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벽(3a) 및 연결벽(3e)에 삽입되고 또한 지주(3) 내의 뒷부분에 위치하는 볼트(부착 부재)(36)를 삽통시키는 부착구멍(37)가 천공되고, 그 볼트(36)에 의해 전장 베이스(32)가 지주(3)에 나사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 2,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반(9)은 지주 스페이스(31) 내에 수납하고 또한 볼트(36)를 체결함에 의해, 전장 베이스(32)(제어반(9))을 지주(3) 방향에 따르게 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베이스(32)는, 돌기부(3f)와 저벽(14b)에 접촉시켜서 고정함에 의해, 제어반(9)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반(9)에는, 진동을 피하고 싶은 전장 부품이나 제어 부품 및 많은 배선을 갖는 전장 부품 등을 기판(33)의 상위측에 배치한다. 하위측에는 일상적인 유지보수 작업이나 기기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설정 기기 등을 배치한다. 또한 기판(33)의 최상부에는 각종 배선을 종합하여 고정한 단자부(38)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단자부(38)는 모터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39)의 커넥터와 착탈 자유롭게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지주(3)는, 제어반(9)을 수납한 상태에서, 좌우의 개구연(3j, 3i)에 덮개 커버(15)의 좌우의 계지편(15a, 15a)을 계합시킴에 의해, 지주 스페이스(31)의 전방을 개방하는 지주 개구부(3h)를 덮개 커버(15)에 의해 간단하게 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반(9)을 추출 상태로 할 때는, 상기와 역순의 조작에 의해 덮개 커버(15)를 벗긴 후 볼트(36)를 풀고, 그 후, 그 볼트(36)를 지점으로 제어반(9)을 전방으로 회동시킨다(전장 베이스(32)를, 그 상단부를 지점에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 도 2, 도 4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반(9)의 하부측이 크게 지주(3)의 전방 외측으로 인출되어 노출한 취출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기구에 의해 작업자는, 노출 상태에 있는 제어반(9)에 대해 필요 부분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기기 등은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편안한 자세로 설정 변경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전장품의 부착 구조는, 제어반(9) 등을 종래의 것과 같이 지주(3)의 측방이나 시트 케이스(4)에 돌출시켜서 마련하는 일 없고, 또한 제어반(9) 등을 지주 스페이스(31)에 대해 지주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종합하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주 스페이스(31)는 지주 방향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크기 등이 다른 시트 셔터(1)의 형식에 적응한 제어반(9)을 임의의 높이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비어져 있는 스페이스는 조작부(9a)나 공구 및 취급 설명서 등을 수납하는 다목적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반(9)은, 지주 스페이스(31) 내에 전장 베이스(32)의 일단을 회동 자유롭게 마련하고, 타단을 전후 방향으로 인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적은 회동 지점측에 전장품을 배치하고, 짧은 전선(39)에 의해 모터(7)와 접속하고, 정리가 좋은 컴팩트한 배선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이 적은 회동 지점측에 배선되는 전선(39) 및 각종 코드류는, 제어반(9)을 회동할 때의 구부림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상의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시트 가이드를 구비한 시트 셔터(1)의 동작 및 사용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시트 셔터(1)에서는, 시트(2)가 시트 드럼(5)에 권취되고, 도 1에 도시하는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시트 스토퍼편(17b)에 스토퍼(13a)가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를 최상승 위치로 하여, 시트 드럼(5)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회전 제어한다. 이 최상승 위치에서 시트 복귀가이드(17)의 복귀 가이드부(17c)의 상방에 접지부(13)를 정지시킨 상태가 다음의 하강을 위한 대기 자세가 된다. 시트 드럼(5)이 조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2)가 조출되면, 시트(2)는 각 심재(10)의 양단의 가이드 돌기(11)가 좌우의 지주(3)의 레일(16)에 안내되고 하강 슬라이드하고, 접지부(13)를 설치면에 접지시킨 위치에서 시트 드럼(5)의 자동 정지에 의해 게이트를 폐쇄한다.
이 시트 셔터(1)는 시트(2)가 상기 폐쇄 상태 또는 승강 작동하고 있을 때, 강풍을 받아 가압되면, 심재(10)가 휘어져 가이드 돌기(11)가 이너 레일(16)의 레일 홈(16c) 내를 안으로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빠져나올려고 한다. 이 때에, 가이드 돌기(11)는 이너 레일(16) 내의 규제부(16e)에 의한 계합력에 의해 빠져나감이 방지되고, 풍압이 약해진다면 가이드 돌기(11)를 심재(10)(7)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시트 당김 자세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심재(10) 및 가이드 돌기(11) 및 이너 레일(16)은, 시트(2)를 바람의 변화에 대해 탄력적으로 풍압을 완충하면서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바람에 의한 시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면서 개폐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차량 등의 통과체가 시트(2)에 충돌한 경우에는, 심재(10)가 전(前) 또는 후향으로 강한 외력(과부하)을 받아, 가이드 돌기(11)가 슬라이드 한계가 되고, 가이드 돌기(11)는 가압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규제부(16e, 16e)를 비집어 열도록 작동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돌기(11)는 측벽(16a, 16a)을 밀어 넓혀서, 규제부(16e)와의 계합을 해제하고 안내벽(16f, 16f)에 이른다. 그리고, 심재(10)는 부하의 계속에 의해 이너 레일(16)로부터 이탈하고, 지주(3)에 의한 시트(2)의 지지를 잃어버려 자유로와진다. 따라서, 시트(2) 및 심재(10)는 내구 한계 이상의 가압력을 회피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너 레일(16) 및 이것과 고정된 관련 부재 등도 그 이상의 부하를 받는 일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너 레일(16)로부터 심재(10)가 벗겨져도, 시트(2)는 시트 복귀 가이드(17)에 의해 시트 드럼(5)의 권취 회전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시트(2)는 좌우의 지주(3) 사이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면서, 벗겨진 심재(10)를 전후 좌우에 프리 상태로 상승시킨다. 또한 시트 드럼(5)측의 시트(2)의 양측은, 권상시(卷上時)에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복귀 가이드부(17c)에 대해, 벗겨진측의(앞측 또는 후측의) 홈구로부터, 벗겨진 부분이 자동적으로 인입되어, 복귀 가이드부(17c) 상부의 레일 홈을 통과할 때에 시트의 휨을 수정하면서 시트 드럼(5)에 권취된다.
이에 의해, 접지부(13)가 시트 복귀 가이드(17)의 복귀 가이드부(17c)의 상방에서 정지한 상기 최상승 위치에서, 시트(2) 및 심재(10) 및 가이드 돌기(11)는 자동적으로 이너 레일(16) 내에 복귀하고 하강을 위한 대기 자세가 되고, 시트 드럼(5)의 조출 회전에 의해 재하강한다.
이상과 같이 시트 셔터(1)에서는, 이너 레일(16)의 전후의 측벽(16a, 16a)의 중도부에 규제부(16e)를 마련하고, 심재(10)의 좌우단에 돌설한 가이드 돌기(11)를 레일 홈(16c)의 홈 속측부터 안으로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규제하고, 이동 방향의 부하의 한도를 초과하면 규제를 해제한 시트 가이드부(1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시트(2)는 강풍에 의한 전후 방향의 강한 부하를 받은 경우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재(10)가 화살표 방향으로 걸리는 부하에 의해 크게 휘면, 가이드 돌기(11)는 안으로 향하여 이동하면서 기울어져서, 측벽(16a, 16a)의 규제부(16)에 강하게 압접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돌기(11)가 측벽(16a, 16a)을 밀어 여는 힘이, 측벽(16a, 16a)의 가이드 자세를 유지하는 탄력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바람의 강약 변동에 수반하여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의 부하가 감소 또는 해제되고, 심재(10)는 측벽(16a, 16a)의 탄성력에 의해 곧바른 통상 자세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가이드 돌기(11)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시트(2)의 통상 승강 가이드를 계속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1)가 기울어져서 규제부(16e)에 강하게 압접한 상태에서, 큰 안으로 향하는 부하가 더욱 가해지면, 가이드 돌기(11)의 대각선 방향의 작은 모따기부(11a)와 큰 모따기부(11b)가, 대향하는 측벽(16a, 16a)을 지레 작용에 의해 비집어 열도록 하여 국부적으로 밀어 연다. 이 경우 도 4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1)는 큰 모따기부(11b)가 큰 아르로 레일벽(16g)에 접하면서, 작은 모따기부(11a)가 규제부(16e)에 타고 올라가게 되어, 측벽(16a, 16a)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으로 향하는 방향의 지지를 잃어버려, 심재(10)의 화살표 방향의 휘어 이동의 계속과 함께, 레일 홈(16c)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 가이드 돌기(11)의 빠져나갈 때에 있어서, 규제부(16e)에 이어지는 안내벽(16f, 16f)은, 레일 홈(16c)의 개구부를 크게할 것 같은 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11)의 빠져나감 방향의 저항을 작게 하여 안으로 향하는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이너 레일(16)에 대한 가이드 돌기(11)의 이탈이 원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트 셔터(1)는, 심재(10)에 전후 방향의 큰 부하가 가하여질 때, 해당 심재(10)를 이너 레일(16)의 규제부(16e)에 대한 가이드 돌기(11)의 계합을 해제하여, 이너 레일(16)이 이탈을 재촉한다. 이 작용에 의해 심재(10) 및 시트(2) 및 이너 레일(16)이나 지주(3) 등이 과대한 부하의 계속에 수반하는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
다음에 도 4, 도 10를 참조하여, 벗겨진 심재(10)를 이너 레일(16) 내에 수작업에 의해 삽입 세트하는 심재 리셋 작업의 한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 시트(2)는 일부의 심재(10)가 이너 레일(16)로부터 벗겨진 채로 게이트내의 중도에 정지 상태에 있고, 우선 과대 부하의 원인을 제거함과 함께, 심재(10) 및 가이드 돌기(11) 등의 점검이나 필요 개소의 수리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한다. 이후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벗겨진 심재(10)를 좌우의 지주(3, 3)의 사이에서 경사 자세로 들어올려, 좌우의 이너 레일(16, 16)의 레일 홈(16c, 16c) 내에 가이드 돌기(11, 11)를 임하게 한다. 뒤이어, 높은 쪽의 가이드 돌기(11)를 상방으로부터, 심재(10)를 통하여 측벽(16a, 16a)의 안내벽(16f, 16f)에 따르게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 때에, 안내벽(16f, 16f)은 규제부(16e, 16e)를 향한 사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11)는 압입에 의해 안내벽(16f, 16f)을 전후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면서, 규제부(16e, 16e)를 넘어 레일벽(16g, 16g)에 도달하여 승강 가이드 자세가 된다. 뒤이어, 이 상태에서 다른쪽(좌측)의 가이드 돌기(11)를, 마찬가지로 안내벽(16f, 16f)에 따르게 하여 밀어 넣어, 레일벽(16g, 16g)의 사이까지 도달시켜, 벗겨진 심재(10)의 리셋을 완료한다. 이 때 가이드 돌기(11)의 외측 코너부에 형성된 큰 모따기부(11b)는, 측벽(16a, 16a)의 표면과 찰상(擦傷)이 생기는 일 없이, 가이드 돌기(11)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다.
따라서, 이 시트 셔터(1)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시트 가이드부(12)의 구조에 의해, 벗겨진 심재(10)의 리셋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시트 가이드부(12)의 구조를 대폭으로 변경하는 일 없이, 시트(2)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의 방지와 전후 방향 부하에 대한 완충 작용에 의해 순조로운 승강 가이드와 과부하시의 무리가 없는 심재(10)의 이탈 및 벗겨진 심재(10)의 리셋 등이 간단하게 행하여진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이너 레일(16)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하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의 시트 가이드부(12)는, 지주(3)의 내부에 형성되는 측벽(14a, 14a)과 저벽(14b)으로 이루어지는 아우터 레일(14) 내에, 측벽(16a, 16a)에 의해 레일 홈(16c)을 형성하는 이너 레일(16)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에 의해, 지주(3)와 함께 이너 레일(16)을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도시하는 시트 가이드부(12)는, 지주(3)의 내측 홈벽(14d, 14d)과 아우터 레일(14)의 측벽(14a, 14a)이 접합되는 부위로부터, 접속부(16j, 16j)를 통하여, 측벽(16a, 16a)과 측벽(14a, 14a)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측벽(14a, 16a) 사이에 상하 방향의 홈공간(16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16a, 16a)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의 안내벽(16f)과 규제부(16e)와 레일벽(16g)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의 레일(16)은,홈 속측에서 저벽(16b)을 생략하고 측벽(16a, 16a)을 자유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트 가이드부(12)의 구성에 의하면, 이너 레일(16)이 저벽(16b)을 구비하지 않음에 의해, 아우터 레일(14) 내에 임하게 하는 측벽(16a, 16a)의 일체 성형 가공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주(3) 또는 아우터 레일(14)과 같은 재료의 알루미늄재 또는 합성 수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성형되는 측벽(14a, 14a)과 레일벽(16g, 16g)을 전후 방향으로 무리없이 원활하게 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트 가이드부(12)에 의하면, 심재(10)를 가이드 돌기(11)를 통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이너 레일(16) 내에 삽입할 수 있고, 그 승강 가이드를 내풍압 성능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2 : 시트 3 : 지주
4 : 시트 케이스 5 : 시트 드럼
10 : 심재 11 : 가이드 돌기
11a : 작은 모따기부 11b : 큰 모따기부
12 : 시트 가이드부 16 : 이너 레일
16a, 16a : 측벽 16b1 : 저벽
16c : 레일 홈 16d, 16d : 계합부
16e : 규제부 16f, 16f : 안내벽
22, 22 : 시트 부착 홈 23, 23 : 중공구멍
24 : 통과구멍 25 : 축지지 볼트
26 : 와셔 26a : 볼트구멍
26b, 26b : 돌기

Claims (6)

  1. 가로방향의 복수의 심재(10)를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시트(2)와,
    상기 시트(2)를 상하 방향에 권취하며 풀어내는 시트 드럼(5)을 수용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가로방향의 시트 케이스(4)와,
    상기 시트 케이스(4)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는 지주(3)를 구비하고, 좌우의 지주(3)의 내측에 있으며 시트 가이드부(12)를 구성하는 이너 레일(16) 내에서, 상기 심재(10)의 좌우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시트 셔터에 있어서,
    상기 이너 레일(16) 내의 레일 홈(16c)의 전후 측벽(16a, 16a)의 좌우 방향의 중도부에, 홈 내로 돌출하고 탄력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변형이동 가능한 규제부(16e)를 마련하고,
    레일 홈(16c) 내에 삽입되는 심재(10)의 좌우 양단에 돌설한 가이드 돌기(11)를 상기 레일 홈(16c)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1)가, 상기 규제부(16e)에 계지되어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가이드 돌기(11)에 안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한 때에 상기 가이드 돌기(11)의 계지가, 탄력적으로 벗겨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전후의 측벽(16a, 16a)의 안으로 향하는 개구단부터 규제부(16e)를 향하여 레일 홈(16c)의 전후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벽(16f, 16f)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이너 레일(16)을, 지주(3)측에 마련된 아우터 레일(14) 내에 삽입하여 부착하고, 이너 레일(16)의 전후의 측벽(16a, 16a)을, 규제부(16e)의 외측단측에서 저벽(16b)에 의해 접속함에 의해 이너 레일(16)을 안으로 향하는 ㄷ자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아우터 레일(14)에 대해, 이너 레일(16)을 측벽(16a, 16a)의 개구단에 형성한 계합부(16d, 16d)와, 저벽(16b)측으로 지지시켜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심재(10)를 전후 방향으로 탄력성을 갖게 하는 세로로 기다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함과 함께, 가이드 돌기(11)를 심재(10)의 전후폭보다 전후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5. 제 4항에 있어서,
    심재(10)의 좌우단에 심재(10)와 같은 방향의 축심을 갖는 롤러형상의 가이드 돌기(11)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함과 함께, 그 가이드 돌기(11)의 내측 가까이의 코너부에 소반경의 아르형상의 모따기부(11a)와, 외측 가까이의 코너부에 대반경의 아르형상의 모따기부(11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6. 제 5항에 있어서,
    심재(10)의 양단에, 가이드 돌기(11)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축지지 볼트(25)에 의해 와셔(26)를 통하여 체결장착하고, 심재(10)의 단면 중심부에 원형의 통과구멍(24)을 형성하고,
    심재(10)의 단면의 통과구멍(24)의 상하에 시트(2)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홈(22, 22)을 형성하고,
    상기 와셔(26)의 외형을 심재(10)의 단면 형상과 개략 같은 형상으로 하고, 심재의 중심부에 축지지 볼트(25)의 나사부를 삽입하는 볼트구멍(26a)을, 그 볼트구멍(26a)의 상하에 시트 부착 홈(22, 22) 내에 삽입되는 돌기(26b, 26b)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심재(10) 단면의 시트 부착 홈(22, 22) 내에 와셔(26)의 돌기(26b, 26b)를 계합시키고, 통과구멍(24)에 축지지 볼트(25)를 비틀어 넣어 와셔(26)를 체결장착함에 의해, 심재(10)의 단면에 가이드 돌기(11)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KR1020120003735A 2011-08-09 2012-01-12 시트 셔터 KR101626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4027 2011-08-09
JP2011174027A JP2013036254A (ja) 2011-08-09 2011-08-09 シートシャッ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72A true KR20130018472A (ko) 2013-02-25
KR101626641B1 KR101626641B1 (ko) 2016-06-01

Family

ID=4764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35A KR101626641B1 (ko) 2011-08-09 2012-01-12 시트 셔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36254A (ko)
KR (1) KR101626641B1 (ko)
CN (1) CN10292664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01B1 (ko) * 2014-04-21 2014-07-04 허명희 전동식 롤 방충망
KR101868807B1 (ko) * 2017-09-29 2018-06-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롤러셔터
EP4191015A1 (de) * 2021-11-29 2023-06-07 WAREMA Renkhoff SE Sonnenschutzanlage mit seitlichen führungsschienen mit führungsschieneneinsätz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9522B2 (ja) * 2014-04-15 2017-07-26 小松電機産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
JP6914167B2 (ja) * 2017-10-30 2021-08-04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封止構造
CN110700747B (zh) * 2019-10-24 2020-08-14 山东安舜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卷帘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281A (ja) * 1996-06-19 1998-03-10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のガイド構造
JP2001012167A (ja) * 1999-06-30 2001-01-16 Sanwa Shutter Corp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組立体
JP2008190255A (ja) 2007-02-06 2008-08-21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
US20090235602A1 (en) * 2008-03-21 2009-09-24 Ceccofiglio David H Strengthened shutter system
CN102052049A (zh) * 2009-11-06 2011-05-11 小松电机产业株式会社 薄板卷帘门的薄板导向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4917B2 (ja) * 1999-06-29 2004-08-18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および該シートシャッターに用いるガイドブロック
CN1580479B (zh) * 2003-08-12 2010-06-23 三和控股株式会社 薄板卷帘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281A (ja) * 1996-06-19 1998-03-10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のガイド構造
JP2001012167A (ja) * 1999-06-30 2001-01-16 Sanwa Shutter Corp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組立体
JP2008190255A (ja) 2007-02-06 2008-08-21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
US20090235602A1 (en) * 2008-03-21 2009-09-24 Ceccofiglio David H Strengthened shutter system
CN102052049A (zh) * 2009-11-06 2011-05-11 小松电机产业株式会社 薄板卷帘门的薄板导向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01B1 (ko) * 2014-04-21 2014-07-04 허명희 전동식 롤 방충망
KR101868807B1 (ko) * 2017-09-29 2018-06-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롤러셔터
EP4191015A1 (de) * 2021-11-29 2023-06-07 WAREMA Renkhoff SE Sonnenschutzanlage mit seitlichen führungsschienen mit führungsschieneneinsät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26645A (zh) 2013-02-13
JP2013036254A (ja) 2013-02-21
KR101626641B1 (ko) 2016-06-01
CN102926645B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8472A (ko) 시트 셔터
KR101326365B1 (ko)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KR101917388B1 (ko) 시트 셔터
JP2012082590A (ja) 浸水防止装置
JP3957484B2 (ja) 先行手摺の支持装置
KR101606163B1 (ko) 경사진 창문용 롤블라인드장치
DE60104118T2 (de) Führungsvorrichtung eines gegengewichts für ein flexibles industriehubtor
CN102874661A (zh) 电梯设备
WO2005111365A1 (en) Door arrangement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JP5442663B2 (ja) シートシャッタ
KR20090099036A (ko)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JPH08240010A (ja) 垂直養生装置
JP5940957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柵
JP2018105094A (ja) シャッター
JP5296729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構造
JP3818593B2 (ja) 建築工事用安全索の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索取付構造
JP2010031502A (ja) 建物用開閉装置
JP5442667B2 (ja) シートシャッタ
JP7473458B2 (ja) 引手部材
EP3670817B1 (en) Roller blind with support device for the winding roller
KR20100003351U (ko)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KR20230023893A (ko)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
KR20220066863A (ko) 확장형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
KR200461699Y1 (ko) 천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