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10Y1 -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 Google Patents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10Y1
KR200485910Y1 KR2020160000435U KR20160000435U KR200485910Y1 KR 200485910 Y1 KR200485910 Y1 KR 200485910Y1 KR 2020160000435 U KR2020160000435 U KR 2020160000435U KR 20160000435 U KR20160000435 U KR 20160000435U KR 200485910 Y1 KR200485910 Y1 KR 200485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in body
spherical
sheet member
memb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766U (ko
Inventor
서정준
Original Assignee
비엠피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피코리아(주) filed Critical 비엠피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60000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1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재가 시트 가이드부를 따라 원활하게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시트재 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복수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를 장착하여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시트 가이드부와 마찰하는 경우 회전을 통하여 이동 저항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마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셔터용 시트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Sheet for sheet-shutter}
본 고안은 공간을 구획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트셔터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시트재가 시트 가이드부를 따라 원활하게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시트재 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복수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를 장착한 것이다.
공장이나 창고와 같이 물건을 내부나 외부에서 반입 혹은 반출해야 하는 장소에는 수시로 개폐되어야 하는 시트셔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셔터는 통상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시트재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시트재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며, 시트재의 양측에는 시트 가이드부가 마련된 지주가 마련되어, 시트재의 가이드 돌기가 시트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면서 시트재가 승강하게 된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2033호의 "시트셔터"가 있었으며, 첨부되는 도 1은 이에 따른 시트셔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또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365호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2013.10.31. 등록)가 제시되었으며, 이 종래 기술에서는 시트재의 가이드 돌기는 시트재 본체에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와 시트 가이드부가 마찰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가이드 돌기의 마찰로 인하여 시트재의 원활한 승강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며, 아울러 시트재의 장기간 사용시 가이드 돌기가 마찰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트재가 시트 가이드부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365호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2013.10.31.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재가 시트 가이드부를 따라 원활하게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시트재 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복수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를 장착하여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시트 가이드부와 마찰하는 경우 회전을 통하여 이동 저항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마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셔터용 시트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셔터에 사용되는 시트재에 있어서 :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는 시트재 본체 ; 상기 시트재 본체의 결합용 구멍마다 마련되는 회전형 가이드 돌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형 가이드 돌기는, 상기 시트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구면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시트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구면형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구면형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구멍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되 타단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는 내측 축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이드 돌기부재 ; 상기 시트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구면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시트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구면형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구면형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구멍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되 내부를 따라 상기 내측 축부재가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상기 내측 축부재의 결합턱이 안치되기 위한 결합턱 걸림부가 형성되는 외측 축부재를 포함하는 제2가이드 돌기부재 ; 상기 제1구면형 회전부재와 상기 시트재 본체의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시트재 본체를 향하는 면에 제1결합 보강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1와셔용 링 ; 상기 제2구면형 회전부재와 상기 시트재 본체의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시트재 본체를 향하는 면에 제2결합 보강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2와셔용 링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재가 시트 가이드부를 따라 원활하게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시트재 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복수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를 장착하여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시트 가이드부와 마찰하는 경우 회전을 통하여 이동 저항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마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셔터용 시트재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시트셔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셔트용 시트재가 지주의 시트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도 2에서 시트셔트용 시트재와 시트 가이드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
도 4는 도 2의 시트셔트용 시트재에서 일부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회전형 가이드 돌기와 시트재 본체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리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시트셔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통상적인 시트셔터의 구성품인 시트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셔트용 시트재가 지주의 시트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서 시트셔트용 시트재와 시트 가이드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의 시트셔트용 시트재에서 일부 회전형 가이드 돌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회전형 가이드 돌기와 시트재 본체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리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재(100)는 시트재 본체(110)와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시트재 본체(110)는 그 상단부가 권취드럼에 감기게 된다.
시트재 본체(110)는 공지의 각종 합성수지재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PVC 타포린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울러 시트재 본체(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결합용 구멍(111)이 형성되며, 각 결합용 구멍(111)마다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마련된다.
도 2 및 도 3 등에서는 시트재 본체(110)의 일측 가장자리만을 도시한 것이며, 타측 가장자리에도 동일한 형태로 결합용 구멍(111)가 형성되며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결합용 구멍(111)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용 구멍(111)의 형태는 후술하는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용 구멍(111)에 축부재가 결합되며, 제1,2구면형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축부재에 결합된다면 결합용 구멍(111)은 다각형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는, 제1가이드 돌기 부재(121), 제2가이드 돌기 부재(122), 제1와셔용 링(123), 제2와셔용 링(124)으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 돌기 부재(121)는,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와 내측 축부재(121b)로 이루어진다.
내측 축부재(121b)는 결합용 구멍(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내측 축부재(121b)의 일단에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 축부재(121b)는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로부터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는 시트재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구면형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면형 돌출 형태는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의 돌출 높이로 인하여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시트 가이드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시트 가이드부(11)와의 접촉시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가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트재 본체(110)가 매우 강한 힘을 받을 경우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가 시트 가이드부(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시트재 본체(110)를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내측 축부재(121b)의 타단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턱(121b-1)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 돌기 부재(122)는,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와 외측 축부재(122b)로 이루어진다.
외측 축부재(122b)는 결합용 구멍(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아울러 외측 축부재(122b)의 내부를 따라 내측 축부재(121b)가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122b-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축부재(122b)의 일단에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 축부재(122b)는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로부터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는 시트재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구면형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면형 돌출 형태는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의 돌출 높이로 인하여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시트 가이드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시트 가이드부(11)와의 접촉시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가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트재 본체(110)가 매우 강한 힘을 받을 경우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가 시트 가이드부(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시트재 본체(110)를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외측 축부재(122b)의 관통공(122b-1)에는 내측 축부재(121b)의 결합턱(121b-1)이 안치되기 위한 결합턱 걸림부(122a-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 돌기 부재(121)의 내측 축부재(121b)의 결합턱(121b-1)은 제2가이드 돌기 부재(121)의 관통공(122b-1)을 관통하면서 외측 축부재(122b)를 통과한 후 결합턱 걸림부(122a-1)에 걸리면서 제1가이드 돌기 부재(121)와 제2가이드 돌기 부재(121)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내측 축부재(121b)와 외측 축부재(122b)의 삽입 관통 구조는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와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1,2가이드 돌기 부재(121, 1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가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내측 축부재(121b)와 외측 축부재(122b)는 결합용 구멍(111)을 관통하는 축부재의 일종이다.
제1구면형 회전부재(121a)와 시트재 본체(110) 사이에는 제1와셔용 링(123)이 삽입 마련되며, 제2구면형 회전부재(122a)와 시트재 본체(110) 사이에는 제2와셔용 링(124)이 삽입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2와셔용 링(123, 124)는 제1,2구면형 회전부재(121a, 122a)가 시트재 본체(11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2구면형 회전부재(121a, 122a)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1와셔용 링(123)의 시트재 본체(110)를 향한 면에는 제1결합 보강용 돌기(123a)가 돌출형성되며, 제2와셔용 링(124)의 시트재 본체(110)를 향한 면에는 제2결합 보강용 돌기(124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2결합 보강용 돌기(123a, 124a)는 제1,2와셔용 링(123, 124)이 보다 긴밀히 시트재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시트재 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시트재(100)의 양 측면에 지주(10)가 마련되며, 지주(10)에는 시트재(10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시트 가이드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 가이드부(11)에 시트재(100)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시트재(100)가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는 기본적으로 시트재(100)의 가장자리가 시트 가이드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는 시트재(100)의 상하 이동시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시트 가이드부(11)와 접촉될 때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가 회전되어 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는, 제1가이드 돌기 부재(121)와 제2가이드 돌기 부재(122)가 회전할 때 이들은 시트재 본체(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제1와셔용 링(123) 및 제2와셔용 링(124)과 접촉되면서 회전될 수 있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형 가이드 돌기(120)는 시트 가이드부(11)와의 접촉시 회전되어 마찰에 따른 이동 저항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마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축부재로서 내,외측 축부재(121b, 122b)를 제시하였지만, 축부재는 결합용 구멍(111)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충분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축부재에 제1,2구면형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주 11 : 시트 가이드부
100 : 시트재
110 : 시트재 본체 111 : 결합용 구멍
120 : 회전형 가이드 돌기
121 : 제1가이드 돌기 부재 121a : 제1구면형 회전부재
121b : 내측 축부재 121b-1 : 결합턱
122 : 제2가이드 돌기 부재 122a : 제2구면형 회전부재
122a-1 : 결합턱 걸림부 122b : 외측 축부재
122b-1 : 관통공
123 : 제1와셔용 링 123a : 제1결합 보강용 돌기
124 : 제2와셔용 링 124a : 제2결합 보강용 돌기

Claims (3)

  1. 시트셔터에 사용되는 시트재에 있어서 :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는 시트재 본체 ;
    상기 시트재 본체의 결합용 구멍마다 마련되는 회전형 가이드 돌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형 가이드 돌기는,
    상기 시트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구면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시트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구면형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구면형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구멍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되 타단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는 내측 축부재를 포함하는 제1가이드 돌기부재 ;
    상기 시트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구면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시트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구면형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구면형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구멍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되 내부를 따라 상기 내측 축부재가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상기 내측 축부재의 결합턱이 안치되기 위한 결합턱 걸림부가 형성되는 외측 축부재를 포함하는 제2가이드 돌기부재 ;
    상기 제1구면형 회전부재와 상기 시트재 본체의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시트재 본체를 향하는 면에 제1결합 보강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1와셔용 링 ;
    상기 제2구면형 회전부재와 상기 시트재 본체의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시트재 본체를 향하는 면에 제2결합 보강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2와셔용 링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셔터용 시트재.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0435U 2016-01-26 2016-01-26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KR200485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35U KR200485910Y1 (ko) 2016-01-26 2016-01-26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35U KR200485910Y1 (ko) 2016-01-26 2016-01-26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66U KR20170002766U (ko) 2017-08-03
KR200485910Y1 true KR200485910Y1 (ko) 2018-03-09

Family

ID=6062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35U KR200485910Y1 (ko) 2016-01-26 2016-01-26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1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70Y1 (ko) * 2002-07-02 2002-11-13 박연우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JP2004360387A (ja) * 2003-06-06 2004-12-24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ャッタ用シートのガイド片構造
JP2012143733A (ja) 2011-01-14 2012-08-02 Toyo Constr Co Ltd 遮水シートの接合部構造及び遮水シートの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9713B (zh) 2009-11-06 2015-09-11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薄片活動遮門的薄片導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70Y1 (ko) * 2002-07-02 2002-11-13 박연우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JP2004360387A (ja) * 2003-06-06 2004-12-24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ャッタ用シートのガイド片構造
JP2012143733A (ja) 2011-01-14 2012-08-02 Toyo Constr Co Ltd 遮水シートの接合部構造及び遮水シートの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66U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8723B2 (en) Skew adjustment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WO2010150799A1 (ja) 操作コード、操作コードの製造方法
JP5341637B2 (ja) 操作コード
KR102194408B1 (ko) 3d 프린터용 원형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KR200485910Y1 (ko) 회전형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시트셔터용 시트재
US20150267451A1 (en) Hinge device
US9593529B2 (en) Spool assembly
JP6846593B2 (ja) 換気装置
KR102339023B1 (ko) 도어용 힌지 구조
JP5752819B2 (ja) コードのコネクタ
JP5538599B2 (ja) 無端コード
JP6348767B2 (ja) 縦型ブラインド及びランナーフック
JP5351349B2 (ja) 操作コ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降装置
TWI421403B (zh) 捲簾器邊蓋定位結構
EP1006255A1 (en) End cap and mounting support combination
WO2011027407A1 (ja) 操作コ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降装置
JP2019023406A (ja) ロック機構
JP4207822B2 (ja) ハンドル装置
JP5767363B2 (ja) 操作コード及び操作コードにより操作されるブラインド
JP5752777B2 (ja) ボールチェーン及びブラインド
KR101894157B1 (ko) 위치지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가이드 장치
CN206051144U (zh) 防止丝滑出的丝盘导向装置
JP2020173013A (ja) ボールチェーンおよび遮蔽装置
KR100397679B1 (ko) 스토퍼 기능을 갖는 경첩
KR20190001195U (ko) 중장비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